맨위로가기

공면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면점은 3차원 이상의 공간에서 여러 점들이 동일한 평면 위에 놓이는 성질을 의미한다. 3차원 공간에서 네 점이 공면하기 위한 조건은 스칼라 삼중곱을 이용하여 판별할 수 있으며, n차원 공간에서는 점들의 상대적 차이를 나타내는 행렬의 랭크를 통해 공면성을 판단한다. 꼬인 다각형과 같이 모든 꼭짓점이 공면하지 않은 도형도 존재한다.

2. 3차원 공간에서의 공면성

3차원 공간에서, 동일한 시작점을 가진 두 개의 선형 독립 벡터는 해당 점을 지나는 평면을 결정한다. 이들의 외적은 해당 평면에 대한 법선 벡터이며, 시작점을 통과하여 이 외적에 직교하는 모든 벡터는 그 평면 안에 있다.[1]

2. 1. 공면성 판정법

3차원 공간에서, 선형 독립이며 같은 시작점을 갖는 두 벡터는 그 시작점을 지나는 평면을 결정한다. 이 두 벡터의 외적은 이 평면에 수직이며, 원래 두 벡터의 시작점을 지나면서 외적 벡터와 직교하는 모든 벡터는 이 평면 위에 놓이게 된다.[2]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스칼라 삼중곱을 통해 공면성을 판정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네 점 $x_1, x_2, x_3, x_4$가 공면점일 필요충분조건은 다음과 같다.[1][2]

:[(x_2 - x_1) \times (x_4 - x_1)] \cdot (x_3 - x_1) = 0

이는 다음과 동치이다.

:(x_2 - x_1) \cdot [(x_4 - x_1) \times (x_3 - x_1)] = 0

세 점 이하는 항상 공면이므로, 보통 네 점 이상이 주어졌을 때 공면성 판정 문제가 의미를 가진다.

2. 1. 1. 벡터를 이용한 판정법

세 벡터 '''a''', '''b''', '''c'''가 공면이고, '''a'''와 '''b'''가 직교(·'''b''' = 0)하는 경우, '''a''' 및 '''b''' 방향의 단위 벡터를 각각 '''â'''|'''a'''영어 및 '''b̂'''|'''b'''영어로 표기하면 다음이 성립한다.[1][2]

: (\mathbf{c}\cdot\mathbf{\hat a})\mathbf{\hat a} + (\mathbf{c}\cdot\mathbf{\hat b})\mathbf{\hat b} = \mathbf{c}

즉, '''c'''를 '''a'''에 대한 벡터 투영과 '''c'''를 '''b'''에 대한 벡터 투영을 더하면 원래의 '''c'''가 된다. 여기서 '''c'''· 및 '''c'''·는 '''c'''의 각각 '''a''' 및 '''b''' 방향의 성분을 나타낸다.

3. n차원 공간에서의 공면성

n차원 공간(n ≥ 3)에서 k개의 점이 공면점인지 여부는 행렬의 랭크를 이용하여 판정할 수 있다. 3개 이하의 점은 항상 공면점이므로, 4개 이상의 점에 대해서만 공면성을 판정하는 것이 의미있다.[1]

일반적으로, 평면은 두 개의 선형 독립 벡터에 의해 결정된다는 성질을 이용한다.

3. 1. 좌표를 이용한 판정법

''n''차원 공간에서 (''n'' ≥ 3) ''k''개의 점 \{p_0, p_1, \dots, p_{k-1}\}이 공면점이 될 필요충분조건은 이 점들의 상대적 차이 벡터 \overrightarrow{p_0 p_1}, \overrightarrow{p_0 p_2}, \dots, \overrightarrow{p_0 p_{k-1}}를 열(또는 행)로 하는 행렬의 랭크가 2 이하인 것이다.

예를 들어, 네 점

:\begin{align}

X &= (x_1, x_2, \dots, x_n), \\

Y &= (y_1, y_2, \dots, y_n), \\

Z &= (z_1, z_2, \dots, z_n), \\

W &= (w_1, w_2, \dots, w_n),

\end{align}

가 주어졌을 때, 다음 행렬

:\begin{bmatrix}

x_1 - w_1 & x_2 - w_2 & \dots & x_n - w_n \\

y_1 - w_1 & y_2 - w_2 & \dots & y_n - w_n \\

z_1 - w_1 & z_2 - w_2 & \dots & z_n - w_n \\

\end{bmatrix}

의 랭크가 2 이하면, 네 점은 공면점이다.

원점을 포함하는 평면의 특별한 경우, ''k''개의 점 집합과 원점이 공면점일 필요충분 조건은 ''k''개 점의 좌표를 나열하여 만든 행렬의 랭크가 2 이하인 것이다.

4. 공면성을 갖지 않는 도형

꼬인 다각형(비평면 다각형)은 꼭짓점이 공면(共面)상에 있지 않은 다각형이다. 세 점은 항상 공면에 있으므로 꼬인 삼각형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다각형은 적어도 네 개의 꼭짓점을 가져야 한다. 양의 부피를 가지는 다면체는 모두 공면하지 않은 꼭짓점을 갖는다.[1]

5. 기타

거리 기하학은 주어진 점들 사이의 거리 정보만으로 그 점들의 공면성을 결정하는 문제를 다룬다.

참조

[1] 서적 Calculus with Analytic Geometry https://archive.org/[...] Prindle, Weber & Schmidt
[2] 서적 Calculus with Analytic Geometry Prindle, Weber & Schmid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