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각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각형은 닫힌 꺾은선으로 이루어진 평면 도형으로, 변의 개수에 따라 삼각형, 사각형 등으로 분류된다. 다각형은 변의 수, 각의 크기, 변의 길이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며, 단순 다각형, 볼록 다각형, 정다각형 등이 있다. 다각형은 기하학에서 중요한 개념이며, 넓이, 성질 등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다각형의 개념은 구면, 고차원 공간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모델링과 렌더링의 기본 요소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각형 - 폴리아몬드
    폴리아몬드는 정삼각형을 이어 붙여 만든 도형으로, 삼각형 개수에 따라 n-아몬드라 불리며 조합론에서 종류와 개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고, 평행 이동, 회전, 반사에 따라 자유형, 단면형, 고정형으로 분류되며, 폴리오미노, 폴리헥스와 유사하고 보드 게임의 구성 요소로 활용된다.
  • 다각형 - 대각선
    대각선은 다각형이나 다면체에서 서로 인접하지 않은 꼭짓점을 연결하는 선분이며, 다각형은 변의 개수에 따라, 다면체는 면의 위치에 따라 대각선의 개수와 종류가 달라지고, 기하학에서는 데카르트 곱의 부분 집합으로 정의되기도 한다.
  • 유클리드 평면기하학 - 피타고라스 정리
    피타고라스 정리는 직각삼각형에서 직각변의 제곱의 합이 빗변의 제곱과 같다는 정리로, a² + b² = c²으로 표현되며, 한 변의 길이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고, 여러 지역에서 알려졌으나 피타고라스 학파에 의해 체계화되었다고 전해진다.
  • 유클리드 평면기하학 - 스튜어트 정리
    스튜어트 정리는 삼각형의 변과 체바 선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하학 정리이며, 아폴로니우스 정리를 포함하고 코사인 법칙을 이용하여 증명한다.
다각형
개요
종류평면도형
정의평면 위의 닫힌 경로
구성 요소변과 꼭짓점
분류 기준변의 개수, 볼록성
관련 개념대각선, 내각, 외각
어원
poly많다(many)는 의미의 그리스어 "πολύς (polús)"에서 유래
gon각(angle)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γωνία (gōnía)"에서 유래
성질
내부 각의 합(n-2) × 180° (n은 변의 개수)
외부 각의 합360°
종류
변의 수에 따른 분류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칠각형
팔각형
구각형
십각형
...
정다각형모든 변의 길이와 모든 내각의 크기가 같은 다각형
볼록 다각형모든 내각이 180°보다 작은 다각형
오목 다각형적어도 하나의 내각이 180°보다 큰 다각형
별 모양 다각형변이 교차하는 다각형
엇갈린 다각형평면에 놓을 수 없는 다각형
기타
관련 용어기하학, 도형, 다면체

2. 정의 및 용어

"다각형"이라는 단어는 그리스어 형용사 πολύς|폴뤼스|많은grc와 γωνία|고니아|구석 또는 각grc에서 유래했다. γόνυ|고뉘|무릎grc가 "gon"의 어원일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1] 다각형은 변의 개수에 따라 이름이 지정되며,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수 접두사와 접미사 "-각형"을 결합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오각형, 십이각형 등이 있다. 삼각형, 사각형, 구각형은 예외이다.

다각형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 꼭짓점: 다각형을 이루는 꺾은선에서 0차원 요소이다. 변의 양 끝에 하나씩 존재하며, 인접한 두 변의 유일한 교점이다.
  • : 다각형을 이루는 꺾은선의 1차원 요소이다. 인접한 두 점을 잇는 유일한 선분이다.
  • 내부: 다각형이 둘러싸는 유계 영역이다.
  • 외부: 다각형의 내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다.
  • : 채워진 다각형에서 2차원 요소이다.
  • 내각: 꼭짓점에서 인접한 두 변이 다각형의 내부에서 이루는 각이다.
  • 외각: 평각에서 내각을 뺀 것이다. 오목 다각형에서는 외각이 음수가 될 수 있다.
  • 대각선: 다각형에서 변이 아닌 두 꼭짓점을 연결한 선분이다.


다각형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단순 다각형: 변들이 꼭짓점에서만 만나는 다각형이다.
  • 볼록 다각형: 180°가 넘는 크기의 내각을 갖지 않는 단순 다각형이다.
  • 오목 다각형: 볼록 다각형이 아닌 단순 다각형이다.
  • 등변다각형: 모든 변의 길이가 같은 다각형이다.
  • 원에 내접하는 다각형: 모든 꼭짓점이 한 원 위에 있는 볼록 다각형이다.
  • 원에 외접하는 다각형: 모든 변이 한 원의 끝부분에 걸쳐 있는 볼록 다각형이다.


십각형(10변)과 십이각형(12변)을 넘어서는 다각형에 대해서는 수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숫자 표기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17각형, 257각형 등이 있다.[17]

20개보다 많고 100개보다 적은 변을 가진 다각형의 이름을 만들려면 다음과 같이 접두사를 결합한다.[24]

십의 자리일의 자리최종 접미사
-kai-1-hena--각형
20이십- (단독으로는 이십-)2-이-
30삼십- (또는 삼십-)3-삼-
40사십- (또는 사십-)4-사-
50오십- (또는 오십-)5-오-
60육십- (또는 육십-)6-육-
70칠십- (또는 칠십-)7-칠-
80팔십- (또는 팔십-)8-팔-
90구십- (또는 구십-)9-구-


3. 분류

다각형은 여러 가지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분류설명
단순 다각형변들이 꼭짓점에서만 만나는 다각형
볼록 다각형180°가 넘는 크기의 내각을 갖지 않는 단순한 다각형. 모든 내각이 180° 미만이며, 다각형 내부의 두 점을 잇는 선분은 항상 다각형 내부에 있음.
오목 다각형볼록 다각형이 아닌 단순한 다각형. 180°보다 큰 내각이 하나 이상 있으며, 다각형 외부를 지나는 대각선이 존재할 수 있음.
등변다각형모든 변의 길이가 같은 다각형. 변이 다섯 개 이상일 경우 오목 다각형도 등변다각형이 될 수 있음.
원에 내접하는 다각형모든 꼭짓점이 한 원 위에 있는 볼록 다각형
원에 외접하는 다각형모든 변이 한 원에 접하는 볼록 다각형
별 모양 다각형내부의 한 점에서 모든 변을 볼 수 있는 단순 다각형. 볼록 다각형이거나 오목 다각형일 수 있음.
자기 교차 다각형다각형의 경계가 스스로 교차하는 다각형
별 다각형규칙적인 방식으로 자기 교차하는 다각형
등각다각형모든 각의 크기가 같은 다각형
정다각형모든 변의 길이와 모든 각의 크기가 같은 다각형
주기다각형모든 꼭짓점이 한 원(외접원) 위에 있는 다각형
접다각형모든 변이 한 원(내접원)에 접하는 다각형



여러 종류의 다각형

4. 성질

유클리드 기하학을 가정한다.

다각형은 변의 수만큼의 을 갖는다. 단순한 ''n''각형의 내각(다각형 내부에 있는 각)의 합은 π(''n''−2) 라디안(혹은 180°(''n''−2))이다. 따라서 정''n''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π(''n''−2)/''n'' 라디안(혹은 180°(''n''−2)/''n'', 혹은 (''n''−2)/(2''n'') 회전)이다.

n각형을 n-2개의 삼각형으로 분할

  • 예를 들어 자전거를 몰고 단순한 ''n''각형을 따라 움직인다고 가정해 보자. 그러면 각 꼭짓점에서 외각만큼 방향을 "틀어야" 할 것이다. 그 ''n''각형을 완전히 돌고 나면 자전거 자신도 완전히 한 바퀴를 돈 것이므로 각 꼭짓점에서 튼 각도의 합은 360°가 되어야 하며, 이것으로부터 위의 식을 쉽게 얻을 수 있다. 180°가 넘는 크기의 내각이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 단순한 ''n''각형은 (''n''−2)개의 삼각형을 짜맞추어 만들 수 있으며, 각각의 삼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이 180°인 것으로부터 위의 식을 얻을 수도 있다.


일반적인 n각형에서 각 꼭짓점에서 방향을 튼 각도의 합은 360°의 정수배가 된다.

데카르트 좌표계에서 각 꼭짓점의 좌표가 그 내부를 반시계방향으로 도는 순서대로 (x_1, y_1), (x_2, y_2), \cdots, (x_n, y_n)로 주어져 있는 단순한 다각형의 넓이 A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begin{align}

A &= {1 \over 2} \left ( x_1 y_2 - x_2 y_1 + x_2 y_3 - x_3 y_2 + \cdots + x_n y_1 - x_1 y_n \right ) \\

&= {1 \over 2} \left \{ x_1 ( y_2 - y_n ) + x_2 ( y_3 - y_1 ) + \cdots + x_n ( y_1 - y_{n-1} ) \right \}

\end{align}



신발끈 공식이라고 하는 이 공식은 1769년 마이스터가, 그리고 1795년 가우스가 사용하였다.

다각형의 꼭짓점이 간격이 일정한 격자의 격자점에만 놓여 있는 경우, 픽의 정리를 사용하면 다각형 내부와 경계에 있는 점의 개수를 가지고 간단하게 넓이를 구할 수 있다.

두 다각형의 넓이가 같으면, 언제나 그 중 하나를 몇 개의 다각형으로 자르고 그 조각들을 다시 맞춤으로써 다른 하나와 같은 모양을 만들 수 있다. 이것을 볼야이와 거윈의 정리라 한다.

각 변의 길이가 s 인 정n각형의 넓이는 A = {1 \over 4} n s^2 \cot \left ( {\pi \over n} \right )이다.

또는 다각형 위에 내접하는 다각형으로, 모든 꼭짓점이 주어진 원 또는 다각형의 둘레 위에 놓여 있다.

모든 정다각형, 모든 삼각형, 모든 직사각형, 모든 등변사다리꼴은 원에 내접하는 다각형이다.

또는 다각형 위에 외접하는 다각형으로, 모든 변이 주어진 원의 둘레 또는 다각형의 꼭짓점에 닿는다.

모든 정다각형, 모든 삼각형, 모든 마름모, 모든 볼록 연꼴는 원에 외접하는 다각형이다.

다각형은 볼록성 또는 비볼록성의 유형에 따라 특징지어질 수 있다.

  • 볼록: 다각형을 통과하는 임의의 직선(변이나 모서리에 접하지 않는 경우)은 그 경계와 정확히 두 번 만난다. [2]
  • 비볼록: 경계와 세 번 이상 만나는 직선을 찾을 수 있다.
  • 단순: 다각형의 경계가 스스로 교차하지 않는다. 모든 볼록 다각형은 단순하다.
  • 오목: 비볼록이면서 단순하다. 180°보다 큰 내각이 하나 이상 있다.
  • 별 모양: 내부 전체가 적어도 한 점에서 어떤 변도 교차하지 않고 보입니다.
  • 자기교차: 다각형의 경계가 스스로 교차한다.
  • 별 다각형: 규칙적인 방식으로 자기 교차하는 다각형. 다각형은 별 모양이면서 동시에 별 다각형일 수 없다.
  • 등각: 모든 각이 같다.
  • 정변: 모든 변의 길이가 같다.
  • 정다각형: 등각이면서 정변이다.
  • 주기다각형: 모든 꼭짓점이 하나의 (외접원이라고 함) 위에 놓여 있다.
  • 접다각형: 모든 변이 하나의 내접원에 접한다.
  • 직선형: 다각형의 변들이 직각으로 만나는 다각형, 즉 모든 내각이 90도 또는 270도이다.
  • 주어진 직선 ''L''에 대해 단조: ''L''에 수직인 모든 직선이 다각형과 두 번 이하로 교차하는 다각형이다.

비볼록 오각형의 좌표


'''내각''' – 단순한 ''n''각형의 내각의 합은 라디안 또는 도이다. [3]

  • '''외각''' – 외각은 내각의 보각이다. 볼록 ''n''각형을 따라 추적하면, 꼭짓점에서 "회전된" 각이 외각 또는 외부각이다. 다각형 전체를 따라 추적하면 한 바퀴 회전하므로, 외각의 합은 360°여야 한다.


다각형이 자기교차하지 않는 단순 다각형이라면, 부호가 있는 면적은 다음과 같다.

:A = \frac{1}{2} \sum_{i = 0}^{n - 1}( x_i y_{i + 1} - x_{i + 1} y_i) \quad \text {where } x_{n}=x_{0} \text{ and } y_n=y_{0},

또는 행렬식을 사용하면

:16 A^{2} = \sum_{i=0}^{n-1} \sum_{j=0}^{n-1} \begin{vmatrix} Q_{i,j} & Q_{i,j+1} \\

Q_{i+1,j} & Q_{i+1,j+1} \end{vmatrix} ,

여기서 Q_{i,j} (x_i, y_i)(x_j, y_j) 사이의 제곱 거리이다.[4][5]

단순 다각형의 면적 ''A''는 변의 길이 ''a''1, ''a''2, ..., ''an''과 외각 ''θ''1, ''θ''2, ..., ''θn''이 알려진 경우에도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begin{align}A = \frac12 ( a_1[a_2 \sin(\theta_1) + a_3 \sin(\theta_1 + \theta_2) + \cdots + a_{n-1} \sin(\theta_1 + \theta_2 + \cdots + \theta_{n-2})] \\

{} + a_2[a_3 \sin(\theta_2) + a_4 \sin(\theta_2 + \theta_3) + \cdots + a_{n-1} \sin(\theta_2 + \cdots + \theta_{n-2})] \\

{} + \cdots + a_{n-2}[a_{n-1} \sin(\theta_{n-2})] ). \end{align}

이 공식은 1963년 Lopshits에 의해 설명되었다.[7]

다각형을 모든 꼭짓점이 격자점인 등 간격의 격자 위에 그릴 수 있는 경우, 픽의 정리는 내부 및 경계 격자점의 수를 기반으로 다각형의 면적에 대한 간단한 공식을 제공한다.

둘레가 ''p''이고 면적이 ''A''인 모든 다각형에서 등주 부등식 p^2 > 4\pi A가 성립한다.[8]

면적이 같은 두 개의 단순 다각형에 대해, 볼리아이-게르비엔 정리는 첫 번째 다각형을 다각형 조각으로 자르고 두 번째 다각형을 형성하도록 다시 조립할 수 있다고 명시한다.

다각형의 변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그 면적을 결정하지 않는다.[9] 그러나 다각형이 단순하고 순환적이라면 변은 면적을 결정한다.[10]

자기교차 다각형의 면적은 두 가지 다른 방법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결과를 얻는다.

  • 단순 다각형에 대한 공식을 사용하면, 다각형 내 특정 영역의 면적이 특정 계수(밀도라고 함)만큼 곱해질 수 있다.
  • 둘러싸인 영역을 점 집합으로 간주하면, 둘러싸인 점 집합의 면적을 구할 수 있다.

단순 다각형의 무게중심 좌표는 다음과 같다.

:C_x = \frac{1}{6 A} \sum_{i = 0}^{n - 1} (x_i + x_{i + 1}) (x_i y_{i + 1} - x_{i + 1} y_i),

:C_y = \frac{1}{6 A} \sum_{i = 0}^{n - 1} (y_i + y_{i + 1}) (x_i y_{i + 1} - x_{i + 1} y_i).

이 공식에서 면적 A의 부호 있는 값을 사용해야 한다.

''n''개의 꼭짓점을 가진 다각형의 꼭짓점 집합의 무게중심은 다음 좌표를 갖는다.

:c_x=\frac 1n \sum_{i = 0}^{n - 1}x_i,

:c_y=\frac 1n \sum_{i = 0}^{n - 1}y_i.

n각형의 내각의 총합은, 다각형의 모양에 관계없이(볼록하든 오목하든) (n-2) × 180°이다. 정n각형의 내각은 모두 같으므로, 정n각형의 내각은 (n-2)/n × 180°이다.

n각형의 외각의 총합은 n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360도(라디안 각도로는 2π)이다.

다각형의 넓이는 꼭짓점의 위치 벡터와 외적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다각형의 꼭짓점을 반시계 방향으로 나열하고, 그 위치 벡터를

  • \frac{1}{2} \sum_{k=1}^n \vec{p}_k \times \vec{p}_{k+1}

이라는 식이 된다. 단, \vec{p}_{n+1}=\vec{p}_1로 한다.

변의 개수가 같은 두 다각형 P, P'가 있다고 하자. 이 두 다각형에 대해 합동이 정의될 수 있는데, 다음 조건을 만족할 때 두 다각형은 합동이다.

  • P, P'에 대해 각각 단순폐곡선 C, C'가 존재하여, 지나는 변의 순서대로 각 변의 길이를 각각 (l₁ , l₂ , … , lₙ), (l'₁ , l'₂ , … , l'ₙ)이라고 하면, l₁ = l'₁ , l₂ = l'₂ , … , lₙ = l'ₙ 이 성립한다.
  • P, P'에 대해 각각 단순폐곡선 C, C'가 존재하여, 지나는 꼭짓점의 순서대로 각 꼭짓점의 각의 크기를 각각 (θ₁, θ₂, … , θₙ), (θ'₁, θ'₂, … , θ'ₙ)이라고 하면, θ₁ = θ'₁ , θ₂ = θ'₂ , … , θₙ = θ'ₙ 이 성립한다.

또한, 변의 개수와 관계없이 두 다각형의 면적이 같다면, 적절히 분할함으로써 두 다각형을 합동으로 만들 수 있다. ('''보야이의 정리''')

변의 수가 같은 두 다각형 P, P'이 있다고 하자. 이 두 다각형에 대해 닮음이 정의될 수 있는데, 다음 조건을 만족할 때 두 다각형은 닮음이다.

  • P, P'에 대해 각각 단순폐곡선 C, C'이 존재하여, 지나는 변의 순서대로 각 변의 길이를 각각 (l₁ , l₂ , … , lₙ), (l'₁ , l'₂ , … , l'ₙ) 이라고 하면, 어떤 상수 k가 존재하여 l₁ = kl'₁ , l₂ = kl'₂ , … , lₙ = kl'ₙ 이 성립한다.
  • P, P'에 대해 각각 단순폐곡선 C, C'이 존재하여, 지나는 꼭짓점의 순서대로 각 꼭짓점의 각의 크기를 각각 (θ₁, θ₂, … , θₙ), (θ'₁, θ'₂, … , θ'ₙ) 이라고 하면, θ₁ = θ'₁ , θ₂ = θ'₂ , … , θₙ = θ'ₙ 이 성립한다.

5. 특수한 경우

다각형과 관련하여 특별한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이웃하지 않은 두 변이 한 직선 위에 있는 경우
  • 모든 변의 길이가 같은 경우 (등변다각형)
  • 모든 각의 크기가 같은 경우 (등각다각형)


삼각형에서, 등변삼각형이면서 동시에 등각삼각형인 것은 정삼각형동치이다.

사각형에서, 등변사각형마름모이고, 등각사각형직사각형이거나 네 꼭짓점이 직사각형의 꼭짓점과 일치하는 "각진 8자" 모양이다.

다각형은 볼록성 또는 비볼록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특징지을 수 있다.

  • 볼록: 다각형을 통과하는 임의의 직선(변이나 모서리에 접하지 않는 경우)은 그 경계와 정확히 두 번 만난다. 모든 내각은 180° 미만이다. 경계상의 두 점을 잇는 선분은 그 끝점 사이의 내부 점만 통과한다.[2]
  • 비볼록: 경계와 세 번 이상 만나는 직선을 찾을 수 있다. 다각형 외부를 통과하는 두 경계점 사이의 선분이 존재한다.
  • 단순: 다각형의 경계가 스스로 교차하지 않는다. 모든 볼록 다각형은 단순하다.
  • 오목: 비볼록이면서 단순하다. 180°보다 큰 내각이 하나 이상 있다.
  • 별 모양: 내부 전체가 적어도 한 점에서 어떤 변도 교차하지 않고 보인다. 단순해야 하며 볼록하거나 오목할 수 있다. 모든 볼록 다각형은 별 모양이다.
  • 자기교차: 다각형의 경계가 스스로 교차한다.
  • 별 다각형: 규칙적인 방식으로 자기 교차하는 다각형. 별 모양이면서 동시에 별 다각형일 수 없다.
  • 등각: 모든 각이 같다.
  • 정변: 모든 변의 길이가 같다.
  • 정다각형: 등각이면서 정변이다.
  • 주기다각형: 모든 꼭짓점이 하나의 (외접원) 위에 놓여 있다.
  • 접다각형: 모든 변이 하나의 내접원에 접한다.
  • 등각 또는 꼭짓점-추이: 모든 꼭짓점이 동일한 대칭 궤도에 놓여 있다. 주기적이고 등각이다.
  • 이소톡살 또는 변-추이: 모든 변이 동일한 대칭 궤도에 놓여 있다. 정변이고 접한다.


정규성의 속성은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다각형은 등각이고 이소톡살일 때에만 정규적이거나, 주기적이고 정변일 때만 정규적이다. 비볼록 정규 다각형을 ''정규 별 다각형''이라고 한다.

6. 일반화


  • 구면 다각형은 구면 위에 있는 대원 호(변)와 꼭짓점들로 이루어진다. 평면에서는 불가능한, 변과 꼭짓점이 각각 두 개인 이각형이 구면에서는 가능하다. 구면 다각형은 지도 제작과 와이토프 구성을 통한 균일 다면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비평면 다각형은 평면에 놓여 있지 않고 3차원 이상의 공간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나타난다. 정다포체의 페트리 다각형이 대표적인 예이다.
  • 무한 다각형은 변과 각의 개수가 무한하며, 양쪽 방향으로 무한히 뻗어 있어 끝이 없다.
  • 비평면 무한 다각형은 평면에 놓여 있지 않은 무한 개의 변과 각을 갖는다.
  • 구멍이 있는 다각형은 하나의 외부 경계와 하나 이상의 내부 경계(구멍)를 가진, 면적이 연결된 평면 다각형이다.
  • 복소 다각형은 일반적인 다각형과 유사하게 구성되지만, 두 개의 차원과 두 개의 차원으로 이루어진 복소 평면에 존재한다.
  • 추상 다각형은 변, 꼭짓점 등 다양한 요소와 그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대수적인 부분 순서 집합이다. 실제 기하학적 다각형은 추상 다각형의 '실현'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모든 일반화는 매핑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 다면체는 평평한 다각형 면으로 둘러싸인 3차원 입체이며, 2차원 다각형의 3차원 확장으로 볼 수 있다. 4차원 이상의 도형은 다포체라고 부른다.[15]

7. 역사

다각형의 역사적 이미지 (1699)


다각형은 고대부터 알려져 왔다. 정다각형은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알려져 있었으며, 비볼록 정다각형인 별 다각형인 오각별은 기원전 7세기 초 아리스토파네스가 그린 크라테르에 등장하는데, 이 크라테르는 카에레(Caere)에서 발견되어 현재 카피톨리노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40][41]

일반적으로 비볼록 다각형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인 연구는 14세기에 토마스 브래드워딘에 의해 이루어졌다.[42]

1952년 제프리 콜린 셰퍼드는 각 실수 차원에 허수 차원이 함께하는 복소수 평면으로 다각형의 개념을 일반화하여 복소 다각형을 만들었다.[43]

8. 컴퓨터 그래픽스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폴리곤(polygon)은 모델링 및 렌더링에 사용되는 기본 요소이다. 폴리곤은 데이터베이스에 정의되며, 정점(기하학적 정점의 좌표뿐만 아니라 색상, 음영 및 질감과 같은 폴리곤의 다른 속성), 연결 정보 및 재질의 배열을 포함한다.[44][45]

모든 표면은 폴리곤 메시라고 하는 테셀레이션으로 모델링된다. 정사각형 메시가 한 변에 n+1개의 점(정점)을 가지는 경우, 메시에는 n 제곱 개의 정사각형이 있거나, 정사각형에 두 개의 삼각형이 있으므로 2n 제곱 개의 삼각형이 있다. 삼각형당 (n+1)^2 / 2(n^2)개의 정점이 있다. n이 클 경우, 이 값은 1/2에 가까워진다. 또는 정사각형 메시 내부의 각 정점은 네 개의 모서리(선)에 연결된다.

이미징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생성될 장면에 필요한 폴리곤의 구조를 호출한다. 이것은 활성 메모리로, 그리고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 시스템(화면, TV 모니터 등)으로 전송되어 장면을 볼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이미징 시스템은 처리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전송할 준비가 된 올바른 원근감으로 폴리곤을 렌더링한다. 폴리곤은 2차원이지만, 시스템 컴퓨터를 통해 시각적 장면에 올바른 3차원 방향으로 배치된다.

컴퓨터 그래픽스 및 계산 기하학에서는 주어진 점 P=(x_0, y_0)이 선분의 시퀀스로 주어진 단순 폴리곤 내부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것을 점-다각형 포함 여부 판정이라고 한다.[46]

참조

[1] 서적 A new universal etymological technological, and pronouncing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2] 서적 Noneuclidean tesselations and their groups https://www.scienced[...] Academic Press
[3] 서적 Beyond measure: a guided tour through nature, myth, and number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4] 간행물 Eine Verallgemeinerung der Inhaltsformel von Heron
[5] 웹사이트 Calculating The Area And Centroid Of A Polygon https://web.archive.[...] 1988-07-00
[6] 저널 The Surveyor's Area Formula http://www.maa.org/p[...]
[7] 서적 Computation of areas of oriented figures D C Heath and Company: Boston, MA
[8] 웹사이트 An elementary proof of the isoperimetric inequality http://forumgeom.fau[...]
[9] 저널 Polygons inscribed in a circle
[10] 저널 The area of cyclic polygons: recent progress on Robbins' conjectures
[11] 서적 A Distorted View of Geometry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12] 웹사이트 Area of a regular polygon – derivation https://www.mathopen[...]
[13] 문서 A regular polygon with an infinite number of sides is a circle
[14] 저널 Slaying a geometrical 'Monster': finding the area of a crossed Quadrilateral http://dynamicmathem[...] 2015-01-00
[15] 서적
[16] 서적 Lectures on Polytopes Springer
[17] 웹사이트 Mathworld
[18] 서적 Are your polyhedra the same as my polyhedra Springer
[19] 저널 Geodesic nets on the 2-sphere 1996
[20] 서적 Regular polytopes Dover
[21] 저널 Constructions Using a Compass and Twice-Notched Straightedge
[22] 저널 On the construction of the regular hendecagon by marked ruler and compass 2014-05-00
[23] 서적 The New Elements of Mathematics: Algebra and Geometry https://books.google[...]
[24] 서적 The Computer Graphics Manual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1-00-00
[25] 저널 Nominalism and constructivism in seventeenth-century mathematical philosophy
[26] 서적 Kant's Metaphysics and Theory of Science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7] 서적 The Philosophical Works of David Hume https://books.google[...] Black and Tait
[28] 서적 Geometry demystified https://archive.org/[...] McGraw-Hill
[29] 서적 The universal book of mathematics: from Abracadabra to Zeno's paradox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30] 서적 College Algebra and Trigonometry https://books.google[...] Addison-Wesley
[31] 서적 Scholastic Metaphysics https://books.google[...] Loyola University Press
[32] 서적 Philosophy and Journalism https://books.google[...] Longman
[33] 서적 An Introduction to Philosophical Analysis https://books.google[...] Routledge
[34] 서적 Key Terms in Philosophy of Mind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35] 서적 The Rise of Modern Philosoph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6] 서적 Fundamental Philosophy, Vol II https://books.google[...] Sadlier and Co.
[37] 서적 On Understanding Understanding: A Philosophy of Knowledge https://books.google[...] Fordham University Press
[38] 서적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https://books.google[...] Routledge
[39] 웹사이트 Naming Polygons and Polyhedra http://mathforum.org[...] The Math Forum – Drexel University 2015-05-03
[40] 서적 A History of Greek Mathematics, Volume 1 https://books.google[...] Courier Dover Publications
[41] 웹아카이브 Cratere with the blinding of Polyphemus and a naval battle https://web.archive.[...] 2013-11-11
[42] 서적 Regular Polytopes Dover
[43] 간행물 Regular complex polytopes
[44] 웹사이트 opengl vertex specification https://www.khronos.[...]
[45] 웹사이트 direct3d rendering, based on vertices & triangles https://msdn.microso[...] 2021-01-06
[46] 학회논문 How Reliable Are Practical Point-in-Polygon Strategies? Springer
[47] 서적 A new universal etymological technological, and pronouncing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48] 서적 A History of Greek Mathematics, Volume 1 https://books.google[...] Courier Dover Publications
[49] 서적 Regular Polytopes Dover
[50] 간행물 Regular complex polytop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