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나카스테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과나카스테주는 코스타리카의 주로, 국수(國樹)인 과나카스테 나무에서 이름을 따왔다. 이 지역은 초로테가족을 비롯한 여러 원주민들이 거주했으며, 1824년에서 1825년 사이에 실시된 국민투표 이후 코스타리카에 병합되었다. 2013년 니카라과 대통령 다니엘 오르테가는 과나카스테주가 니카라과에 속한다고 주장하며 영토 분쟁이 발생하기도 했다. 과나카스테주는 과나카스테 산맥과 틸라란 산맥에 둘러싸여 있으며, 건조한 기후와 열대 건조림이 특징이다. 주요 산업은 소 사육업이었으나 쇠고기 수요 감소로 쇠퇴하고 있으며, 관광 산업이 새롭게 부상하고 있다. 과나카스테주는 11개의 칸톤으로 나뉘며, 리베리아가 주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스타리카의 주 - 카르타고주
카르타고주는 코스타리카 중앙부에 위치하며, 과거 코스타리카의 수도였던 카르타고를 주도로 하는 8개의 칸톤으로 구성된 주이다. - 코스타리카의 주 - 리몬주
코스타리카 동부에 위치한 리몬주는 다양한 인종과 독특한 문화, 아름다운 카리브해 연안을 바탕으로 바나나 산업과 관광 산업이 발달한 곳이다. - 행정 구역 - 팔라우
팔라우는 태평양에 위치한 섬나라로, 스페인, 독일, 일본의 지배를 거쳐 미국의 신탁통치를 받았으며 1994년 독립하여 대통령 중심의 민주 공화국 체제를 갖추고 관광 산업, 특히 스쿠버 다이빙과 스노클링이 발달했으며 팔라우어와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모계 사회의 전통이 강하다. - 행정 구역 - 마셜 제도
마셜 제도는 태평양에 위치한 섬나라로, 1986년 미국 신탁통치령으로부터 독립했으며, 영어와 마셜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코프라, 수산물, 미국의 지원에 경제를 의존하며, 미국과 자유 연합 조약을 체결하여 국방을 미국에 의존한다.
과나카스테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유형 | 주 |
![]() | |
![]() | |
위치 | |
![]() | |
행정 | |
국가 | 코스타리카 |
주도 | 리베리아 |
최대 도시 | 리베리아 |
통계 | |
면적 | 10,141 km² |
인구 (2013년) | 354,154명 |
인구 밀도 | auto |
HDI (2019년) | 0.793 (높음) |
HDI 순위 | 5/7 |
기타 정보 | |
시간대 | CST |
UTC 오프셋 | -06:00 |
ISO 코드 | CR-G |
2. 어원
이 주는 코스타리카의 국수(國樹)이기도 한 귀고리 콩 나무(ear pod tree)로도 알려진 과나카스테 나무에서 이름을 따왔다.
(내용 없음)
3. 역사
3. 1. 스페인 식민지 이전
스페인인이 도착하기 전, 이 지역에는 초로테가족 인디언들이 사파티, 나카오메, 파로, 캉겔, 니코파사야, 포코시, 디리아, 파파가요, 나미아피, 오로시 등의 마을에 거주했다. 또한 니코야만 동쪽 해안에는 코로비시족이, 아방가레스 지역에는 우에타르족이, 바가세스 지역에는 니카라오족이 살고 있었다.[4][5][6][7]
3.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스페인이 도착하기 전 이 지역에는 사파티, 나카오메, 파로, 캉겔, 니코파사야, 포코시, 디리아, 파파가요, 나미아피, 오로시 마을에 초로테가족 인디언들이 살고 있었다. 코로비시족은 니코야 만의 동쪽 해안에, 우에타르족은 아방가레스에, 니카라오족은 바가세스에 거주했다.[4][5][6][7]
17세기에는 니코야에 풀로 지어진 최초의 교회가 세워졌다.
18세기에는 니카라과 리바스의 이웃들이 바가세스, 니코야, 리바스 마을을 잇는 교차로 지점인 니코야 반도 북부에 집과 목장을 건설했다. 이 정착촌은 인근에 자라는 구아나카스테 나무(Enterolobium cyclocarpum)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824년부터 1825년 사이에 실시된 국민투표를 통해 과나카스테 지역은 코스타리카에 병합되었다. 1836년, 니카라과 군대와 코스타리카 망명자들이 침략했으나 격퇴되었다. 이후 과나카스테 마을은 과나카스테 주의 주도로 선포되었다.[8] 1854년에는 과나카스테 마을의 이름이 코스타리카 리베리아로 변경되었다.
3. 3. 코스타리카 독립 이후
1824년부터 1825년 사이에 열린 국민투표를 통해 과나카스테 지역은 코스타리카에 통합되었다. 1836년에는 니카라과 군대와 코스타리카 망명자들이 이 지역을 침략하려 했으나 격퇴되었다. 이후 과나카스테 마을은 과나카스테 주의 주도로 선포되었다.[8] 1854년, 과나카스테 마을은 리베리아로 이름이 바뀌었다.
2013년, 니카라과의 대통령 다니엘 오르테가는 과나카스테 주가 니카라과 영토라고 주장하며 논란을 일으켰다.[9][10] 이러한 주장은 과나카스테를 점령할 경우 니카라과가 이용 가능한 대륙붕 면적이 크게 늘어나 석유 탐사 시추권을 확보할 수 있고, 니카라과 국경이 코스타리카 수도 산호세로부터 약 70km 이내로 가까워진다는 점을 배경으로 한 것으로 분석된다.[11][12]
3. 4. 니카라과와의 영토 분쟁
1824년부터 1825년 사이에 열린 국민투표를 통해 과나카스테 지역은 코스타리카에 병합되었다.[8] 이후 1836년, 니카라과 군대와 코스타리카 망명자들이 이 지역을 침략했으나 코스타리카 군에 의해 격퇴되었다.[8]
2013년, 니카라과의 대통령 다니엘 오르테가는 과나카스테 주가 니카라과 영토라고 주장하며 다시 영토 분쟁의 불씨를 지폈다.[9][10] 만약 과나카스테가 니카라과 영토가 된다면, 니카라과는 더 넓은 대륙붕을 확보하여 석유 탐사 시추권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니카라과의 국경이 코스타리카의 수도인 산호세로부터 약 70km 거리까지 남하하게 되는 결과를 낳는다.[11][12]
4. 지리
과나카스테주는 코스타리카 북서부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니카라과와 국경을 접하고 니코야 반도의 북쪽 절반을 차지한다. 동쪽으로는 과나카스테 산맥(오로시, 린콘 데 라 비에하, 미라바예스, 테노리오 화산 포함)과 틸라란 산맥의 푸른 화산들이 경계를 이룬다.
이 가파른 산맥에서 발원한 강들은 구릉진 평원으로 흘러들어 광대한 충적 평야를 형성한다. 이 평야는 주로 템피스케 강에 의해 배수되며, 템피스케 강은 늪지대를 지나 니코야 만으로 흘러 들어간다. 템피스케 강은 니코야 만 서쪽에 위치한 말머리 모양의 니코야 반도의 한쪽 경계를 이루기도 한다.
해안가는 모래사장이 많아 해수욕장으로 널리 이용된다.
4. 1. 기후
과나카스테주의 기후와 문화는 코스타리카의 다른 주들과는 독특하다. 이 주는 11월부터 4월까지 이어지는 건기 동안 비가 거의 내리지 않고 꾸준히 더운 날씨를 보인다. 이러한 기후 조건은 열대 건조림의 형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는 건조한 환경에 대한 자연스러운 적응 결과이다. 특히 북미 지역의 겨울 동안 많은 관광객들이 과나카스테의 해변을 즐기기 위해 이 건조하고 더운 날씨를 찾아온다. 긴 건조 기간 때문에 농경지에는 관개가 필요하다.5월부터 10월까지는 우기로, 산호세와 비슷한 기후를 보인다. 이 시기에는 매일 소나기가 내리고 온도는 비교적 적당하다. 그러나 과나카스테주는 고지대에 위치한 다른 주들보다 전반적으로 상당히 더운 편이다.
5. 인구
대부분의 인구는 초로테가 원주민과 스페인인의 후손이며, 식민지 시대에 많은 흑인 노예들이 땅을 경작했던 결과로 일부 아프리카인들도 있다. 니카라과와 코스타리카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과나카스테 주민들은 처음 만났을 때와 일반적으로 성인들 사이에서는 ''Usted''를 존칭으로 사용한다. ''vos'' 동사 형태는 주로 성인이 어린이, 특히 자신의 자녀에게 말할 때, 그리고 가족 구성원이나 절친한 친구 사이의 성인들 사이에서 가끔 사용된다.
초로테가 문화와 스페인 문화는 성공적으로 통합되었다. 주요 문화 요소 중에는 음악, 문학(민속), 악기, 투우, 종교 행사 등이 있다.
6. 경제
과나카스테주의 경제는 전통적으로 소 사육업에 기반한 경제적, 문화적 유산을 가지고 있다. 이 지역의 넓은 목초지는 브라만종 소와 관련 품종의 방목지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주요 수입원이었던 소 사육업은 국제적인 쇠고기 수요 감소로 인해 점차 축소되고 있으며, 많은 목초지는 자연 건조림으로 복원되거나 조림지로 전환되는 추세이다.
농업 부문에서는 사탕수수와 목화가 중요한 농산물이다. 특히 1980년대 후반 아레날 호의 물을 이용한 대규모 관개 프로그램이 도입된 이후로는 벼가 주요 작물로 부상했다.
20세기 후반부터는 관광 산업이 지역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중요해졌다. 플라야스 델 코코, 플라야 타마린도와 같은 해변과 북반구 겨울철과 맞물리는 건조하고 맑은 기후는 관광객 유치에 유리한 조건이다. 또한 산타 로사 국립공원, 과나카스테 국립공원, 린콘 데 라 비에하 국립공원을 포함한 7개의 국립공원 역시 주요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6. 1. 전통 산업: 목축업
과나카스테주는 소 사육업을 기반으로 한 경제적, 문화적 유산을 가지고 있다. 이 지역 대부분은 작은 숲 조각, 드문드문 있는 나무들, 그리고 브라만종 소와 관련 품종이 방목하는 거친 풀의 광대한 목초지로 덮여 있다.역사적으로 과나카스테주의 주요 수입원은 소 사육업이었다. 그러나 국제적인 쇠고기 수요 감소로 인해 과나카스테주의 소 사육업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많은 목초지는 자연적으로 건조림으로 되돌아가거나 나무를 심는 조림지로 바뀌고 있다.
6. 2. 주요 농산물
과나카스테주는 소 사육업을 기반으로 한 경제적, 문화적 유산을 가지고 있다. 이 지역 대부분은 작은 숲 조각, 드문드문 있는 나무, 그리고 브라만종 소와 관련 품종이 방목하는 거친 풀의 광대한 목초지로 덮여 있다.역사적으로 과나카스테주의 주요 수입원은 소 사육업이었다. 그러나 쇠고기에 대한 국제적 수요 감소로 과나카스테주의 소 사육업은 감소하고 있다. 많은 목초지는 자연적으로 건조림으로 돌아가거나 조림지로 전환되고 있다.
과나카스테주의 다른 중요한 농산물로는 사탕수수와 목화가 있다. 1980년대 후반 대규모 관개 프로그램(물은 여러 발전소를 통과한 후 아레날 호에서 온다)이 조성된 이후로는 벼가 주요 작물이 되었다.
6. 3. 관광 산업
관광은 과나카스테주의 10141km2에 걸쳐 있으며, 400km가 넘는 해안선을 따라 펼쳐져 있다. 주요 관광 명소로는 물, 육지, 산, 화산, 해안 생태계 등이 있다. 주요 상업 지역은 산타크루스와 리베리아 두 곳이며, 그 주변에는 파파가요 반도, 엘 코코, 라스 카탈리나스, 플라밍고, 콩찰, 타마린도 등 6개의 관광 개발 센터가 있다. 리베리아는 이 6곳의 중심지에 위치하며, 다니엘 오두베르 키로스 국제공항이 있다.[13] 야생동물 재활 센터인 라스 푸마스 구조 센터(Centro de Rescate Las Pumases)는 과나카스테 세계유산 보호구역 한가운데 위치해 있다. 과나카스테주는 코스타리카의 올인클루시브 리조트 대부분을 보유하고 있다.역사적으로 과나카스테주의 주요 수입원은 소 사육업이었으나, 쇠고기에 대한 국제적 수요 감소로 인해 소 사육업은 감소하고 관광이 지역 경제의 새로운 성장 산업으로 부상했다. 20세기 후반부터 플라야스 델 코코, 플라야 타마린도와 같은 해변과 북반구의 겨울철과 일치하는 맑고 건조한 계절의 조합은 관광을 핵심 경제 활동으로 만들었다. 많은 관광객들은 또한 과나카스테주의 7개 국립공원에 매료되는데, 여기에는 산타 로사 국립공원, 과나카스테 국립공원, 린콘 데 라 비에하 국립공원이 포함된다.
7. 행정 구역
과나카스테주는 11개의 칸톤으로 나뉜다. 칸톤과 각 칸톤의 중심지는 다음과 같다.
번호 | 칸톤 | 중심지 |
---|---|---|
1 | 리베리아 | 리베리아 |
2 | 니코야 | 니코야 |
3 | 산타크루스 | 산타크루스 |
4 | 바가세스 | 바가세스 |
5 | 카리요 | 필라델피아 |
6 | 카냐스 | 카냐스 |
7 | 아방가레스 | 라스훈타스 |
8 | 틸라란 | 틸라란 |
9 | 난다유레 | 카르모나 |
10 | 라크루스 | 라크루스 |
11 | 오한차 | 오한차 |
니코야 반도의 상당 부분은 현재 푼타레나스주의 관할하에 있다. 이 지역의 재구획에 대한 끊임없는 논쟁이 있기 때문에 향후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14]
참조
[1]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2]
문서
Instituto Geográfico Nacional (IGN)
2009
[3]
웹사이트
Guanacaste, Costa Rica: Things to Do & Where to Go
https://www.creescap[...]
2022-07-25
[4]
웹사이트
The Kingdom Of This World
https://www.buenasta[...]
[5]
논문
The Aboriginals of Costa Rica
https://www.persee.f[...]
1901
[6]
서적
Las culturas indígenas y su medioambiente
https://www.jstor.or[...]
2021
[7]
웹사이트
Central American Nahua
https://www.research[...]
[8]
서적
Cartilla histórica de Costa Rica
https://books.google[...]
EUNED
2005
[9]
웹사이트
Nicaragua Claims Costa Rica Tourist Area
http://www.worldprop[...]
2018-12-26
[10]
웹사이트
Nicaragua Thinks It Owns Guanacaste
https://web.archive.[...]
2018-12-26
[11]
웹사이트
Nicaragua's Ortega threatens to 'reclaim' Costa Rican province
http://www.ticotimes[...]
2018-12-26
[12]
웹사이트
Guanacaste on Nicaraguan stamp
https://bigthink.com[...]
The Big Think, Inc.
2019-01-08
[13]
웹사이트
Guanacaste
http://www.visitcost[...]
2015-01-01
[14]
웹사이트
Information,Art,Pictures and Opinions
http://www.costa-ri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