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대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과대성은 자기 자신에 대한 비현실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의미하며, 자기애의 하위 유형, 조증, 정신병 등 다양한 심리적 상태에서 나타날 수 있다. 과대성은 자기애성 인격장애 진단 인터뷰(DIN)와 같은 다양한 테스트를 통해 측정되며, 재능, 능력, 성취에 대한 과장, 과대환상, 타인에 대한 무시 등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긍정적인 측면에서는 자존감, 낙천성, 자신감과 연관되지만, 부정적인 측면에서는 공격성, 위험한 행동, 비도덕적 행위와 관련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망상장애 - 망상성 기생충 감염
망상성 기생충 감염은 기생충, 벌레 등 유기체에 감염되었다고 굳게 믿는 망상 장애로, 일차성과 이차성으로 나뉘며, 모겔론스병과 같은 형태로 나타나고, 항정신병 약물과 인지 행동 치료로 치료하며, 의료진과의 신뢰 구축이 중요하다. - 망상장애 - 과대망상
과대망상은 자존감, 권력, 지식, 정체성 등에 대한 과장된 믿음을 특징으로 하는 망상으로, 망상 장애의 한 유형이며 조현병, 양극성 장애 등에서 나타날 수 있고,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하여 자존감을 유지하거나 높이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 망상 - 가스라이팅
가스라이팅은 상대방의 현실 인식을 조작하여 자존감을 훼손하고 의존하게 만드는 심리적 조종 행위로, 다양한 관계에서 발생하는 정신적 학대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지만 용어 남용에 대한 우려와 사회적 문제로의 인식도 존재한다. - 망상 - 망상성 기생충 감염
망상성 기생충 감염은 기생충, 벌레 등 유기체에 감염되었다고 굳게 믿는 망상 장애로, 일차성과 이차성으로 나뉘며, 모겔론스병과 같은 형태로 나타나고, 항정신병 약물과 인지 행동 치료로 치료하며, 의료진과의 신뢰 구축이 중요하다. - 조현병 - 반향어
반향어는 타인의 말이나 소리를 반복하는 현상으로, 직접 반향어와 지연 반향어로 나뉘며, 발달 장애 아동에게서 흔히 관찰되지만 다양한 신경학적 장애에서도 나타날 수 있고, 의사소통 기능 및 언어 학습 촉진의 긍정적 기능도 가진다. - 조현병 - 분열형 인격장애
분열형 인격장애는 기이한 사고방식과 행동, 대인관계 기피를 특징으로 하는 정신 장애로, 유전적 요인이 강하게 작용하며 사회적 불안과 친밀한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고, 약물 및 심리 치료를 통해 증상 완화를 시도할 수 있다.
과대성 | |
---|---|
일반 정보 | |
용어 | 과대성 |
영어 | Grandiosity |
정의 | 자신의 중요성, 권력, 지능, 아름다움 또는 재능에 대한 과장된 믿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
관련 용어 | 나르시시즘 자기애성 성격 장애 과대망상 |
특징 | |
주된 특징 | 자신에 대한 비현실적인 인상 |
행동 양상 | 다른 사람을 깔보거나 착취하는 행동으로 나타남 |
주요 증상 | 우월감 특권 의식 공감 능력 부족 |
부가 설명 | 과대성은 정신 건강 상태의 범위에서 나타날 수 있음 |
원인 | |
일반적 원인 | 자기애성 성격 장애와 같은 정신 건강 상태와 관련됨 |
상세 원인 |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음 |
위험 요인 | 유전적 요인 아동기의 트라우마 학대 |
진단 | |
평가 방법 | 심리 평가 임상 인터뷰 |
진단 기준 | 정신 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DSM-5)의 기준에 따름 |
치료 | |
치료 방법 | 심리 치료 (주로 정신역동 치료 또는 인지 행동 치료) 약물 치료 (주로 공존하는 상태 치료) |
치료 목표 | 현실적인 자기 인식 함양 건강한 대인 관계 형성 자기 존중감 향상 |
예후 | |
일반적 예후 | 치료에 대한 반응은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장기적 예후 | 장기적인 치료 및 관리가 필요할 수 있음 |
관련 질환 | |
관련 질환 | 양극성 장애 조현병 경계선 성격 장애 |
사회문화적 측면 | |
사회적 영향 | 개인 관계 및 직업 생활에 부정적인 영향 |
문화적 차이 | 과대성의 표현 방식은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연구 동향 | |
연구 방향 | 신경생물학적 요인 연구 효과적인 치료 방법 개발 |
최신 연구 | 과대성의 기저에 있는 뇌 기능 및 유전적 요인에 대한 연구 진행 중 |
2. 측정
과대성은 여러 척도로 측정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자기애적 과대성 척도(NGS)를 사용한다. NGS는 피험자가 '우월하다'거나 '영광스럽다'와 같은 단어를 자신에게 적용하는지 평가한다.[4]
또한, DSM-5 인격 측정(PID-5), 정신질환 체크리스트 수정판(Psychopathy Checklist-Revised), 자기애성 인격장애 진단 인터뷰 등의 다른 테스트로도 과대성을 측정한다.[5]
2. 1. 자기애적 과대성 척도 (NGS)
자기애적 과대성 척도(Narcissistic Grandiosity Scale, NGS)는 과대성만을 측정하기 위해 최근에 사용되는 척도이다. 이는 피험자가 '우월하다(superior)'나 '영광스럽다(glorious)'와 같은 단어가 자기 자신에게 적용되는지를 나타내는 형용사 평가척도(rating scale)이다.[4]과대성은 DSM-5 인격 측정(the Personality Assessment for DSM-5, PID-5), 정신질환 체크리스트 수정판(Psychopathy Checklist-Revised), 자기애성 인격장애 진단 인터뷰와 같은 다른 테스트로도 측정된다. 예를 들어, 자기애자 진단 인터뷰(Diagnostic Interview for Narcissism, DIN)가 제시하는 과대성 부분은 다음과 같다.[5]
- 재능, 능력, 성취를 비현실적으로 과장한다.
- 무적이라고 믿거나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지 않는다.
- 과대환상(grandiose fantasy)이 있다.
- 타인이 필요 없다고 믿는다.
- 타인의 계획, 진술, 꿈을 비현실적으로 과대평가하거나 비하한다.
- 자신이 타인에 비해 유일하거나 특별하다고 본다.
- 자신이 타인보다 더 우월하다고 본다.
- 자기중심적 혹은 자기참조적으로 행동한다.
- 자화자찬하거나 자기과시를 한다.
2. 2. 기타 측정 도구
최근에 사용되는 자기애적 과대성 척도(Narcissistic Grandiosity Scale, NGS)는 피험자가 '우월하다(superior)'나 '영광스럽다(glorious)'와 같은 단어가 자기 자신에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가리키는 형용사 평가척도이다.[4]또한 과대성은 DSM-5 인격 측정(the Personality Assessment for DSM-5, PID-5), 정신질환 체크리스트 수정판(Psychopathy Checklist-Revised), 자기애성 인격장애 진단 인터뷰와 같은 다른 테스트로서도 측정된다. 예를 들어, 자기애자 진단 인터뷰(Diagnostic Interview for Narcissism, DIN)가 제시하는 과대성 부분은 다음과 같다.[5]
# 재능, 능력, 성취를 비현실적으로 과장한다.
# 비취약성을 믿거나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지 않는다.
# 과대환상(grandiose fantasy)이 있다.
# 타인이 필요 없다고 믿는다.
# 타인의 계획, 진술, 꿈을 비현실적으로 과대평가하거나 비하한다.
# 자신이 타인에 비해 유일하거나 특별하다고 본다.
# 자신이 타인보다 더 우월하다고 본다.
# 자기중심적 혹은 자기참조적으로 행동한다.
# 자화자찬하거나 자기과시를 한다.
2. 3. 자기애성 인격장애 진단 인터뷰 (DIN)
과대성은 DSM-5 인격 측정(the Personality Assessment for DSM-5, PID-5), 정신질환 체크리스트 수정판(Psychopathy Checklist-Revised), 자기애성 인격장애 진단 인터뷰와 같은 다른 테스트로서도 측정된다.[5] 예를 들어, 자기애자 진단 인터뷰(Diagnostic Interview for Narcissism, DIN)가 제시하는 과대성 부분은 다음과 같다.[5]- 재능, 능력, 성취를 비현실적으로 과장한다.
- 비취약성을 믿거나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지 않는다.
- 과대환상(grandiose fantasy)이 있다.
- 타인이 필요 없다고 믿는다.
- 타인의 계획, 진술, 꿈을 비현실적으로 과대평가하거나 비하한다.
- 자신이 타인에 비해 유일하거나 특별하다고 본다.
- 자신이 타인보다 더 우월하다고 본다.
- 자기중심적 혹은 자기참조적으로 행동한다.
- 자화자찬하거나 자기과시를 한다.
3. 자기애
과대 나르시시즘(Grandiose narcissism)은 나르시시즘의 하위 유형으로, 지배(dominance), 관심 추구(attention-seeking), 자격 부여(entitlement), 조종(manipulation) 등 다른 대리적 적대적 특질에 추가되어 과대성을 주요 특징으로 보인다.[4] '자기애적 과대성(narcissistic grandiosity)'이 과대성 나르시시즘(grandiose narcissism)의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하고, 다른 때에는 이 항목(우월감)의 주제를 말하는데 사용되기도 하는 혼동을 보이기도 한다.[4]
4. 조증
조증에서 과대성은 나르시시즘보다 더 활동적이고 공격적이다. 조증 성격은 미래의 성취를 자랑하거나,[6] 개인적 자질을 과장한다.[1] 또한 이들은 자기 수준을 알기 전에는 비현실적으로 지나치게 야심찬 일을 시작하기도 한다.[7]
5. 정신병
과대성은 해어 정신병 체크리스트 수정판에서 '국면 1(개인간)(Facet 1 (Interpersonal))'의 '요인 1(Factor 1)'로 분류되어 있다.[8] 이러한 기준에 부합하는 사람은 공격적이고 자화자찬을 하는 성격이자 자신의 미래에 대하여 비현실적으로 낙천적이다. 미국정신의학협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PA)의 DSM-5 역시 반사회적 인격장애 환자는 자만한 자아상(self-image)을 보이고 과도하게 자기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완고하고 건방진 모습을 보이고 타인을 업신여기기도 할 수 있다고 명시한다.
6. 과대성과 다른 변수와의 관계
과대성은 긍정적/적응적 측면과 부정적/부적응적 측면 모두와 관련되어 있어, 일부 연구자들은 과대성이 반드시 병리적인 것인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4]
6. 1. 긍정적/적응적 측면
과대성은 자존심과 다소 강력한 정적 연관관계를 보이며, 혼재변수를 제어하면 규모가 더욱 커진다.[9][4][10] 자평적 우월성과 정비례하며 자평적 무가치성과 반비례한다.[4] 또한 긍정적 정동, 낙천적 성격, 삶에 대한 만족, 행동 활성계 기능, 모든 정서적 회복능력 등 다수의 다른 변수와도 연관되어 있다(종종 자존심을 제어할 때).[9][10][4] 과대성은 적응적 자기애와도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데, 권위, 카리스마, 자신감, 야심과 같은 특성들과 연관된다.[9][11] 우울, 불안, 비관주의, 내성적 성격과는 부적(負的) 관계를 보인다.[10][12] 과대성은 지능과 성취와는 약간의 정비례를 보인다.[12][13][14]6. 2. 부정적/부적응적 측면
과대성은 신체적, 언어적 공격성 및 재정적, 사회적, 성적으로 위험을 무릅쓰거나 경쟁적인 행동과 연관되어 있다.[4][9] 또한, 자격 부여나 인간관계에서의 착취와 같은 부적응적 자기애성 특성과도 관련이 깊다.[4][9] 착취를 통제하면, 과대성은 거짓말, 부정행위, 절도 등 비도덕적 행위와도 연관된다.[9] 과대성은 합리화된 부정행위(부정행위가 아닌 다른 것으로 이해되는 행동을 허용하는 우발적 부정행위)와 관련이 있지만, 규칙 위반과 같은 고의적인 깊은 부정행위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9]참조
[1]
문서
영화나 만화 속 슈퍼히어로처럼 자신이 어떤 무모한 일을 하여도 다치거나 죽지 않는다는 믿음
[2]
서적
Identifying and Understanding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3]
문서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4]
저널
The Narcissistic Grandiosity Scale: A Measure to Distinguish Narcissistic Grandiosity From High Self-Esteem
2020-04
[5]
저널
The diagnostic interview for narcissistic patients
1990-07
[6]
서적
Relations in Public: Microstudies of the Public Order
Pelican Books
[7]
서적
Families and how to survive them
[8]
저널
Two-factor conceptualization of psychopathy: Construct validity and assessment implications
1989-03
[9]
서적
Handbook of Trait Narcissism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8
[10]
저널
On the meaning and measure of narcissism
2009-07
[11]
서적
Handbook of psychology of narcissism: Diverse perspectives.
Nova Science Publishers, Inc.
2014
[12]
저널
Construct Validity of the Three-Factor Model of the Interpersonal Measure of Psychopathy
2018-11
[13]
저널
Understanding psychopathy through an evaluation of interpersonal behavior: testing the factor structure of the interpersonal measure of psychopathy in a large sample of jail detainees
2010-09
[14]
문서
Telling people they are intelligent correlates with the feeling of narcissistic uniqueness: The influence of IQ feedback on temporary state narcissism.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