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판타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과학 판타지는 1935년 포레스트 J. 애커먼에 의해 처음 사용된 용어로, 과학 소설의 한 형태로 여겨진다. 과학적 타당성을 따지기보다는 과학적 요소를 차용하여 판타지적 요소를 결합한 장르로, 과학소설과 판타지의 경계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가진다. 과학적 기술을 마법처럼 묘사하거나, 마법의 메커니즘을 과학적으로 설명하는 특징을 보인다. 죽어가는 지구, 행성 로맨스, 검과 행성, 스팀펑크, 이세계 등 다양한 하위 장르를 포함하며, TRPG 및 컴퓨터 RPG에서도 널리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학 판타지 - 괴기물
괴기 문학은 공포, 판타지, 과학 소설의 요소를 결합하여 인간의 이해를 넘어서는 악의적인 힘과 무력함을 묘사하는 문학 양식으로, 에드거 앨런 포를 선구자로 하여 H. P. 러브크래프트 등에 의해 발전했으며, "뉴 위어드"라는 새로운 흐름으로 부활하여 현대 사회의 어두운 면을 반영하고 있고, 한국 작가 오성대는 한국 사회의 불평등과 소외를 괴기적으로 표현하여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 과학 판타지 - 당신이 잠든 사이에 (2017년 드라마)
《당신이 잠든 사이에》는 미래를 꿈꿀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기자와 검사, 경찰관이 협력하여 꿈에서 본 미래의 사건을 막는 이야기를 그린 로맨스, 법정, 판타지 장르의 드라마이다.
과학 판타지 | |
---|---|
구글 지도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과학적 환상, 과학적 판타지, 과학 판타지 |
하위 장르 | 판타지 SF |
장르적 특징 | |
특징 | 과학 기술 요소와 마법적 요소의 결합, 과학적 설정과 판타지적 설정의 혼합 |
요소 | 마법 초능력 과학 기술 신화 전설 |
역사 및 발전 | |
초기 | 고대 신화 및 영웅 서사에서 기원, 낭만주의 시대에 본격적 발전 |
중요한 작가 | 레이 브래드버리 로저 젤라즈니 앤 매캐프리 어슐러 K. 르 귄 마이클 무어콕 |
세부 장르 | |
하위 장르 | 검과 마법 스페이스 오페라 포스트 아포칼립스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판타지 SF 스페이스 판타지 플래닛 판타지 검과 마법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존 A. 타이슨의 리뷰 (챌린지 35호, 1988) 조지 에드거 슬러서와 에릭 S. 랍킨의 저서 《교차점: 판타지와 과학 소설》 (1987) 칼 D. 말름그렌의 논문 "과학 판타지의 정의를 향하여" (1988) 마이클 무어콕의 글 "화성의 여왕 미스터리: 리 브래킷에 대한 감상" (2002) |
기타 | 고장원의 저서 《SF란 무엇인가?》 (2015) |
2. 역사적 관점
"과학 판타지"라는 용어는 1935년 포레스트 J. 애커먼이 과학소설의 동의어로 처음 만들었다.[6] 그러나 1950년대부터 과학소설과 판타지의 혼합 장르를 지칭하는 용어로 널리 쓰이기 시작했다. 1948년 작가 메리언 짐머 브래들리는 《스타틀링 스토리즈》 잡지에서 "과학 판타지"를 과학소설과 판타지의 혼합으로 언급했다.
이 명칭은 미국의 펄프 잡지에 과학 판타지 이야기가 많이 실리면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로버트 A. 하인라인의 《매직, 인크》, L. 론 허버드의 《수면의 노예들》, 플레처 프랫과 L. 스프래그 드 캠프의 해롤드 셰이 시리즈 등이 존 W. 캠벨 주니어의 《언노운》 잡지에 실리면서 과학소설의 기법과 태도를 전통적인 판타지 소재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8]
헨리 커트너와 C. L. 무어는 《스타틀링 스토리즈》에 낭만적인 소설들을 발표했는데, 이 작품들은 《위어드 테일즈》와 같은 매체를 위해 제작한 작품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3]
에이스 북스는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과학 판타지로서 많은 책들을 출판했다. 《과학소설 백과사전》은 과학 판타지가 "명확하게 정의된 적이 없으며", 1950년에서 1966년 사이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고 지적한다.[10]
2. 1. 과학 판타지와 과학소설
로드 설링(Rod Serling)은 "사이언스 픽션은 믿기 어려운 가능성을 묘사하고, 사이언스 판타지는 그럴듯한 불가능성을 묘사한다"고 정의했다.[9] 즉, 사이언스 픽션은 현실에서는 일어나기 어렵지만 특정 조건에서 가능할 수도 있는 일을 다루고, 사이언스 판타지는 현실에서는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일을 그럴듯하게 묘사한다.다른 관점으로는 사이언스 픽션은 초자연 현상을 허용하지 않지만, 사이언스 판타지는 이를 허용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텔레파시와 같이 초자연적 요소를 다루는 사이언스 픽션 작품도 있어, 이 정의는 다소 모호하다.
아서 C. 클라크(Arthur C. Clarke)의 클라크의 세 가지 법칙 중 "충분히 발달된 과학 기술은 마법과 구별할 수 없다"는 말은 과학 판타지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고도로 발달한 기술은 마법처럼 보일 수 있으며, 과학 판타지는 이러한 기술을 마법처럼 묘사하거나, 마법의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데 활용하기도 한다.
3. 하위 장르
과학 판타지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하위 장르를 포함한다.
- 죽은 지구와 종말물: 잭 벤스의 『Dying Earth』 시리즈(『종말기의 붉은 지구』 등), M. 존 해리슨의 『빌리코늄』 시리즈, 진 울프의 『새로운 태양의 책』 시리즈 등이 있다.
- 행성 로맨스: 데이비드 린제이의 『알크투루스로의 여행』(1920년), C.S. 루이스의 『말라칸드라: 침묵의 행성을 떠나서』(1938년) 등이 있다.[1]
- 검과 행성: 에드거 라이스 버로스의 작품들과 O. A. 클라인, 케네스 벌머, 린 카터, 존 노먼 등의 작가들의 작품이 있다.
- 스팀펑크: 과학 판타지의 하위 장르인 동시에 SF의 하위 장르이기도 하다.[1]
- 이세계: E. R. 에디슨의 『우로보로스』, 앙드레 노턴의 《위치 월드》 시리즈, 테리 브룩스의 《섀너라》 시리즈 등이 있다.[1]
3. 1. 죽은 지구와 종말물
잭 벤스의 『Dying Earth』 시리즈(『종말기의 붉은 지구』 등)는 과학 소설에서 일반적인 우주론과 다른 우주론을 채택하고 있다는 점에서 과학 판타지로 분류되는 경우가 있다. 멸망해 가는 지구를 그린 다른 작품으로는 M. 존 해리슨의 『빌리코늄』 시리즈, 진 울프의 『새로운 태양의 책』 시리즈가 과학 판타지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3. 2. 행성 로맨스 (Planetary Romance)
이야기의 대부분이 하나의 행성에서 전개되며, 그 풍경, 원주민, 문화를 묘사하면서 모험 이야기가 펼쳐진다. 과학소설의 도구를 사용하여 판타지와 같은 이야기를 그린다는 점에서 과학 판타지의 색채가 짙다.데이비드 린제이의 『알크투루스로의 여행(1920년)이 초기의 예로 들 수 있지만, 과학소설적인 도구가 거의 등장하지 않기 때문에, 외계 행성을 철학적 주제를 전개하기 위한 무대로 사용한 철학적 모험담이라고 할 수 있다. C.S. 루이스의 『말라칸드라: 침묵의 행성을 떠나서(1938년)도 같은 종류의 소설이지만, 이쪽은 철학적이라기보다는 신학적이다. 둘 다 마법적인 요소는 간신히 합리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며, 루이스의 경우에는 이야기 전개에 유사 과학적인 기계가 개입되는 점이 대조적이다.[1]
이 종류의 과학 판타지에는 원래 모호한 과학소설 풍의 초자연적인 힘과 마법을 의도적으로 흐릿하게 그리는 것도 있다. 예를 들어, 폴 앤더슨의 「공기와 어둠의 여왕」에는 신화를 신비로운 힘으로 환영으로 보여주는 외계인이 등장한다. 그 외계인은 자신을 마법사라고 칭한다.[1]
3. 3. 검과 행성 (Sword and Planet)
지구 이외의 행성을 무대로 영웅 판타지와 같은 이야기가 전개되는 작품이다. 에드거 라이스 버로스의 작품들은 대부분 이 분류에 속한다. 그를 모방하여 뒤따른 O. A. 클라인, 케네스 벌머, 린 카터, 존 노먼 등도 마찬가지이다. 무기로 검을 사용하고 고대 귀족 사회가 묘사되어 있기 때문에 "과학 판타지"로 분류된다. 그러나 버로스 자신의 작품은 (존 카터가 어떻게 화성에 갔는지에 대한 설명이 없는 점을 제외하고) 비합리적인 판타지적 요소가 거의 없어, 이러한 분류에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3. 4. 스팀펑크
스팀펑크는 과학 판타지의 하위 장르지만, SF의 하위 장르도 될 수 있다.[1]3. 5. 이세계
E. R. 에디슨의 『우로보로스』는 초기 과학 판타지의 예시로, 무대는 수성이지만 판타지 세계와 구별하기 어려운 세계가 묘사되어 있어 판타지와 과학 판타지의 경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1]앙드레 노턴의 《위치 월드》 시리즈는 평행 세계로서 판타지 세계를 그리고 있다.[1] 이 시리즈의 초기 단편에는 과학소설적인 요소가 있었지만, 후기 작품으로 갈수록 그 요소는 희미해졌다.[1]
테리 브룩스의 《섀너라》 시리즈는 기술 문명이 멸망한 먼 미래의 세계를 판타지 세계로 그리고 있다.[1]
4. 게임
TRPG에서 "사이언스 판타지"라는 말이 사용된 것 중 최초 사례 중 하나는 1980년의 가마 월드이다(TSR사는 던전 앤 드래곤을 발매한 회사).[1] 1976년의 메타모포시스 알파는 사이언스 픽션으로 분류되어, 두 장르의 혼란을 보여준다.[1] 롤플레잉 게임과 컴퓨터 RPG에서 사이언스 판타지는 자주 볼 수 있다.[1] 컴퓨터 RPG의 예로는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메가텐, 페르소나 시리즈,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 스타 오션 시리즈 등이 있으며, 디스토피아적인 미래 세계 설정에 판타지 요소를 도입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1]
참조
[1]
잡지
Reviews
1988
[2]
서적
Intersections: Fantasy and Science Fiction
SIU Press
[3]
학술지
Towards a Definition of Science Fantasy (Vers une définition de la fantaisie scientifique)
[4]
서적
The Screenwriters Taxonomy: A Collaborative Approach to Creative Storytelling
https://books.google[...]
[5]
웹사이트
Queen of the Martian Mysteries: An Appreciation of Leigh Brackett
http://www.fantastic[...]
2002-06-13
[6]
웹사이트
SFE: Ackerman, Forrest J
https://sf-encyclope[...]
2024-10-30
[7]
웹사이트
From ‘Sci-Fi’ to Vampires: The Untold Legacy of Forrest J. Ackerman’s Monster Empire Features Film Threat
https://filmthreat.c[...]
2024-10-17
[8]
학술지
Science Fiction vs. Fantasy
https://muse.jhu.edu[...]
2015
[9]
에피소드
The Fugitive
1962-03-09
[10]
백과사전
Science Fantasy
http://sf-encycloped[...]
2015-04-02
[11]
서적
The Literary Galaxy of Star Trek: An Analysis of References and Themes in the Television Series and Films
McFarland & Co
[12]
잡지
Forty Years of ''Star Trek''
http://startrekofgod[...]
2006-10
[13]
웹사이트
Is Star Wars sci-fi or fantasy? How George Lucas changed "science fiction"
https://www.inverse.[...]
2021-02-15
[14]
웹사이트
Star Wars vs. Science Fiction
https://www.huffpost[...]
2015-12-16
[15]
서적
SF란 무엇인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