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용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용론》(De Clementia)은 로마 철학자 세네카가 네로 황제의 초기 통치 시기에 저술한 교훈적인 작품이다. 이 저술은 훌륭한 통치자와 폭군의 대비를 통해 통치자와 피통치자 간의 관계를 평가하며, 관용을 통치자의 중요한 덕목으로 강조한다. 《관용론》은 세 권으로 기획되었으나 현재는 첫 두 권의 서두 부분만 남아 있으며, 네로가 18세가 된 후, 즉 서기 55년 브리타니쿠스 살해 이후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작품은 아우구스투스가 킨나에게 자비를 베푼 사례 등을 통해 관용이 어떻게 국가의 안전을 보장하는지를 보여준다. 1532년 존 칼뱅이 이 저술에 대한 주석을 출판했는데, 이는 세네카의 작품에 대한 중요한 평가로 이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관용론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제목 | 관용론 |
| 원제 | De Clementia |
| 저자 | 세네카 |
| 언어 | 라틴어 |
| 국가 | 고대 로마 |
| 주제 | 윤리학 |
| 장르 | 철학 |
| 출판일 | AD 55년경 |
| 추가 정보 | |
| 내용 | 이 책은 네로 황제에게 보내는 조언서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통치자의 필수 덕목 중 하나인 관용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2. 저술 시기 및 배경
『관용론』은 네로 황제 통치 초기에 쓰여진 글이다.[2] 브리타니쿠스 살해 사건 이후 로마 귀족 사회의 불안을 해소하고 네로의 통치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었다.[3] 원래 세 권으로 구성되었으나, 현재는 첫 번째 권과 두 번째 권의 서두 부분만 남아있다.[4]
2. 1. 시대적 배경
네로 즉위 초 로마 제국은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이었다. 세네카는 네로의 스승이자 조언자로서, 네로의 통치를 돕는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세네카는 네로의 경쟁자였던 브리타니쿠스가 55년에 살해된 사건을 로마 귀족들에게 해명하고, 이것이 더 큰 유혈 사태로 이어지지 않을 것임을 보장하는 글을 썼다.[2][3]2. 2. 브리타니쿠스 사건과의 연관성
이 저술은 네로가 황제가 된 후에 쓰여졌으며, 네로의 초기 통치 시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명확히 알 수 있다.[2] 세네카의 언급으로 보아, 이 저술은 네로가 18세가 된 후, 즉 그의 라이벌 브리타니쿠스가 서기 55년에 살해된 이후에 쓰여졌을 것으로 보인다.[2] 따라서 이 저술은 어느 정도 변명의 글로, 브리타니쿠스의 살해가 유혈 사태의 시작이 아니라 끝임을 로마 귀족들에게 보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여졌을 가능성이 있다.[3]3. 주요 내용
세네카의 『관용론』은 훌륭한 통치자와 폭군을 비교하고, 통치자와 백성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글이다. 1권에서는 디오니시오스와 술라를 경계해야 할 통치자로, 아우구스투스를 모범적인 통치자로 제시하며, 아우구스투스가 반란자 킨나에게 자비를 베푼 사례를 통해 관용의 중요성을 강조한다.[5]
1권은 대중이 이해하기 쉽게 쓰였지만,[5] 2권에서는 스토아 철학의 어려운 내용과 세부적인 부분을 다룬다. 두 권 모두 역사적 사실을 정확하게 다루는 데에는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
세네카는 원수정의 헌법적 정당성은 논하지 않고, 훌륭한 군주가 갖는 문제에 집중하면서, 스토아 철학의 ''로고스''(보편적 이성)에 따르는 권력만이 진정한 권력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황제가 백성의 동의와 헌신을 얻고 국가를 안전하게 지키는 방법은 동정심이나 이유 없는 관대함이 아니라, 이성적인 판단에 따른 관용이라고 주장한다.[6]
3. 1. 통치자의 덕목으로서의 관용
세네카의 『관용론』(De Clementia)은 훌륭한 통치자와 폭군을 대조하고, 통치자와 백성 간의 관계를 평가하는 교훈적인 글이다. 1권에서는 역사를 통해 여러 통치자들을 예시로 제시하는데, 디오니시오스와 술라는 경계해야 할 사례로, 젊은 아우구스투스는 모범으로 제시된다. 아우구스투스가 반란을 일으킨 킨나에게 자비를 베푼 사례와 네로 자신의 삶에서 가져온 예시를 통해 야심 찬 황제에게 관용을 베풀 것을 촉구한다.[5]세네카는 원수정의 헌법적 정당성에 대해 논하지 않고, 훌륭한 군주를 갖는 문제를 다룬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유일한 진정한 권력은 스토아 철학의 ''로고스''(보편적 이성) 개념에 의해 인도되는 권력이었다. 따라서 동정심이나 동기 없는 관대함이 아닌 관용이 황제의 신민들의 동의와 헌신을 보장하고 국가의 안전을 보장하는 합리적인 방식이다.[6] 세네카는 관용이 왕과 폭군을 구별하는 중요한 특징이며, 왕에게 가장 어울리는 미덕이라고 강조한다. 왜냐하면 위대한 힘은 자비로울 때에만 영광스럽고 존경받기 때문이다.[17] 또한 인간은 불안정하고 숙련된 대우를 필요로 하기에, 더 큰 관용으로 대해야 한다고 말한다.[18]
3. 2. 스토아 철학과의 연관성
세네카는 그의 저서에서 원수제의 헌법적 정당성에 대해 논하지 않고, 훌륭한 군주를 갖는 문제를 다룬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유일한 진정한 권력은 스토아 철학의 ''로고스''(보편적 이성) 개념에 의해 인도되는 권력이었다.[6] 따라서 동정심이나 동기 없는 관대함이 아닌 관용이 황제의 신민들의 동의와 헌신을 보장하고 국가의 안전을 보장하는 합리적인 방식이다.[6]3. 3. 아우구스투스와 킨나의 예시
세네카의 『관용론』(De Clementia) 1권에서는 여러 통치자들의 사례를 제시하는데, 아우구스투스가 반란을 일으킨 킨나에게 자비를 베푼 사례를 모범으로 제시한다.[5] 세네카는 이를 통해 황제에게 관용을 베풀 것을 촉구한다.4. 『관용론』에 대한 평가
《관용론(De Clementia)》은 정치적 조언을 다룬 로마 시대 작품 중 몇 안 되는 현존하는 작품으로, 찬사들이 황제의 경건함과 위엄을 주로 강조한 것과 달리 관용을 주제로 삼았다는 점에서 특별하다.[7] [8] 8세기 《나자리아누스 사본》(Vat. Pal. 1547)에서 《은혜론(De Beneficiis)》과 함께 전해져 왔으며,[4] 12세기에는 유럽에서 《관용론》과 《은혜론》 사본이 함께 유통되며 르네상스 시대까지 이어졌다.[8] 존 칼뱅이 1532년 주석을 출판하면서 중요한 평가를 받게 되었다.[8]
4. 1. 역사적 의의
찬사들이 주로 황제의 경건함과 위엄을 강조하는 경향과 달리, 관용을 주제로 삼은 점이 《관용론》의 특수성이며 중요한 의의를 갖는 지점이다.[8]4. 2. 현대적 의의
De Clementiala은 정치적 조언을 다룬 현존하는 몇 안 되는 로마 시대 작품 중 하나이다.[7] 후대의 찬사들이 주로 황제의 경건함과 위엄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는 것과는 달리, 관용에 대한 논의가 특히 특이하다.[8]본문은 8세기 《나자리아누스 사본》(Vat. Pal. 1547)의 일부로, 가장 오래된 세네카 사본 중 하나에서 《은혜론》(De Beneficiis)과 함께 전해져 내려왔다.[4] 12세기에는 《관용론》의 사본이 유럽에서 유통되었는데, 거의 항상 《은혜론》과 함께였고, 이러한 형태로 르네상스에 이르렀다.[8] 존 칼뱅이 1532년 이에 대한 주석을 출판하면서 세네카의 사소한 작품으로 간주되었던 《관용론》은 중요한 평가를 받게 되었다.[8]
5. 존 칼뱅의 『관용론』 주석
종교개혁가 장 칼뱅은 그의 첫 저서로 세네카의 『관용론』 주석을 출판하여 세네카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젊은 장 칼뱅은 법학 공부를 마친 직후 세네카의 『관용론』(De Clementia) 주석서를 첫 저서로 출판했다. 칼뱅이 이 주석서를 출판한 이유에는 세 가지 가능성이 제기된다.
- 에라스무스가 1529년 세네카 번역본 서문에서 젊은 학자들의 편집적 의견을 환영한다고 밝혔고, 이에 칼뱅이 응답하여 지식인 엘리트 사이에서 인본주의자로서 명성을 쌓으려 했다는 것이다.[9]
- 르네상스 시대에 스토아 철학이 부흥했기 때문에 칼뱅이 세네카의 인기를 높이고자 했을 수도 있다. 테오도르 베자는 세네카를 "그에게 매우 중요한 인물"이라고 언급하며, 그 이유는 세네카가 "분명히 칼뱅과 일치했기 때문"이라고 한다.[10]
- 프랑스 국왕 프랑수아 1세에게 헌정하기 위한 것이라는 주장이 있었으나, 헌정하는 부분이나 언급이 없고, 프랑수아 1세와 네로를 비교하는 중대한 오류가 있어 이 이론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11]
5. 1. 칼뱅 주석의 특징
장 칼뱅은 법학 공부를 마친 직후 세네카의 『관용론』(De Clementia) 주석서를 첫 저서로 출판했다.[9] 이 주석서는 어휘 해석, 다른 라틴 작가들의 맥락, 세네카의 문체와 사상에 대한 주석을 함께 제시하고 있다. 칼뱅은 키케로와 세네카를 "고대의 기둥", 에라스뮈스와 기욤 뷔데를 "현대의 기둥"으로 칭하며 이들의 저술을 활용했다. 포드 루이스 배틀스는 필립포 베로알도를 세 번째 "현대의 기둥"으로 제시한다.[12] 칼뱅은 자료 인용 시 그리스어 문학보다 라틴어 문학에 더 정통했다.[12] 서두의 세네카에 대한 간략한 전기적 개요는 타키투스를 주로 따랐으며, 카시우스 디오의 덜 고귀한 묘사는 무시했다.당시 칼뱅은 프로테스탄트 개혁가가 아닌 인본주의자로 활동했다.[11] 칼뱅과 세네카는 모든 죄인이 벌을 받아야 한다는 점과 결정론적 유신론에 동의했다.[13] 그러나 칼뱅은 스토아 사상을 프로테스탄트 신학에 도입하려는 의도가 없었고, 오히려 스토아 신조를 비판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14] 칼뱅은 세네카의 문체가 지나치게 화려하며, "사물의 질서정연한 배열이 부족한데, 이것은 좋은 문체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라고 비판했다.[15] 칼뱅의 저술 방식에서 고전적 학문과 스토아 윤리의 진지함이 기독교 신앙으로 변화되는 그의 완전한 발전을 이미 엿볼 수 있다.[16]
5. 1. 1. 에라스뮈스와의 관계
에라스뮈스는 1529년에 주석을 출판했고, 장 칼뱅도 1532년에 세네카의 『관용론』에 대한 주석을 출판했다. 칼뱅이 이 주석서를 출판한 이유에 대해서는 세 가지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첫째, 에라스뮈스가 1529년 세네카 번역본 서문에서 젊은 학자들의 편집적 의견을 환영한다고 밝혔는데, 칼뱅은 이 초대에 응함으로써 지식인 엘리트 사이에서 인문주의자로서 명성을 쌓으려 했다는 주장이 있다.[9]5. 1. 2. 스토아 철학에 대한 입장
젊은 장 칼뱅은 법학 공부를 마친 직후 첫 번째 책으로 세네카의 『관용론』(De Clementia) 주석서를 저술했다.[9] 이 주석서는 어휘 해석과 다른 라틴 작가들의 맥락을 세네카의 문체와 사상에 대한 주석과 함께 제시하고 있다.[9] 칼뱅이 이 책을 쓴 이유로는 세 가지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첫째, 에라스무스가 1529년 세네카 번역본 서문에서 젊은 학자들의 편집적 의견을 환영한다고 밝혔기 때문에, 칼뱅이 지식인 엘리트 사이에서 인본주의자로서 명성을 쌓으려 했다는 것이다.[9] 둘째, 르네상스 시대에 스토아 철학이 부흥했기 때문에 칼뱅이 세네카의 인기를 높이고자 했을 수도 있다. 테오도르 베자는 세네카를 "그에게 매우 중요한 인물"이라고 언급하며, 그 이유는 세네카가 "분명히 칼뱅과 일치했기 때문"이라고 한다.[10] 셋째, 프랑스 국왕 프랑수아 1세에게 헌정하기 위한 것이라는 주장이 있었으나, 헌정하는 부분이나 언급이 없고, 프랑수아 1세와 네로를 비교하는 중대한 오류가 있어 이 이론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11]칼뱅은 주석서를 저술하면서 키케로와 세네카라는 두 명의 "고대의 기둥"과 에라스무스와 기욤 뷔데라는 두 명의 "현대의 기둥"의 저술을 활용했다.[12] 포드 루이스 배틀스는 세 번째 "현대의 기둥"으로 필립포 베로알도를 제시한다.[12] 칼뱅은 자료를 인용할 때 라틴어 문학보다 그리스어 문학에 덜 정통했다.[12] 서두에 있는 칼뱅의 세네카에 대한 간략한 전기적 개요는 거의 전적으로 타키투스를 따르고 있으며, 카시우스 디오의 덜 고귀한 묘사는 무시하고 있다.
이 시기 칼뱅은 프로테스탄트 개혁가가 아니라 인본주의자로서 행동하고 있다.[11] 칼뱅과 세네카는 모든 사람이 죄인이며 죄는 벌을 받아야 한다는 데 동의하며, 결정론적 유신론에 헌신하고 있다.[13] 그러나 칼뱅이 스토아 사상의 요소를 프로테스탄트 신학에 도입하려는 의도가 없었으며, 실제로 칼뱅은 스토아 신조를 옹호하는 것보다 비판하는 경우가 더 많다.[14] 칼뱅은 세네카의 문체가 지나치게 화려하다고 비난하며, "나는 또한 사물의 질서정연한 배열이 부족한데, 이것은 좋은 문체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임이 분명하다"고 말한다.[15] 칼뱅의 저술 방법에서 이미 그의 완전한 발전, 즉 고전적 학문과 스토아 윤리의 진지함이 기독교 신앙으로 변화될 것을 예상할 수 있다.[16]
5. 1. 3. 프랑수아 1세와의 관계 (비판적 검토)
젊은 장 칼뱅은 법학 공부를 마친 직후 첫 저서로 세네카의 『관용론』(De Clementia) 주석서를 출판했다.[9] 이 주석서는 세네카의 문체와 사상에 대한 해석을 제시하며, 어휘 해석과 다른 라틴 작가들의 맥락을 섞어 제시했다. 칼뱅이 이 주석서를 저술한 이유에 대해서는 세 가지 가능성이 제기되었다.[9] 첫째, 에라스무스가 1529년 세네카 번역본 서문에서 젊은 학자들의 편집적 의견을 환영한다고 밝혔기 때문에, 칼뱅이 지식인 엘리트 사이에서 인본주의자로서 명성을 쌓으려 했다는 것이다.[9] 둘째, 르네상스 시대 스토아 철학의 부흥에 따라 칼뱅이 세네카의 인기를 높이고자 했다는 것이다.[10] 테오도르 베자는 세네카가 "분명히 칼뱅과 일치했기 때문"에 그에게 매우 중요했다고 언급한다.[10]셋째, 칼뱅이 프랑스 국왕 프랑수아 1세에게 이 책을 헌정하려 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나, 학자들은 이 주장을 일반적으로 배척한다.[11] 그 근거는 다음과 같다.
- 헌정 및 언급 부재: 칼뱅의 주석서에는 프랑수아 1세에게 헌정하는 부분이나 그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11]
- 프랑수아 1세와 네로 비교의 오류: 칼뱅이 프랑수아 1세와 네로를 비교하는 중대한 오류를 범했기 때문에 이 이론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11]
따라서 칼뱅이 프랑수아 1세를 위해 주석을 썼다는 주장은 근거가 부족하며, 칼뱅은 이 시기에 프로테스탄트 개혁가라기보다는 인본주의자로서 행동했다고 볼 수 있다.[11]
5. 2. 칼뱅의 주석에 나타난 사상
장 칼뱅은 법학 공부를 마친 직후 첫 번째 책으로 세네카의 『관용론』(De Clementia) 주석서를 저술했다. 이 주석서는 주로 어휘 해석과 다른 라틴 작가들의 맥락을 세네카의 문체와 사상에 대한 주석과 섞어 제시하고 있다.[9] 칼뱅이 이 주석서를 쓴 이유에 대해 세 가지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첫째, 에라스무스가 1529년 세네카 번역본 서문에서 젊은 학자들의 편집적 의견을 환영한다고 밝혔기 때문에, 칼뱅은 지식인 엘리트 사이에서 인본주의자로서 명성을 쌓으려 했다는 것이다.[9] 둘째, 르네상스 시대에 스토아 철학이 부흥했기 때문에 칼뱅이 세네카의 인기를 높이고자 했을 수도 있다. 제네바에서 칼뱅의 후임이었던 테오도르 베자는 세네카를 "그에게 매우 중요한 인물"이라고 언급하며, 그 이유는 세네카가 "분명히 칼뱅과 일치했기 때문"이라고 한다.[10] 셋째, 프랑스 국왕 프랑수아 1세에게 헌정하기 위해 저술했다는 것인데, 이 이론은 헌정하는 부분과 언급이 없고, 프랑수아 1세와 네로를 비교하는 중대한 오류가 있었기 때문에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11]칼뱅은 주석서를 저술하면서 키케로와 세네카라는 두 명의 "고대의 기둥"과 에라스무스와 기욤 뷔데라는 두 명의 "현대의 기둥"의 저술을 활용했다. 포드 루이스 배틀스는 세 번째 "현대의 기둥"으로 필립포 베로알도를 제시한다.[12] 칼뱅은 자료를 인용할 때 라틴어 문학보다 그리스어 문학에 덜 정통했다.[12] 서두에 있는 칼뱅의 세네카에 대한 간략한 전기적 개요는 거의 전적으로 타키투스를 따르고 있으며, 카시우스 디오의 덜 고귀한 묘사는 무시하고 있다.
이 시기 칼뱅은 프로테스탄트 개혁가가 아니라 인본주의자로서 행동하고 있다.[11] 칼뱅과 세네카는 모든 사람이 죄인이며 죄는 벌을 받아야 한다는 데 동의하며, 결정론적 유신론에 헌신하고 있다.[13] 그러나 칼뱅이 스토아 사상의 요소를 프로테스탄트 신학에 도입하려는 의도가 없었으며, 실제로 칼뱅은 스토아 신조를 옹호하는 것보다 비판하는 경우가 더 많다는 것이 명확해진다.[14] 신학적 비판 외에도, 칼뱅은 세네카의 문체가 지나치게 화려하다고 비난하며, "나는 또한 사물의 질서정연한 배열이 부족한데, 이것은 좋은 문체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임이 분명하다"고 말한다.[15] 그의 저술 방법에서 칼뱅의 완전한 발전에 대한 예상을 볼 수 있으며, 칼뱅의 고전적 학문과 스토아 윤리의 진지함이 기독교 신앙으로 변화될 것을 예상할 수 있다.[16]
참조
[1]
서적
Paul and the Imperial Authorities at Thessalonica and Rome
[2]
Harvnb
[3]
Harvnb
[4]
Harvnb
[5]
Harvnb
[6]
서적
Latin Literature – A History
[7]
Harvnb
[8]
Harvnb
[9]
Harvnb
[10]
서적
Tracts relating to the reformation. by John Calvin. With his life by Theodore Beza
[11]
Harvnb
[12]
Harvnb
[13]
Harvnb
[14]
논문
A Stoic Doctrine in Calvin
[15]
서적
Commentary on De Clementia
[16]
Harvnb
[17]
웹사이트
Of Clemency
https://en.wikisourc[...]
[18]
서적
Seneca – Dialogues and Essays
Oxford University Press
[19]
서적
Paul and the Imperial Authorities at Thessalonica and Rom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