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네상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르네상스는 14세기부터 17세기까지 유럽에서 일어난 문화 부흥 운동으로,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어 유럽 각지로 확산되었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 문화를 부활시키려는 인문주의적 경향과 더불어, 예술, 건축,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졌다. 이탈리아의 경제적 번영과 도시 국가의 발달이 르네상스 발생의 배경이 되었으며, 메디치 가문과 같은 후원자들의 역할도 중요했다. 르네상스는 16세기 대항해 시대의 시작과 종교 개혁, 정치적 혼란을 겪으며 쇠퇴했지만, 유럽의 근대 사회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화 혁명 - 티무르 르네상스
14세기 후반부터 16세기 초 티무르 제국에서 일어난 티무르 르네상스는 티무르의 정복 활동 이후 사마르칸트와 헤라트를 중심으로 이슬람 예술과 학문이 융성하며 건축, 미술,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발전을 이룬 문화 부흥기이다. - 문화 혁명 - 사회주의 문화
사회주의 문화는 사회주의 이념에 기반하여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문화적 현상으로,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영향을 받아 예술, 문학, 건축 등에서 독특한 특징을 보이며 프롤레타리아 문화 운동과 즈다노프 교리 등을 통해 구체화되어 20세기 공산주의 국가들의 문화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르네상스 - 르네상스 미술
르네상스 미술은 14세기부터 16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미술 양식의 변화로,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 부흥을 바탕으로 인간 중심적 세계관과 사실적 표현 기법이 발달했으며, 회화, 조각, 건축 분야에서 다양한 발전을 이루었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등의 거장들이 활약하며 유럽 각 지역에서 특색을 반영하여 발전했다. - 르네상스 - 티무르 르네상스
14세기 후반부터 16세기 초 티무르 제국에서 일어난 티무르 르네상스는 티무르의 정복 활동 이후 사마르칸트와 헤라트를 중심으로 이슬람 예술과 학문이 융성하며 건축, 미술,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발전을 이룬 문화 부흥기이다. - 중세 - 장미 전쟁
장미 전쟁은 1455년부터 1487년까지 랭커스터 가문과 요크 가문의 왕위 계승 분쟁으로 시작되어 헨리 7세의 승리로 튜더 왕조가 건국되면서 종결된 일련의 내전입니다. - 중세 - 잉글랜드 왕국
잉글랜드 왕국은 9세기에 정치적 통일을 이루었고, 바이킹 침략과 노르만 정복을 거친 후 봉건 제도가 확립되었으며, 1707년 스코틀랜드와의 통합으로 대영제국이 성립되면서 잉글랜드 왕국은 독립적인 정치적 실체로서의 역사를 마감했다.
르네상스 | |
---|---|
지도 정보 | |
개요 | |
명칭 | 르네상스 |
프랑스어 표기 | renaissance |
프랑스어 발음 | /ʁənɛsɑ̃ːs/ |
영어 발음 | /rɪˈneɪsns/, /ˈrenəsɑːns/ |
어원 | 프랑스어 'renaissance'(재생, 부활)에서 유래 |
이탈리아어 표기 | Rinascimento |
이탈리아어 발음 | /rinaʃʃiˈmento/ |
라틴어 표기 | humanitas |
의미 | '재생', '부활' |
시기 | 14세기에서 17세기 |
주요 지역 | 유럽 |
특징 | |
주요 사상 | 르네상스 인문주의 |
주요 분야 | 건축 무용 미술 문학 음악 철학 과학 기술 전쟁 |
지역별 르네상스 | |
잉글랜드 | 잉글랜드 |
프랑스 | 프랑스 |
독일 | 독일 |
이탈리아 | 이탈리아 |
폴란드 | 폴란드 |
포르투갈 | 포르투갈 |
스페인 | 스페인 |
스코틀랜드 | 스코틀랜드 |
북유럽 | 북유럽 |
저지대 국가 | 저지대 국가 |
관련 주제 | |
탐험 시대 | 대항해시대 |
연속성 논제 | 연속성 논제 |
전성기 르네상스 | 전성기 르네상스 |
기타 | |
관련 용어 | 인문주의 |
2. 개념의 확립
르네상스(Renaissance|르네상스fra)는 '재생'(rebirth)을 의미하는 프랑스어로, 이탈리아어 Il Rinascimento|일 리나시멘토ita에서 유래했다. 이 용어는 19세기 프랑스 역사가 쥘 미슐레가 그의 저서 『프랑스사』(1855년)에서 처음 학문적으로 사용하여 널리 퍼졌고, 이후 스위스 역사가 야코프 부르크하르트의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1860년)를 통해 하나의 역사 시대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확립되었다.
'재생'이라는 개념은 이미 14세기 단테나 페트라르카의 저작에서도 나타났으며, 16세기 이탈리아 화가이자 역사가인 조르조 바사리는 『화가·조각가·건축가 열전』(1550년)에서 당시 예술이 중세 양식에서 벗어나 고대 문화를 바탕으로 부활하는 과정을 '재생'(rinascita|리나시타ita)이라고 표현했다.[163] 르네상스의 '재생'은 고전 고대의 문헌과 예술을 재발견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유럽 문화 전반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다는 이중적인 의미를 지닌다.
미슐레와 부르크하르트에 의해 르네상스가 중세와 구분되는 독자적인 시대로 정의되었지만, 20세기 이후 이러한 관점은 도전을 받았다. 해스킨스와 같은 역사가들이 카롤링거 르네상스나 12세기 르네상스 등 중세 시대에도 고전 문화 부흥 운동이 있었음을 밝혀내면서, 르네상스를 중세와의 완전한 단절로 보기 어렵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18] 또한 르네상스 시대에도 비합리적인 사고가 여전히 존재했다는 점이 지적되면서 시대 구분의 명확성은 더욱 흐려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 오늘날 많은 학자들은 르네상스를 단일한 시대나 운동으로 규정하기보다는 복합적인 문화 현상으로 이해하며, '이탈리아 르네상스', '북부 르네상스' 등 지역별, 분야별 특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학계에서는 '르네상스 시기' 대신 '근대 초기'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며, '르네상스'라는 말은 특정 분야나 지역의 문화적 전성기를 은유적으로 표현하는 데에도 널리 쓰이고 있다(예: 할렘 르네상스, 샌프란시스코 르네상스 등).
2. 1. 르네상스 용어의 기원과 의미
르네상스(Renaissance|르네상스프랑스어)라는 말은 프랑스어로 "재생"(re- 다시 + naissance 탄생)을 의미한다.[149] 이 용어는 19세기 프랑스의 역사가 쥘 미슐레가 그의 저서 『프랑스사』(1855년) 제7권에 ‘Renaissance’라는 제목을 붙여 학문적으로 처음 사용하면서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후 스위스의 역사가 야코프 부르크하르트가 저술한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Die Kultur der Renaissance in Italien, 1860년)를 통해 르네상스라는 개념이 학계에 결정적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르네상스에 해당하는 이탈리아어 어원은 Il Rinascimento|일 리나시멘토it이며, 이 말은 이미 16세기부터 사용되었다. 특히, 이탈리아의 화가이자 역사가인 조르조 바사리가 그의 저서 『화가·조각가·건축가 열전』(1550년)에서 사용한 'rinascita'(재생)라는 단어에서 직접적인 기원을 찾을 수 있다.[163] 바사리는 이 용어를 사용하여 자신이 경험한 예술이 중세 예술의 "야만성"에서 벗어나 고대 로마 미술을 모델로 부활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했다.[130] 하지만 '재생'이라는 의식 자체는 그보다 앞선 14세기 시인 단테 알리기에리와 페트라르카의 저작에서도 나타나 문화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르네상스라는 개념에 포함된 "재생"의 의미는 크게 두 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첫째는 고전 고대의 문헌과 예술, 학문 등 문화유산을 재발견하고 연구하는 것이며, 둘째는 이러한 고전 문화의 부흥을 통해 중세의 침체기를 벗어나 유럽 문화 전반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것 자체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는 두 번째 의미, 즉 문화 부흥 운동 전반을 가리키는 말로 자주 사용된다.
르네상스라는 용어가 오늘날과 같은 역사적 개념으로 자리 잡기까지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다.
'''르네상스 용어 및 개념의 발전 과정'''
연도 | 인물 | 저서/활동 | 내용 |
---|---|---|---|
1550년 | 조르조 바사리 | 화가·조각가·건축가 열전 | 중세 미술 극복 과정을 미술의 재생(rinascita)으로 언급[163][130] |
1559년 | 아미요 |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번역 헌정문 | 문예의 재생 언급 |
1697년 | 피에르 벨 | 역사비평사전 | 문예 르네상스 항목 수록 |
1701년 | 퓌르티에르 | 보편적 사전 | 미술 르네상스 항목 수록 |
18세기 | 볼테르 | 저술 활동 | 르네상스를 중세로부터의 탈출구로 간주 |
1855년 | 쥘 미슐레 | 프랑스사 제7권 | 르네상스라는 제목을 붙여 역사 시대 전체를 지칭하며 학문적 관심 촉발[97][131] |
1860년 |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 | 르네상스를 중세와 구분되는 근대적 개성의 발현 시기로 정의하며 개념 확립[132][133] |
미슐레는 르네상스를 단순한 예술 부흥이 아닌,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에서 갈릴레오에 이르는 과학의 발전 시대로 보았으며, 중세의 "기괴하고 괴물 같은" 특징과 대비되는 공화주의적 가치를 강조했다.[97][47] 프랑스 민족주의자였던 그는 르네상스를 프랑스적인 운동으로 해석하려는 경향도 보였다.[47] 반면 부르크하르트는 르네상스를 이탈리아에서 조토와 미켈란젤로 사이, 즉 14세기에서 16세기 중반까지의 시대로 정의하고, 중세가 억압했던 근대적 개인주의 정신이 이 시기에 발현되었다고 보았다.[132] 그의 저서는 널리 읽히며 현대적인 르네상스 해석에 큰 영향을 미쳤다.[133]
그러나 20세기 이후, 특히 해스킨스와 같은 역사가들이 '12세기 르네상스'나 '카롤링거 르네상스' 등 중세 시대에도 고전 문화 부흥 운동이 있었음을 밝혀내면서, 르네상스를 중세와 명확히 구분되는 단일하고 특정한 시기나 운동으로 보기 어렵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18] 르네상스 시대에도 점성술이나 마술과 같은 비합리적 사고가 여전히 남아 있었다는 점도 지적되었다. 이로 인해 르네상스가 근세의 시작인지, 아니면 중세의 연장선상에 있는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10][11] 일부 학자들은 르네상스라는 용어 자체가 로마 제국의 계승자로서 유럽을 중심에 놓는 서양 중심 사관에 기반한 것이라고 비판하기도 한다.[150]
오늘날 많은 학자들은 르네상스를 명확한 시작과 끝을 가진 단일한 시대라기보다는, "특정 집단과 식별 가능한 사람들이 서로 다른 시간과 장소에서 다양하게 반응한 관행과 사상의 운동"[18]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관점에서 '이탈리아 르네상스', '북부 르네상스', '영국 르네상스' 등 지역과 분야에 따라 다양한 르네상스를 구분하여 사용하며, '르네상스 시기'라는 말 대신 '근대 초기'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르네상스'라는 단어는 특정 분야나 지역의 전성기나 부흥기를 은유적으로 표현하는 데에도 널리 쓰이고 있다(예: 할렘 르네상스, 샌프란시스코 르네상스, 디즈니 르네상스 등).[131]
2. 2. 르네상스 개념의 발전 과정
르네상스(Renaissance)는 이탈리아어 Il Rinascimentoita에서 유래했으며, '재생'(rebirth)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19세기 프랑스 역사가 쥘 미슐레가 그의 저서 『프랑스사』(1855년) 제7권 제목으로 프랑스어 Renaissancefra를 사용하면서 학문적으로 널리 쓰이기 시작했고, 영어에서도 그대로 받아들여졌다. 르네상스 개념에 담긴 '재생'의 의미는 크게 두 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첫째는 고전 고대의 문헌과 예술을 다시 발견하고 연구하는 것이고, 둘째는 이를 통해 유럽 문화 전반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것이다. 흔히 두 번째 의미로 사용된다.
르네상스라는 용어가 오늘날과 같은 역사적 개념으로 자리 잡기까지는 여러 단계를 거쳤다.
- 1550년: 이탈리아의 화가이자 미술사가인 조르조 바사리는 그의 저서 『화가·조각가·건축가 열전』(Le vite de' piu eccelenti pittori, scultori e architettoriita)에서 자신이 경험한 중세 미술 양식에서 벗어나는 과정을 '미술의 재생'(rinascitaita)이라고 처음 언급했다.[163] 바사리는 고대 미술을 이탈리아 미술 부활의 중심으로 보았고, 치마부에와 조토 같은 투스카니 예술가들이 이러한 변화를 이끌었다고 평가했다.[130] "재생"이라는 인식 자체는 이미 14세기 시인 단테 알리기에리와 페트라르카의 저술에서도 나타나 문화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 1559년: 프랑스의 인문주의자 아미요가 플루타르코스의 『플루타르코스 영웅전』을 번역하며 헌정문에서 '문예의 재생'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 1697년: 프랑스 철학자 피에르 벨이 『역사비평사전』에 '문예 르네상스'라는 항목을 실었다.
- 1701년: 프랑스 문학자 퓌르티에르가 『보편적 사전』에 '미술 르네상스' 항목을 추가했다.
- 18세기: 볼테르는 르네상스 시기를 중세로부터 벗어나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간주했다.
- 1855년: 프랑스 역사가 쥘 미슐레는 『프랑스사』 제7권의 제목을 '르네상스'로 정하면서 이 용어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크게 불러일으켰다. 미슐레는 르네상스를 단순한 예술 부흥이 아닌 과학의 발전으로 파악했으며,[97] 중세의 "기괴하고 괴물 같은" 특징과 대비되는 공화주의적 가치를 찾으려 했다.[47] 프랑스 민족주의자였던 그는 르네상스를 프랑스 중심의 운동으로 해석하려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47]
- 1860년: 스위스 역사가 야코프 부르크하르트는 그의 대표작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Die Kultur der Renaissance in Italiendeu)를 통해 르네상스 개념을 학계에 확고히 정립했다. 그는 르네상스를 중세 시대에 억눌렸던 근대적 개인주의가 발현된 시기로 보았다.[132] 이 책은 이후 르네상스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133]
19세기 미슐레와 부르크하르트에 의해 르네상스가 명확한 시대 구분이자 문화 운동으로 정의되었지만, 20세기 이후 연구가 진행되면서 이러한 관점에 대한 비판과 재해석이 이루어졌다. 특히 찰스 H. 해스킨스 등이 주장한 '12세기 르네상스'나 '카롤링거 르네상스'처럼 중세 시대에도 고전 문화 부흥 운동이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131][143] 르네상스를 중세와의 완전한 단절로 보기 어렵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또한 르네상스 시대에도 점성술, 마술 등 비합리적 사고가 여전히 존재했다는 점도 지적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중세와 르네상스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은 어려워졌으며, 르네상스가 근세의 시작인지 중세의 연장선인지에 대한 논의는 계속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르네상스(재생, 부흥)라는 용어 자체가 유럽을 로마 제국의 유일한 계승자로 보는 서양 중심적 시각에 기반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150]
이에 따라 오늘날 많은 학자들은 르네상스를 단일하고 통일된 시대나 운동으로 보기보다는, 여러 지역과 시기에 걸쳐 나타난 복합적인 문화 현상으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있다.[18] '이탈리아 르네상스', '북부 르네상스', '영국 르네상스' 등 지역별 특성을 강조하는 용어가 보편화되었으며, '르네상스 시기' 대신 '근대 초기'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르네상스라는 말은 특정 분야나 시기의 전성기를 가리키는 은유적 표현으로도 확장되어 할렘 르네상스, 샌프란시스코 르네상스 등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고 있다.
2. 3. 르네상스 개념에 대한 비판적 시각
야코프 부르크하르트가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1860년)를 통해 르네상스 개념을 확립한 이후, 특히 20세기 후반부터 이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새로운 해석이 등장했다.부르크하르트 시대에는 르네상스가 중세와 명확히 구분되는 독자적인 시대로 여겨졌으나, 이후 중세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면서 이러한 구분은 점차 모호해졌다. 르네상스의 주요 특징으로 꼽혔던 고전 고대 문화의 부흥이 실제로는 중세 시대에도 여러 차례 나타났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예로 8세기와 9세기의 카롤링거 르네상스, 10세기의 오토 르네상스, 동로마 제국의 마케도니아 르네상스(9~11세기)와 팔레올로고스 르네상스(13~15세기), 그리고 서유럽의 12세기 르네상스 등이 있다.[131][143][149] 이러한 중세의 문화 부흥 운동들은 '다수의 르네상스'라고도 불린다. 이로 인해 르네상스 이전의 중세를 문화적 발전이 없었던 암흑기로 보는 전통적인 견해는 상당 부분 수정되었다.
또한 르네상스 시대에도 점성술이나 마술과 같은 비합리적이고 비과학적인 사고방식이 여전히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점도 밝혀지면서, 르네상스를 순수한 이성과 합리성의 시대로만 보기는 어렵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중세와 르네상스를 명확히 구분하기 어렵다는 인식을 넓혔고, 르네상스를 근세의 시작으로 볼지 중세의 연장선으로 볼지에 대한 논쟁으로 이어졌다.[10][11] 일부 역사가는 르네상스를 중세의 연장선으로 보며 두 시대 간의 연속성을 강조하기도 한다.[18][19]
1975년 이후, 많은 학자들은 르네상스를 단일하고 특정한 문화 운동으로 규정하기보다는 더 넓은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학계에서는 '르네상스 시기' 대신 '근대 초기'라는 용어를 점차 보편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는 르네상스를 과거와의 단절보다는 연속적인 역사 과정의 일부로 파악하려는 시각을 반영한다.
더 나아가 일부 역사가는 '르네상스'라는 용어 자체 사용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기도 한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랜돌프 스타른(Randolph Starn) 역사가는 르네상스를 명확한 시작과 끝을 가진 단일한 시대나 문화가 아니라, "다양하고 때로는 수렴하고 때로는 상충하는 문화의 네트워크"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18] 또한 르네상스 개념이 서구 중심적 시각에서 비롯되었고, 현대 가치를 과거에 투영하려는 현재주의 경향을 담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20][150]
한편, '르네상스'라는 용어는 본래의 의미를 넘어 특정 분야나 지역에서 문화가 크게 융성했던 시기를 가리키는 은유적인 표현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슬람 황금기를 '이슬람 르네상스'로[144], 14세기 중앙아시아의 티무르 르네상스, 근현대의 벵골 르네상스, 할렘 르네상스, 샌프란시스코 르네상스, 심지어 애니메이션 분야의 디즈니 르네상스 등이 그러한 용례에 해당한다. 이는 '르네상스'라는 단어가 지닌 '부흥' 또는 '전성기'라는 의미가 다양한 맥락에서 활용됨을 보여준다.
3. 다양한 관점
19세기에 '르네상스'라는 용어가 만들어진 이후, 이 시기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해 다양한 해석이 제기되어 왔다. 과거 야코프 부르크하르트와 같은 학자들은 르네상스를 중세와 명확히 구분되는 시대로 보았지만, 이후 연구를 통해 르네상스의 특징으로 여겨졌던 요소들이 중세에서도 발견되며, 점성술이나 마술 같은 비합리적인 믿음 역시 여전히 존재했음이 밝혀졌다. 이로 인해 중세와 르네상스를 명확히 나누는 것은 어렵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며, 르네상스를 근대의 시작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논쟁은 오늘날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3. 1. 전통적 관점
전통적인 관점에서는 르네상스를 15세기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어 전 유럽으로 퍼져나간 흐름으로 본다. 이 관점에 따르면, 르네상스 시기에는 아랍 세계로부터 지식을 받아들이고, 경험적인 태도를 중시하며, 현세적인 가치에 관심을 두게 되었다. 또한 인쇄술의 발달은 지식이 널리 퍼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고, 예술 분야에서는 새로운 기법과 실험적인 시도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유럽은 중세의 암흑기에서 벗어나 대항해시대로 대표되는 경제 성장의 시대로 나아갔다고 평가한다. 이 때문에 이탈리아 르네상스는 종종 근대의 시작점으로 여겨지기도 한다.3. 2. 수정주의적 관점
마르크스주의 역사가들은 르네상스를 미술, 문학, 철학 등이 변화된 유사혁명 정도로 간주한다. 이는 극소수의 부유층에게만 의미가 있었을 뿐, 대다수 유럽인들에게는 여전히 중세와 다름없었다는 시각이다.[136]오늘날 많은 역사학자들은 르네상스가 실질적인 사회 변화라기보다는 지적, 이념적 변화에 더 가깝다고 본다. 더 나아가, 중세의 부정적인 특징으로 여겨지는 가난, 무지, 전쟁, 종교 및 정치적 박해 등이 마키아벨리의 정치 사상이 등장하고 종교전쟁과 마녀사냥이 기승을 부린 16세기에 오히려 더 심화되었다고 지적한다.[135] 19세기의 일부 학자들은 르네상스 시대를 마치 민중들이 황금 시대에 살았던 것처럼 묘사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다. 다만, 르네상스 시기의 작가, 화가, 그리고 그들의 후원자들은 민중의 고통과는 별개로 자신들이 중세의 암흑기를 끝내고 새로운 시대를 열고 있다고 믿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88]

요한 후이징가는 르네상스의 존재 자체는 인정했지만, 그것이 반드시 긍정적인 변화였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저서 『중세의 가을』에서 르네상스를 고 중세로부터 이어진 쇠퇴기로 보았으며, 이 시기에 오히려 파괴된 것이 더 많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17] 예를 들어, 중세 라틴어는 당시까지 자연스럽게 변화하며 사용되던 살아있는 언어였으나, 르네상스 시대의 고전 순수주의에 대한 집착 때문에 그 발전이 멈추고 화석화되었다는 것이다. 로버트 S. 로페즈는 르네상스 시기를 경제적으로 심각한 경기 침체기였다고 평가했다.[137] 또한, 조르주 사르통과 린 손다이크는 르네상스 시기에 과학혁명이 오히려 지연되었다고 보았다.[138] 조앤 켈리는 르네상스가 성별 간의 구분을 더욱 강화하여 중세 시대에 여성이 가졌던 주체성을 감소시켰다고 주장했다.[139]
일부 역사가들은 "르네상스"라는 용어 자체가 중세를 암흑 시대로 규정하고, 르네상스를 그로부터의 명백하고 긍정적인 부활로 여기게 만드는, 불필요하게 과장된 표현이라고 비판한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정치 및 경제 역사가들은 이 시기를 중세와 근대 사이의 과도기적 성격을 강조하는 "초기 근대"라는 용어로 부르는 것을 선호한다.[140] 일부 관찰자들은 르네상스를 중세로부터의 문화적 "진보"로 보기보다는 고전 고대에 대한 향수와 염세주의가 팽배했던 시대로 해석하기도 한다.[17] 특히 사회경제사학자들은 두 시대 간의 단절보다는 연속성에 주목하며,[18] 어윈 파놉스키가 지적했듯이 두 시대는 "수많은 유대"로 연결되어 있다고 본다.[19]
미술사가 어윈 파놉스키는 르네상스 개념에 대한 이러한 비판적 시각에 대해 언급하며, 경제사, 사회사, 정치사, 종교사, 과학사 연구자들과 달리 문학 연구자들이나 미술사가들은 르네상스의 실재성에 대해 거의 의문을 제기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142]
4. 르네상스의 역사
르네상스가 정확히 언제 어디서 시작되었는지 명확히 구분하기는 어렵다. 일반적으로 이탈리아 중부 피렌체에서 시작되어 점진적으로 확산된 것으로 본다. 중요한 계기 중 하나는 동로마 제국(비잔틴 제국)의 멸망이다. 고대 그리스 문화를 계승했던 동로마 제국이 붕괴하면서, 그곳의 학자와 기술자들이 서유럽으로 유입되었고, 그들이 가져온 고전 문헌들이 번역되고 유통되면서 큰 영향을 미쳤다.[164] 오스만투르크에 의한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1453년) 역시 중요한 사건으로, 이탈리아에 새로운 지적 자극을 주었다.
이탈리아는 지리적으로 이슬람 세계 및 동로마 제국과 가까워 문화 교류의 가교 역할을 했으며, 11세기 이후 상업 발달과 십자군 전쟁으로 도시들이 성장하여 자치적인 도시 국가 형태를 띠게 되었다. 특히 13세기 말 경제 성장기를 거치며 독특한 시민 문화가 형성되었고, 고대 로마의 법과 정치 제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러한 조건들이 이탈리아에서 르네상스가 시작된 배경이 되었다.
초기 르네상스를 예고한 인물로는 피렌체 출신의 단테가 있으며, 그의 대표작 『신곡』은 고전 문학과 가톨릭 신앙을 조화시킨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단테 이후 페트라르카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 문화를 부활시켜야 한다고 주장하며 고전 문헌 연구에 힘썼다. 그는 고전 교양을 통해 인간의 삶을 성찰하는 방식을 '인문주의'라 불렀으며, 최초의 인문주의자로 평가받는다. 회화에서는 조토가 고대 양식을 참고하여 새로운 시도를 했고, 법률 분야에서는 볼로냐 대학을 중심으로 로마법 연구가 활발했다. 그러나 1348년 흑사병의 대유행과 정치적 혼란으로 이러한 움직임은 잠시 주춤했다가 15세기에 다시 꽃피우게 된다.
르네상스 인문주의는 단순한 철학이라기보다는 학습 방법론에 가까웠다. 중세 스콜라 학파가 문헌 간의 모순 해결에 집중했다면, 인문주의자들은 고대 문헌을 원전으로 연구하고 추론과 경험적 증거를 통해 평가했다. 인문주의 교육은 시, 문법, 역사, 윤리 철학, 수사학 등 다섯 가지 인문학 분야('스투디아 후마니타티스')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인간 정신의 독특하고 놀라운 능력, 즉 "인간의 천재성"을 강조했다.[55][56] 니콜로 마키아벨리, 토마스 모어와 같은 정치 철학자들은 고대 사상을 바탕으로 당대 정부를 비판적으로 분석했고,[58][59] 피코 델라 미란돌라는 르네상스의 "선언문"이라 할 수 있는 ''인간의 존엄성에 관한 연설''을 통해 자유로운 사유를 옹호했다. 마테오 팔미에리(Matteo Palmieri, 1406-1475)는 그의 저서 ''델라 비타 치빌레''(Della vita civile, "시민 생활에 관하여"; 1528년 인쇄)에서 시민 인문주의를 주장하며 이상적인 시민의 자질과 공직에서의 청렴성 등을 논했다. 인문주의자들은 교육을 통해 지성과 육체가 조화된 이상적인 인간상, 즉 '보편인'(uomo universale|우오모 우니베르살레it)을 추구했다.[60]
15세기 이탈리아에서는 피렌체, 밀라노, 로마, 베네치아, 나폴리, 페라라 등 여러 도시에서 르네상스 문화가 만개했다. 피렌체의 메디치가, 밀라노의 스포르차가, 페라라의 에스테가 등 유력 가문들이 예술가와 학자들을 후원하며 르네상스 발전을 이끌었다. 15세기 말 피렌체의 예술 활동이 잠시 위축되기도 했으나, 문예 부흥에 힘쓴 르네상스 교황들이 등장하면서 로마가 새로운 문화 중심지로 부상하여 산 피에트로 대성당 건설 등 대규모 사업이 진행되었다.[155]
그러나 1527년 로마 약탈로 로마가 황폐화되고, 종교 개혁의 여파 속에서 문화의 중심은 점차 프랑스 등 북쪽으로 이동했다. 로마 교회는 트리엔트 공의회 이후 바로크 시대를 열었지만, 이탈리아는 이탈리아 전쟁 등으로 정치적 분열을 겪으며 국가 통일이 늦어졌고 정치·사회적 근대화에서 뒤처졌다.[155] 1600년 조르다노 브루노가 이단으로 몰려 화형당하고 이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종교 재판을 받는 등 자유로운 사상과 과학 연구가 억압되면서 이탈리아 르네상스는 점차 막을 내렸다.[155]
르네상스 시대는 문화적 부흥기였지만, 동시에 페스트 유행, 끊임없는 전쟁과 정치적 혼란(니콜로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이 이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마술과 미신이 여전히 성행했던 격동의 시대이기도 했다. 문화적 혜택 또한 일부 지배층과 지식인에게 집중되는 한계를 지녔다.[155]
4. 1.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발생 배경

르네상스가 왜 이탈리아, 특히 피렌체에서 시작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명이 있다. 르네상스를 특징짓는 사상들은 13세기 말에서 14세기 초 피렌체에서 단테, 페트라르카의 저술과 조토의 회화를 통해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주장이 많다. 일부 학자들은 로렌초 기베르티와 필리포 브루넬레스키가 피렌체 대성당의 세례당 청동문 제작을 놓고 경쟁했던 1401년을 르네상스의 시작점으로 보기도 한다.[28] 하지만 르네상스의 구체적인 기원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계속되고 있으며,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47]
지리적, 정치적, 경제적 요인

이탈리아는 지리적으로 이슬람 세계, 동로마 제국과 가까워 이들 문화권과 지속적으로 접촉하며 서유럽과의 가교 역할을 했다. 11세기 이후 상업의 발달과 십자군 전쟁의 영향으로 도시가 활성화되면서, 피렌체, 베네치아, 제노바, 밀라노 등은 사실상 독립적인 도시 국가로 성장했다. 15세기 이탈리아는 유럽에서 가장 도시화된 지역 중 하나였다.[39]
이탈리아의 독특한 정치 구조 또한 르네상스 발생의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후기 중세 이탈리아는 단일 국가가 아니라 여러 도시 국가와 영토로 나뉘어 있었다. 독일 주교 오토 폰 프라이징은 12세기 이탈리아 북부가 이미 봉건제에서 벗어나 상인과 상업 중심의 사회로 변화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이러한 도시 공화국들은 교회와 신성 로마 제국의 간섭에서 비교적 자유로웠으며, 공화주의와 자유의 이념을 중시했다. 암브로지오 로렌체티의 프레스코화 ''선정과 악정의 비유''는 이러한 공화주의적 가치를 잘 보여준다. 퀸틴 스키너는 마테오 팔미에리가 피렌체의 예술, 조각, 건축뿐 아니라 도덕, 사회, 정치 철학의 발전을 찬양한 것을 예로 들며 자유에 대한 신념이 강했음을 지적한다.[41] 이러한 상대적인 정치적 자유는 학문과 예술의 발전을 촉진하는 토양이 되었다.[44]
경제적으로도 이탈리아 도시들은 유리한 위치에 있었다. 13세기 말 경제 성장기를 거치며 상업과 은행업(특히 피렌체), 모직물 공업 등이 크게 발달했다. 베네치아는 동방 무역의 중심지였고, 피렌체는 섬유 산업의 중심지였다. 무역을 통해 축적된 부는 메디치 가문과 같은 유력 가문이나 도시 정부가 대규모 예술 프로젝트를 후원하고, 시민들이 학문 연구에 몰두할 수 있는 경제적 기반을 마련해주었다.[44] 이러한 경제 성장은 새로운 시민 문화를 형성하고, 고대 로마법이나 정치 제도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문화적 요인: 고전 연구와 지식의 유입

중세 서유럽 학자들이 주로 고대 그리스와 아랍의 자연과학, 철학, 수학 연구에 집중했던 것과 달리, 르네상스 학자들은 라틴어와 그리스어 문학, 역사, 수사학 텍스트의 발굴과 연구에 큰 관심을 보였다. 이는 14세기 페트라르카, 콜루치오 살루타티, 니콜로 데 니콜리, 포지오 브라치올리니 같은 학자들이 유럽 도서관을 뒤져 키케로, 루크레티우스, 리비우스, 세네카 등 라틴 작가들의 저작을 찾아내면서 시작되었다.[30] 15세기 초에는 현존하는 대부분의 라틴 문헌이 발굴되었다.
이후 서유럽 학자들은 고대 그리스 문학, 역사, 수사학, 신학 텍스트 연구에 주목했는데, 이는 르네상스 인문주의의 그리스어 단계로 이어진다.[31] 고대 그리스 문헌은 중세 서유럽에서는 거의 연구되지 않았고, 주로 동로마 제국 학자들에 의해 보존되고 연구되었다. 그리스 고전 지식은 이슬람 황금기 동안 아랍어로 번역되어 보존되었으며, 이슬람 세계 학자들의 주석과 함께 이베리아 반도와 시칠리아를 통해 유럽에 다시 전해졌다. 특히 11세기부터 13세기까지 톨레도 번역 학교 등에서는 고전 아랍어 문헌을 중세 라틴어로 번역하는 작업이 활발히 이루어졌다.[37]
서유럽에서 그리스 고전 연구가 본격화된 것은 1396년, 콜루치오 살루타티가 비잔틴 학자 마누엘 크리소로라스를 피렌체로 초청하여 그리스어를 가르치게 한 것이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38] 이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1453년)으로 동로마 제국이 멸망하자, 많은 그리스 학자들이 고전 문헌을 가지고 이탈리아로 이주하면서 고전 연구는 더욱 활발해졌다.[14][15][16][154] 이들은 고대 그리스 문화유산을 서유럽에 다시 소개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르네상스 시대의 도서관들은 대중에게 개방되어 지식 교류의 장이 되었으며, 다양한 고전 및 인문주의 저술을 소장하여 자유로운 사상의 발전을 도왔다.[61]
흑사병의 영향

14세기 중반 유럽을 휩쓴 흑사병 역시 르네상스 발생에 영향을 미친 요인 중 하나로 거론된다. 흑사병으로 피렌체 인구가 절반 가까이 줄어드는 등[51] 이탈리아는 특히 큰 피해를 입었다. 이로 인한 엄청난 인명 손실은 사람들로 하여금 내세보다는 현세의 삶에 더 집중하게 만들었을 수 있다는 추측이 있다.[45] 또한 인구 감소는 노동력 부족을 야기하여 노동자들의 가치를 높이고 사회 이동성을 증가시켰으며[48], 식량 가격 하락과 토지 가치 하락을 가져와 생존자들의 경제적 상황을 개선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49] 일부에서는 흑사병이 종교적 경건함을 심화시켜 종교 예술 후원을 증가시켰다고 보기도 한다.[46] 하지만 흑사병은 유럽 전역에 영향을 미쳤으므로, 이것만으로는 왜 르네상스가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었는지 완전히 설명하기는 어렵다.[47]
후원 문화

피렌체에서 르네상스가 꽃피는 데에는 메디치 가문과 같은 강력한 후원자들의 역할도 중요했다. 특히 로렌초 데 메디치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 산드로 보티첼리,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 등 당대 최고의 예술가들을 적극적으로 후원하며 예술 활동을 장려했다.[13] 이러한 후원은 예술가들이 창작 활동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르네상스 예술의 발전을 촉진하는 중요한 동력이 되었다. 다만, 르네상스는 메디치 가문이 권력을 잡기 이전부터 이미 진행되고 있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이탈리아 르네상스는 고대 로마의 유산, 지리적 이점, 도시 국가의 발달과 정치적 자유, 상업 발달로 인한 경제적 번영, 동로마 제국 멸망 이후 고전 지식의 유입, 흑사병으로 인한 사회 변화, 그리고 강력한 후원 문화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4. 2. 초기 르네상스의 전개
르네상스를 특징짓는 사상은 13세기 말에서 14세기 초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시작되었다고 보는 견해가 많다.[12] 이 시기 피렌체 출신의 시인 단테(1265년~1321년)는 초기 르네상스를 예고한 인물 중 한 명으로 꼽힌다. 그는 정치적 갈등으로 피렌체에서 추방되어 유랑 생활을 하던 중 대표작인 『신곡』을 완성했다. 이 작품에서 단테는 고대 로마의 시인 베르길리우스를 안내자로 삼아 지옥과 연옥을 여행하며 영혼의 정화를 통해 천국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그렸다. 이를 통해 고전 문학과 가톨릭 신앙을 조화시킨 대서사시를 창조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단테는 일반적으로 중세 말기 또는 고딕 시대로 분류된다.
단테보다 한 세대 뒤의 인물인 페트라르카(1304년~1374년)는 고대 로마 제국 시대에 인간성이 가장 잘 발현되었다고 보았으며, 그 이후의 시대를 점차 타락하여 중세라는 암흑기에 이르렀다고 주장했다. 그는 역사를 단순히 종교적 사건의 연속이 아니라 사회 문화적인 진보의 과정으로 이해했으며,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문화유산을 재발견하여 "재생"시켜야 한다고 생각했다. 페트라르카는 수도원 등지에 묻혀 있던 고전 문헌들을 적극적으로 수집하고 연구했으며, 라틴어로 시와 글을 썼다. 이처럼 고전적 교양을 갖추고 인간의 삶의 방식에 대해 사색하는 태도를 인문주의라고 부르게 되었다. 그는 리비우스의 역사서나 키케로의 도덕 철학 등에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최초의 인문주의자로 평가받는다.[30] 그의 이러한 자세는 이후 예술과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회화 분야에서는 조토(1267년~1337년)가 최초의 르네상스인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작품에서 시간과 공간을 표현하는 데 있어 고대 미술의 양식을 참고하여 새로운 길을 열었다. 법률 분야에서는 볼로냐 대학을 중심으로 로마법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바르톨루스는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14세기 중반 이탈리아를 비롯한 유럽 전역을 휩쓴 흑사병(1348년)의 창궐과 여러 정치적 격변으로 인해 이러한 초기 르네상스의 흐름은 잠시 중단되었다.[45][47] 인문주의를 비롯한 르네상스 문화가 다시 본격적으로 꽃피우기 시작한 것은 15세기에 이르러서였다.
4. 3. 르네상스의 절정과 확산
오스만투르크의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1453년)은 르네상스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이 사건은 동로마 제국의 종말을 고하고, 수많은 그리스 학자들이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귀중한 문헌들을 가지고 이탈리아로 망명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들의 유입은 이탈리아에 새로운 지적 활력을 불어넣었으며, 유럽의 기존 종교적 질서가 변화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164][14][15][16]14세기에 흑사병과 정치적 혼란으로 잠시 주춤했던 인문주의는 15세기에 이르러 다시 활짝 피어났다. 이탈리아 학자들은 고대 라틴어 문헌에 이어 그리스어 문헌 연구에 몰두했으며, 이는 콜루치오 살루타티가 비잔틴 학자 마누엘 크리소로라스를 피렌체로 초빙하여 그리스어를 가르치게 한 1396년 이후 더욱 활발해졌다.[38]
15세기 이탈리아에서는 피렌체, 밀라노, 로마, 베네치아, 나폴리, 페라라 등 여러 도시에서 르네상스 문화가 절정을 이루었다. 특히 피렌체의 메디치 가문, 밀라노의 스포르차가, 페라라의 에스테가와 같은 유력 가문들은 예술과 학문의 강력한 후원자 역할을 하며 르네상스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155] 그러나 15세기 말, 지롤라모 사보나롤라의 개혁 운동으로 피렌체의 예술 활동은 잠시 위축되었고, 프랑스와의 전쟁으로 밀라노의 스포르차 가문도 몰락했다(1515년).[155] 이 시기 교황 중에서도 문예 보호에 힘쓴 르네상스 교황들이 등장하면서 로마가 새로운 예술의 중심지로 부상했고, 산 피에트로 대성당 건설과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155]
르네상스 초기에는 인문학 연구가 강조되었으나, 점차 과학과 예술의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같은 인물들은 해부학, 자연 관찰, 공기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그는 실험과 관찰을 중시하는 연구 방법을 통해 후대 과학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71][72] 또한, 15세기 말 루카 파치올리는 회계에 관한 최초의 저서를 출판하여 현대 회계학의 기초를 마련했다.[70]
16세기에 들어서면서 르네상스는 이탈리아를 넘어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었고, 나아가 대항해 시대를 통해 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 등 다른 대륙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이탈리아 내부에서는 로마 약탈(1527년) 사건으로 로마가 큰 타격을 입었고, 종교 개혁과 반종교 개혁의 갈등 속에서 문화의 중심은 점차 북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155] 로마 교회는 트리엔트 공의회를 통해 내부를 정비하고, 신대륙에서 유입된 부를 바탕으로 바로크 시대를 열었지만, 이탈리아의 문화적 주도권은 점차 약화되었다.[155]

이 시기는 과학 혁명의 서막이기도 했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1492년)은 기존의 고전적 세계관에 큰 충격을 주었고,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문학이나 갈레누스의 의학 이론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는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에서 지동설을 주장하며 우주관의 근본적인 변화를 예고했고,[76]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는 ''인체의 구조''를 통해 인체 해부에 기반한 실증적 의학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77] 프랜시스 베이컨, 갈릴레오 갈릴레이 등은 경험적 증거와 수학적 분석을 중시하는 새로운 과학적 방법을 제시하며 근대 과학의 토대를 마련했다.[77][78][79]
그러나 이탈리아는 이탈리아 전쟁 등으로 정치적 분열과 외세의 간섭을 겪으며 국가 통일이 늦어졌고, 사회·정치적 근대화에서는 뒤처지게 되었다.[155] 1600년 조르다노 브루노가 우주의 무한성을 주장했다는 이유로 이단으로 몰려 화형당하고, 이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종교 재판을 받는 등 자유로운 과학 연구가 억압되면서 이탈리아에서의 르네상스는 점차 막을 내리게 되었다.[155]
르네상스 시대는 단순히 문화적 부흥기만은 아니었다. 페스트의 재유행, 끊임없는 전쟁과 정치적 암투(니콜로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이 이 시대를 배경으로 쓰였다), 그리고 여전히 사회 전반에 퍼져 있던 마술과 미신 등 어두운 이면도 공존했던 격동의 시대였다.[155] 문화적 혜택 역시 일부 지배층과 지식인에게 집중되는 경향이 있었다.
5. 지역별 르네상스
(내용 없음)
5. 1. 이탈리아 르네상스
14세기부터 16세기에 걸쳐 이탈리아에서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문화에 대한 관심이 되살아나면서 인간 중심적인 가치를 강조하는 새로운 문화 운동이 일어났다. 이를 르네상스(Renaissance, rinascimento|리나시멘토ita)라고 부른다. 이 운동은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어 16세기까지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었으며, 미술, 건축, 철학, 문학, 음악, 과학, 기술, 정치, 종교 등 사회 전반에 걸쳐 깊은 영향을 미쳤다.[21]
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피렌체, 베네치아, 밀라노와 같은 이탈리아 도시들의 성장이 있었다. 이 도시들은 지중해 무역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했고, 이 경제력을 바탕으로 영주나 교황의 간섭에서 벗어나 자치권을 확보했다. 정치적, 경제적 자유가 확대되면서 점차 신 중심의 세계관에서 벗어나 인간 자체와 현세의 삶에 대한 관심이 커지기 시작했다.
르네상스의 핵심 사상 중 하나는 고전 고대의 학문과 예술을 부활시키려는 인문주의였다. 인문주의자들은 고대 문헌 연구를 통해 인간의 이성과 존엄성, 그리고 잠재력을 강조했으며, 이는 예술과 사상 전반에 큰 영향을 주었다. 미술에서는 고전적인 형식미와 함께 인간과 자연에 대한 사실적인 묘사가 중요하게 여겨졌고, 원근법과 같은 새로운 기법들이 발전했다.

르네상스 예술은 특히 피렌체를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이후 로마와 베네치아에서 전성기를 맞이한 뒤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이러한 문화적 번영에는 메디치 가문과 같은 유력 가문들의 후원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13] 이들은 막대한 부를 바탕으로 예술가와 학자들을 지원하며 르네상스 문화가 꽃피는 데 기여했다.
르네상스는 고전 문화의 부활을 통해 인간 중심적인 가치를 재발견하고 예술, 학문, 사상 등 다방면에 걸쳐 새로운 시대를 열었지만, 동시에 흑사병의 유행이나 잦은 전쟁, 정치적 분열 등 혼란과 불안이 공존했던 시대이기도 했다. 이탈리아는 문화적으로는 유럽을 선도했지만, 정치적으로는 통일을 이루지 못하고 외세의 영향을 받는 등 근대 국가로의 발전은 더디게 진행되었다.
5. 1. 1. 인문주의
이탈리아의 르네상스는 인문주의, 즉 신 중심에서 사람 중심으로 생각이 바뀌는 지적 흐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는 이탈리아 중북부가 도시주 형태의 자치 상태에 있었던 점과도 연관된다. 특히 피렌체는 지중해 무역으로 번영하여 토스카나 지방의 중심지였으며, 14세기경부터 교회, 이슬람 세계, 동로마 제국 등의 고전 문화에 영향을 받았다.중세가 고대 그리스와 아랍의 자연과학, 철학, 수학 관련 저술 연구에 거의 전적으로 집중했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르네상스 학자들은 라틴어와 그리스어 문학, 역사, 수사학 관련 텍스트의 발굴과 연구에 가장 큰 관심을 가졌다. 이는 14세기에 라틴어 단계로 시작되었는데, 페트라르카, 콜루치오 살루타티 (1331–1406), 니콜로 데 니콜리 (1364–1437), 포지오 브라치올리니 (1380–1459) 등의 르네상스 학자들이 키케로, 루크레티우스, 리비우스, 세네카 등 라틴 작가들의 작품을 찾아 유럽의 도서관을 뒤졌다.[30] 15세기 초까지 대부분의 기존 라틴 문학이 발굴되었고, 서유럽 학자들이 고대 그리스 문학, 역사, 수사학 및 신학 텍스트를 발굴하면서 르네상스 인문주의의 그리스어 단계가 시작되었다.[31]
고대부터 서유럽에서 보존되고 연구되어 온 라틴 텍스트와는 달리, 고대 그리스 텍스트 연구는 중세 서유럽에서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과학, 수학, 철학에 관한 고대 그리스 저술은 중세와 이슬람 황금기(일반적으로 번역본을 통해)에 서유럽에서 연구되었지만, 그리스 문학, 수사학 및 역사 저술 (예: 호메로스, 그리스 희곡 작가들, 데모스테네스, 투키디데스)은 라틴어권이나 중세 이슬람 세계에서는 연구되지 않았다. 중세 시대 이러한 종류의 텍스트는 비잔틴 학자들에 의해서만 연구되었다. 오스만 제국의 정복으로 그리스 학자들이 이탈리아 도시로 이주하게 되었다는 주장이 있으며,[34][14][36] 이는 고대 후기 이후 처음으로 이러한 모든 종류의 그리스 문화 작품을 서유럽으로 다시 가져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아비케나와 아베로에스 등의 무슬림 논리학자들은 이집트와 레반트을 정복한 후 그리스 사상을 계승했다. 이러한 사상에 대한 그들의 번역과 주석은 아랍 서부를 통해 이베리아 반도와 시칠리아로 전파되었고, 이곳은 사상 전달의 중요한 중심지가 되었다. 11세기에서 13세기 사이에, 이베리아 반도에서는 철학 및 과학 저술을 고전 아랍어에서 중세 라틴어로 번역하는 여러 학교가 설립되었는데, 특히 톨레도 번역 학교가 대표적이다. 이슬람 문화에서 이루어진 이 번역 작업은 역사상 가장 위대한 사상 전달 중 하나였다.[37]
그리스 문학, 역사, 수사학 및 신학 텍스트의 정규 연구를 서유럽 교육 과정에 재통합하려는 운동은 일반적으로 1396년 콜루치오 살루타티가 비잔틴 외교관이자 학자인 마누엘 크리소로라스 (약 1355–1415)를 초청하여 피렌체에서 그리스어를 가르치게 한 것으로 거슬러 올라간다.[38] 이러한 유산은 바실리오스 베사리온에서 레오 알라티우스에 이르기까지 여러 그리스 학자들에 의해 계승되었다.
어떤 면에서 르네상스 인문주의는 철학이라기보다는 학습 방법이었다. 저자들 간의 모순을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춘 중세 스콜라 방식과는 달리,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들은 고대 텍스트를 원어로 연구하고 추론과 경험적 증거를 결합하여 평가했다. 인문주의 교육은 Studia Humanitatis|스투디아 후마니타티스la 프로그램, 즉 다섯 가지 인문학 분야인 시, 문법, 역사, 윤리 철학, 그리고 수사학의 연구를 기반으로 했다. 역사가들이 인문주의를 정확하게 정의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던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언어, 문학, 학문, 가치를 회복하고 해석하며 동화시키는 운동"이라는 중도적인 정의에 동의한다.[55] 무엇보다도 인문주의자들은 "인간의 천재성... 인간 정신의 독특하고 놀라운 능력"을 주장했다.[56]
인문주의 학자들은 근대 초기에 걸쳐 지적 풍토를 형성했다. 니콜로 마키아벨리와 토머스 모어와 같은 정치 철학자들은 그리스와 로마 사상가들의 사상을 되살려 현대 정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적용했으며, 이븐 할둔의 이슬람적 발걸음을 따랐다.[58][59]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는 르네상스의 "선언문"인 ''인간의 존엄성에 관한 연설''을 썼는데, 이는 사고에 대한 활기찬 옹호였다. 또 다른 인문주의자인 마테오 팔미에리(1406-1475)는 그의 저서 Della vita civile|델라 비타 치빌레it("시민 생활에 관하여"; 1528년 인쇄)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이 책에서 그는 시민 인문주의를 옹호했고, 토스카나어를 라틴어와 같은 수준으로 발전시키는 데 영향을 미쳤다. 팔미에리는 로마 철학자들과 이론가들, 특히 키케로의 영향을 받았는데, 키케로는 팔미에리처럼 시민이자 관리로서 활동적인 공직 생활을 했을 뿐만 아니라 이론가이자 철학자이기도 했으며 퀸틸리아누스의 영향도 받았다. 아마도 그의 인문주의에 대한 관점을 가장 간결하게 표현한 것은 1465년 시 작품인 La città di vita|라 치타 디 비타it일 것이지만, 이전 작품인 Della vita civile|델라 비타 치빌레it가 좀 더 광범위하다. 1430년 페스트가 유행하던 시기에 피렌체 외곽 무젤로 시골의 시골집을 배경으로 한 일련의 대화 형식으로 구성된 팔미에리는 이상적인 시민의 자질에 대해 논한다. 대화에는 아동의 정신적, 육체적 발달 방식, 시민들이 도덕적으로 처신하는 방법, 시민과 국가가 공직 생활에서 청렴성을 어떻게 확보할 수 있는지, 그리고 실용적으로 유용한 것과 정직한 것 사이의 차이에 대한 중요한 논쟁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인문주의자들은 완벽한 정신과 육체를 가지고 사후 세계로 승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었고, 이는 교육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인문주의의 목적은 지적이고 육체적인 탁월함을 결합한 인물로서 어떤 상황에서든 명예롭게 기능할 수 있는 uomo universale|우오모 우니베르살레it(보편인)를 창조하는 것이었다.[60] 이 이데올로기는 고대 그리스-로마의 이상을 따른 것이다. 르네상스 시대의 교육은 주로 고대 문학과 역사로 구성되었는데, 고전이 도덕적 지도와 인간 행동에 대한 심오한 이해를 제공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페트라르카(1304년 - 1374년)는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야말로 인간성이 긍정되었던 이상적인 시대이며, 중세(기독교 공인 이후 로마 제국이 쇠퇴한 시대)를 암흑 시대라고 생각했다. 페트라르카는 수도원에 보관되어 있던 고대 문헌을 수집하여 라틴어로 시를 짓고 저술했는데, 이처럼 고전적 교양을 갖추고 인간의 삶에 대해 사색하는 지식인을 Umanista|우마니스타it(인문주의자)라고 부르게 되었다. 또한 1453년 콘스탄티노플 함락(동로마 제국 멸망) 전후로 많은 그리스 지식인들이 이탈리아로 망명해왔다. 말기 동로마 제국에서는 고대 그리스 문화 연구가 활발했으며(팔레올로고스 왕조 르네상스), 그들이 가져온 고대 그리스·로마의 서적과 지식은 고대 문화 연구를 활발하게 했다. 인문주의자 중 한 명인 마르실리오 피치노(1433년 - 1499년)는 메디치가의 플라톤 아카데미의 중심 인물로 플라톤의 저서를 번역했다.
르네상스 시대 도서관의 독특한 특징 중 하나는 대중에게 개방되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도서관은 사상이 교류되고 학문과 독서가 정신과 영혼에 유익하고 즐거운 활동으로 여겨지는 장소였다. 자유로운 사고가 당시의 특징이었기에 많은 도서관에는 다양한 작가들의 저서가 소장되어 있었다. 고전적인 저술과 인문주의적 저술이 함께 존재했다. 이러한 지식인들의 비공식적인 모임은 르네상스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르네상스 시대 사서직의 필수적인 도구는 도서관의 장서를 목록화, 설명, 분류하는 목록이었다.[61] 일부 부유한 "서적 애호가"들은 도서관을 책과 지식의 사원으로 건설했다. 많은 도서관은 막대한 부와 서적에 대한 애정이 결합된 결과물로 나타났으며, 정성스럽게 도서관을 건립한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소장품을 이용할 기회를 제공하는 데에도 헌신했다.

인문주의의 새로운 이상은 어떤 면에서는 더 세속적이었지만, 특히 북유럽 르네상스에서 기독교적 배경에 맞서 발전했다. 새로운 예술의 상당 부분, 아니 대부분이 로마 가톨릭교회의 의뢰를 받거나 헌정된 것이었다.[22] 그러나 르네상스는 당대 신학, 특히 인간과 신의 관계를 사람들이 인식하는 방식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22] 당대 가장 저명한 신학자들 중 많은 수가 에라스뮈스, 울리히 츠빙글리, 토머스 모어, 마르틴 루터, 장 칼뱅을 포함하여 인문주의적 방법론의 추종자들이었다. 에라스뮈스와 루터와 같은 성직자들은 신약 성서에 대한 인문주의적 본문 비평에 기반하여 종종 교회 개혁을 제안했다.[22] 이는 종교 개혁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15세기가 되자 이탈리아의 작가, 예술가, 건축가들은 일어나고 있는 변화를 잘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신의 작품을 묘사하기 위해 modi antichi|모디 안티키it(고대 방식) 또는 alle romana et alla antica|알레 로마나 에트 알라 안티카it(로마인과 고대인의 방식)와 같은 표현을 사용했다. 1330년대 페트라르카는 기독교 이전 시대를 antiqua|안티콰la(고대)라고, 기독교 시대를 nova|노바la(새로운)라고 언급했다.[85] 페트라르카의 이탈리아적 관점에서 이 새로운 시대(그의 시대를 포함)는 국민적 쇠퇴의 시대였다.[85] 레오나르도 브루니는 그의 "피렌체 인민의 역사"(1442년)에서 3분법적 시대 구분을 사용한 최초의 인물이다.[86] 브루니의 처음 두 시대는 페트라르카의 시대 구분을 기반으로 했지만, 그는 이탈리아가 더 이상 쇠퇴기에 있지 않다고 믿었기 때문에 세 번째 시대를 추가했다. 플라비오 비온도는 "로마 제국의 쇠퇴로부터의 역사의 10년"(1439~1453년)에서 유사한 틀을 사용했다.
인문주의 역사가들은 당대의 학문이 고전 시대와의 직접적인 연결을 회복시켜 중세 시대를 우회했으며, 그들은 그 시대를 처음으로 "중세"라고 명명했다. 이 용어는 1469년 라틴어로 media tempestas|메디아 템페스타스la(중간 시대)로 처음 등장한다.[87] 그러나 rinascita|리나시타it(재생)라는 용어는 1550년(개정판 1568년) 조르조 바사리의 "예술가들의 일생"에서 광범위한 의미로 처음 등장했다.[88][89] 바사리는 이 시대를 세 단계로 나누며, 이러한 발전을 이끈 것은 고전 고대에 대한 인식의 증가뿐만 아니라 자연을 연구하고 모방하려는 욕구의 증가이기도 했다고 보았다.[90]
5. 1. 2. 건축
이탈리아에는 고대 로마 제국의 유물이 풍부하여 조각가나 건축가들이 이를 직접 연구하고 배울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있었다. 건축 분야에서는 필리포 브루넬레스키가 르네상스 양식의 시작을 열었다고 평가받는다. 그는 고대 고전 건물의 유적을 연구하는 데 앞장섰으며, 1세기 건축가 비트루비우스의 재발견된 지식과 당시 발전하던 수학을 바탕으로 고전 형식을 모방하고 개선한 르네상스 양식을 정립했다. 특히 당시 기술적으로 매우 어려웠던 피렌체 대성당의 거대한 돔을 성공적으로 건설하면서 큰 명성을 얻었다.[66] 이는 중세의 장인과는 다른, 높은 교양과 과학적 지식을 갖춘 새로운 건축가상의 등장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그가 설계한 피렌체의 옛 성구실(1421~1440)은 필라스터를 통합된 시스템으로 사용한 초기 건물 중 하나로 꼽힌다.[67]브루넬레스키 이후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 도나토 브라만테 등이 등장하여 르네상스 건축을 더욱 발전시켰다. 인문주의자 알베르티는 "인간은 모든 것이 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며 건축 이론과 실제 건축(예: 만토바의 산탄드레아 성당) 모두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고, 아치를 기념비적인 건축물에 적극적으로 활용한 선구자였다. 그는 르네상스의 이상적인 인간상인 "만능인"의 전형으로 여겨진다.
전성기 르네상스 시대의 대표적인 건축 사업으로는 성 베드로 대성당의 재건축을 들 수 있다. 이는 브라만테,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상갈로, 카를로 마데르노 등 당대 최고의 건축가들의 역량이 결집된 결과물이었다.
르네상스 시대 건축가들은 기둥, 필라스터, 엔타블러처를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으로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로마식 기둥 양식인 토스카나식 기둥과 합성식 기둥이 사용되었으며, 이 기둥들은 아케이드나 아키트레이브를 지지하는 구조적 역할뿐만 아니라 벽면에 필라스터 형태로 부착되어 장식적인 역할도 수행했다. 아치는 주로 반원형 또는 부채꼴 모양(특히 매너리즘 양식에서)이었고, 종종 기둥이나 코린트식 기둥 머리 위에 세워진 아케이드에 사용되었다. 르네상스 양식의 볼트(천장)는 고딕 건축의 늑골 볼트와 달리 늑골이 없으며, 반원형 또는 부채꼴 모양에 정사각형 평면을 갖는 특징을 보인다.
주요 르네상스 건축가로는 필리포 브루넬레스키,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 도나토 브라만테, 미켈란젤로, 안드레아 팔라디오 등이 있다.
5. 1. 3. 회화
회화에서는 마사초가 그 서막을 열었다. 그의 자연주의적 태도는 이후 프란체스카, 베로키오 등의 원근법, 해부학 연구 등으로 이어졌다.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는 건축과 회화를 넘나드는 방대한 저술로 인문주의자의 한 전형이 되었으며, "인간은 모든 것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말로 유명하다. 이후 미켈란젤로, 레오나르도 다 빈치, 라파엘로와 같은 박식가들이 등장하여 회화, 건축, 조각 등 여러 분야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여주었다.르네상스 미술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매우 사실적인 선 원근법의 발전이었다. 조토는 그림을 공간으로 향하는 창으로 처음 다룬 인물로 평가받으며, 건축가 브루넬레스키의 실증과 알베르티의 저술을 통해 원근법이 예술 기법으로 공식화되었다.[62]

원근법의 발전은 예술에서 사실주의로 나아가는 더 넓은 경향의 일부였다.[63] 화가들은 빛과 그림자를 연구하고, 특히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해부학을 연구하는 등 다른 기법들을 개발했다. 이러한 변화의 바탕에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묘사하고 미학의 원리를 밝히려는 새로운 열망이 있었으며,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의 작품은 후대 예술가들이 모방하는 예술의 정점으로 여겨진다.[64] 이 시기 주목할 만한 다른 예술가로는 피렌체 메디치가를 위해 활동했던 산드로 보티첼리와 베네치아의 티치아노 등이 있다.
네덜란드에서는 활발한 예술 문화가 발전했다. 휴고 반 더 고스와 얀 반 에이크의 작품은 유화와 캔버스의 도입이라는 기술적 측면과 표현의 자연주의라는 양식적 측면 모두에서 이탈리아 회화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후 피터르 브뤼헐의 작품은 예술가들에게 일상생활의 주제를 묘사하도록 영감을 주었다.[65]
르네상스 예술가들은 고대를 존경했지만, 중세의 일부 사상과 상징을 유지하며 기독교적 세계관을 벗어나지는 않았다. 예를 들어 니콜라 피사노는 성경 장면을 묘사하며 고전 형식을 모방했다. 피사 세례당에 있는 그의 ''수태고지'' 조각은 고전 모델이 문학 운동으로서의 르네상스 이전에 이미 이탈리아 미술에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68]

(1477-8년경, 우피치 미술관)
5. 1. 4. 조각
15세기 초, 이탈리아 조각은 이전까지 이어져 오던 중세 양식에서 벗어나 두 가지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기 시작했다. 하나는 고전 형식의 재현이고, 다른 하나는 적극적인 사실적 표현이다.[165]르네상스의 휴머니즘은 인간을 만물의 척도로 여기는 고대 사상과 맞닿아 있었는데, 이러한 관심이 고전 예술 형식의 부활로 이어졌다. 동시에 휴머니즘은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정신을 강조하며, 이는 중세 말 북유럽에서 나타난 자연주의와 연결되기도 했다. 하지만 15세기 르네상스의 자연주의는 중세와는 달랐다. 직관보다는 과학적 분석을 중시했고, 신의 질서를 상징하기보다는 자연 그 자체를 탐구하며 세계를 있는 그대로 연구하려 했다. 이러한 경향 속에서 나체상이 다시 중요한 예술 주제로 등장하게 되었다.[165] 미켈란젤로와 같은 예술가들은 조각을 포함한 여러 분야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이며 이러한 시대정신을 구현했다.
5. 1. 5. 음악
르네상스 시대 음악은 강력한 교황들의 후원을 받으며 발전했으며, 특히 시스티나 성당의 성가대는 전 유럽의 뛰어난 음악가와 성악가들로 구성되었다. 초기 르네상스 음악은 이탈리아보다는 부르고뉴와 플랑드르 지역이 중심이었으며, 기욤 뒤파이와 같은 작곡가들이 활동했다.15세기 이후 프랑코-플랑드르 악파를 중심으로 다성 음악 양식이 발전하여 유럽 전역에 퍼져나갔다. 인쇄술의 발달은 악보의 광범위한 유통을 가능하게 하여 음악 보급에 크게 기여했다. 또한 새롭게 성장한 부르주아 계층은 오락과 교양 활동으로서 음악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켰다. 이 시기에는 조스캥 데 프레와 같은 작곡가들이 샹송, 모테트, 미사곡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약했다.
16세기 후반에는 팔레스트리나, 오를란드 드 라수스, 토마스 루이스 데 비토리아, 윌리엄 버드 등의 작곡가들이 활동하며 다성 음악 양식이 더욱 세련되고 유연하게 통합되었다. 특히 이탈리아에서는 르네상스 후기에 이르러 팔레스트리나가 등장하여 로마 악파를 중심으로 교회 음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한편, 르네상스 후기 피렌체에서는 조반니 데 바르디 백작의 후원으로 카메라타라는 지식인 그룹이 결성되었다. 이들은 고대 그리스 음악의 부흥을 목표로 삼았으며, 기존의 복잡한 폴리포니(다성 음악)가 가사 전달을 어렵게 한다고 비판했다. 카메라타의 주요 멤버로는 줄리오 카치니, 류트 연주자이자 과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아버지인 빈첸초 갈릴레이, 피에트로 스트로치가 있었다. 이들은 가사와 감정 표현을 중시하는 모노디 양식이라는 새로운 독창 스타일을 만들어냈으며, 이는 이후 바로크 음악 발전의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카메라타의 활동은 동시대 작곡가들에게 영향을 주어 고대 그리스 비극을 모델로 한 오페라라는 새로운 장르를 탄생시켰다. 야코포 페리의 《다프네》(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오페라로 추정)나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의 《포페아의 대관식》과 같은 초기 오페라 걸작들이 이 시기에 작곡되었다.
작곡가 | 주요 활동 시기/지역 | 주요 특징/작품 |
---|---|---|
기욤 뒤파이 | 15세기 / 부르고뉴, 이탈리아 | 부르고뉴 악파 중심, 다성 음악 |
조스캥 데 프레 | 15세기 말 ~ 16세기 초 / 프랑스, 이탈리아 | 프랑코-플랑드르 악파, 모테트, 미사곡 |
팔레스트리나 | 16세기 후반 / 이탈리아 (로마) | 로마 악파, 다성 음악의 정점, 교회 음악 |
오를란드 드 라수스 | 16세기 후반 / 플랑드르, 독일 (뮌헨) | 국제적 양식, 다양한 장르 작곡 |
토마스 루이스 데 비토리아 | 16세기 후반 / 스페인, 로마 | 스페인 악파, 종교 음악 |
윌리엄 버드 | 16세기 후반 ~ 17세기 초 / 영국 | 영국 르네상스 음악, 교회 음악, 기악 음악 |
카메라타 관련 인물 (줄리오 카치니, 빈첸초 갈릴레이 등) | 16세기 후반 / 이탈리아 (피렌체) | 고대 그리스 음악 부흥 시도, 모노디 양식 창안 |
야코포 페리 | 16세기 말 ~ 17세기 초 / 이탈리아 (피렌체) | 초기 오페라 작곡가 (예: 다프네) |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 16세기 말 ~ 17세기 중반 / 이탈리아 (만토바, 베네치아) | 르네상스 후기 ~ 바로크 초기, 오페라 발전 기여 (예: 포페아의 대관식) |
5. 1. 6. 메디치 가문
이탈리아 르네상스가 만개한 주요 도시로는 피렌체, 밀라노, 로마, 베네치아 등이 있으며, 이들 도시에서는 학술과 예술 발전을 위한 후원이 활발했다. 특히 피렌체의 르네상스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후원 가문으로 메디치 가문이 잘 알려져 있다. 밀라노의 스포르차 가문 등 다른 후원 가문도 존재했다.
메디치 가문은 13세기 피렌체에서 상업과 은행업으로 성공했으며, 교황청의 재산을 관리하면서 강력한 재력을 쌓았다. 15세기부터 약 300년 동안 르네상스의 사상, 예술, 과학 등 다양한 분야를 폭넓게 후원하며 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르네상스가 다른 지역이 아닌 피렌체에서 시작된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논의가 있는데, 많은 학자들은 은행가이자 훗날 공작령을 다스리는 가문이 된 메디치 가문이 예술을 후원하고 장려한 역할을 중요한 요인으로 꼽는다.[52] 물론 레오나르도, 보티첼리, 미켈란젤로와 같은 위대한 예술가들이 우연히 토스카나에서 태어났기 때문이라는 시각도 있지만,[52] 당시 피렌체의 문화적 환경이 이들의 성장을 뒷받침했다는 주장이 더 설득력을 얻고 있다.[53]
가문의 대표적인 인물인 로렌초 데 메디치 (1449–1492)는 예술 후원에 있어 촉매제와 같은 역할을 했다. 그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 산드로 보티첼리,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 등 당대 피렌체의 주요 예술가들에게 작품 제작을 의뢰하도록 시민들을 독려했다.[13] 미켈란젤로는 15세 때 메디치 가문의 궁전에서 2년간 머물며 수많은 미술 작품을 접하고 예술적 소양을 키울 수 있었다.
하지만 르네상스가 로렌초 데 메디치나 메디치 가문이 피렌체 사회에서 패권을 잡기 전부터 이미 진행되고 있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메디치 가문의 후원은 르네상스의 발전을 가속화하고 풍요롭게 만든 중요한 요소였지만, 유일한 원인은 아니었다. 15세기 말 지롤라모 사보나롤라의 개혁으로 피렌체의 예술이 잠시 쇠퇴하기도 했다.
5. 1. 7. 혼란의 시대
르네상스 시대는 문화가 꽃피었던 시대로 알려져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흑사병의 유행, 끊임없는 정치적 분쟁과 전쟁이 지속된 혼란의 시대이기도 했다. 문화적 풍요를 누릴 수 있었던 것은 일부 궁정이나 교황청과 같은 극소수 계층에 한정되었으며, 일반 민중 사이에서는 여전히 미신과 마술이 널리 믿어졌다.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군주론』을 저술한 배경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시대는 정쟁과 전란이 끊이지 않는 격동기였다.14세기 중반 유럽을 강타한 흑사병은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1348년에서 1350년 사이, 피렌체를 비롯한 이탈리아 도시들은 흑사병으로 인구가 급감하는 등 특히 큰 피해를 보았다.[45] 피렌체의 경우 1347년에 인구가 거의 절반으로 줄었다. 이러한 대규모 죽음은 사람들로 하여금 사후세계보다는 현세의 삶에 더 집중하게 만들었다는 해석도 있으며,[45] 다른 한편으로는 종교 예술 후원을 통해 신앙심을 표현하려는 경향을 강화했다는 주장도 있다.[46] 흑사병으로 인한 인구 감소는 노동력 부족을 야기했고, 이는 노동 계급의 가치 상승과 사회적 이동성 증가로 이어졌다.[48] 또한 식량 가격 하락과 토지 가치 하락(1350년에서 1400년 사이 30~40% 하락)을 가져와, 살아남은 일반 민중에게는 예상치 못한 경제적 이득을 안겨주기도 했다.[49] 그러나 질병은 위생 상태가 열악한 도시 빈민가와 어린이들에게 특히 치명적이었다.[50] 흑사병은 피렌체의 사회 및 정치 구조에 큰 혼란을 야기했지만, 지배 계급의 많은 사망에도 불구하고 정부 기능은 유지되었다.[51]
정치적으로도 이탈리아는 불안정한 상태였다. 후기 중세 이탈리아는 통일된 국가가 아니라 나폴리 왕국, 피렌체 공화국, 교황령, 밀라노 공국, 제노바 공화국, 베네치아 공화국 등 여러 도시 국가와 영토로 분열되어 있었다.[39] 이러한 소국들은 서로 경쟁하고 외세의 간섭을 받으며 이탈리아 전쟁과 같은 분쟁에 휘말렸다. 이로 인해 이탈리아의 국가 통일은 지연되었고, 정치 및 사회의 근대화 과정에서 다른 유럽 국가들에 비해 뒤처지는 결과를 낳았다.

종교적으로도 르네상스는 혼란의 시기였다. 후기 중세 교황청은 정치적 음모와 서방 분열로 권위가 흔들렸고,[83] 이후에도 성직매매(simony), 족벌주의(nepotism) 등 부패 문제로 비판받았다. 특히 알렉산더 6세 교황 시기의 부패는 악명이 높았다.[84] 이러한 상황 속에서 에라스무스, 마르틴 루터와 같은 인문주의자들은 성서 연구를 바탕으로 교회 개혁을 주장했고,[22] 이는 결국 종교 개혁으로 이어져 서유럽 기독교 세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사상과 과학 연구 또한 자유롭지 못했다. 1600년 우주의 무한성을 주장했던 조르다노 브루노가 이단으로 몰려 화형당하고,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지동설을 주장했다는 이유로 종교재판을 받은 사건은 당시 이탈리아에서 자유로운 과학 연구가 얼마나 어려웠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예술 분야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16세기 후반 이탈리아 미술은 형식주의적인 매너리즘(manierismo) 경향을 보이기 시작했고, 창조적인 에너지는 점차 북유럽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17세기 이탈리아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후원 아래 바로크 미술이 발전했기 때문에 문화적으로 완전히 침체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문화의 중심지는 점차 이탈리아를 벗어나 프랑스 등 다른 지역으로 옮겨가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르네상스 시대는 문화적 성취 이면에 흑사병, 전쟁, 정치적 분열, 종교적 갈등, 사상적 억압 등 여러 어두운 그림자를 안고 있던 복합적인 시대였다.
5. 2. 프랑스 르네상스

프랑스 르네상스는 15세기 말부터 17세기 초까지 프랑스에서 전개된 문화 및 예술 운동이다. 이 운동은 근세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르네상스가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면서 프랑스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탈리아 르네상스와 유사하게, 프랑스 르네상스는 삶에 대한 새로운 인식, 인간 중심적 사고, 지식에 대한 탐구, 자유의지 존중 등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이는 중세의 가치관에 의문을 제기하고 새로운 형태의 삶과 문명을 추구하는 움직임이었다. 특히 인쇄술의 발달로 정보 확산이 용이해지고, 신대륙 발견으로 인해 당시 사람들의 세계관이 크게 확장된 것도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프랑스 르네상스는 프랑수아 1세와 앙리 2세와 같은 왕들의 적극적인 후원 아래 꽃피웠다. 프랑수아 1세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비롯한 이탈리아 예술가들을 프랑스로 초빙하고 예술품을 수집했으며, 막대한 비용을 들여 샹보르 성과 같은 화려한 궁전들을 건축했다. 이 시기에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프랑스 클로 뤼세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퐁텐블로파가 형성되고 메디치 가문의 영향력이 파리에 미치기 시작했다. 1495년 샤를 8세가 이탈리아 전쟁 이후 이탈리아 르네상스 문화를 프랑스에 도입한 것이 프랑스 르네상스의 시발점으로 여겨진다. 또한 흑사병 창궐 당시 교회가 보여준 무력함은 세속주의 확산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르네상스(Renaissance)"라는 단어는 프랑스어에서 유래했으며, "재생"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18세기에 처음 사용되었고, 19세기 프랑스 역사가 쥘 미슐레가 그의 저서 ''프랑스 역사(Histoire de France)''(1855)에서 사용하면서 널리 알려졌다.[97][98]
1533년, 피렌체 출신의 카트린 드 메디시(1519–1589)가 프랑수아 1세의 둘째 아들인 앙리 2세와 결혼하면서 프랑스 궁정에 이탈리아 문화를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녀는 프랑스 종교 전쟁에서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지만, 예술, 과학, 음악(특히 발레의 기원 포함) 등 고향 피렌체의 선진 문화를 프랑스에 소개하는 데 기여했다.
프랑스 르네상스는 일반적으로 네 시기로 구분된다. 첫 번째 시기는 루이 12세 양식(약 1495-1530)으로, 고딕 양식에서 르네상스 양식으로 전환되는 과도기에 해당한다. 이 양식은 1515년경부터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루아르 계곡 지역에서는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영향이 빠르게 나타났다. 이탈리아와 마찬가지로 프랑스 르네상스도 제1기, 제2기, 그리고 매너리즘 시기로 나뉘며, 이는 17세기 초까지 이어졌다.
주요 분야별 발전
- 회화: 프랑수아 1세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 등을 궁정에 초청하여 이탈리아 르네상스 미술을 적극적으로 수용했다.[161] 이후 로쏘 피오렌티노와 같은 이탈리아 화가들이 초청되어 마니에리즘의 영향을 받은 퐁텐블로파가 활동하며 프랑스 회화 발전에 기여했다. 장 클루에와 같은 프랑스 화가들도 이 시기에 활동했다.
- 문학: 고대 그리스 의학을 연구한 프랑수아 라블레(1483?–1553)는 기성 권위를 풍자한 소설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을 저술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다. 16세기 중반에는 피에르 드 롱사르, 조아킴 뒤 벨레 등 고전 문학을 연구한 젊은 시인들(플레이아드파)이 활동하며 프랑스 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으며, 이는 17세기 프랑스 고전주의 문학으로 계승되었다.
- 사상: 위그노 전쟁이라는 혼란한 시대를 살았던 미셸 드 몽테뉴(1533–1592)는 프랑스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사상가로 평가받는다. 그의 성찰과 사색을 담은 『수상록』(에세이)은 후대 사상가들에게 깊은 영향을 주었다.
- 음악: 장 무통과 같은 작곡가들이 르네상스 정신을 받아들여 활동했다.
5. 3. 독일 르네상스
독일의 르네상스는 이탈리아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바이에른에서 시작되었다. 15세기 후반, 인쇄술의 발달(약 1450년경)과 함께 르네상스 정신은 독일과 저지대 국가로 확산되었다. 독일 르네상스는 이탈리아의 영향이 본격화되기 이전에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ürer, 1471년~1528년)와 같은 독자적인 예술가들이 활동했으며, 르네상스적 요소와 후기 고딕적 요소가 결합된 특징을 보인다. 이는 다른 지역에 비해 독일에 르네상스적 요소가 비교적 늦게 도달했기 때문이다. 합스부르크 가문의 막시밀리안 1세(재위 1493년~1519년)는 신성 로마 제국 최초의 진정한 르네상스 군주로 평가받는다.
독일 르네상스의 대표적인 예술가로는 알브레히트 뒤러가 있으며, 그는 ''아담과 하와'', ''네 사도'', 동판화 ''멜랑콜리아 I'' 등 뛰어난 미술 작품을 남겼다. 초기 개신교 지역에서는 인문주의가 종교 개혁의 격변과 밀접하게 연결되었고, 독일 르네상스의 예술과 문학은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자주 반영했다.[99] 그러나 고딕 양식과 중세 스콜라 철학은 16세기 초까지 강한 영향력을 유지했다.
알브레히트 뒤러 외에도 독일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주요 화가들은 다음과 같다.
세기 | 화가 | 주요 작품 |
---|---|---|
15세기 | 슈테판 로흐너 | 최후의 심판, 성전봉헌, 장미정원의 성모마리아 |
미하엘 파허 | 성 볼프강 제단화, 그리스도의 탄생, 교부들의 제단화 | |
16세기 | 마티아스 그뤼네발트 | 이젠하임 제단화 |
루카스 크라나흐 | 마르틴 루터 부부의 초상, 샘가에 누워있는 강의 요정, 아담과 이브, 파리스의 심판 | |
한스 발둥 그린 |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 프라이부르크 제단화, 인생의 세 단계와 죽음 | |
한스 홀바인 | 헨리 8세 초상화, 대사들 |
또한, 독일의 지식인들은 라틴어 성서 원전을 연구하며 인문주의를 발전시켰고, 이는 마르틴 루터 등으로 대표되는 종교 개혁의 중요한 사상적 바탕이 되었다.
5. 4. 폴란드 르네상스
폴란드의 르네상스는 15세기 후반부터 16세기 후반까지 지속되었으며, 이 시기는 폴란드 황금기로 불리는 폴란드 문화의 전성기였다. 야기에우워 왕조가 통치하던 폴란드 왕국(1569년부터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유럽 전역의 르네상스 흐름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탈리아의 화가, 상인, 사상가들이 폴란드로 유입되면서 크라쿠프를 중심으로 르네상스가 발달하기 시작했다. 15세기 중반 폴란드에 온 초기 이탈리아 인문주의자로는 왕실 고문 겸 의원으로 활동한 필리포 부오나코르시가 있으며, 1518년 밀라노의 보나 스포르차가 지기스문트 1세와 결혼하면서 많은 이탈리아 예술가들이 폴란드로 이주했다.[119] 이러한 문화적 교류는 당시 강화된 군주제와 새로 설립된 대학들에 의해 뒷받침되었다.[120]폴란드는 이 시기에 인구 밀도가 낮은 동부 및 남부 국경 지대의 분쟁을 제외하고는 약 1세기 동안 큰 전쟁 없이 문화적 성장을 경험했다. 건축 양식은 더욱 세련되고 장식적으로 변모했으며, 매너리즘은 코니스 위에 첨탑과 필라스터가 있는 높은 애틱을 특징으로 하는 폴란드 고유의 건축 양식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21] 프란체스코 피오렌티노가 1505년에 완성한 알브레흐트 1세의 묘는 폴란드 최초의 르네상스 양식 작품으로 평가받는다.[117][118] 크라쿠프의 바벨성 내 지기스문트 예배당은 바르톨로메오 베레치가 설계한 대표적인 르네상스 건축물로, 금색 돔과 16세기 폴란드 국왕들의 르네상스 양식 묘비가 특징이다.

지동설을 주장한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와 시인 얀 코하노프스키, 미코와이 레이와 같은 인물들이 이 시기에 활동했다. 이 시기에는 미코와이 레이와 얀 코하노프스키 등의 작품을 포함한 폴란드 문학의 주요 작품들이 출판되었고, 폴란드어는 동중부 유럽의 ''링구아 프랑카''(공용어)로 자리 잡았다.[122] 학문적으로는 야기엘로 대학교가 지역의 주요 고등 교육 기관으로 발전하여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와 콘라드 켈테스를 비롯한 많은 저명한 학자들을 배출했다. 이후 쾨니히스베르크(1544년), 빌뉴스(1579년), 자모시치(1594년)에도 대학이 설립되었다.
종교적으로는 종교 개혁이 전국적으로 평화롭게 확산되었고, 폴란드 형제단과 같은 삼위일체 부정론자 그룹이 등장하기도 했다.[123] 경제적으로는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도시가 성장했으며, 농산물 수출을 통해 귀족(''슈와흐타'')과 거상들이 부를 축적했다. 귀족들은 황금자유라는 새로운 정치 체제 아래에서 지배력을 얻어 군주제의 절대주의 경향에 맞섰다.[124]
르네상스 양식으로 지어진 중요한 기념물은 포즈난, 그단스크, 헤움노 등 다른 여러 도시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슈체친에 있는 슬라브 왕자의 중세 성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르네상스 양식으로 재건되었다.
5. 5. 스페인 르네상스
스페인에서는 이탈리아 등 다른 유럽 국가들과 달리 이데올로기의 변화가 극심하지 않았고, 중세 문화가 혁파되지 않았다. 르네상스는 이베리아 반도에 아라곤 왕관의 지중해 영토와 발렌시아 시를 통해 전파되었다.초기 스페인 르네상스 작가 중 다수는 아라곤 왕관 출신으로, 아우시아스 마르크와 호아노트 마르토렐 등이 있다. 카스티야 왕관에서는 이탈리아 인문주의의 강한 영향을 받았는데, 15세기 초 이탈리아의 새로운 시를 스페인에 소개한 산티야나 후작이 대표적이다. 호르헤 만리케, 페르난도 데 로하스, 후안 델 엔시나, 후안 보스칸 알모가베르, 가르실라소 데 라 베가와 같은 작가들도 이탈리아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가르실라소 데 라 베가는 이탈리아로부터 르네상스 시를 처음 도입한 대표적인 스페인 르네상스 시인이자 작가로 평가받는다. 스페인 문학은 이탈리아의 혁신을 받아들이면서도 서정시집과 같은 이전의 전통을 유지하며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걸작 ''돈키호테''는 이러한 르네상스와 바로크 전기의 문학적 성과를 집대성한 작품이자 최초의 서양 소설로 여겨진다.
16세기 초에는 철학자 후안 루이스 비베스, 문법학자 안토니오 데 네브리하, 자연사가 페드로 데 멕시아와 같은 인물들이 활동하며 르네상스 인문주의가 번성했다. 후기 스페인 르네상스는 루이스 데 레온, 아빌라의 테레사, 십자가의 성 요한과 같은 시인들과 함께 종교적 주제와 신비주의 경향을 보였다. 또한 신대륙 탐험과 관련된 문제를 다룬 잉카 가르실라소 데 라 베가와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 같은 연대기 작가들이 등장하여 스페인 르네상스 문학으로 알려진 작품들을 남겼다.
조형 예술에서는 이탈리아의 기본적인 요소들을 현지 전통과 융합하는 특징을 보였다. 르네상스의 혁신은 스페인에 비교적 늦게 전달되어, 스페인 예술에서의 르네상스는 고딕 양식에서 매너리즘으로 급격하게 변화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스페인 르네상스 건축은 크게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 플라테레스코 (15세기 ~ 16세기 1분기): 16세기 금은 세공사들이 사용한 장식 기법에서 유래한 양식이다. 전반적인 고딕 양식을 유지하면서 파사드에 세밀하고 풍부한 장식을 더하는 것이 특징이다. 살라망카 대학 건물의 파사드 장식이 대표적인 예이다.
- 순수주의 (Purismo) 또는 이탈리아풍 (16세기 전반기): 후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건축의 영향을 받아 보다 정제되고 고전적인 형태를 추구했다. 알람브라의 카를로스 5세 궁전이 대표적이다. 이 양식의 중심지는 안달루시아 지방이었으며, 우베다와 바에사의 안드레스 데 발데비에라, 디에고 데 실로에 등이 주요 건축가로 활동했다.
- 에레리아노 (Herreriano) (1559년 ~ 17세기 중반): 엘 에스코리알 수도원의 건축가 후안 데 에레라의 이름에서 유래한 양식이다. 길게 늘이는 특성을 지닌 매너리즘을 수용한 것으로, 엄격하고 기하학적인 형태와 장식의 절제가 특징이다. 후안 데 에레라가 건축한 엘 에스코리알 수도원은 스페인 르네상스 건축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조각에서는 고딕 양식의 전통이 16세기에 이르기까지 강하게 유지되었다. 새로운 르네상스 양식의 첫 흔적은 펠리페 비가르니와 도메니코 판셀리의 작품에서 나타난다. 이후 점차 성숙한 단계에 이르러서는 규모가 크고 독특한 매너리즘 양식이 발전했으며, 이는 이후 바로크 조각의 기초가 되었다.
회화에서는 고딕 양식의 유산을 유지하는 동시에 이탈리아로부터 유입된 새로운 방식이 공존했다. 이러한 특징은 페드로 베루게테가 우르비노에서 작업한 작품에서 잘 드러난다. 그러나 스페인 르네상스를 가장 특징짓는 것은 매너리즘으로 분류되는 엘 그레코로 대표되는 독특한 양식이다. 후기에는 토마스 루이스 데 빅토리아와 안토니오 데 카베손과 같은 작곡가들도 활동했다.
5. 6. 네덜란드 르네상스
오늘날의 벨기에와 합쳐져 있던 네덜란드는 지리적으로 남유럽과 북유럽을 잇는 중요한 교역로였으며, 이탈리아와 거의 동시대에 르네상스가 전개되었다.15세기 말, 브뤼허를 통한 무역으로 부유해진 플랑드르 지역은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특히 1384년부터 1477년까지 부르고뉴 공국의 지배하에 있던 플랑드르에서는 모직물 공업과 무역이 번성하여 풍부한 문화적 토양을 마련했다. 당시 귀족들은 유럽 전역에서 명성을 얻은 예술가들에게 작품 제작을 의뢰하며 예술 발전을 후원했다.[109]
회화 분야에서는 15세기 후베르트 판 에이크와 얀 반 에이크 형제가 유화 기법을 완성하며 초기 플랑드르 회화 시대를 열었다. 이 시기 플랑드르 회화는 이탈리아와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였으며, 오히려 이탈리아 회화에 큰 영향을 주기도 했다. 다만, 고전 부흥 요소가 부족하여 중세 말기 미술로 분류하는 시각도 존재한다. 16세기에는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영향이 강해져 이를 모방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대표적인 화가로는 기이하고 환상적인 작품 세계를 보여준 히에로니무스 보쉬[110]와 농민의 일상생활과 풍경을 독자적인 화풍으로 묘사한 피터르 브뤼헐(1525년?–1569년) 등이 있다.[109]

사상과 문학에서는 인문주의자이자 가톨릭 지식인인 데시데리우스 에라스뮈스(1466년–1536년)가 가장 중요한 인물로 꼽힌다.[29] 그는 신약 성서를 고대 그리스어 원전에서 직접 번역했으며, 이러한 성서 원전 연구는 기독교의 근원을 탐구하고 중세 가톨릭의 권위에 의문을 제기하는 흐름으로 이어졌다. 에라스뮈스는 그의 저서 『우신예찬』을 통해 당시 가톨릭의 부패와 형식주의를 날카롭게 풍자했다. 비록 그의 연구가 루터, 칼뱅, 츠빙글리 등 많은 종교 개혁가들에게 영향을 주어 종교 개혁의 지적 배경을 제공했지만[156], 에라스뮈스 자신은 자유의지 논쟁 이후 루터와 결별하며 종교 개혁 운동과 거리를 두었다.[157][158]
과학과 지도 제작 분야에서는 해부학자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가 인체 해부학 연구를 선도했으며, 지도 제작 분야에서는 게라르두스 메르카토르가 제작한 지도가 당시 탐험가와 항해사들에게 필수적인 도구로 활용되었다.
음악 분야 역시 네덜란드 르네상스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르네상스 음악의 초기부터 중기까지는 이탈리아보다 네덜란드, 특히 플랑드르 지방이 음악 발전을 주도했으며, 플랑드르 르네상스는 음악 분야에서 특히 두드러졌다고 평가받는다.[159] 기욤 뒤파이는 중세 서양 음악에서 르네상스 음악으로의 전환을 이끈 인물로 평가받으며, 이후 질 뱅슈아, 앙투안 부누아 등이 속한 부르고뉴 악파, 그리고 요하네스 오케겜, 야코프 오브레히트, 조스캥 데 프레 등으로 대표되는 플랑드르 악파(두 악파를 합쳐 네덜란드 악파라고도 함)가 유럽 음악계를 이끌었다.
네덜란드 르네상스는 북방 르네상스의 핵심적인 부분으로서, 이탈리아의 영향을 수용하면서도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 네덜란드 국민 문화의 중요한 기반을 마련했다.
6. 르네상스의 종말
130년간 지속된 것으로 여겨지는 르네상스는 1530년경을 기점으로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에는 여러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다.
경제적으로는 1492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 항로 발견이 큰 영향을 미쳤다. 이 발견 이후 북서부 유럽 상인들은 지중해를 통하지 않고 리스본이나 안트베르펜을 통해 직접 교역하는 것을 선호하게 되면서, 전통적인 무역 중심지였던 이탈리아 도시들의 경제적 중요성이 약화되었다.
종교적으로는 1517년 마르틴 루터가 시작한 종교 개혁이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종교개혁은 서유럽 교회를 로마 가톨릭교회와 개신교로 분열시켰고, 이는 이전까지 교황청에 납부되던 각종 헌금과 세금의 감소로 이어져 이탈리아 도시 국가들의 재정에 타격을 주었다.[155] 결과적으로 이탈리아는 신항로 개척으로 인한 상업 자본의 이동과 종교개혁으로 인한 재정 악화라는 이중고를 겪게 되었다.
정치적으로도 이탈리아는 이탈리아 전쟁과 같은 끊임없는 분쟁과 외부 세력의 간섭으로 극심한 혼란 상태였다. 특히 1527년 발생한 로마 약탈은 르네상스의 중심지였던 로마를 황폐화시키며 시대의 종말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 되었다.[155]
문화적으로는 17세기에 접어들면서 인문주의의 영향력이 점차 약화되고, 종교 개혁과 반종교 개혁의 영향 속에서 예술 분야에서는 바로크 양식이 새롭게 부상했다. 또한, 1600년 조르다노 브루노가 지동설을 넘어서 우주의 무한성을 주장했다는 이유로 이단으로 몰려 화형당한 사건[155]이나 이후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사례는 이탈리아 내에서 자유로운 사상과 과학 연구가 위축되었음을 보여주며 르네상스 정신의 쇠퇴를 가속화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르네상스의 중심지는 점차 이탈리아에서 프랑스를 비롯한 북유럽 국가들로 이동하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르네상스 시대 동안 문화적 선진국으로서 유럽을 근대로 이끄는 역할을 수행했지만, 정치적 분열과 외세의 간섭으로 국가 통일이 지연되었고, 결과적으로 정치 및 사회의 근대화 과정에서는 다른 유럽 국가들에 비해 뒤처지게 되었다.[155]
르네상스 시대는 흔히 문화적 부흥기로 묘사되지만, 페스트의 지속적인 유행,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군주론』에서 묘사했듯이 치열한 정치적 암투와 전쟁이 끊이지 않았던 격동의 시기이기도 했다. 또한 르네상스 문화는 주로 궁정이나 교황청 등 일부 상류층에 의해 향유되었으며, 일반 민중 사이에서는 여전히 마술이나 미신이 강하게 믿어지고 있었다.[155]
7. 같이 보기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내용이 존재하지 않음)
참조
[1]
웹사이트
renaissance
https://dictionary.c[...]
2024-04-04
[2]
서적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Pearson Longman
[3]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Renaissance"
http://www.etymonlin[...]
2009-07-31
[4]
서적
The Renaissance: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 Press
2006
[5]
웹사이트
Leonardo da Vinci
https://www.bbc.co.u[...]
BBC Science and Nature
2007-05-12
[6]
웹사이트
Michelangelo
https://www.bbc.co.u[...]
BBC History
2007-05-12
[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Seventeenth-Century Music: Volume 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Women and Literature in Britain, 1500–170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Renaissance Era Dates
https://www.encyclop[...]
[10]
서적
Renaissance Humanism, from the Middle Ages to Modern Tim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1]
서적
Forever Young: A Cultural History of Longevity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12]
서적
The European Renaissance: Centre and Peripheries
[13]
서적
The Medici: Godfathers of the Renaissance
[14]
백과사전
Renaissance
Encyclopædia Britannica
[15]
서적
History of Libraries in the Western World
Scarecrow Press Incorporate
[16]
서적
A Short History of Byzantium
Knopf
[17]
서적
The Waning of the Middle Ages
[18]
학술지
Renaissance Redux
[19]
서적
(출처 불명)
[20]
학술지
Renaissance Ideas and the Idea of the Renaissance
https://www.jstor.or[...]
[21]
웹사이트
Humanities in the Western Tradition
http://college.hmco.[...]
[22]
웹사이트
Looking at the Renaissance: Religious Context in the Renaissance
http://www.open.ac.u[...]
Open University
2007-05-10
[23]
웹사이트
Looking at the Renaissance: Urban economy and government
http://www.open.ac.u[...]
Open University
2007-05-15
[24]
서적
The Idea of Nationalism: A Study in Its Origins and Background
Macmillan
1944
[25]
서적
The Victory of Reason
Random House
[26]
서적
The Medieval Frontiers of Latin Christendom
Taylor & Francis
2017
[27]
서적
The Aryan Myth: A History of Racist and Nationalist Ideas in Europe
https://archive.org/[...]
Basic Books
[28]
서적
The Feud that sparked the Renaissance: How Brunelleschi and Ghiberti Changed the Art World
Perennial-Harper Collins
[29]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Netherlands: From Prehistory to the Present Day
https://www.worldcat[...]
Bekking
[30]
서적
(출처 불명, harvnb 참조)
[31]
서적
(출처 불명, harvnb 참조)
[32]
서적
Periods of World History: A Latin American Perspective
[33]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A History of Central Asia
[34]
잡지
The Connoisseur
[35]
서적
Europe in the second millennium: a hegemony achieved?
[36]
서적
History of Libraries in the Western World
Scarecrow Press
[37]
서적
Western Civilization: Ideas, Politics,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38]
논문
[39]
서적
Family and Marriage: A socio-leg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05-10
[40]
서적
The Revival of Antiquity
http://www.boisestat[...]
[41]
서적
The Foundations of Modern Political Thou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서적
The Victory of Reason
Random House
[43]
서적
Venice Reconsidered
Johns Hopkins University
[44]
서적
The Republics: Venice and Florence
http://www.boisestat[...]
[45]
서적
A Distant Mirror
Knopf
[46]
웹사이트
The End of Europe's Middle Ages: The Black Death
https://www.ucalgary[...]
University of Calgary
2007-04-05
[47]
서적
The Renaissance: A Very Short Introduction
OUP
[48]
서적
Life During the Renaissance
Lucent Books, Inc.
[49]
서적
A History of European Society. Essentials of Western Civilization
Thomson Learning, Inc.
[50]
서적
Renaissance And Reformation France
[51]
서적
Disordered Body: Epidemic Disease and Cultural Transformation
https://books.google[...]
SUNY Press
[52]
서적
The Development of the Individual
http://www.boisestat[...]
[53]
서적
Individualism and the cult of creative personality
[54]
서적
I dintorni di Firenze
Galletti e Cocci
[55]
서적
The spread of Italian humanism
[56]
서적
Italian Renaissance
[57]
웹사이트
Oration on the Dignity of Man
http://www.wsu.edu:8[...]
[58]
서적
Ibn Khaldun and Machiavelli : an examination of paradigms
http://worldcat.org/[...]
[59]
논문
Religion and Political Development: Some Comparative Ideas on Ibn Khaldun and Machiavelli
[60]
서적
A History of European Society. Essentials of Western Civilization
Thomson Learning, Inc.
[61]
서적
The Library: An Illustrated History
Skyhorse Publishing
[62]
서적
Italian Renaissance
[63]
웹사이트
Optics and Realism in Renaissance Art
http://sirl.stanford[...]
2007-05-10
[64]
서적
Lives of the Artists
Penguin Classics
[65]
웹사이트
Peter Brueghel Biography
http://www.wga.hu/fr[...]
Web Gallery of Art
2007-05-10
[66]
웹사이트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
http://www.cartage.o[...]
2007-05-10
[67]
서적
Filippo Brunelleschi: The Buildings
Zwemmer
[68]
서적
A History of European Society. Essentials of Western Civilization
Thomson Learning, Inc.
[69]
논문
The Portrait of Fra Luca Pacioli
[70]
서적
Accounting Concepts & Theories
Morre
[71]
서적
The Science of Leonardo; Inside the Mind of the Great Genius of the Renaissance
Doubleday
[72]
논문
Columbus and Vesalius – The Age of Discoverers
[73]
서적
Man and Nature in the Renaissa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4]
서적
The Origins of Modern Science, 1300–1800
[75]
서적
The Scientific Revolu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6]
웹사이트
Scientific Revolution
https://web.archive.[...]
2007-00-00
[77]
서적
The Renaissance: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78]
서적
A History of Knowledge
https://books.google[...]
Ballantine
[79]
서적
A Social History of Knowledge: From Gutenberg to Diderot
https://books.google[...]
Polity Press
[80]
서적
Controversy in marketing theory: for reason, realism, truth, and objectivity
https://books.google[...]
M.E. Sharpe
[81]
서적
The History of Cartography, Volume Three: Cartography in the European Renaissan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2]
서적
Lying for the Admiralty: Captain Cook's Endeavour Voyage
Rosenberg
[83]
웹사이트
Western Schism
http://www.newadvent[...]
2007-05-10
[84]
웹사이트
Alexander VI
http://www.newadvent[...]
2007-05-10
[85]
논문
Petrarch's Conception of the 'Dark Ages'
[86]
서적
History of the Florentine people
[87]
서적
The Global Age: state and society beyond modernity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88]
서적
Renaissance and Renascences in Western Art
Harper and Row
[89]
웹사이트
Defining the Renaissance
http://www.open.ac.u[...]
2007-05-10
[90]
서적
Style in the Art Theory of Early Modern Italy
Cambridge University Press
[91]
웹사이트
The English Renaissance
https://www.poetryfo[...]
2024-01-17
[92]
웹사이트
Art in England: Life and Times - Internet Shakespeare Editions
https://internetshak[...]
2024-01-18
[93]
웹사이트
Art in Renaissance England
https://www.oxfordbi[...]
2024-01-18
[94]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Architecture in Britain
https://cdn.southamp[...]
University of Southampton
[95]
웹사이트
The Scientific Revolution
https://www.historic[...]
2024-01-17
[96]
백과사전
Francis Bacon
https://plato.stanfo[...]
2020-01-17
[97]
서적
History of France
D. Appleton
[98]
서적
The Florentine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99]
논문
The Religious Renaissance of the German Humanists
[100]
서적
Italy & Hungary: Humanism and Art in the Early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Villa I Tatti
[101]
서적
Hungary
Corvina
[102]
웹사이트
the influences of the florentine renaissance in hungary
http://www.fondazion[...]
Fondazione-delbianco.org
2009-07-31
[103]
문서
History section: Miklós Horler: Budapest műemlékei I
[104]
문서
Post-war reconstruction: László Gerő: A helyreállított budai vár
[105]
웹사이트
The Renaissance in Hungary
http://mek.oszk.hu/0[...]
2007-05-10
[106]
서적
The Raven King: Matthias Corvinus and the Fate of his Lost Library
Yale U.P.
[107]
웹사이트
Documentary heritage concerning Hungary and recommended for inclusion in the Memory of the World International Register
https://web.archive.[...]
[108]
서적
Michelangelo Buonarroti und Leonardo Da Vinci: Republikanischer Alltag und Künstlerkonkurrenz in Florenz zwischen 1501 und 1505
Wallstein Verlag
[109]
서적
Artistieke opvoeding
Den Gulden Engel bvba.
[110]
서적
History of Art
http://www.abramsboo[...]
Harry N. Abrams, Inc.
[111]
학술지
The So Called Netherlands Schools
[112]
웹사이트
Renæssance i Europa og Danmark
https://natmus.dk/hi[...]
2023-11-24
[113]
서적
The Invention of Science: A New History of the Scientific Revolution
https://www.worldcat[...]
HarperCollins
[114]
웹사이트
Tycho Brahe, 1546-1601
https://danmarkshist[...]
2023-11-24
[115]
웹사이트
Painting in Oil in the Low Countries and Its Spread to Southern Europe
http://www.metmuseum[...]
2007-04-05
[116]
서적
The Lost Italian Renaissance: Humanists, Historians, and Latin's Legacy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17]
서적
Humanism in fifteenth-century Europe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Medieval Languages and Literature
[118]
서적
Poland, the Land of Copernicus
Ossolineum, Polska Akademia Nauk PAN
[119]
웹사이트
Bona Sforza (1494–1557)
http://en.poland.gov[...]
2007-04-04
[120]
웹사이트
The Past and the Present
http://www.uj.edu.pl[...]
2002-10-31
[121]
웹사이트
HISTORIA ARCHITEKTURY EUROPEJSKIEJ TYLKO DLA ORŁÓW - SKRÓT
https://www.historia[...]
[122]
서적
Region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Past and Present
http://src-h.slav.ho[...]
Slavic Research Center, Hokkaido University
2019-05-23
[123]
서적
Racovia: An Early Liberal Religious Community
Blackstone Editions
[124]
서적
God's Playground: A History of Poland in Two Volumes
Oxford University Press
[125]
웹사이트
Portuguese Overseas Travels and European Readers
http://www.brown.edu[...]
The John Carter Brown Library Exhibitions, Brown University
2011-07-19
[126]
서적
Encyclopedia of the Renaissance and the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127]
서적
Encyclopedia of the Renaissance and the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128]
서적
Contemporaries of Erasmus: a biographical register of the Renaissance and Reformation, Volumes 1–3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29]
서적
Asia in the making of Europe: A century of wonder. The literary arts. The scholarly disciplin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1-07-15
[130]
웹사이트
Defining the Renaissance, Open University
http://www.open.ac.u[...]
Open.ac.uk
2009-07-31
[131]
서적
The Art of the Renaissance
Thames & Hudson
[132]
서적
The Civilization of the Renaissance in Italy
http://www.boisestat[...]
[133]
서적
Style in History
Basic Books
[134]
웹사이트
The Civilization of the Renaissance in Italy
http://www.boisestat[...]
2008-08-31
[135]
학술지
Spanish Values and Tuscan Painting
[136]
웹사이트
Renaissance Forum
http://www.hull.ac.u[...]
2007-05-10
[137]
학술지
The Economic Depression of the Renaissance
[138]
학술지
Some Remarks on the Question of the Originality of the Renaissance
[139]
서적
Did Women Have a Renaissance?
Houghton Mifflin
[140]
서적
Renaissance Self-Fashioning: From More to Shakespear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41]
서적
Civilization: a new history of the Western world
https://archive.org/[...]
Pegasus Books
2011-12-10
[142]
문서
Renaissance and Renascences in Western Art
[143]
서적
The Renaissance of the Twelfth Century
Harvard University Press
[144]
서적
L'Empire carolingien (The Carolingian Renaissance)
G. Braziller
[145]
문서
IPA-fr|ʁənɛsɑ̃ːs ルネサーンス
[146]
문서
イギリス英語発音:IPA-en|rɪˈneɪsns| リネイスンス、アメリカ英語発音:IPA-en|ˈrenəsɑːns| レナサーンス
[147]
문서
文芸復興、復興期の精神
[148]
문서
コスメティック・ルネッサンス、ルネッサンス
[149]
서적
世界の名著 45 [[ヤーコプ・ブルクハルト|ブルクハルト]]
[[中央公論社]]
[150]
서적
世界史序説 アジア史から一望する
ちくま新書
[151]
서적
ルネサンス
講談社学術文庫
[152]
서적
医学の歴史
講談社
2003-09-10
[153]
서적
図説科学で読むイスラム文化
青土社
[154]
서적
イタリア・ルネサンス
講談社現代新書
[155]
서적
キリスト教の歴史
講談社学術文庫
1995-05-10
[156]
서적
ルネサンス(ヨーロッパ史入門)
岩波書店
2005-11-25
[157]
서적
マルティン・ルター ことばに生きた改革者
岩波書店
[158]
서적
オランダ史
白水社
1994-03-30
[159]
서적
ブリュージュ: フランドルの輝ける宝石
中公新書
[160]
서적
フランス史
藤原書店
[161]
서적
はじめて学ぶフランスの歴史と文化
ミネルヴァ書房
2020-03-31
[162]
웹인용
Renaissance,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Etymonline.com
2009-07-31
[163]
서적
루벤스와 세기의 거장들
[[국립중앙박물관]]
2015-12
[164]
서적
종교개혁의 역사
기독교문서선교회
[165]
웹사이트
르네상스 조각의 전개
http://donation.e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