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고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고스는 고대 그리스에서 '이야기'나 '신화'를 의미하는 뮤토스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상상력에 대비되는 이성, 서술에 대비되는 논증을 의미했다.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만물 유전의 근본 원리이자 세계를 구성하는 언어로, 담론과 웅변술, 설득의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헬레니즘 유대교에서는 중개적인 신적 존재를, 기독교에서는 하나님의 말씀이자 예수 그리스도를 뜻하며, 이슬람에서도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개념이 존재한다. 현대에는 분석심리학에서 이성적인 능력, 수사학에서 전제, 논리학에서 사고의 논리로 사용된다.

2. 어원 및 의미

로고스(λόγος|lógosgrc)는 고대 그리스어 동사 '레고(λέγω)'(λέγω|légō|lit=말하다grc)에서 유래했으며, '말하다', '세다', '모으다' 등의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1][2] 이는 원시 인도-유럽어 어근 *leǵ-에서 유래했는데, "정돈하다, 배열하다, 모으다, 선택하다, 세다, 계산하다, 식별하다, 말하다, 이야기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현대에는 "설명하다", "측정하다", "이유를 밝히다", "담화하다" 등의 의미로 쓰이며,[1][2] 수학에서는 "비율"을 나타내기도 한다.[3]

이처럼 로고스는 단순한 말이 아니라 사물을 분별하고 정리하며, 이성적으로 사고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로고스가 없다는 말은 단순히 말이 없다는 뜻뿐만 아니라, 이성(理性)이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또한 판단 기준, 비(比)·비율의 뜻도 가지고 있었다.

고대 그리스어에서 "단어" 또는 "담론"을 의미하는 ''로고스''는 ''뮤토스''( μῦθος|μῦθοςgrc)와 대조된다. 고전 그리스어에서는 이성적인 주장(''로고스'')과 상상력이 풍부한 이야기(''뮤토스'')를 구분했다.[13]

2. 1. 뮤토스와의 대비

로고스는 '''뮤토스'''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뮤토스는 최근에는 “신화”로 단순하게 번역되는 경우가 많지만, 원래 의미는 사람이 말하는 “이야기”나 “얘기” 등의 허구 전반을 가리키는 것이며, 그리스 희곡희극, 아이소포스(이솝)의 우화의 소재도 뮤토스이다.

이러한 뮤토스와 대비하여 로고스는 상상에 대한 이성, 서술하는 말에 대한 논증하는 말을 의미한다.

3. 철학에서의 로고스

로고스는 그리스 철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졌다. 헤라클레이토스나 스토아 철학에서는 이법(理法)이란 뜻으로 쓰였다. 로고스가 없다는 것은 말이 없다는 것뿐만 아니라 이성(理性)이 없고 통로가 없다는 말이기도 하다. 판단의 기준이라고 할 수 있으며, 비(比)·비율의 뜻도 있었다.

3. 1. 고대 그리스 철학

헤라클레이토스(기원전 535년경 ~ 기원전 475년경)는 로고스를 만물 유전의 근본 원리이자 세계를 구성하는 언어로 보았다. 그는 "모든 것이 로고스에 따라 존재한다"고 주장하며,[17] 로고스를 통해 변화하는 세계의 질서를 파악할 수 있다고 믿었다.[18][19]

소피스트들은 로고스를 담론과 웅변술의 의미로 사용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로고스를 이성적 담론, 주장, 설득의 방식으로 정의했다.[22] 그는 설득의 세 가지 요소로 로고스, 파토스(감정), 에토스(화자의 성격)를 제시했다.[5][20][21]

스토아 철학은 키티온의 제논(기원전 300년경)에서 시작되었는데, 여기서 로고스는 우주를 관통하고 활기를 불어넣는 활동적인 이성이자 또는 자연과 동일시되었다.[26] 그들은 "로고스 스페르마티코스"라는 개념을 통해 로고스가 우주의 생성 원리라고 설명했다.[6]

3. 2. 헬레니즘 유대교

알렉산드리아의 필론 (기원전 20년경 ~ 기원후 50년)은 헬레니즘 유대교 철학자로, '로고스'라는 용어를 유대 철학에 통합하여 사용했다.[7] 필로는 로고스를 중개적인 신적 존재, 즉 데미우르고스로 보았다.[7] 그는 불완전한 물질과 완전한 형상 사이의 플라톤적인 구분을 따랐기 때문에, 신과 물질 세계 사이의 큰 격차를 메우기 위해 중개적인 존재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30] 필로는 '로고스'를 이러한 중개적인 존재 중 가장 높은 존재로 여겼으며, "신의 첫째"라고 불렀다.[30]

필로는 또한 "살아 계신 하나님의 로고스는 모든 것의 유대이며, 모든 것을 함께 붙들고 모든 부분을 결합시키고, 그것들이 붕괴되고 분리되는 것을 막는다"고 썼다.[31]

플라톤이데아론은 '로고스' 안에 위치했지만, '로고스'는 또한 물질 세계에서 하나님을 대신하여 행동했다.[30] 특히, 구약성서의 여호와의 천사는 필로에 의해 '로고스'와 동일시되었으며, 필로는 또한 '로고스'가 우주의 창조에서 하나님의 도구였다고 말했다.[30]

3. 3. 중세 철학

로고스는 중세 철학에서 말(verbum)과 이성·이념·관념(ratio) 등의 두 가지 개념으로 나뉘었다. 13세기 스콜라 학자 토마스 아퀴나스는 음성 언어인 "외적인 로고스"가 그것을 발하는 자의 정신의 "내적인 로고스", 즉 관념, 이데아를 표현하고 그것을 명확히 한다고 보았다. 한편 기독교 신학에서는 신의 두 번째 페르소나성자는 로고스, 즉 "성언" 그 자체로 이해되었다.

4. 기독교에서의 로고스

요한 복음서는 100년경 '한 처음에 로고스가 있었으니'(요한복음서 1:1)라고 믿음을 고백하는데, 여기서 말하는 로고스는 '하나님의 말씀 즉, 하나님인 예수 그리스도', '우주의 근원인 그리스도'를 뜻한다.[83] 요한복음서의 이러한 기독론은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로 이해한 기존 복음서와 요한 복음서가 다른 점이며, 기독교 성립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리스도로서의 하나님의 본성이 로고스 즉 논리로 해석됨으로써, 서유럽 철학의 한 흐름인 논리와 사변을 중시하는 풍조, 더 나아가 논리와 언어에 의해 하나님을 파악하려는 적극적인 신학의 길이 열렸다. 이러한 배경으로, 오늘날 철학 분야에서 "로고스"는 단순한 구조로서의 논리가 아니라, “말해지는 힘 있는 말씀”이라는 “인격적인, 그리고 신적인 로고스” 이해의 영향이 일반적이다.

4. 1. 로고스 기독론

요한 복음서에서는 '한 처음에 로고스가 있었으니'(요한복음서 1:1)라고 믿음을 고백하는데, 여기에서 말하는 로고스는 '하나님의 말씀 즉, 하나님인 예수 그리스도', '우주의 근원인 그리스도'를 뜻한다. 요한복음서의 이러한 기독론은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로 이해한 기존 복음서와 요한 복음서가 다른 점이다.[83]

『요한복음』의 서두는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이는 그리스도에 대한 언급으로 해석되며, 삼위일체 교리의 성립에 있어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로고스는 "성부"의 말씀인 "성자"(=예수)의 본질로 간주되었다. 이로써 "로고스"는 그리스도의 또 다른 명칭이 되었다.

이 구절의 λόγοςel(로고스)는 라틴어판 성경(불가타판) 요한복음에서는 '''''verbum'''la''(베르붐)으로 번역되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이 구절을 바탕으로, 성부의 로고스(verbumla 말씀)인 성자(=예수)와 로고스(verbumla 말씀)가 담당하는 사랑으로서의 성령에 대한 설을 전개하여, 성부와 성자로부터 성령이 발출된다는 필리오케 교리를 옹호했다.

4. 2. 로고스와 신학

요한복음에서는 '한 처음에 로고스가 있었으니'(요한복음 1:1)라고 믿음을 고백하는데, 여기서 말하는 로고스는 '하나님의 말씀 즉, 하나님인 예수 그리스도', '우주의 근원인 그리스도'를 뜻한다.요한복음서의 이러한 기독론은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로 이해한 기존 복음서와 요한복음가 다른 점이다.[83]

그리스도론에서 로고스()[2]는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 또는 칭호로 사용된다.

『요한복음』 1장 1절은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이는 그리스도에 대한 언급으로 해석되며, 삼위일체 교리의 성립에 있어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로고스는 "성부"의 말씀인 "성자"(=예수)의 본질로 간주되었다. 이로써 "로고스"는 그리스도의 또 다른 명칭이 되었다.

이 구절의 λόγοςel(로고스)는 라틴어판 성경(불가타) 요한복음에서는 '''''verbum'''la''(베르붐)으로 번역되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이 구절을 바탕으로, 성부의 로고스(verbumla 말씀)인 성자(=예수)와 로고스(verbumla 말씀)가 담당하는 사랑으로서의 성령에 대한 설을 전개하여, 성부와 성자로부터 성령이 발출된다는 필리오케 교리를 옹호했다.

그리스도로서의 하나님의 본성이 로고스 즉 논리로 해석됨으로써, 서유럽철학의 한 흐름인 논리와 사변을 중시하는 풍조, 더 나아가 논리와 언어에 의해 하나님을 파악하려는 적극적인 신학의 길이 열렸다.

5. 이슬람에서의 로고스

이슬람에서도 로고스 개념은 존재하며, 이슬람 황금기 동안 고전 수니파 신비주의자, 이슬람 철학자, 그리고 특정 시아파 사상가들의 저술을 통해 명확하게 정립되었다.[53][54] 수니파 이슬람에서 로고스는 형이상학자, 신비주의자, 철학자들에 의해 '아클'(عقل, 지성), '알 인산 알 카밀'(الإنسان الكامل, 보편적 인간), '칼리마트 알라'(كلمة الله, 하느님의 말씀), '하키카 무함마디야'(الحقيقة المحمدية, 무함마드적 실재), '누르 무함마디'(نور محمّدي, 무함마드적 빛)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5. 1. 수니파 이슬람

이슬람 수니파에서 로고스는 '아클'(عقل, 지성), '알 인산 알 카밀'(الإنسان الكامل, 보편적 인간), '칼리마트 알라'(كلمة الله, 하느님의 말씀)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54] 알파라비와 아비케나(1037년 사망)와 같은 이슬람 신플라톤주의 철학자들은 '아클' 개념을 "로고스 그리스도론과 여러 면에서 일치하는" 방식으로 제시했다.[54]

수피즘에서 로고스 개념은 "비창조된 것"(신)과 "창조된 것"(인간)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수피 유신론자에게는 로고스 없이는 인간과 신 사이의 접촉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진다. 로고스는 어디에나 항상 동일하지만, 그 의인화는 각 지역마다 "고유하다". 예수무함마드는 로고스의 의인화로 여겨지며, 이것이 그들이 절대적인 용어로 말할 수 있게 한다.[55][56]

이븐 아라비는 신플라톤주의 및 기독교적 자료에서 로고스 개념을 채택한 것으로 보이며,[58] (그리스어가 아니라 아랍어로 저술했지만) 이를 논의할 때 20가지가 넘는 다른 용어를 사용했다. 그의 개념은 두 가지 주요 저서인 「지혜의 반지」(『푸수스 알 히캄』)와 「메카의 계시」(『알푸투하트 알 마키야』)에 표현되었다. 이븐 아라비에게 있어 모든 예언자는 그가 로고스(칼리마(Kalimah))라고 부른 실재에 해당하며, 독특한 신성 존재의 한 측면이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로고스가 인간과 신성 사이의 연결 고리를 제공하지 않았다면, 신성 존재는 영원히 숨겨져 있었을 것이다.[57] 이븐 아라비에게 있어 로고스 또는 "보편적 인간"은 개별 인간과 신성한 본질 사이를 중재하는 연결 고리였다.[59]

다른 수피 작가들도 신플라톤주의 로고스의 영향을 보여준다.[60] 15세기 압드 알 카림 알 질리는 "로고스와 완전한 인간의 교리"를 소개했다. 알 질리에게 있어 "완전한 인간"(로고스 또는 예언자와 관련됨)은 다른 시간에 다른 형태를 취하고 다른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61]

오스만 수피즘에서, 셰이흐 갈리브(1799년 사망)는 그의 『후스뉘 아쉬크』(『미와 사랑』)에서 이븐 아라비의 칼리마와 병행하여 수한(로고스-칼리마)을 설명한다. 이 소설에서 ''수한''은 신의 말씀, 완전한 인간, 무함마드의 실재를 참조하는 칼리마의 구현으로 나타난다.[62]

6. 현대의 로고스

현대에 로고스는 여러 가지 의미로 쓰인다. 로고스가 없다는 것은 말이 없다는 것뿐만 아니라 이성이 없고 통로가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판단을 인도하는 기준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비(比)·비율이라는 뜻도 있다. 그리스 철학을 관통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헤라클레이토스나 스토아 철학에서는 이법(理法)으로 쓰였다.

6. 1. 분석심리학

칼 구스타프 융은 비판적이고 이성적인 능력인 '로고스(logos)'와 감정적이고 비이성적이며 신화적인 요소들을 대조했다.[63] 융의 접근 방식에서 '로고스' 대 '에로스'는 "과학 대 신비주의", "이성 대 상상력", "의식 활동 대 무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64]

융은 '로고스(logos)'를 여성적인 대응물인 '에로스(eros)'와 대조되는 이성의 남성적 원리로 보았다. 여성의 심리는 결합과 해체를 담당하는 '에로스(Eros)'의 원리에 기반을 두는 반면, 고대부터 인간에게 귀속된 지배적인 원리는 '로고스(Logos)'였다. '에로스(Eros)'는 심리적 관련성을, '로고스(Logos)'는 객관적인 관심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현대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65]

6. 2. 수사학

현대 수사학에서 로고스는 설득의 한 요소로서, 주장의 근거와 논리적 추론을 의미한다.[66] 이는 청중과의 합의를 통해 설득력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66] '레마'라는 개념은 '로고스'와 함께 사용되며,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는 두 용어를 모두 문장과 명제를 가리키는 데 사용했다.[67][68]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학''에서 로고스를 이성으로부터의 논증, 즉 세 가지 설득의 방식 중 하나로 정의했다.[20] 다른 두 가지 방식은 ''파토스''(πᾰ́θος|páthosgrc)와 ''에토스''(ἦθος|êthosgrc)이다.[20] 파토스는 감정적 호소를 통해 청중을 특정한 심리 상태로 만드는 것을 의미하며,[20] 에토스는 청중에게 자신의 "도덕적 성격"을 설득시키는 것이다.[20]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로고스는 "증명하거나 증명하는 것처럼 보이는 한에서의 연설 자체"[20][21]와 관련이 있다.

로고스, 파토스, 에토스는 모두 서로 다른 시기에 적절할 수 있다.[23] 이성으로부터의 논증(논리적 논증)은 데이터가 (겉으로 보기에는) 조작하기 어렵기 때문에 그러한 논증에 반박하기 어렵다는 장점이 있다.

6. 3. 논리학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종합된 고대 논리학은 로기케(λογική)로 불렸으며, 라틴어로는 'logica'라고 불렸다. 이는 유럽 중세 신학의 예비 학문인 7과 중 하나로 여겨졌다. 논리학은 기하학 등 수학과 함께 가르쳐졌다. 현대 철학과 수학에서 논리학은 여전히 중요한 분야이며, 세계의 구성 원리로서 로고스를 탐구하는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참조

[1] 서적 An Intermediate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2] 웹사이트 Entry at LSJ online https://www.perseus.[...]
[3] 서적 Euclid, Elements http://www.perseus.t[...]
[4] 서적 Cambridge Dictionary of Philosophy
[5] 웹사이트 Aristotle's Rhetoric https://plato.stanfo[...] 2010-03-01
[6] 서적 A Dictionary of Biblical Tradition in English Literature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Co
[7] 서적 Cambridge Dictionary of Philosophy
[8] 학술지 The Logos Endiathetos and the Logos Prophorikos in Allegorical Interpretation: Philo and the D-Scholia to the Iliad https://web.duke.edu[...] 2015-05-07
[9] 서적 The New Oxford Annotated Bible with the Apocrypha
[10] 서적 A Dictionary of Biblical Tradition in English Literature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1] 서적 An Intermediate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12] 서적 An Intermediate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13] 서적 Piety and Politics: The Dynamics of Royal Authority in Homeric Greece, Biblical Israel, and Old Babylonian Mesopotamia https://books.google[...]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2023-10-07
[14] 서적 Greek Philosophical Terms New York University Press
[15] 서적 A History of Greek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Shorter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17] 서적 Philosophy before Socrates Hackett
[18] 서적 Handboek geschiedenis van de wijsbegeerte 1
[19] 서적 The Greek Philosophers: From Thales to Aristotle Methuen
[20] 서적 Rhetoric https://books.google[...] SIU Press
[21] 웹사이트 Translation of Aristotle's Rhetoric http://classics.mit.[...]
[22] 서적 Republics Ancient and Modern: The Ancien Régime in Classical Greec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3] 서적 Aristotle's Rhetoric: An art of charact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4] 서적 Essays on Aristotle's Rhetoric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5] 웹사이트 Translation of Aristotle's Rhetoric http://classics.mit.[...]
[26] 서적 Religions of the Hellenistic-Roman Age Wm. B. Eerdmans Publishing
[27] 서적 Studies in European Philosophy https://books.google[...]
[28] 서적 Meditations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29] 서적 Classical Greek Rhetorical Theory and the Disciplining of Discour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서적 A History of Philosophy Continuum
[31] 서적 De Profugis https://archive.org/[...]
[32] 백과사전 Memra (= "Ma'amar" or "Dibbur," "Logos") http://www.jewishenc[...] Funk & Wagnalls
[33] 성경
[34] 성경
[35] 성경
[36] 서적 Nag Hammadi Codices III, 2 and IV, 2 - The Gospel of the Egyptians (the Holy Book of the Great Invisible Spirit) - Volumes 2-3 http://gnosis.org/na[...] Brill 2022-09-23
[37] 서적 Neoplatonism and Nature: Studies in Plotinus' Enneads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02
[38] 서적 Plotinus: The road to real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7
[39] 간행물 Between Physics and Nous: Logos as Principle of Meditation in Plotinus 1999
[40] 간행물 Handboek Geschiedenis van de Wijsbegeerte I
[41] 간행물 Institute of Global Cultural Studies, Binghamton University 1999
[42] 서적 Ancient philosophy https://books.google[...] 2007
[43] 서적 The Enneads https://books.google[...] 1991
[44] 서적 Neoplatonism in Relation to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2009
[45] 서적 The Westminster Dictionary of Christian Theology https://books.google[...] 1983
[46] 서적 Jung and aesthetic experience 1995
[47] 서적 Theological treatises on the Trinity
[48] 서적 Neoplatonism and Christian thought
[49] 서적 Christian meditation Ignatius Press
[50] 서적 Confessions
[51] 간행물 Handboek Geschiedenis van de Wijsbegeerte I
[52] 서적 De immortalitate animae of Augustine: text, translation and commentary
[53] 백과사전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54] 백과사전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55] 서적 Sufism: love & wisdom https://books.google[...] 2006
[56] 서적 Sufi essays https://books.google[...] 1973
[57] 서적 Biographical encyclopaedia of Sufis https://books.google[...] 2002
[58] 간행물 Ibn al-'Arabī and Spanish Mysticism of the Sixteenth Century 1967-11
[59] 서적 Logos and Revelation: Ibn 'Arabi, Meister Eckhart, and Mystical Hermeneutics https://books.google[...] Th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2009
[60] 서적 Masnavi I Ma'navi: The spiritual couplets of Maulána Jalálu-'d-Dín Muhammad Rúmí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1
[61] 서적 Biographical encyclopaedia of Sufis https://books.google[...] 2002
[62] 간행물 Character of ''Sühan'' in Şeyh Gâlib’s Romance, ''Hüsn ü Aşk'' (''Beauty and Love'') 2015
[63] 서적 C.G. Jung and the psychology of symbolic forms 2001
[64] 서적 Mythos and logos in the thought of Carl Jung https://books.google[...] 1988
[65] 서적 Aspects of the Feminin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2
[66] 웹사이트 The Appeals: Ethos, Pathos, and Logos http://members.tripo[...]
[67] 서적 General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1995
[68] 서적 The history of linguistics in Europe from Plato to 1600 https://books.google[...] 2003
[69] 서적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Volume 1 https://books.google[...] 1985
[70] 서적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Q–Z https://books.google[...] 1995
[71] 서적 Old Testament Theology https://books.google[...]
[72] 서적 What Every Christian Ought to Know https://books.google[...]
[73] 서적 The Identified Life of Christ https://books.google[...]
[74] 서적 Holy Spirit, Teach Me https://books.google[...] Xulon Press
[75] 서적 The Fight of Every Believer: Conquering the Thought Attacks That War Against Your Mind https://books.google[...] Harrison House
[76] 서적 Biblical Authority https://books.google[...] Broadman & Holman
[77] 서적 Charismatic Chaos https://books.google[...] Zondervan
[78] 사전 広辞苑
[79] 서적 哲学事典(改訂新版) 平凡社
[80] 백과사전 ロゴス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81] 위키소스 Κατά Ιωάννην
[82] 위키소스 Biblia Sacra Vulgata (Stuttgartensia)/Ioannes
[83] 서적 복음서와 시간-요한복음서 생활성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