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주과학기술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1993년 광주과학기술원법 공포를 통해 설립되어 1995년 개원한 대한민국의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이다. 학부 과정은 기초교육학부와 전공 과정으로, 대학원 과정은 여러 공학 및 자연과학 분야를 포함하며, 모든 수업은 영어로 진행된다. QS 세계 대학 랭킹에서 교수당 논문 피인용 수 부문 세계 2위를 기록했으며, 다양한 국내외 평가에서 높은 순위를 나타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학기술원 -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1971년 한국과학원으로 설립되어 대학원 중심 연구기관으로 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통합 및 분리 독립 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로 이전,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갖춘 대한민국의 국립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이다.
  • 과학기술원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2003년 설립된 연구 중심 대학으로, 2008년 교육 기능을 추가하여 학위 과정을 운영하며 융복합대학, 대학원, 부설 기관을 두고 융합연구원과 연구 지원 인프라를 통해 연구를 지원하고 DGIF를 개최하며 일본 대학들과 국제 교류를 한다.
  • 장성군의 학교 - 육군보병학교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는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 병과 장교와 부사관을 양성하고 교육하는 기관으로, 1949년 창설되어 현재 전라남도 장성군에 위치하며, 초급 보병 장교 양성을 주 임무로 한다.
  • 장성군의 학교 - 육군기계화학교
    육군기계화학교는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 부대 장교, 부사관, 특기병을 교육하는 학교로, 상무대에 위치하며 육군보병학교 등과 함께 운영되고, 기갑 병과로 통합하는 계획이 추진 중이다.
  • 광주광역시의 대학교 - 전남대학교
    전남대학교는 1952년 광주에 설립되어 광주농업학교 등을 통합하고 2006년 여수대학교와 통합한 거점국립대학교로서,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시발점이며 현재 5·18 연구소를 운영하고 광주, 여수, 화순에 캠퍼스를 두고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국제 교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 광주광역시의 대학교 - 한국폴리텍V대학
    한국폴리텍V대학은 호남권에 위치한 국책 특수대학으로, 광주를 중심으로 전북과 전남에 캠퍼스를 운영하며 산업학사 및 기능사 과정을 통해 현장 중심의 기술 인력을 양성하고 지역 산업 발전에 기여한다.
광주과학기술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광주과학기술원 이미지
광주과학기술원 전경
교훈미래를 향한 창의적 과학기술의 요람
표어미래 과학 기술의 자랑스러운 창조자
설립일1993년
종류국립 대학
총장임기철
위치광주광역시
국가대한민국
주소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 123 (오룡동)
좌표35°13′35.5″N 126°50′24″E
학생 수 (2018년 1월 기준)2,122명
학부생 수 (2018년 1월 기준)868명
대학원생 수 (2018년 1월 기준)1,254명
웹사이트http://www.gist.ac.kr/ gist.ac.kr
한국어 명칭광주과학기술원
한자 표기光州科學技術院
로마자 표기Gwangju Gwahak Gisurwon
매큔-라이샤워 표기Kwangju Kwahak Kisurwŏn
조직
학부기초교육학부
대학원정보통신공학부
신소재공학부
기전공학부
환경공학부
생명과학부
정보기전공학부
나노바이오재료전자공학과
광공학응용물리학재전공
의료시스템학재전공
연구소4개
연구센터4개
통계 (2016년 기준)
학부생 수598명
대학원생 수1,168명
교수 수161명
연구원 수26명
직원 수114명

2. 연혁

연도내용
1993년 8월 5일광주과학기술원법 공포
1993년 10월 11일초대 총장 하두봉 박사 취임
1995년 3월 9일개원
1997년 2월 27일첫 석사 학위 수여
1998년 1월 22일김효근 박사 제2대 총장 임명
2000년 2월 20일첫 박사 학위 수여
2002년 2월 16일라정웅 박사 제3대 총장 임명
2004년 3월 26일도시 이름의 로마자 표기 변경(Kwangju에서 Gwangju로)에 따라 영어 약칭을 KJIST에서 GIST로 변경
2006년 2월 16일허성관 박사 제4대 총장 임명
2008년 6월 4일손정호 박사 제5대 총장 임명
2010년 2월 26일원장을 총장으로 변경[9]
2010년GIST 대학 설립 (학부 과정)
2012년 6월 4일김영준 박사 제6대 총장 임명
2014년 2월 25일첫 학사 학위 수여
2015년 3월 11일제7대 총장 문승현 박사 취임
2019년 3월 6일제8대 총장 김기선 박사 취임
2019년 10월 11일인공지능대학원 설립
2023년 7월 7일제9대 총장 임기철 박사 취임


3. 역대 총장

대수이름임기
1하두봉1993년 10월 1일 ~ 1997년 10월 10일
2김효근1998년 1월 22일 ~ 2002년 1월 21일
3나정웅2006년 2월 16일 ~ 2006년 2월 15일
4허성관2006년 2월 16일 ~ 2007년 7월 31일
5선우중호2008년 6월 4일 ~ 2012년 6월 1일
6김영준2012년 6월 4일 ~ 2014년 10월 13일
7문승현2015년 2월 25일 ~ 2019년 2월 22일
8김기선2019년 3월 6일 ~ 2023년 2월 24일
9임기철2023년 ~ 현재


4. 조직

광주과학기술원은 학부 과정인 GIST 대학과 석사 및 박사 과정을 제공하는 대학원으로 구성된다.

4. 1. GIST 대학 (학부)

광주과학기술원 학부 과정은 기초교육학부와 전공 과정으로 나뉜다.

기초교육학부(1학년)에서는 문학과 과학을 배운다.[1]

2, 3, 4학년부터는 다음 전공 중 하나를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학습한다.[1]

전공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전기전자컴퓨터
기계공학
신소재공학
지구환경공학


4. 2. 대학원 (석사 및 박사 과정)

광주과학기술원에는 다음과 같은 대학원 과정이 있다.

학부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기계공학부
신소재공학부
지구・환경공학부
생명과학부
물리・화학부
나노바이오재료전자과
의생명공학과


5. 교육 및 연구

모든 수업은 영어로 진행되며, 석사 및 박사 학위 논문도 영어로 작성된다.[2] 박사 과정 학생들은 과학 저널에 제1저자로 1편 이상 게재해야 학위를 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연구 리더로 성장하도록 장려한다.[2] 2001년, 광주과학기술원은 논문 질 인증 프로그램을 도입한 최초의 한국 대학이 되었으며, 과학계와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2]

2010년, 학부생을 위한 한국 최초의 인문학 중심 과학 교육 과정을 제공하기 위해 GIST 대학이 광주과학기술원에 설립되었다.[3] GIST 대학 노경덕 교수에 따르면, "GIST 대학은 한국에서 인문학 교육의 철학을 추구하고 실천하는 유일한 대학이다. 그러나 GIST 대학은 기존의 인문학 대학과는 구별되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GIST는 처음부터 연구 중심의 대학원으로 시작했기 때문에, 학부 교육은 이미 연구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지식, 인프라, 전문 지식을 활용하고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즉, GIST 대학은 학부 교육의 핵심으로 인문학을 옹호하면서도, 더 심층적인 교육과 연구를 위해 대학원과 긴밀히 협력할 수 있다. 이것이 GIST 대학을 더욱 특별하게 만드는 특징이다."[4]

6. 평가

광주과학기술원은 여러 대학 평가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QS 세계 대학 랭킹 2016/2017년 결과에서 교수당 논문 피인용 수 부문 세계 2위를 기록했고,[5] 타임스 고등교육 세계 대학 랭킹 2014-2015에서는 공학 및 기술 분야 세계 96위에 올랐다.[6]

6. 1. 세계 대학 랭킹

QS 세계 대학 랭킹 2016/2017년 결과에서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교수당 논문 피인용 수 부문에서 세계 2위를 기록했다.[5] 타임스 고등교육 세계 대학 랭킹 2014-2015에서 광주과학기술원은 공학 및 기술 분야에서 세계 96위를 기록했다.[6]

6. 2. 기타 랭킹

랭킹 종류순위
QS 세계 대학 랭킹세계 인용 수 당 교수 수 3위[5]
타임스 고등교육 세계 대학 랭킹대한민국 4위[6]
특허 출원/등록 건수 랭킹 (한국경제신문)대한민국 2위
기술 이전 수입 랭킹 (한국경제신문)대한민국 1위
교수당 연구비 랭킹 (한국연구재단)대한민국 2위
톰슨 로이터대한민국 8위


참조

[1] 법률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ct http://www.law.go.kr[...]
[2] 웹사이트 GIST's research prowess earns 7th place ranking http://koreajoongang[...] 2017-02-09
[3] 웹사이트 삼단비교보기 - 로앤비 http://www.lawnb.com[...] 2017-02-09
[4] 웹사이트 GIST College and "3C1P" Educational Philosophy https://web.archive.[...] 2014
[5] 웹사이트 QS Intelligence Unit 2016/2017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Result tables – Excel http://www.iu.qs.com[...] 2017-02-09
[6] 웹사이트 THE World University Rankings 2014/15 - Engineering and Technology http://www.timeshigh[...]
[7] 웹사이트 http://www.topuniver[...]
[8] 웹사이트 http://www.gist.ac.k[...]
[9] 뉴스 광주과기원장, 총장으로 격상된다 http://www.gwangnam.[...] 광남일보 2009-1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