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주군 (1948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군 (1948년 선거구)는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광주군 전역을 관할했던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 신익희가 초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고, 이후 신익희가 3선, 신하균, 최인규가 각각 1번씩 당선되었다. 1963년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광주군 일부가 편입되면서,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시의 정치 - 광주시 을
    광주시 을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오포읍, 초월읍, 곤지암읍, 도척면을 관할하며, 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광주시 선거구가 분구되면서 신설되었다.
  • 광주시의 정치 - 광주시 갑
    광주시 갑은 2016년 분구로 신설되었으며 퇴촌면, 남종면, 남한산성면, 경안동, 송정동, 광남동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20대 총선부터 22대 총선까지 소병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선에 성공했다.
  • 경기도의 폐지된 선거구 - 군포시 (1996년 선거구)
    군포시 선거구는 1996년 신설되어 2016년 인구 증가로 분구되기 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유선호, 김부겸, 이학영 의원을 배출했다.
  • 경기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고양시 덕양구 갑
    고양시 덕양구 갑은 제16대 총선을 위해 고양시 덕양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선거구로, 덕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다가 일산동구 식사동 편입 후 고양시 갑 선거구로 재편되어 폐지되었으며, 곽치영, 유시민, 손범규, 심상정 등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광주군 (1948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광주군
의회국회
지도큰지도: 경기도
연도1948년
폐지1963년
유형국회
이후 선거구광주군·이천군
성동구 을
의원 수1인

2. 역사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광주군 전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63년 1월, 광주군 구천면·언주면·중대면·대왕면 일부(일원리·수서리·자곡리·율현리·세곡리)가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편입되었다. 이에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해당 지역들은 성동구 을 선거구에 편입되었으며 나머지 광주군 지역들은 광주군·이천군 선거구를 형성하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제헌 국회의원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신익희 후보가 무투표로 당선되었다.

3. 2. 제2대 국회의원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신익희 후보가 당선되었다.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민주국민당신익희29,52577.86%
무소속강태연3,6059.50%
무소속이강목3,0508.04%
무소속김낙규4931.30%
대한국민당안재정4711.24%
무소속선정식4461.17%
미상이장선3300.87%
무소속구성서00%


3. 3. 제3대 국회의원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신익희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신익희민주국민당24,21856.41%
최인규자유당18,71243.58%
강태연자유당00%




3. 4. 1956년 재보궐선거

신익희 의원의 사망으로 인해 치러진 1956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민주당 신하균 후보가 당선되었다.

3. 5. 제4대 국회의원 (1958년)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최인규 후보가 당선되었다. 최인규는 29,055표(58.64%)를 얻어, 16,497표(33.29%)를 얻은 민주당 신하균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익준 후보는 3,995표(8.06%)를 기록했다.

최인규는 이승만 정권에서 내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3.15 부정선거의 주범으로 지목되어 4.19 혁명 이후 처형되었다.

3. 6. 제5대 국회의원 (1960년)

1960년 치러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하균 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신하균무소속24,09846.63
장동국민주당5,83511.29
이원영무소속3,5986.96
이진묵무소속3,2876.36
김해진무소속2,9605.72
이재덕자유당2,5644.96
김명진무소속2,0143.89
이동상무소속1,9123.70
이강목무소속1,8263.53
강태연무소속1,7543.39
홍기복무소속9591.85
오봉규무소속8671.67
합계51,674100


4. 역대 선거 결과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광주군 전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63년 1월, 광주군 구천면·언주면·중대면·대왕면 일부(일원리·수서리·자곡리·율현리·세곡리)가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편입되었다. 이에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해당 지역들은 성동구 을 선거구에 편입되었으며 나머지 광주군 지역들은 광주군·이천군 선거구를 형성하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익희 (대한독립촉성국민회) 후보가 단독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고,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익희 (민주국민당) 후보가 77.8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신익희 후보가 56.4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신익희 의원의 사망으로 치러진 1956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는 신하균 (민주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최인규 (자유당) 후보가 당선되었으나, 3·15 부정선거에 대한 책임으로 4·19 혁명 이후 처형되었다. 4.19 혁명 이후 치러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하균 후보가 민주당 공천을 받지 못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했음에도 불구하고 당선되었다.

4. 1.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익희 (대한독립촉성국민회) 후보가 단독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

4. 2.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신익희 후보가 77.8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신익희민주국민당194929,52577.86
강태연무소속3,6059.50
이강목무소속3,0508.04
김낙규무소속4931.30
안재정대한국민당4711.24
선정식무소속4461.17
이장선미상3300.87
구성서무소속00


4. 3.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익희 (민주국민당) 후보가 24,218표(56.41%)를 얻어 최인규 (자유당) 후보를 제치고 3선에 성공하였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신익희민주국민당24,21856.41%
최인규자유당18,71243.58%
강태연자유당00%


4. 4. 1956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신익희 의원의 사망으로 1956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가 치러졌으며, 민주당 신하균 후보가 이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4. 5.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1958년 5월 2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최인규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최인규자유당29,05558.64%
신하균민주당16,49733.29%
김익준무소속3,9958.06%
합계49,547



최인규는 자유당의 조직적인 선거 운동에 힘입어 당선되었으나, 3·15 부정선거에 대한 책임으로 4·19 혁명 이후 처형되었다. 이는 대한민국 민주주의 발전 과정의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된다.

4. 6.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4.19 혁명 이후 치러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하균 후보는 민주당 공천을 받지 못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했음에도 불구하고 당선되었다. 이는 그의 지역 기반이 매우 튼튼했음을 보여준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신하균무소속24,09846.63%
장동국민주당5,83511.29%
이원영무소속3,5986.96%
이진묵무소속3,2876.36%
김해진무소속2,9605.72%
이재덕자유당2,5644.96%
김명진무소속2,0143.89%
이동상무소속1,9123.70%
이강목무소속1,8263.53%
강태연무소속1,7543.39%
홍기복무소속9591.85%
오봉규무소속8671.67%
합계51,6741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