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는 1908년 미국 남장로교 선교사 배유지에 의해 설립된 여자고등학교이다. 1911년 교명을 '수피아여학교'로 변경했으며,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에 항거하여 1937년 자진 폐교했다가 광복 후 1945년 재개교했다. 1951년 중학교와 고등학교가 병설되었고, 1962년 재단법인 호남기독학원으로, 1964년 학교법인 호남기독학원으로 조직이 변경되었다. 2021년 제22대 교장으로 백호현이 취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 남구의 고등학교 - 광주인성고등학교
광주인성고등학교는 1974년 개교한 광주광역시 남구 송하동 소재 사립 고등학교로, 2022년 기준 2만 명이 넘는 졸업생을 배출했으며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김경만, 윤영덕 국회의원 등의 동문을 배출했다. - 광주 남구의 고등학교 - 광주동성고등학교
광주동성고등학교는 1921년 호남보통학교로 시작하여 광주상업중학교를 거쳐 1951년 분리 후 2001년 현재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정보화 시대에 맞춰 변화하며 71회 졸업생까지 총 4만 명이 넘는 졸업생을 배출한 학교이다. -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농구부 - 용산고등학교
용산고등학교는 1946년에 개교한 대한민국의 남자 고등학교이며,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 학교였으나 광복 후 한국인 학교로 전환되었고, 농구와 필드하키가 유명하다. -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농구부 - 계성고등학교 (대구)
1900년 대남소학교로 시작하여 1906년 제임스 E. 아담스에 의해 설립된 계성고등학교는 영남 최초의 중등교육기관으로, 일제강점기 교명 변경의 아픔을 겪었으나 광복 후 재건되었으며, 역사적인 건축물과 저명한 동문을 배출한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이다. - 1908년 개교 - 중앙고등학교
중앙고등학교는 1908년 기호학교로 시작하여 일제강점기 민족 교육을 실천하고 3.1 운동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자율형 사립고등학교로 문화재 건축물과 운동부를 운영하고 있다. - 1908년 개교 - 중앙중학교 (서울)
중앙중학교는 1908년 기호흥학회에 의해 설립되어 융희학교와 합병되었고, 조선교육령 개정에 따라 개칭되었으며, 6년제와 3년제 중학교를 거쳐 1964년 학교법인으로 변경된 서울특별시의 중학교이다.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학교 정보 | |
이름 |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 |
한자 표기 | 光州須皮亞女子高等學校 |
영문 표기 | Gwangju Speer Girls' High School |
교훈 | 믿음에 굳게 서자, 실력을 양성하자, 정성껏 실천하자 |
개교 | 1908년 |
설립 형태 | 사립 |
교장 | 정지준 |
위치 | 광주광역시 남구 백서로 13 (양림동) |
학생 수 | 667 명 (2023년 5월 1일 기준) |
교직원 수 | 61 명 (2023년 5월 1일 기준) |
상징 | 교목: 은단풍·느티나무, 교화: 자목련 |
학교 법인 | 호남기독학원 |
관할 관청 | 광주광역시교육청 |
웹사이트 |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 |
2. 학교 연혁
연도 | 날짜 | 주요 내용 |
---|---|---|
1908년 | 4월 1일 | 미국 남장로교 유진 벨(Eugene Bell) 선교사가 여학교 설립 및 개교. 초대 교장 엘라 그레이엄(Ella Graham) 선교사 취임. |
1911년 | 가을 | 미국 스턴스 여사가 동생 제니 수피아(Jennie Speer)를 기념하여 기부한 5천달러로 교사(Speer Hall) 준공. 교명을 수피아여학교로 변경. |
1929년 | 11월 30일 | 미국 남장로교 부인 전도회 모금액 5만달러로 중학교 본관 윈스브로우 홀(Winsborough Hall) 준공. |
1937년 | 9월 6일 |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강요 거부 및 폐교. |
1945년 | 12월 5일 | 광복 후 동창회 노력으로 복교. 제6대 교장 김필례 취임. |
1951년 | 7월 12일 | 교육법 개정으로 중학교와 고등학교 병설. |
1953년 | 3월 17일 | 고등학교 제1회 졸업. |
1962년 | 10월 4일 | 재단법인 호남기독학원으로 조직 변경. |
1964년 | 3월 31일 | 학교법인 호남기독학원으로 조직 변경. |
1967년 | 12월 31일 | 고등학교 본관(신관) 준공 (27개 교실). |
1974년 | 10월 26일 | 유화례 교장 기념 도서관 준공. |
1984년 | 11월 8일 | 본관 4층 증축 (9개 교실 추가). |
1994년 | 5월 10일 | 수피아 대강당(지하 강당, 지상 체육관) 준공. |
2021년 | 3월 2일 | 제22대 교장 백호현 취임. |
2021년 | 12월 31일 | 제70회 졸업식 거행 (졸업생 231명). |
2. 1. 설립과 일제강점기 (1908년 ~ 1945년)
1908년 4월 1일, 미국 남장로교 소속 선교사 유진 벨(Dr. Eugene Bell)이 여학교를 설립하여 개교하였다. 초대 교장으로는 엘라 그레이엄(Miss Ella Graham) 선교사가 취임하였다.1911년 가을, 미국인 스턴스(Mrs. Stearns) 여사가 세상을 떠난 동생 제니 수피아(Jennie Speer)를 기념하기 위해 기부한 5000USD로 회색 벽돌 3층 교사인 스피어 홀(Speer Hall)이 준공되었다. 이때부터 교명을 '''수피아여학교'''(Jennie Speer Memorial School for Girlseng)로 변경하였으며, 당시 학생 수는 68명이었다.
1929년 11월 30일에는 미국 남장로교 부인 전도회에서 모금한 5만달러로 붉은 벽돌로 지어진 중학교 본관인 윈스브로우 홀(Winsborough Hall)이 준공되었다.
1937년 9월 6일, 일제강점기 당시 일제가 강요하는 신사참배를 거부하며 학교는 자진 폐교를 결정하였다. 이는 일제의 부당한 종교적 탄압에 맞선 용기 있는 결정이었다.
2. 2. 광복과 학교 재건 (1945년 ~ 현재)
1945년 12월 5일, 광복을 맞아 동창회의 노력으로 복교하였고, 제6대 교장으로 김필례 선생이 취임하였다.1951년 7월 12일, 교육법 개정으로 중학교와 고등학교가 함께 설립되었다.
1953년 3월 17일, 개편된 고등학교의 제1회 졸업식이 거행되었다.
1962년 10월 4일, 미국 남장로교 한국선교회재단이 재단법인 호남기독학원으로 조직을 변경하였다.
1964년 3월 31일, 사립학교법 개정에 따라 재단법인이 학교법인 호남기독학원으로 변경되었다.
1967년 12월 31일, 현재 사용 중인 고등학교 본관(신관)이 27개 교실 규모로 준공되었다.
1974년 10월 26일, 동창회의 모금 활동을 통해 유화례 교장을 기념하는 도서관이 준공되었다.
1984년 11월 8일, 본관 건물이 4층으로 증축되어 9개 교실이 추가되었다.
1994년 5월 10일, 지하 강당과 지상 체육관을 갖춘 수피아 대강당(건축면적 2535.5m2)이 준공되었다.
2021년 3월 2일, 제22대 교장으로 백호현 선생이 취임하였다.
2021년 12월 31일, 제70회 졸업식이 거행되어 231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3. 학교 동문
:분류: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 동문에서 관련 인물들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