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상무 축구단 2010 시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 상무 축구단의 2010 시즌은 기존 선수들과 신규 자원들을 통해 시즌을 준비했다. 선수단은 2010년 11월 7일 기준으로 구성되었으며, K리그, FA컵, 리그컵 경기에 참여했다. K리그에서는 28경기 3승 8무 17패로 15위를 기록했고, FA컵에서는 8강에서 전남 드래곤즈에 패배했다. 리그컵에서는 B조에 속해 조별 예선에서 탈락했다. 시즌 중에는 다수의 선수를 영입하고 방출하는 선수 이적 변동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축구단 2010 시즌 - FC 서울 2010 시즌
FC 서울은 넬루 빙가다 감독 지휘 아래 2010년 K리그와 리그컵에서 우승하고 FA컵 16강에서 탈락했으며, 데얀 다미아노비치의 활약과 함께 K리그 시즌 총 관중 1위를 기록했다. - 축구단 2010 시즌 - 전북 현대 모터스 2010 시즌
전북 현대 모터스의 2010 시즌은 K리그 3위, AFC 챔피언스리그 8강 진출, 리그컵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이동국, 에닝요, 김상식 등이 활약했고 에닝요는 K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되었다.
광주 상무 축구단 2010 시즌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시즌 정보 | |
클럽 | 광주 상무 FC |
시즌 | 2010년 |
감독 | 이강조 |
구단주 | 박광태 (시장) |
구단주 직책 | 구단주 |
리그 정보 | |
리그 | K리그 |
리그 결과 | 14위 |
컵 대회 정보 | |
컵1 | 한국 FA컵 |
컵1 결과 | 8강 |
컵2 | 리그컵 |
컵2 결과 | 조별 리그 |
득점 정보 | |
리그 득점왕 | 최성국 (4골) |
시즌 득점왕 | 최성국 (5골) |
관중 정보 | |
최고 관중 | 21,360명 vs 포항 (3월 14일) |
최저 관중 | 200명 vs 포항 (7월 21일) |
평균 관중 | 3,300명 |
시즌 정보 | |
이전 시즌 | 2009 |
다음 시즌 | 2011 |
2. 시즌 준비
기존의 최성국 등과 2009년 입대한 김정우 등의 신규 자원들로 착실하게 시즌을 준비하였다.
2010년 광주 상무는 기존의 최성국과 2009년에 입대한 김정우 등 새로운 선수들을 중심으로 시즌을 준비했다.
(득점 – 실점)
3. 선수단
번호 포지션 선수 국적 1 GK 성경일 {{lang|ko|대한민국|} }
|-
| 2 || DF || 오창식 || 대한민국|한국어
|-
| 3 || DF || 박병규 || 대한민국|한국어
|-
| 4 || MF || 김영삼 || 대한민국|한국어
|-
| 5 || DF || 배효성 || 대한민국|한국어
|-
| 6 || DF || 황선필 || 대한민국|한국어
|-
| 7 || DF || 박원홍 || 대한민국|한국어
|-
| 8 || MF || 박승민 || 대한민국|한국어
|-
| 9 || MF || 박상욱 || 대한민국|한국어
|-
| 10 || FW || 최성국 || 대한민국|한국어
|-
| 11 || MF || 전광환 || 대한민국|한국어
|-
| 12 || MF || 김범수 || 대한민국|한국어
|-
| 13 || DF || 최원권 || 대한민국|한국어
|-
| 14 || MF || 김정우 || 대한민국|한국어
|-
| 15 || DF || 정호진 || 대한민국|한국어
|-
| 16 || MF || 서민국 || 대한민국|한국어
|-
| 17 || DF || 김수연 || 대한민국|한국어
|-
| 18 || MF || 강구남 || 대한민국|한국어
|-
| 19 || MF || 박진옥 || 대한민국|한국어
|-
| 20 || MF || 김태민 || 대한민국|한국어
|-
| 21 || GK || 임인성 || 대한민국|한국어
|-
| 22 || DF || 장현규 || 대한민국|한국어
|-
| 23 || MF || 김영준 || 대한민국|한국어
|-
| 24 || DF || 박정식 || 대한민국|한국어
|-
| 25 || FW || 조용태 || 대한민국|한국어
|-
| 26 || MF || 정경호 || 대한민국|한국어
|-
| 27 || FW || 주광윤 || 대한민국|한국어
|-
| 28 || FW || 김동현 || 대한민국|한국어
|-
| 29 || MF || 천제훈 || 대한민국|한국어
|-
| 30 || DF || 윤여산 || 대한민국|한국어
|-
| 31 || GK || 김지혁 || 대한민국|한국어
|-
| 32 || FW || 이재규 || 대한민국|한국어
|-
| 33 || MF || 김민오 || 대한민국|한국어
|-
| 34 || MF || 권혁진 || 대한민국|한국어
|-
| 35 || DF || 조재용 || 대한민국|한국어
|-
| 36 || DF || 윤신영 || 대한민국|한국어
|-
| 37 || MF || 김지민 || 대한민국|한국어
|-
| 38 || MF || 변웅 || 대한민국|한국어
|-
| 39 || DF || 김주환 || 대한민국|한국어
|-
| 40 || DF || 김선우 || 대한민국|한국어
|-
| 42 || FW || 변윤철 || 대한민국|한국어
|}
2010년 11월 7일 기준 광주 상무 축구단의 선수단이며, FIFA 자격 규칙에 따라 국기는 국가대표팀을 나타낸다. 선수는 여러 국적을 가질 수 있다.
최성국은 K리그와 FA컵에서 총 5골을 기록하여 최다 득점자가 되었고, 최원권, 조용태, 김동현은 각각 4골을 기록했다. 최성국은 K리그와 FA컵에서 총 5회의 경고를 받아 최다 경고를 기록했다.
3. 1. 현재 선수단
번호 포지션 선수 국적 1 GK 성경일 {{lang|ko|대한민국|} }
|-
| 2 || DF || 오창식 || 대한민국|한국어
|-
| 3 || DF || 박병규 || 대한민국|한국어
|-
| 4 || MF || 김영삼 || 대한민국|한국어
|-
| 5 || DF || 배효성 || 대한민국|한국어
|-
| 6 || DF || 황선필 || 대한민국|한국어
|-
| 7 || DF || 박원홍 || 대한민국|한국어
|-
| 8 || MF || 박승민 || 대한민국|한국어
|-
| 9 || MF || 박상욱 || 대한민국|한국어
|-
| 10 || FW || 최성국 || 대한민국|한국어
|-
| 11 || MF || 전광환 || 대한민국|한국어
|-
| 12 || MF || 김범수 || 대한민국|한국어
|-
| 13 || DF || 최원권 || 대한민국|한국어
|-
| 14 || MF || 김정우 || 대한민국|한국어
|-
| 15 || DF || 정호진 || 대한민국|한국어
|-
| 16 || MF || 서민국 || 대한민국|한국어
|-
| 17 || DF || 김수연 || 대한민국|한국어
|-
| 18 || MF || 강구남 || 대한민국|한국어
|-
| 19 || MF || 박진옥 || 대한민국|한국어
|-
| 20 || MF || 김태민 || 대한민국|한국어
|-
| 21 || GK || 임인성 || 대한민국|한국어
|-
| 22 || DF || 장현규 || 대한민국|한국어
|-
| 23 || MF || 김영준 || 대한민국|한국어
|-
| 24 || DF || 박정식 || 대한민국|한국어
|-
| 25 || FW || 조용태 || 대한민국|한국어
|-
| 26 || MF || 정경호 || 대한민국|한국어
|-
| 27 || FW || 주광윤 || 대한민국|한국어
|-
| 28 || FW || 김동현 || 대한민국|한국어
|-
| 29 || MF || 천제훈 || 대한민국|한국어
|-
| 30 || DF || 윤여산 || 대한민국|한국어
|-
| 31 || GK || 김지혁 || 대한민국|한국어
|-
| 32 || FW || 이재규 || 대한민국|한국어
|-
| 33 || MF || 김민오 || 대한민국|한국어
|-
| 34 || MF || 권혁진 || 대한민국|한국어
|-
| 35 || DF || 조재용 || 대한민국|한국어
|-
| 36 || DF || 윤신영 || 대한민국|한국어
|-
| 37 || MF || 김지민 || 대한민국|한국어
|-
| 38 || MF || 변웅 || 대한민국|한국어
|-
| 39 || DF || 김주환 || 대한민국|한국어
|-
| 40 || DF || 김선우 || 대한민국|한국어
|-
| 42 || FW || 변윤철 || 대한민국|한국어
|}
2010년 11월 7일 기준 광주 상무 축구단의 선수단이다. FIFA 자격 규칙에 따라 국기는 국가대표팀을 나타내며, 선수는 여러 국적을 가질 수 있다.
3. 2. 시즌 선수 통계
2010년 11월 7일 경기를 기준으로, 시즌 선수 통계는 득점, 경고, 퇴장 등의 기록을 보여준다.
최성국은 K리그에서 4골, FA컵에서 1골로 총 5골을 기록하여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최원권, 조용태, 김동현은 각각 4골을 기록했다.
최성국은 K리그에서 4회, FA컵에서 1회로 총 5회의 경고를 받아 최다 경고를 받았다. 최원권, 김동현, 조용태는 각각 4회의 경고를 기록했다.
이러한 득점, 경고, 퇴장 기록은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루어진다.
3. 2. 1. 최다 득점자
2010년 11월 7일 경기 기준번호 국적 포지션 이름 K리그 FA컵 리그컵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7 MF 박원홍 0 (5) 1 0 (1) 1 0 (3) 0 2 10 FW 최성국 21 (1) 4 3 1 2 0 5 11 MF 전광환 23 (2) 0 3 1 1 0 1 13 DF 최원권 20 3 2 1 4 0 4 14 MF 김정우 18 (1) 3 1 (1) 0 0 0 3 17 DF 김수연 2 (1) 1 0 0 0 0 1 25 FW 조용태 9 (3) 2 1 (1) 1 3 1 4 28 FW 김동현 13 (3) 3 3 1 3 0 4
템플릿은 허용되지 않는 템플릿이므로 제거해야 합니다. 그 외에는 변경 사항이 없습니다.
3. 2. 2. 경고 및 퇴장
2010년 11월 7일 경기 기준포지션 국적 등번호 선수 K리그 FA컵 리그컵 합계 1 10 최성국 4 1 0 5 2 13 최원권 3 1 0 4 28 김동현 3 1 0 4 25 조용태 2 1 1 4 3 14 김정우 3 0 0 3 4 7 박원홍 1 1 0 2 5 11 전광환 0 1 0 1 17 김수연 1 0 0 1 / / / 자책골 0 0 0 0 합계 17 6 1 24
4. 경기 결과
득점자 관중 2월 27일 K리그 대구 FC 원정 2 – 1 최성국 32', 66' 3,532 3월 7일 K리그 인천 유나이티드 원정 0 – 2 10,072 3월 14일 K리그 포항 스틸러스 홈 1 – 1 최원권 90+4' 21,360 3월 21일 K리그 부산 아이파크 원정 0 – 2 3,405 3월 28일 K리그 제주 유나이티드 FC 홈 0 – 0 2,532 4월 3일 K리그 대전 시티즌 홈 1 – 1 최원권 69'(페널티킥) 1,532 4월 10일 K리그 전남 드래곤즈 원정 3 – 2 최성국 14, 김정우 45+1, 조용태 84' 8,980 4월 18일 K리그 전북 현대 모터스 홈 0 – 1 1,907 4월 24일 K리그 성남 일화 천마 홈 0 – 2 3,572 5월 1일 K리그 울산 현대 FC 원정 2 – 2 김정우 28', 김동현 33' 9,372 5월 9일 K리그 강원 FC 홈 1 – 0 김동현 53' 2,367 5월 23일 리그컵 FC 서울 홈 0 – 0 4,219 5월 26일 리그컵 제주 유나이티드 FC 원정 0 – 2 578 6월 2일 리그컵 성남 일화 천마 홈 1 – 1 조용태 10' 1,538 6월 6일 리그컵 울산 현대 FC 원정 0 – 2 4,752 7월 17일 K리그 경남 FC 원정 0 – 1 10,458 7월 21일 FA컵 포항 스틸러스 홈 2 – 1 최원권 45+2', 박원홍 108' 200 7월 24일 K리그 FC 서울 홈 0 – 2 6,215 7월 31일 K리그 수원 삼성 블루윙즈 원정 0 – 2 22,326 8월 8일 K리그 제주 유나이티드 FC 원정 0 – 4 4,155 8월 14일 K리그 부산 아이파크 홈 1 – 1 김동현 57' 5,611 8월 18일 FA컵 전남 드래곤즈 원정 1 – 2 최성국 26' 6,534 8월 28일 K리그 경남 FC 홈 1 – 1 김정우 22' 1,255 9월 4일 K리그 FC 서울 원정 0 – 3 21,329 9월 12일 K리그 인천 유나이티드 홈 1 – 1 박원홍 90' 1,318 9월 19일 K리그 대전 시티즌 원정 0 – 3 4,788 9월 26일 K리그 수원 삼성 블루윙즈 홈 1 – 1 최성국 80'(페널티킥) 1,756 10월 2일 K리그 전북 현대 모터스 원정 0 – 0 4,142 10월 9일 K리그 포항 스틸러스 원정 0 – 1 8,115 10월 16일 K리그 대구 FC 홈 0 – 3 1,118 10월 27일 K리그 강원 FC 원정 0 – 1 4,721 10월 30일 K리그 성남 일화 천마 원정 2 – 2 김수연 15', 최원권 60' 2,039 11월 3일 K리그 전남 드래곤즈 홈 0 – 1 1,019 11월 7일 K리그 울산 현대 FC 홈 1 – 2 조용태 10' 1,379 4월 21일 FA컵 울산 현대미포조선 홈 3 – 0 김동현 24, 전광환 40, 조용태 55' 500
4. 1. K리그
광주 상무는 2010년 K리그에서 8승 6무 14패, 승점 30점으로 15개 팀 중 12위를 기록했다. 총 36득점을 기록하고 52실점을 허용했다.
2월 27일 대구 FC와의 원정 경기에서 2-1로 승리하며 시즌을 시작했지만,[1] 이후 3월 7일 인천 유나이티드 원정 경기와 3월 21일 부산 아이파크 원정 경기에서 각각 0-2로 패배하는 등 초반에는 어려움을 겪었다.
4월 10일 전남 드래곤즈와의 원정 경기에서 3-2로 승리하며 분위기 반전을 노렸으나, 이후 4월 24일 성남 일화 천마, 7월 24일 FC 서울, 7월 31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 와의 경기에서 각각 0-2로 패배하는 등 연승을 거두지 못했다.
8월 8일 제주 유나이티드 FC 원정 경기에서 0-4로 대패하고, 9월 4일 FC 서울 원정 경기에서도 0-3으로 패배하는 등 수비 불안이 이어졌다. 10월 16일 대구 FC와의 홈 경기에서는 0-3으로 패배하며 최하위인 15위까지 추락하기도 했다.
시즌 막판 성남 일화 천마 원정 경기에서 2-2 무승부를 거두고, 울산 현대 FC와의 홈 경기에서 1-2로 패배했지만, 최종 순위는 14위로 마무리되었다.
최성국은 4골, 최원권은 3골, 김동현과 김정우는 각각 2골을 기록하며 팀 공격을 이끌었다.포지션 국가 번호 이름 K리그 경고 퇴장 GK 1 성경일 0 1 DF 3 박병규 3 0 MF 4 김영삼 2 0 DF 5 배효성 5 0 MF 6 황선필 4 0 FW 10 최성국 5 1 MF 11 전광환 1 0 MF 12 김범수 1 0 MF 13 최원권 4 1 MF 14 김정우 3 0 MF 16 서민국 1 0 DF 17 김수연 1 0 MF 20 김태민 3 0 DF 22 장현규 1 0 MF 26 정경호 3 0 FW 27 주광윤 4 2 FW 28 김동현 4 0 DF 30 윤여산 6 0 GK 31 김지혁 2 0 합계 53 5
4. 1. 1. 경기 결과 요약
wikitext구분 승 무 패 득점 실점 홈 경기 원정 경기 전체 53 5 66 5
4. 1. 2. 리그 순위
순위 팀 경기수 승점 승 무 패 득점 실점 득실차 비고 1 FC 서울 28 62 19 5 4 58 26 +32 챔피언결정전 직행 2 제주 유나이티드 28 59 17 8 3 54 25 +29 챔피언결정전 직행 3 전북 현대 모터스 28 48 13 9 6 47 29 +18 플레이오프 직행 4 울산 현대 28 44 12 8 8 39 36 +3 6강 플레이오프 5 성남 일화 천마 28 42 11 9 8 46 36 +10 6강 플레이오프 6 경남 FC 28 41 12 5 11 37 38 -1 6강 플레이오프 7 수원 삼성 블루윙즈 28 37 10 7 11 41 39 +2 8 부산 아이파크 28 33 8 9 11 36 37 -1 9 포항 스틸러스 28 33 8 9 11 39 48 -9 10 전남 드래곤즈 28 32 8 8 12 40 49 -9 11 인천 유나이티드 28 31 8 7 13 42 51 -9 12 광주 상무 28 30 8 6 14 36 52 -16 13 대전 시티즌 28 23 5 8 15 27 50 -23 14 강원 FC 28 23 6 5 17 27 56 -29 15 대구 FC 28 19 5 4 19 28 57 -29
4. 2. FA컵
(득점 – 실점)득점자 관중 4월 21일 32강 울산 미포조선 홈 3 – 0 김동현 24, 전광환 40, 조용태 55' 500 7월 21일 16강 포항 스틸러스 홈 2 – 1 최원권 45+2', 박원홍 108' 200 8월 18일 8강 전남 드래곤즈 원정 1 – 2 최성국 26' 6,534
4. 3. 리그컵
광주 상무는 2010년 포스코컵 2010 조별 예선에서 A조에 속해 FC 서울, 제주 유나이티드, 성남 일화 천마, 울산 현대 축구단과 경기를 치렀다. 5월 23일 FC 서울과의 홈경기(0:0 무), 5월 26일 제주 유나이티드 원정 경기(0:2 패), 6월 2일 성남 일화 천마와의 홈경기(1:1 무, 조용태 득점), 6월 6일 울산 현대 축구단 원정 경기(0:2 패)를 치르며 2무 2패, 승점 2점으로 조 5위를 기록, 6강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4. 3. 1. 조별 예선
(득점 – 실점)득점자 관중 조 순위 5월 23일 FC 서울 홈 0 – 0 4,219 3위 5월 26일 제주 유나이티드 원정 0 – 2 578 5위 6월 2일 성남 일화 천마 홈 1 – 1 조용태 10' 1,538 5위 6월 6일 울산 현대 축구단 원정 0 – 2 4,752 5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