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C 서울 2010 시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C 서울은 2010 시즌을 앞두고 선수단 훈련을 실시했으며, K리그, 리그컵, FA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K리그 정규리그에서 20승 2무 6패의 압도적인 성적으로 1위를 기록했으며, K리그 챔피언십 결승에서 제주 유나이티드를 꺾고 우승했다. 리그컵에서는 전북 현대 모터스를 꺾고 우승했으며, FA컵에서는 16강에서 탈락했다. 데얀 다미아노비치, 정조국, 이승렬을 중심으로 공격진을 구성했으며, 총 관중 547,592명을 기록하며 K리그 시즌 총관중 1위를 달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축구단 2010 시즌 - 전북 현대 모터스 2010 시즌
전북 현대 모터스의 2010 시즌은 K리그 3위, AFC 챔피언스리그 8강 진출, 리그컵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이동국, 에닝요, 김상식 등이 활약했고 에닝요는 K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되었다. - 축구단 2010 시즌 - 광주 상무 축구단 2010 시즌
광주 상무 축구단 2010 시즌은 K리그에서 14위를 기록하고 리그컵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으며 최성국, 김정우 등 핵심 선수 영입을 통해 전력 보강을 꾀한 시즌이다. - K리그1 우승 시즌 - 전북 현대 모터스 2014 시즌
전북 현대 모터스가 K리그 클래식에서 우승하며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 자격을 얻고 이동국의 기록 달성, K리그 최다 연속 경기 무실점 승리 기록 경신 등의 기록을 세웠으나, AFC 챔피언스리그 16강 탈락, FA컵 4강 진출 실패를 겪은 후 K리그 최초로 우승 반지를 제작한 시즌이다. - K리그1 우승 시즌 - 전북 현대 모터스 2017 시즌
전북 현대 모터스 2017 시즌은 K리그 클래식에서 전북 현대 모터스가 통산 5회 우승을 달성하고 이동국 선수가 개인 통산 200골을 기록하는 등 여러 기록이 세워진 시즌이다. - FC 서울 시즌 - FC 서울 2009 시즌
FC 서울 2009 시즌은 셰놀 귀네슈 감독 하에 K리그 5위, AFC 챔피언스리그 8강 진출, 이청용 이적, 안데르송 영입 등의 변화가 있었으며 K리그 챔피언십에 진출했으나 6강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했다. - FC 서울 시즌 - FC 서울 2011 시즌
FC 서울은 2011 시즌을 맞아 선수단 상견례와 전지훈련을 거쳐 K리그 정규 리그 3위, K리그 챔피언십 5위를 기록했으며, 데얀 다먀노비치가 32골, 마우리시오 몰리나가 13도움을 기록하고 황보관 감독 사임 후 최용수 코치가 감독 대행을 맡았다.
FC 서울 2010 시즌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클럽 | FC 서울 |
시즌 | 2010 |
감독 | 넬로 빙가다 |
구단주 | 허창수 |
구단주 직책 | 구단주 |
경기장 정보 | |
연고지 | 서울특별시 |
경기장 | 서울월드컵경기장 |
최고 관중 | 60,747 vs 성남 (리그, 5월 5일) |
최저 관중 | 1,195 vs 목포 (FA컵, 4월 21일) |
평균 관중 | 32,576 |
시즌 성적 | |
리그 | K리그 |
리그 결과 | 우승 |
FA컵 | FA컵 |
FA컵 결과 | 16강 |
리그컵 | 리그컵 |
리그컵 결과 | 우승 |
득점 정보 | |
리그 최다 득점자 | 데얀 (13골) |
시즌 최다 득점자 | 데얀 (19골) |
시즌 연혁 | |
이전 시즌 | 2009 |
다음 시즌 | 2011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 pattern_la1: _FCSEOUL_10h pattern_b1: _FCSEOUL_10h pattern_ra1: _FCSEOUL_10h pattern_sh1: _FCSEOUL_10 pattern_so1: _FCSEOUL_10 leftarm1: FFFFFF body1: FFFFFF rightarm1: FFFFFF shorts1: FFFFFF socks1: FF0000 |
원정 유니폼 | pattern_la2: _STRICON_ONWHITE pattern_b2: _FCSEOUL_10a pattern_ra2: _STRICON_ONWHITE pattern_sh2: _FCSEOUL_10 pattern_so2: _FCSEOUL_10 leftarm2: 000000 body2: FFFFFF rightarm2: 000000 shorts2: FFFFFF socks2: FFFFFF |
2. 시즌 준비
FC 서울 선수단은 목포시에서 2010 시즌 대비 1차 전지훈련을 실시하였다. 2010년 1월 4일 전지훈련을 떠날 예정이었으나 서울지방에 내린 폭설로 인해 발이 묶이면서 5일 KTX를 타고 목포 전지훈련장으로 떠났다. 오후에 숙소에 도착한 선수단은 짐을 정리한 후 ‘프로정신’에 관한 특강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전지훈련 일정에 돌입하였다.[4] 체력 훈련 위주의 1차 목포 전지훈련을 마친 후 2010년 1월 31일 일본 시즈오카현 고텐바시로 떠나 2차 전지 훈련을 실시하였다.[5]
2. 1. 프리시즌 경기 결과
FC 서울은 일본 고텐바 전지훈련 기간 중 연습경기에서 4승 1무를 기록하며 좋은 경기력을 선보였다. 특히, 하마마츠 대학교와의 경기에서는 하대성, 데얀, 이현승, 정조국, 고명진의 연속 득점에 힘입어 7-0 대승을 거두었다.구분 | 날짜 | 상대팀 | 결과 | 득점 | 득점자 | 비고 |
---|---|---|---|---|---|---|
일본 고텐바 전지훈련 중 연습경기 | 2010-02-07 | 하마마츠 대학교 | 승 | 7–0 | 하대성 1, 데얀 46, 68, 이현승 55, 정조국 64, 90, 고명진 65' | |
2010-02-10 | 미토 홀리호크 | 승 | 1–0 | 하대성 50'(PK) | ||
2010-02-11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승 | 1–0 | 데얀 6' | ||
2010-02-13 | 쇼난 벨마레 | 무 | 2–2 | 정조국 ?', 하대성 35' | ||
2010-02-16 | 쇼난 벨마레 | 승 | 2–1 | 데얀 49', 하대성 85' | ||
3. 대회
3. 1. 개요
3. 2. K리그
FC 서울은 정규리그에서 20승 2무 6패(승점 62점)의 압도적인 성적으로 1위를 차지하였다. 28경기에서 58득점 26실점을 기록, 최다 득점 1위와 최소 실점 2위를 기록하며 공수 양면에서 뛰어난 모습을 보였다. 데얀, 정조국, 이승렬 삼각편대의 활약과 제파로프, 하대성, 최태욱 등 미드필더진의 지원이 돋보였다. 특히, 홈경기 10연승을 기록하며 홈 팬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했다.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의 라이벌 경기에서는 1승 1패를 기록했다.
K리그 챔피언십 결승에서 제주 유나이티드를 상대로 1, 2차전 합계 4-3 (1차전 2-2 무, 2차전 2-1 승)으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12월 1일 제주 유나이티드와의 결승 1차전 원정 경기에서 데얀과 김치우의 득점으로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12월 5일 홈에서 열린 결승 2차전에서는 정조국과 아디우송의 득점에 힘입어 2-1로 승리했다.
3. 2. 1. K리그 챔피언십
2010 시즌 K리그 챔피언십에서 FC 서울은 6강 플레이오프를 거쳐 결승에 진출한 제주 유나이티드와 맞붙었다. 12월 1일 제주 유나이티드와의 결승 1차전 원정 경기에서 데얀과 김치우의 득점으로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12월 5일 홈에서 열린 결승 2차전에서는 정조국과 아디우송의 득점에 힘입어 2-1로 승리했다. 1, 2차전 합계 4-3으로 제주 유나이티드를 꺾고 K리그 우승을 차지하였다.
시즌 | 진출 팀수 | 순위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부차기 | 감독 |
---|---|---|---|---|---|---|---|---|---|---|---|
2010 | 6 | 우승 | 2 | 1 | 1 | 0 | 4 | 3 | +1 | N/A | 넬루 빙가다/넬루 빙가다pt |
날짜 | 라운드 | 상대 | 홈/원정 | 결과 득점 – 실점 | 득점자 | 관중 |
---|---|---|---|---|---|---|
12월 1일 | 결승 1차전 | 제주 유나이티드 | 원정 | 2–2 | 데얀 13', 김치우 90+2' | 18,528 |
12월 5일 | 결승 2차전 | 제주 유나이티드 | 홈 | 2–1 | 정조국 27' (페널티킥), 아디우송 72' | 56,759 |
3. 3. 리그컵
FC 서울은 2010년 리그컵에서 B조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5월 23일 광주 상무와의 원정 경기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했고, 5월 26일 성남과의 홈 경기에서는 방승환과 데얀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5월 29일 울산과의 원정 경기에서는 방승환의 골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6월 6일 제주와의 홈 경기에서는 데얀의 2골과 하대성의 2골, 최효진의 골을 묶어 5-1 대승을 거두며 조 1위로 8강에 진출했다.8강에서 대구 FC를 상대로 2-2 무승부 후 승부차기에서 5-3으로 승리했고, 준결승에서는 수원 삼성 블루윙즈를 연장 접전 끝에 데얀의 2골과 이승렬의 2골을 묶어 4-2로 꺾었다. 8월 25일에 열린 전북 현대 모터스와의 결승전에서는 데얀, 정조국, 이승렬의 연속골로 3-0 완승을 거두며 리그컵 우승을 차지했다. 데얀은 리그컵에서 6골 3도움을 기록하며 맹활약했다.
3. 4. FA컵
FC 서울은 2010년 4월 21일 목포시청과의 32강 홈경기에서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4-3으로 승리하며 16강에 진출했다. 16강전은 7월 21일 부산 아이파크를 상대로 원정 경기를 치렀으나, 1-2로 패배하며 탈락했다.4. 경기 기록지와 경기 하이라이트
[https://www.fcseoul.com/matches/schresultList FC 서울 공식 웹사이트]에서 2010 시즌 모든 공식 경기의 경기 기록지와 경기 하이라이트를 확인할 수 있다.
분류:FC 서울 시즌
5. 시즌 통계
5. 1. K리그 기록
팀수순위
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