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증심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광주 증심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은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철불좌상으로, 광주광역시 동구 증심사에 있습니다. 1963년 1월 21일에 보물 제131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원래 위치 및 이전:
- 원래 전라남도 광주군 서방면 동계리에 있던 것을 1934년 증심사로 옮겨왔습니다.
- 이전 과정에서 광배(光背)와 대좌(臺座)는 소실되었습니다.
-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대황사에 있었는데 1934년 폐사터에서 증심사로 옮겨진 것이며 이 때 광배와 대좌가 없어졌다는 설이 있습니다.
형태 및 특징:
- 높이 90cm의 철조 비로자나불 좌상입니다.
-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나발)이 촘촘하게 붙어 있고, 정수리에는 상투 모양의 육계가 높고 뚜렷합니다.
- 얼굴은 원만하고, 반쯤 감은 눈, 우뚝한 코, 굳게 다문 입술은 근엄한 표정을 짓고 있습니다.
- 목에는 삼도(三道)가 뚜렷합니다.
- 법의는 두꺼운 옷으로 양 어깨를 감싸고 있으며, 가슴을 넓게 드러내고 있습니다. 양 팔에 걸쳐진 옷자락은 규칙적인 평행의 옷주름을 이루며 흘러내립니다.
- 손모양은 왼손 검지를 오른손으로 감싸 쥔 지권인(智拳印)의 형태인데, 일반적인 비로자나불상과는 반대로 좌우가 바뀌어 있습니다.
- 결가부좌한 발의 모습도 왼발이 오른발 무릎 위에 놓인 항마좌(降魔坐)의 모습입니다.
의의 및 평가:
- 9세기 후반의 조각으로서 안정된 자세와 균형 잡힌 신체 비례, 자비로운 얼굴 묘사가 돋보이는 작품입니다.
-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63호),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117호)과 함께 통일신라 후기 철불상의 대표작으로 꼽힙니다.
- 한국전쟁의 화마를 피해 간 귀중한 유물입니다.
| 광주 증심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광주 증심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光州 證心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 |
| 영문 이름 | Iron Seated Vairocana Buddha of Jeungsimsa Temple, Gwangju |
| 문화재 정보 | |
| 국가 | 대한민국 |
| 유형 | 보물 |
| 지정 번호 | 131 |
|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 소재지 | 광주광역시 동구 증심사길 177, 증심사 (운림동) |
| 소유자 | 증심사 |
| 수량 | 1구 |
| 시대 | 남북국 시대 9세기 |
| 문화재청 번호 | 12,01310000,24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