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세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9세기는 서유럽에서 프랑크 왕국이 카를 대제의 통치 이후 분열되고 봉건제가 성립되는 시기였다. 카를 대제는 서로마 황제로 대관하여 서유럽 세계의 기틀을 다졌으나, 그의 사후 왕국은 분열되었고, 장원제와 주종 관계가 일반화되면서 봉건제가 발전했다. 한편, 동아시아에서는 당나라가 쇠퇴하고 신라가 혼란에 빠졌으며, 일본에서는 헤이안 시대가 시작되었다. 서아프리카에서는 이그보족이 청동 주조 기술을 발전시키고 가나 제국이 성장했다. 주요 인물로는 카를 대제, 알프레드 대왕, 견훤, 궁예 등이 있으며, 주요 사건으로는 프랑크 왕국의 분열, 잉글랜드 왕국의 기원, 황소의 난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날짜 - 12세기
12세기는 서기 1101년부터 1200년까지의 기간으로, 유럽, 아시아, 중동 등지에서 정치적, 사회적 변화가 일어났으며, 잉글랜드의 알턴 조약 체결, 십자군 전쟁, 12세기 르네상스, 북송과 남송의 교체, 가마쿠라 막부 성립 등의 주요 사건이 발생했다. - 날짜 - 14세기
14세기는 유럽과 아시아의 정치적, 사회적 변동, 즉 흑사병의 유행, 백년 전쟁, 명나라와 조선의 건국, 티무르 제국의 부상, 일본의 남북조 시대 등의 주요 사건들을 포함하며, 몽골 제국의 쇠퇴와 함께 새로운 지역 강국들이 등장하여 유라시아 대륙의 정치 지형을 재편하고 흑사병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겪은 시기이다.
9세기 | |
---|---|
9세기 지도 | |
![]() | |
![]() | |
주요 사건 | |
정치 및 군사 | 800년: 샤를마뉴가 교황 레오 3세에 의해 로마 황제로 대관되다. 802년: 자야바르만 2세가 크메르 제국을 세우다. 843년: 베르됭 조약으로 프랑크 왕국이 분열되다. 862년: 류리크가 노브고로드를 점령하고 류리크 왕조를 세우다. 864년: 불가리아가 기독교로 개종하다. 878년: 알프레드 대왕이 에딩턴 전투에서 데인족을 격파하다. 885년: 파리 공방전이 시작되다. 바이킹이 파리를 공격하다. 896년: 마자르족이 판노니아 평원에 정착하다. |
문화 | 9세기: 스피링스의 비보가 만들어지다. 9세기: 출경금지전람문물 목록이 시작되다. 9세기: 비비안의 성경이 만들어지다. 9세기: 투르의 그리고리우스가 프랑크족의 역사를 기록하다. |
주요 인물 | |
정치 및 군사 | 샤를마뉴: 프랑크 왕국의 왕이자 로마 황제. 알프레드 대왕: 잉글랜드의 왕. 하룬 알 라시드: 아바스 왕조의 칼리프. |
종교 | 교황 레오 3세 키릴로스와 메토디우스: 슬라브족에게 기독교를 전파한 선교사. |
문화 | 알콰리즈미: 페르시아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 알 킨디: 아랍의 철학자이자 과학자. |
발명 및 발견 | |
기술 | 9세기: 나침반이 중국에서 발명되다. |
기타 | |
예술 | 알프레드 보석이 만들어지다. 클루도프 시편이 만들어지다. 전투의 회랑이 만들어지다. |
2. 서유럽
9세기 초, 카를 대제가 교황 레오 3세로부터 로마 제국 황제로 대관되면서 서유럽 세계의 정치·문화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이후 프랑크 왕국은 동프랑크 왕국, 서프랑크 왕국, 로타르령으로 분열되었고, 잉글랜드 왕국은 웨섹스 왕국의 알프레드 대왕이 바이킹을 격퇴하며 기틀을 다졌다. 같은 시기 유럽에서는 장원제와 주종 관계가 일반화되면서 봉건제가 성립되었고, 교회도 교회령을 소유하며 세속 영주와 비슷한 권력을 가지는 2원적 지배체제가 나타났다.[1]
2. 1. 프랑크 왕국
800년 카를 대제가 교황 레오 3세에게서 로마 제국 황제로 대관되면서, 프랑크 왕국을 중심으로 서유럽 역사가 전개되었다. 카를 대제는 교황에 대한 동로마 제국 황제의 간섭을 배제하고 세력을 확장하여, 로마 제국 이후 서유럽에서 가장 넓은 판도를 가진 제국을 건설하였다. 이는 비잔틴 세계 및 이슬람 세계와 구별되는 서유럽 세계라는 정치·문화적 공동체의 기반이 되었다. 카를 대제 통치 기간 동안, 민족 대이동으로 쇠퇴했던 문화가 부흥하였고(카롤링거 르네상스), 게르만·로마·기독교 등 여러 요소가 융합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서유럽 공통의 출발점을 이루었다.지중해 연안을 통한 무역은 8세기부터 발흥한 이슬람교도의 세력 확장으로 쇠퇴하여, 서유럽 사회는 교환경제 사회에서 자연경제 사회로 되돌아가 경제 성장이 저해되었다. 이는 카를 대제 사후 프랑크 왕국이 동프랑크 왕국, 서프랑크 왕국, 로타르령으로 분열하는 계기가 되었다.
2. 2. 프랑크 왕국의 분열
800년 카를 대제가 교황 레오 3세로부터 로마 제국 황제로 대관된 후, 프랑크 왕국은 카를 대제 사후 동프랑크 왕국, 서프랑크 왕국, 로타르령으로 분열되었다. 이는 지중해 무역 쇠퇴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이 원인이었다.2. 3. 잉글랜드 왕국의 기원
8세기부터 바이킹의 침략이 계속되어 앵글로색슨 계열의 칠왕국이 차례로 정복되었다. 그러나 웨섹스 왕국의 알프레드 대왕이 878년 에탄던 전투에서 바이킹을 격퇴하고 일부 영토를 수복하여 잉글랜드 왕국의 기원이 되었다.[1] 알프레드는 앵글로색슨 통치를 머시아의 서부 절반에 재건했으며, 데인로가 설립되어 머시아는 동부(덴마크인 통제)와 서부(앵글로색슨 통치)로 나뉘었다.[1]2. 4. 봉건제의 성립
9세기 유럽에서는 점차 장원(莊園)제가 보급되었고, 지배자와 백성 사이에 주종 관계가 일반화되면서 봉건제(封建制)가 성립되었다.[1] 장원이 지역적으로 집중되면서, 이후 영주의 권한이 강해져 왕권과 대립하게 되었고, 이는 지방분권화 경향으로 이어졌다.[1]2. 5. 서유럽의 기독교
교회도 이른바 교회령(敎會領)을 가지게 되면서, 이 무렵에는 그 권력이 세속의 영주와 다를 바 없게 되어 중세의 소위 2원적 지배체제가 성립되었다. 9세기 미술은 주로 복음에 헌정되었으며 로마 정교회의 전례의 기본 도구로 사용되었다. 수천 개의 금으로 된 예술품, 즉 성배, 그릇, 성유물함, 십자가, 묵주, 제단화, 성모자와 성인 조각상 등이 서양 미술의 불꽃을 꺼지지 않게 했다.3. 동아시아
9세기 중엽, 당나라는 안사의 난 이후 균전제가 무너지고 절도사 세력이 강해지면서 점차 쇠퇴하였다. 868년에는 방훈의 난이 일어났고,[1] 875년에는 황소의 난이 발생하여 10여 년간 당나라의 주요 지역을 휩쓸면서 멸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1]
신라는 잦은 왕위 다툼과 자연재해, 귀족들의 사치와 향락으로 쇠퇴하였다. 867년 견훤이 태어났고, 892년 견훤이 후백제를 건국하면서 후삼국시대가 시작되었다.[4] 811년 고닌의 한구, 869년 조간의 한구[3], 893년-894년 간표의 한구[5] 등 신라구의 침입으로 신라와 일본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발해는 9세기 선왕 때 전성기를 맞이하여 '해동성국'이라 불렸다.[1]
일본은 헤이안 시대 전기로, 당나라 제도를 본떠 만든 율령제가 쇠퇴하였다. 호적을 അടിസ്ഥാന으로 세금을 매기던 방식에서 벗어나, '토호'라고 불리는, 실제 땅을 관리하고 경영하는 부유한 부호층을 부명으로 삼아 토지에 세금을 매기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변화하는 사회를 현실에 맞게 다스리기 위해 현지에 파견된 국사의 우두머리에게 큰 권한을 주었고, 이들을 수령이라고 불렀다. 860년 교행(行教)이 세이와 천황의 명을 받아 이와시미즈 하치만궁을 창건했다.[1] 861년 일본에서 선명력이 채택되었는데, 이는 당에서 822년에 제작된 달력으로, 1685년 정향력으로 개정될 때까지 사용되었다.[1] 866년에는 오텐몬의 변이 일어났다.[1]
3. 1. 당나라의 쇠퇴
안사의 난 이후 당나라는 균전제가 붕괴되고 절도사 세력이 강화되면서 쇠퇴하였다. 875년에 일어난 황소의 난은 전후 10여 년에 걸쳐 당의 주요 지역인 강회를 유린함으로써 당나라 멸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1]3. 2. 신라의 혼란과 후삼국시대
867년 견훤이 출생하였다.[1] 892년 견훤이 후백제를 건국하면서 후삼국시대가 시작되었다.[4]잦은 왕위 다툼, 자연재해, 귀족들의 사치와 향락으로 신라는 쇠퇴하였다. 811년 고닌의 한구, 869년 조간의 한구[3], 893년-894년 간표의 한구[5] 등 신라구의 침입으로 신라와 일본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3. 3. 발해의 전성기
발해는 9세기 선왕 때 전성기를 맞이하여 '해동성국'이라 불렸다.[1]3. 4. 일본 헤이안 시대 전기
일본에서는 헤이안 시대 전기이며, 당나라 제도를 기반으로 한 율령제가 쇠퇴하였다. 호적에 따른 인별 과세에서, 토호라고 불리는, 실제 공전을 맡아 경영하는 부호층을 부명으로 하여 토지 과세하는 제도로 이행하였다. 변동하는 재지 사회를 현실에 맞춰 통치하기 위해 현지에 파견된 국사의 우두머리에게 대폭적인 권한이 부여되었고, 이들을 수령이라고 불렀다.4. 서아프리카
이그보족은 9세기 경 현재의 나이지리아 남부 지역에서 발달된 청동 주조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이 만든 청동 작품들은 이그보랜드 북부 지역에서 발견된 귀족 무덤의 매장품 중 일부였다. 가나 (와가두) 제국은 대략 830년경부터 1235년경까지 현재 모리타니 남동부와 말리 서부에 위치해 있었으며, 20세기 초까지 존속했던 최초의 사헬 왕국 가운데 하나로 여겨진다.
4. 1. 이그보족의 청동 주조 기술
이그보족은 9세기 경 현재의 나이지리아 남부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사람, 동물, 전설 속 생물을 청동으로 주조하는 기술을 발전시켰다. 이 청동 작품들은 용기, 부적, 펜던트, 제사용 도구 등으로 사용되었으며, 나이지리아에서 발견된 가장 초기의 청동 작품 중 하나이다. 대부분의 유물들은 이그보랜드 북부 지역에서 발견된 귀족 문화의 매장품의 일부였다.4. 2. 가나 제국의 성장
가나 (와가두) 제국은 현재의 모리타니 남동부와 말리 서부에 위치했으며, 20세기 초까지 어떤 형태로든 존재했던 최초의 사헬 왕국 가운데 하나로 여겨진다.5. 주요 인물
- 카롤루스 대제: 프랑크 왕국의 왕(재위 768년 - 814년)이자 서로마 제국 황제(재위 800년 - 814년)이다. 서유럽을 중심으로 넓은 판도의 제국을 건설하였으며, 카롤링거 르네상스를 통해 문화 부흥을 이끌었다.[1]
- 노르웨이의 하랄 1세: 노르웨이를 통일한 왕이다.
- 류리크: 노브고로드 공화국을 건국한 바이킹이다.
- 케네스 마카르핀(810년 - 858년): 최초의 스코틀랜드 왕으로, 아르바 왕국을 건설했다.
- 바시레이오스 1세(827년 - 886년): 동로마 제국 황제(재위 867년 - 886년)이자 마케도니아 왕조의 개창자이다.
- 황소(黃巢?): 당나라 시대의 반란 주동자이다. 황소의 난을 일으켜 당나라 멸망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 에그바트(775년? - 839년): 웨섹스 왕국의 왕(재위 802년 - 839년)으로 잉글랜드를 통일했다.
- 알프레드 대왕(849년 - 899년): 잉글랜드 왕(재위 871년 - 899년)이다. 바이킹의 침입을 막아내고 잉글랜드 왕국의 기틀을 다졌다.[1]
- 하룬 알 라시드(763년 - 809년): 압바스 왕조 제5대 칼리프(재위 786년 - 809년)이다.
5. 1. 한국
5. 2. 서유럽
800년 카를 대제가 교황 레오 3세로부터 로마 제국의 황제로 대관된 후, 프랑크 왕국을 중심으로 서유럽 역사가 전개되었다. 카를 대제는 교황에 대한 동로마 제국 황제의 간섭을 배제하고 세력을 넓혀, 서유럽을 중심으로 한 국가 중 로마 제국 이후로는 가장 넓은 판도의 제국을 건설하였으며, 이는 비잔틴 세계 및 이슬람 세계와 구별되는 서유럽 세계라는 정치·문화적 공동체의 기반이 되었다.[1] 카를 대제의 통치 기간 중 그 이전 시기의 민족 대이동으로 인해 쇠퇴했던 문화가 부흥하였고, (카롤링거 르네상스), 게르만·로마·기독교 등의 여러 요소가 융합하여 오늘날까지도 내려오는 서유럽 공통의 출발점을 이룩하였다.[1]지중해 연안을 통한 무역은 이미 8세기부터 발흥한 이슬람교도의 세력 확장으로 인해 쇠퇴하였으며, 이는 서유럽 사회가 교환경제 사회에서 자연경제 사회로 되돌아가게 하여 경제 성장이 저해되었다.[1] 이는 카를 대제 사후 프랑크 왕국이 동프랑크 왕국, 서프랑크 왕국, 로타르령의 세 왕국으로 분열하는 계기가 되었다.[1]
영국에는 8세기부터 계속되어 온 바이킹의 내습에 의해, 분열되어 있던 앵글로색슨 계열의 7왕국이 차례로 정복되었으나, 최후로 남은 색슨계 왕국인 웨섹스 왕국의 알프레드 대왕이 878년에 이들을 격퇴하고 일부 영토를 수복하여 잉글랜드 왕국의 기원이 되었다.[1]
9세기의 유럽에서는 점차 장원제(莊園制)가 보급됨과 아울러 지배자와의 사이에 주종(主從) 관계가 일반화하기 시작하여 봉건제(封建制)가 성립되었다.[1] 그리고 장원의 지역적 집중이 이루어짐으로써 나중에 영주권이 강화되어 왕권과 대립하게 되었고, 따라서 지방분권화 경향을 나타냈다.[1] 한편, 교회도 이른바 교회령(敎會領)을 가지게 되며, 이 무렵에는 그 권력이 세속의 영주와 다를 바 없게 됨으로써 여기서 중세의 소위 2원적 지배체제가 성립된 것이었다.[1]
5. 3. 동아시아
8세기 중엽 안사의 난을 겪고 나서 당(唐)의 국운은 급격하게 쇠퇴하였다. 당의 경제적 기초였던 균전제가 무너지고 현실적 토지 사유에 바탕을 둔 양세법이 시행되자, 토지 집중화 현상이 나타나고 농민의 몰락이 가속화되었다. 농촌 사회의 변동은 부병제를 동요시켜 모병제를 취하게 되었는데, 이는 절도사가 용병(傭兵)을 사병화(私兵化)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를 계기로 절도사는 지방의 행정·군사·재정의 실권을 집중하여 사실상 지방정권화하였다. 양세법 시행 이후에도 당의 재정 곤란은 심하여 여러 종류의 잡세가 부가되고, 상업 및 고리대본이 발전함에 따라 농민은 장원에 유입되거나 번진(蕃鎭)의 용병이 되는 일이 속출하였다. 번진 세력의 대두와는 반대로 중앙 귀족이 몰락하고, 정부 내 환관의 전횡과 관료의 당쟁은 당의 붕괴를 재촉하였다. 지방에 할거(割據)한 신흥 지주 호족 세력은 농민과 유민을 흡수하여 빈번하게 반란을 일으켰다. 9세기 후기의 황소의 난은 전후 10여 년에 걸쳐 당의 보고(寶庫)인 강회를 유린함으로써 당 멸망에 결정타를 가했다.5. 4. 기타 지역
노르웨이의 하랄 1세는 노르웨이를 통일한 왕이다. 류리크는 노브고로드 공화국을 건국한 바이킹이다.[1]6. 주요 사건
9세기에는 유럽에서 점차 장원제가 보급되고 지배자와의 주종 관계가 일반화되면서 봉건제가 성립되었다. 장원의 지역적 집중은 영주권을 강화시켜 왕권과 대립하게 되었고, 이는 지방분권화를 초래했다. 교회도 교회령을 가지며 세속 영주와 비슷한 권력을 행사하여 중세의 2원적 지배체제가 성립되었다. 한편, 비잔틴 세계는 고전 그리스 문화를 보존, 발전시키며 아시아 민족 침입에 대한 방파제 역할을 했고, 동유럽 슬라브족에게 문화적 영향을 주었다.
6. 1. 9세기 초
800년 카를 대제가 교황 레오 3세에게서 로마 제국 황제 대관을 받으면서, 프랑크 왕국 중심의 서유럽 역사가 시작되었다.[2] 카를 대제는 동로마 제국 황제의 교황 간섭을 막고 세력을 확장하여, 로마 제국 이후 서유럽 최대 판도의 제국을 건설했다. 이는 비잔틴 및 이슬람 세계와 구별되는 서유럽의 정치·문화적 공동체 기반이 되었다. 카를 대제 통치 기간 동안 민족 대이동으로 쇠퇴했던 문화가 부흥(카롤링거 르네상스)했고, 게르만·로마·기독교 요소가 융합하여 서유럽 공통의 출발점을 만들었다.지중해 무역은 8세기 이슬람 세력 확대로 쇠퇴하여, 서유럽은 교환경제에서 자연경제로 돌아가 경제 성장이 저해되었다. 이는 카를 대제 사후 프랑크 왕국이 동프랑크 왕국, 서프랑크 왕국, 로타르령으로 분열하는 계기가 되었다.
영국은 8세기부터 바이킹 내습으로 앵글로색슨 7왕국이 정복되었으나, 웨섹스 왕국의 알프레드 대왕이 878년 격퇴하고 영토를 수복하여 잉글랜드 왕국의 기원이 되었다.
6. 2. 9세기 중반
6. 3. 9세기 말
- 892년 - 견훤이 후백제를 건국하였다.[2]
- 893년-894년 - 간표의 한구.[2]
- 일본에서 가나문자의 사용이 시작되었다.[2]
- 9세기 말: 불가리아는 다뉴브강 어귀에서 에피루스와 보스니아까지 뻗어 있었다.
- 9세기 말: 남인도에서 팔라바 왕조가 종말을 맞이했다.
- 9세기 말: 교토 도지의 자궁계 만다라가 만들어졌다. 헤이안 시대.

참조
[1]
웹사이트
Igbo-Ukwu (ca. 9th century)
http://www.metmuseum[...]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8-11-23
[2]
논문
Brunei Rediscovered: A Survey of Early Times
https://www.jstor.or[...]
1983
[3]
문서
Dumarçay (1991)
[4]
서적
Early Kingdoms of the Indonesian Archipelago and the Malay Peninsula
Didier Millet
[5]
문서
Soekmono (1976), page 9
[6]
문서
Miksic (1990)
[7]
웹사이트
Succession of the Carolingian Empire, 843 CE
http://www.cmunce.or[...]
Columbia Model United Nations Conference and Exposition
2014-12-24
[8]
문서
Miksic (1997)
[9]
서적
Pengantar Sejarah Kebudayaan Indonesia 2
Penerbit Kanisius
[10]
서적
Paris: Biography of a City
https://books.google[...]
Penguin Adult
2006-04-06
[11]
문서
Julian equivalent of the indicated Hindu calendar date: the 4th day, a Monday, of the darkening half of the month Vaisakha in Shaka year 8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