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개수 방출 마찰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개수 방출 마찰음은 마찰음의 일종으로, 목젖과 혀의 뒷부분을 사용하여 조음하며, 성대의 진동 없이 소리를 내는 무성음이다. 폐에서 나오지 않는 공기를 사용하며, 입으로만 공기가 빠져나가는 구강음이다. 다코타어, 조지아어, 라코타어, 수어, 틀링깃어 등에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개수음 - 무성 구개수 마찰음
무성 구개수 마찰음은 혀 뒤쪽과 구개수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무성 마찰음으로, 폐에서 나오는 공기가 성대의 진동 없이 혀의 중앙을 따라 흐르며 마찰을 일으켜 소리가 나는 특징을 가지며, 독일어, 웨일스어, 아랍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 구개수음 - 유성 구개수 파열음
유성 구개수 파열음은 혀의 후설을 목젖에 대고 공기를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파열음으로, 유성음이며 아랍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 방출음 - 양순 방출음
양순 방출음은 아랫입술과 윗입술을 사용하여 후두를 상승시켜 기류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내는 무성 구강 방출음으로, 일부 언어에서 드물게 나타난다. - 방출음 - 치경 방출 마찰음
치경 방출 마찰음은 혀끝과 윗니 뒤쪽 잇몸 사이에서 마찰을 일으켜 내는 무성음으로, 후두를 상승시켜 기류를 생성하는 방출음의 특징을 가지며, 여러 언어에서 나타난다. - 마찰음 - 무성 양순 마찰음
무성 양순 마찰음은 입술을 가볍게 맞대고 공기를 강하게 내쉬어 만드는 무성 구강음으로, 일부 언어에서 음소로 나타나거나 다른 자음의 변이음으로 나타나며 한국어와 일본어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 마찰음 - 유성 치경 마찰음
유성 치경 마찰음은 혀끝과 치조릉 사이의 마찰로 나는 유성음으로, 국제 음성 기호는 /z/이며, 다양한 변종이 존재하고, 한국어에는 없지만 중세 한국어의 반치음과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구개수 방출 마찰음 | |
---|---|
음성학적 정보 | |
IPA 기호 | χʼ |
X-SAMPA 기호 | X_> |
설명 | 구개수음 방출음 마찰음 |
2. 특징
- 닿소리이다.
- 마찰음의 한 종류이다.[1]
- 목젖과 혀의 뒷부분으로 조음하는 구개수음(목젖소리)이다.
- 성대의 진동 없이 만들어지는 무성음이다.
- 혀를 인두에 가까이 대고 좁은 틈 사이로 공기를 통과시켜 만든다.
- 공기는 입으로만 빠져나간다.
- 폐에서 나오는 공기를 사용하지 않고 소리를 내는 방출음이다.
2. 1. 조음 방법
구개수 방출 마찰음은 좁은 통로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마찰을 일으켜 소리를 내는 마찰음이다.[1]2. 2. 조음 위치
구개수 방출 마찰음은 구개수음(목젖소리)으로, 목젖과 혀의 뒷부분으로 조음한다.2. 3. 발성 유형
이 소리는 성대의 진동 없이 만들어지는 무성음이다.2. 4. 구강/비강
- 이 소리는 혀를 인두에 가까이 대고 좁은 틈 사이로 공기를 통과시킬 때 만들어진다.
- 공기는 입으로만 빠져나간다.
2. 5. 기류
이 소리는 방출음으로, 폐에서 나오는 공기를 사용하지 않고 소리를 낸다.3. 사용 예시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다코타어 | haŋȟʼáŋna|haŋȟʼáŋnadak | [hãχʼã.na] | 아침 | |
조지아어[1] | ყvavili|ყ바빌리ka | 꽃 | [qʼ], [qχʼ]와 자유 변이[2] | |
라코타어 | ȟokȟá|ȟokȟálkt | [χʼo.k͡xa] | 드러머 | |
수어 | haŋȟʼáŋn|haŋȟʼáŋndak | [hãχʼãn] | 아침 | |
틀링깃어 | xhaan|xhaantli | 불 |
3. 1. 다코타어
다코타어에서 haŋ'''ȟʼ'''áŋna|[hãχʼã.na]dak는 '아침'을 뜻한다.[1]3. 2. 조지아어
ყვავილი/q̇vavili|ყ바빌리ka ([χʷʼɑvili]): '꽃' ([qʼ], [qχʼ]와 자유 변이)[1][2]3. 3. 라코타어
라코타어에서 ȟokȟálkt는 [χʼo.k͡xa]로 소리나며, '드러머'를 뜻한다.3. 4. 수어
haŋ'''ȟʼ'''áŋn|[hãχʼãn]dak은 '아침'을 의미한다.[1]3. 5. 틀링깃어
틀링깃어에서 '''xhaan'''는 로 소리나며, '불'을 의미한다.참조
[1]
논문
Standard Georgian
https://www.cambridg[...]
2006
[2]
문서
IPA Principles
1947-01-01 # 날짜 정보가 부분적이므로 년도만 표시, 필요에 따라 수정 가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