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코타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코타어는 라코타족의 언어로, 테톤어, 테톤 수 등으로도 불린다. 라코타어는 라코타족의 기원과 함께 시작되었다는 설화가 있으며, 1878년부터 1937년까지 라코타어 신문이 발행되었다. 음운 체계는 5개의 모음과 3개의 비음, 다양한 자음으로 구성되며, 모음 축약, 모음교체 등 음운 현상이 나타난다. 문자 체계는 여러 표기법이 공존하며 표준화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문법적으로는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르며, 명사, 대명사, 동사의 굴절, 후치사 사용 등의 특징을 보인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의 동화 정책으로 인해 쇠퇴 위기를 겪었으나, 1990년 미국 원주민 언어법 제정 이후 언어 복원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육 프로그램, 교사 양성, 언어 몰입 수업 등이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수어파 - 크로우어
크로우어는 다코타족의 히다차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미주리 밸리 시우족 언어이며, 1998년에는 크로우족 66세 이상 인구의 77%가 사용했지만 2012년 유네스코는 멸종 위기 언어로 분류했다. - 서수어파 - 수어 (북아메리카의 언어)
수어는 라코타어, 서부 및 동부 다코타어 세 가지 변이로 나뉘는 북아메리카 원주민 언어로, SOV 어순, 성별 어미, 명령형, 모음 전환 등 독특한 문법 구조를 가지며, 다양한 문자 체계로 기록된다. - SOV형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SOV형 언어 - 버마어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미얀마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고대 몬 문자 또는 퓨 문자에 기원을 두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체, 구어체를 가지며, 유니코드와 Zawgyi 글꼴을 지원한다.
라코타어 | |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 라코타어 |
자칭 이름 | Lakȟótiyapi |
발음 | IPA: [laˈkˣɔtɪjapɪ] |
화자 수 | 2,100명 (1997–2016년), 민족 인구의 29% |
사용 국가 | 미국, 일부 화자는 캐나다에 거주 |
주요 사용 지역 | 주로 노스다코타주와 사우스다코타주, 네브래스카주 북부, 미네소타주 남부, 몬태나주 북부 |
민족 | 테톤 수족 |
언어 상태 | UNESCO 소멸 위기 언어에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됨 |
언어학적 분류 | |
어족 | 수어 |
어파 | 서부 수어 |
어계 | 미시시피 계곡 수어 |
어군 | 다코타어군 |
어branch | 수어 |
문자 체계 | |
문자 | 라틴 문자 |
언어 코드 | |
ISO 639-3 | lkt |
Glottolog | lako1247 |
관련 정보 | |
어원 | 라코타 "동맹 / 친구" |
민족 명칭 | Lakȟóta Oyáte |
언어 명칭 | Lakȟótiyapi |
국가 | Lakȟóta Makóce, Očhéthi Šakówiŋ |
추가 정보 | |
참고 | IPA 사용 |
지도 | [[파일:Lakota map.svg|라코타족 원래 거주 지역 지도]] |
지도 설명 | 핵심 접촉 이전 라코타 영토 지도 |
지도 2 | [[파일:Lang Status 60-DE.svg|유네스코 세계 소멸 위기 언어 아틀라스에 의해 "확실히 멸종 위기"로 분류된 라코타]] |
지도 설명 2 | 라코타는 유네스코 세계 소멸 위기 언어 지도책에 의해 확실히 멸종 위기 등급으로 분류됨. |
2. 역사 및 기원
라코타족의 창조 설화에 따르면, 라코타어는 부족의 기원과 함께 시작되었다고 한다.[40][41][3][4] 또 다른 설화에서는 익토미라는 존재가 라코타어를 만들었다고 전해진다.[5]
라코타어는 5개의 구두 모음과 3개의 비음을 가지고 있다.[7] 자음 체계에는 성문 파열음, 방출음, 유/무성 구개수 마찰음 등이 존재한다.[9][8]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미국 정부는 라코타족을 포함한 아메리카 원주민들을 강제로 미국 사회에 동화시키려 했다. 이 과정에서 원주민 기숙 학교 등을 통해 원주민들의 고유 언어 사용을 금지하고, 이를 어기면 폭력 등의 가혹한 처벌을 가했다. 이는 라코타어의 소멸 위기를 불러왔지만, 라코타어는 가정과 지역 사회에서 꾸준히 사용되며 살아남았다.[4]
1878년부터 1937년까지 네브래스카주와 사우스다코타주에서는 라코타어 신문 ''안파오 킨''(Anpao Kin, "새벽")이 발행되었다. 이 신문은 다코타어 신문 ''이아피 오아이''(Iapi Oaye, "말을 전하는 자")와 함께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수족 군인들의 소식을 전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6]
3. 음운
빠른 발화에서 흔히 나타나는 음운 현상으로 '''모음 축약'''이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음성 사이의 활음 소실로 인해 발생한다. 모음 축약은 음성적으로 장모음(음소적으로 두 개의 동일한 모음의 시퀀스)을 발생시키며, 첫 번째 기저 모음에 강세가 있으면 하강조를, 두 번째 기저 모음에 강세가 있으면 상승조를 띤다. 복수 후치사 ''=pi''는 빠른 발화에서 후치사 ''=kte'', ''=kiŋ'', ''=kštó'', 또는 ''=na''가 선행될 때 자주 변경된다.[9]
라코타어는 또한 마찰음 사이에서 소리 상징의 흔적을 보인다.[10]
3. 1. 모음
라코타어는 /i e a o u/ 5개의 구두 모음과 /ĩ ã ũ/ 3개의 비음을 가지고 있다.[7] /e/와 /o/는 중저 모음에 가깝게 발음된다.[7]
전설 모음 | 중설 모음 | 후설 모음 | |
---|---|---|---|
고모음 | i (i|iipa) | u (u|uipa) | |
비음 | ĩ (ĩ|ĩipa) | ũ (ũ|ũipa) | |
중모음 | e (e|eipa) | o (o|oipa) | |
저모음 | a (a|aipa) | ||
비음 | ã (ã|ãipa) |
슈와(중성 모음)는 특정 자음 사이에 자동적으로 삽입된다. 예를 들어 gl, bl 및 gm과 같은 쌍에 삽입된다. 따라서 음소적으로 Oglala로 표기되는 씨족 이름은 지명 ''오갈라라''가 되었다.
3. 2. 자음
유성 구개수 마찰음 은 앞에서 구개수 전동음 ()이 되며, 빠른 발음에서는 종종 유성 연구개 마찰음 으로 소리난다. 무성 기음 파열음은 각각 두 가지 변이형을 갖는다. 즉, 음성의 지연 과 연구개 마찰 이 있으며, 이는 , , , , 앞에서 발생한다(예: lakhótalkt 는 음성적으로 ). 일부 화자에게는 이 둘 사이의 음소 구분이 있으며, 둘 다 앞에서 발생한다. 파찰음 에는 그러한 변화가 없다. 일부 표기법은 이러한 구분을 표시하지만, 다른 표기법은 표시하지 않는다. 구개수 마찰음 와 는 일반적으로 및 로 표기된다.
3. 3. 음운 현상
빠른 발화에서 흔히 나타나는 음운 현상으로 '''모음 축약'''이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음성 사이의 활음 소실로 인해 발생한다. 모음 축약은 음성적으로 장모음(음소적으로 두 개의 동일한 모음의 시퀀스)을 발생시키며, 첫 번째 기저 모음에 강세가 있으면 하강조를, 두 번째 기저 모음에 강세가 있으면 상승조를 띤다. 예시: ''kê:'' (하강조), "그가 말했듯이", kéye|케예lkt에서; ''hǎ:pi'' (상승조), "옷", hayápi|하야피lkt에서. 모음 중 하나가 비음화되면 결과 장모음도 비음화된다: ''čhaŋ̌:pi'', "설탕", čhaŋháŋpi|창항피lkt에서.[9]높이가 다른 두 모음이 축약되거나, 모음과 활음 사이에 특징적 대조가 있는 경우, 두 개의 새로운 음성 모음 과 가 발생한다:[9] ''iyæ̂:'', "그는 거기로 떠났다", iyáye|이야예lkt에서; ''mitȟa:'', "그것은 내 것이다", mitȟáwa|미타와lkt에서.
복수 후치사 ''=pi''는 빠른 발화에서 후치사 ''=kte'', ''=kiŋ'', ''=kštó'', 또는 ''=na''가 선행될 때 자주 변경된다. ''=pi'' 앞에 오는 모음이 고모음/개모음이면, ''=pi''는 [u]가 된다; 모음이 비고모음(중모음 또는 폐모음)이면, ''=pi''는 [o]가 된다(선행 모음이 비음화되면, 결과 모음도 비음화된다): ''hi=pi=kte'', "그들은 여기에 도착할 것이다", [hiukte]; ''yatkáŋ=pi=na'', "그들은 그것을 마셨고...", .[9]
라코타어는 또한 마찰음 사이에서 소리 상징의 흔적을 보이는데, 여기서 조음점은 강도를 반영하도록 변경된다: zí|지lkt, "그것은 노란색이다", ží|지lkt, "그것은 황갈색이다", ǧí|기lkt, "그것은 갈색이다".[10] (만단어의 유사한 예와 비교해 보시오.)
4. 문자
라코타어는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여러 가지 표기법이 사용된다.[11][12][13] 1982년에는 41개의 문자로 이루어진 원형 알파벳이 고안되기도 했다.
라코타어 컨소시엄(LLC)에서 개발한 "표준 라코타어 정자법"은 각 문자가 하나의 소리를 나타내는 음소적 특징을 가진다. 이 표기법은 분음 부호를 사용하여 강세와 유기음 등을 표시한다.[24] 하지만, 이 표기법은 체코어의 영향을 받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16][17]
2002년, 로즈버드 문화 연구 교사 랜디 에머리는 언어 표준화가 다양성을 해칠 수 있다고 주장했다.[28] 신테 글레슈카 대학교는 앨버트 화이트 햇이 개발한 철자법을 채택했고,[14] 로즈버드 수족은 2012년 부족 결의안을 통해 이를 공식 채택했다. 이 결의안은 라코타어 컨소시엄의 "체코 철자법"을 금지하는 내용도 포함했다.[15]
2006년, 스탠딩 록 인디언 보호 구역의 일부 교사들은 시팅 불 칼리지 및 라코타어 컨소시엄과 협력하여 언어 커리큘럼을 확장했다. 그러나 스탠딩 록의 교사들은 여러 다른 철자법을 사용하며,[19] 새로운 철자법에 대한 지역 사회의 반대도 있었다.[19]
2013년, 파인 리지 인디언 보호 구역의 레드 클라우 인디언 학교 교사들은 학생과 성인을 위한 철자법 사용에 대해 논의했다. 레드 클라우에서 사용되는 철자법은 다른 철자법보다 더 음성학적이며, 구두점을 많이 사용한다는 특징이 있다.[20]
2018년, 체옌 강 인디언 보호 구역의 라코타어 화자 매니 아이언 호크와 르네 아이언 호크는 몰입 학교 개교를 논의하며 철자법 선택의 어려움을 언급했다. 아이언 호크는 LLC(SLO) 철자법을 지지했지만, 지역 사회의 다른 사람들은 자체 철자법 개발을 선호했다.[21]
2022년, 스탠딩 록 수족 부족 의회는 라코타어 컨소시엄 관계자들의 보호 구역 출입을 금지했다. 이는 LLC가 스탠딩 록 공동체 등과의 합의를 위반하거나 허가 없이 자료를 사용했다는 우려에 따른 결정이었다.[22][23]
"표준 라코타어 정자법"에서 모음은 a, e, i, o, u로, 비음 모음은 aŋ, iŋ, uŋ으로 표기한다. 음고 악센트는 급성 악센트로 표시하며, 강세를 받는 모음에 사용된다.[24]
다음은 라코타어 알파벳과 각 문자의 일반적인 음성 값(IPA)을 나타내는 표이다.
문자 | 문자의 이름 | 일반적인 음성 값 (IPA) |
---|---|---|
A a | a | |
Aŋ aŋ | aŋ | |
B b | be | |
Č č | ču | |
Čh čh | čhi | |
Č' č' | č'ó | |
E e | e | |
G g | gli | |
Ǧ ǧ | ǧu | |
H h | ha | |
Ȟ ȟ | ȟe | |
I i | i | |
Iŋ iŋ | iŋ | |
K k | ku | |
Kh kh | khi | |
Kȟ kȟ | kȟa | |
K' k' | k'o | |
L l | la | |
M m | ma | |
N n | na | |
O o | o | |
P p | pu | |
Ph ph | phi | |
Pȟ pȟ | pȟa | |
P' p' | p'o | |
S s | sa | |
Š š | še | |
T t | tu | |
Th th | thi | |
Tȟ tȟ | tȟa | |
T' t' | t'o | |
U u | u | |
Uŋ uŋ | uŋ | |
W w | wa | |
Y y | ya | |
Z z | za | |
Ž ž | že | |
' | khéze |
캐론은 을 제외하고 IPA에서 라틴 문자로 쓰이지 않는 소리에 사용된다. 유기음은 h로, 방출음은 아포스트로피(')로 표기한다.
현대 대중 텍스트에서는 분음 부호 없이 쓰이는 경우가 많아, 강세 표시가 생략되고 여러 자음이 혼동되기도 한다.
5. 문법
라코타어의 기본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이지만, 표현상의 목적으로 어순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어를 강조하기 위해 주어 앞에 놓거나, 주어가 이미 알려진 정보임을 나타내기 위해 동사 뒤에 놓을 수 있다. 라코타어는 후치사를 사용하며, 명사 뒤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mas'óphiye éllkt는 "가게에서" (문자 그대로 '가게 에서'), thípi=kiŋ ókšaŋlkt는 "집 주변" (문자 그대로 '집=그 주변')과 같이 쓰인다.[1]
Rood와 Taylor (1996)는 기본 어순에 대해 다음과 같은 템플릿을 제안했다. 괄호 안의 항목은 선택 사항이며, 동사만 필수적이다. 따라서 동사만 포함된 문장도 문법적으로 성립할 수 있다.[1]
> (감탄사) (접속사) (부사(들)) (명사) (명사) (명사) (부사(들)) 동사 (첨철사(들)) (접속사)
명사는 필수 요소는 아니지만, 문장에 나타날 경우 기본적으로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른다. 대명사는 자주 쓰이지 않지만, 대조하거나 강조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라코타어에는 네 개의 관사가 있다. waŋlkt은 영어의 'a' 또는 'an'과 비슷한 부정관사이고, kiŋlkt은 영어의 'the'와 비슷한 정관사이다. waŋžílkt는 가설적이거나 비현실적인 대상과 함께 쓰이는 부정관사이며, k’uŋlkt은 이전에 언급된 명사와 함께 쓰이는 정관사이다.[1]
라코타어에는 9개의 지시사가 있으며, 이들은 대명사나 관형사로 사용될 수 있다. 지시사는 화자와 청자와의 거리에 따라 구분된다.[1]
rowspan=2 | | 화자와의 거리 | ||
---|---|---|---|
화자 가까이 | 청자 가까이 | 화자와 청자로부터 멀리 | |
단수 | lélkt | hélkt | kálkt |
양수 | lenáoslkt | henáoslkt | kanáoslkt |
복수 | lenálkt | henálkt | kanálkt |
라코타어의 동사는 문장에서 필수적인 유일한 품사이다. 동사는 동작을 나타내는 능동태이거나, 속성을 묘사하는 상태 동사일 수 있다. 동사는 1인칭, 2인칭 또는 3인칭 인칭과 단수, 이중수 또는 복수 수에 따라 굴절된다. 라코타어에는 동사 굴절에 두 가지 유형이 있다.[9] 한 세트의 형태소는 능동 동사의 인칭과 수를 나타낸다. 다른 세트의 형태소는 타동사 행위 동사의 목적어 ''또는'' 상태 동사의 주어와 일치한다.[9] 각 유형의 대부분의 형태소는 접두사이지만, 복수 주어는 접미사로 표시되고 3인칭 복수 목적어는 내삽으로 표시된다. 1인칭 논항은 단수, 이중수, 또는 복수일 수 있고, 2인칭 또는 3인칭 논항은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모음교체는 일부 라코타어 단어가 특정 환경에서 마지막 모음을 바꾸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SápA''"라는 단어는 특정 환경에서 모음이 바뀐다.[1] 모음교체에는 세 가지 형태가 있다.[1]
- ''-a/-aŋ'' (a/aŋ-모음교체)
- ''-e'' (e-모음교체)
- ''-iŋ'' (iŋ-모음교체)
5. 1. 어순
라코타어의 기본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이지만, 표현상의 목적으로 어순을 변경할 수 있다(목적어를 주어 앞에 놓아 목적어를 강조하거나, 주어를 동사 뒤에 놓아 이미 알려진 정보임을 강조하는 경우). 라코타어는 후치사를 사용하며, 후치사는 명사 뒤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mas'óphiye éllkt는 "가게에서" (문자 그대로 '가게 에서'), 2=thípi=kiŋ ókšaŋlkt는 "집 주변" (문자 그대로 '집=그 주변')과 같이 쓰인다.[1]Rood와 Taylor (1996)는 기본 어순에 대해 다음과 같은 템플릿을 제안한다. 괄호 안의 항목은 선택 사항이며, 동사만 필수적이다. 따라서 동사만 포함된 문장도 문법적으로 성립할 수 있다.[1]
> (감탄사) (접속사) (부사(들)) (명사) (명사) (명사) (부사(들)) 동사 (첨철사(들)) (접속사)
5. 2. 명사 및 대명사
라코타어에서 명사는 필수 요소는 아니지만, 문장에 나타날 경우 기본적으로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른다. 대명사는 자주 쓰이지 않지만, 대조하거나 강조할 때 사용될 수 있다.라코타어에는 네 개의 관사가 있다. waŋlkt은 영어의 'a' 또는 'an'과 비슷한 부정관사이고, kiŋlkt은 영어의 'the'와 비슷한 정관사이다. waŋžílkt는 가설적이거나 비현실적인 대상과 함께 쓰이는 부정관사이며, k’uŋlkt은 이전에 언급된 명사와 함께 쓰이는 정관사이다.[1]
라코타어에는 9개의 지시사가 있으며, 이들은 대명사나 관형사로 사용될 수 있다. 지시사는 화자와 청자와의 거리에 따라 구분된다.[1]
rowspan=2 | | 화자와의 거리 | ||
---|---|---|---|
화자 가까이 | 청자 가까이 | 화자와 청자로부터 멀리 | |
단수 | lélkt | hélkt | kálkt |
양수 | lenáoslkt | henáoslkt | kanáoslkt |
복수 | lenálkt | henálkt | kanálkt |
5. 3. 동사
라코타어의 동사는 문장에서 필수적인 유일한 품사이다. 동사는 동작을 나타내는 능동태이거나, 속성을 묘사하는 상태 동사일 수 있다. (영어에서는 이러한 묘사가 일반적으로 형용사로 이루어진다.)동사는 1인칭, 2인칭 또는 3인칭 인칭과 단수, 이중수 또는 복수 수에 따라 굴절된다. 라코타어에는 동사 굴절에 두 가지 유형이 있다.[9] 한 세트의 형태소는 능동 동사의 인칭과 수를 나타낸다. 다른 세트의 형태소는 타동사 행위 동사의 목적어 ''또는'' 상태 동사의 주어와 일치한다.[9]
각 유형의 대부분의 형태소는 접두사이지만, 복수 주어는 접미사로 표시되고 3인칭 복수 목적어는 내삽으로 표시된다.
1인칭 논항은 단수, 이중수, 또는 복수일 수 있고, 2인칭 또는 3인칭 논항은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단수 | 이중수 | 복수 | |
---|---|---|---|
1인칭 | wa- | uŋ(k)- | uŋ(k)- ... -pi |
2인칭 | ya- | ya- ... -pi | |
3인칭 | 무표지 | -pi |
'''예시:''' ''máni'' "그는 걷는다." ''mánipi'' "그들은 걷는다."
단수 | 이중수 | 복수 | |
---|---|---|---|
1인칭 | ma- | uŋ(k)- | uŋ(k)- ... -pi |
2인칭 | ni- | ni- ... -pi | |
3인칭 | 무표지 | -pi |
단수 | 이중수 | 복수 | |
---|---|---|---|
1인칭 | ma- | uŋ(k)- ... -pi | |
2인칭 | ni- | ni- ... -pi | |
3인칭 | 무표지 | -wicha- |
'''예시:''' ''waŋwíčhayaŋke'' "그는 그들을 바라보았다"는 ''waŋyáŋkA'' "무언가/누군가를 바라보다"에서 유래.
'''동사에서 주어와 목적어 대명사'''
주어와 목적어 모두 표시해야 하는 경우 동사에 두 개의 접사가 나타난다. 아래 표는 이를 보여준다. 주어 접사는 ''이탤릭체''로 표시하고 목적어 접사는 밑줄로 표시한다. 일부 접사는 주어와 목적어 모두를 포함한다(예: ''čhi''- ...). 기호 '''∅'''는 특정 주어/목적어에 대한 표지 부족을 나타낸다(3인칭 단수 형태의 경우와 같이). 세 가지 형태가 있는 셀은 이 순서대로 1형, 2형, 3형 동사 형태를 나타낸다.
나 | 너 (단수) | 그/그녀/그것; 그들 (무생물) | 우리 | 너희 (복수) | 그들 (생물) | |
---|---|---|---|---|---|---|
나 | čhi-1 ... | wa∅- ... bl∅- ... m∅- ... | čhi- ... -pi | wičhawa- ... wičhabl- ... wičham- ... | ||
너 (단수) | maya- ... mayal-2 ... mayan- ... | ya∅- ... l∅- ... n∅- ... | uŋya- ... -pi uŋl- ... -pi uŋn- ... -pi | wičhaya- ... wičhal- ... wičhan- ... | ||
그/그녀/그것 | ma∅- ... | ni∅- ... | ∅∅- ... | uŋ(k)∅- ... -pi | ni∅- ... -pi | wičha∅- ... |
우리 | uŋni-3 ... -pi | uŋ(k)∅- ... -pi | uŋni- ... -pi | wičhauŋ(k)-4 ... -pi | ||
너희 (복수) | maya- ... -pi mayal- ... -pi mayan- ... -pi | ya∅- ... -pi l∅- ... -pi n∅- ... -pi | uŋya- ... -pi5 uŋl- ... -pi uŋn- ... -pi | wičhaya- ... -pi wičhal- ... -pi wičhan- ... -pi | ||
그들 | ma- ... -pi | ni- ... -pi | ... -∅pi | uŋ- ... -pi | ni- ... -pi | wičha- ... -pi |
- 1 접사 ''čhi''-는 나-주어와 너-목적어가 타동사에서 발생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 2 2형 및 3형 동사는 각각 불규칙한 ''yal''- 및 ''yan''-을 가진다.
- 3 이 접두사는 ''uŋ(k)''-가 접두사로 사용되어야 하는 반면 ''ni''- 등이 내삽되어야 하는 경우 분리된다.
'''예시:''' '''''uŋk'''á'''ni'''pȟepi'' "우리가 너를 기다리고 있다"는 ''apȟé'' "누군가를 기다리다"에서 유래.
- 4 ''uŋ(k)''-는 ''wičha''-를 제외한 모든 접사 앞에 온다. 마지막 열에서, ''uŋ(k)''-가 접두사로 사용되어야 하는 동사는 경쟁 규칙 때문에 더 복잡하다: ''uŋ(k)''-가 접두사로 사용되어야 하지만, 또한 ''wičha''- 다음에 와야 한다. 대부분의 화자는 이 문제를 초성 모음 다음에 ''wičhauŋ(k)''를 내삽한 다음 초성 모음을 다시 반복하여 해결한다.
'''예시:''' ''i'''wíčhauŋk'''iču'''pi''''' "우리가 그들을 데려갔다"는 ''ičú'' "무언가/누군가를 가져가다"에서 유래.
- 5 접미사 -''pi''는 각 동사에 한 번만 나타날 수 있지만, 주어 또는 목적어(또는 둘 다)를 복수화할 수 있으므로 형태에 약간의 모호성이 존재한다: ''uŋ- ... -pi'', ''uŋni- ... -pi'', and ''uŋya-/uŋl-/uŋn- ... -pi''.
라코타어는 동사 뒤에 붙는 여러 개의 의존 형태소를 가지고 있으며, 그중 많은 수가 화자가 남성인지 여성인지에 따라 다르다.
일부 의존 형태소는 뒤에 오는 동사의 상, 법, 또는 수를 나타낸다. 또한 다양한 의문사 의존 형태소가 있는데, 이들은 발화를 질문으로 표시하는 것 외에도 의미의 미세한 차이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he''는 일반적인 질문 표시 의존 형태소이지만, ''huŋwó''는 수사 의문문이나 공식적인 연설에 사용되며, 의심법 ''wa''는 영어의 부가 의문문과 다소 유사한 기능을 한다.
5. 4. 모음교체
모음교체는 일부 라코타어 단어가 특정 환경에서 마지막 모음을 바꾸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SápA''"라는 단어는 다음과 같이 모음이 바뀐다.[1]- ''Šúŋka kiŋ sápa čha waŋbláke.''
- ''Šúŋka kiŋ sápe.''
- ''Šúŋka kiŋ sápiŋ na tȟáŋka.''
이러한 모음 변화를 겪는 단어는 사전에서 -A 또는 -Aŋ으로 끝나기 때문에 A단어라고 부른다. 실제 문장에서는 대문자로 표시하지 않는다. A단어의 파생어는 보통 모음교체를 따르지만, 예외도 있다.[1]
모음교체에는 세 가지 형태가 있다.[1]
- ''-a/-aŋ'' (a/aŋ-모음교체)
- ''-e'' (e-모음교체)
- ''-iŋ'' (iŋ-모음교체)
"회색"을 뜻하는 ''hóta'' 또는 ''hótA''처럼, 일부 단어는 특정 모음교체만 하거나, 특정 모음교체를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모음교체는 항상 뒤따르는 단어에 의해 결정된다.[1]
E-모음교체는 다음 두 가지 경우에 사용된다.[1]
1. 문장의 마지막 단어
2. E-모음교체를 유발하는 단어가 뒤따르는 경우
''iŋ''-모음교체(일부에서는 ''i''로 발음)는 다음 단어 앞에서만 나타난다.[1]
- ''ktA'' (비현실 굴절어미)
- ''yetȟó'' (친근한 명령 굴절어미)
- ''na, naháŋ'' (그리고)
- ''naíŋš'' (또는, 그리고 또는)
- ''yé'' (존칭 요청 또는 간청 굴절어미)
예시는 다음과 같다.[1]
- ''Waŋyáŋkiŋ yetȟó.'' (빨리 이것을 봐라.)
- ''Yíŋ kte.'' (그녀는 갈 것이다.)
- ''Skúyiŋ na wašté.'' (그것은 달콤하고 좋았다.)
- ''Waŋyáŋkiŋ yé.'' (제발, 그것을 봐주세요.)
6. 어휘
"''Háu kȟolá''"는 문자 그대로 "안녕, 친구"라는 뜻으로 가장 일반적인 라코타어 인사말이다. 이 표현은 영화 속 아메리카 원주민의 일반적인 인사말인 "하우!"로 변형되기도 했다. ''háu''는 라코타어에서 이중모음 /au/|/au/영어을 포함하는 유일한 단어이기 때문에, 비수우어 언어에서 차용된 단어일 가능성이 있다.[9]
라코타어는 영어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 여러 지역 출신 사람들이 각기 다른 억양을 갖는 것처럼, 영어를 사용하는 라코타족도 몇 가지 독특한 말하기 방식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문법적 순서에서 나타나며, 몇몇 음운론적 차이를 통해 들을 수 있다. 이러한 독특한 특징은 영어를 배우기만 한 라코타족 청소년에게서도 관찰된다.[38]
7. 방언
브룰레 방언
8. 언어 복원 노력
1990년 미국 원주민 언어법은 원주민 언어 보존 및 활성화를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27] 이 법은 1990년 10월 30일에 발효되어, 200년 이상 지속된 미국의 원주민 언어 말살 정책을 뒤집었다.[27]
여러 라코타어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학교 및 지역 사회에서 운영되고 있다. 1967년 파인 리지 인디언 보호구역의 레드 클라우 인디언 학교에서 라코타어 강좌가 시작되었으며,[27] 2008년에는 K-12 학생들을 위한 라코타어 커리큘럼이 시작되었다.[27] 1970년대 중반에는 로즈버드 보호구역의 신테 글레스카 대학교에 라코타어 및 문화 부서가 설립되었다.[14]
라코타어 몰입 학교 및 교육 자료 개발 노력도 진행 중이다. 2012년에는 스탠딩 록 보호구역의 시팅 불 대학교에서 라코타어 언어 몰입 수업이 실험적으로 제공되었다.[31] 2016년에는 다코타 접근 파이프라인 시위 캠프와 같은 여러 독립적인 풀뿌리 라코타어 몰입 학교 및 캠프가 설립되었다.[34]
2011년, 시팅 불 칼리지와 사우스다코타 대학교는 라코타어 교육 행동 프로그램(LLEAP)을 시작하여 라코타어 교사 양성에 힘쓰고 있다. LLEAP는 2014년까지 최소 30명의 새로운 라코타어 교사를 양성하기 위해 설계된 4년제 프로그램으로, 미국 교육부로부터 240만달러의 보조금을 받았다.[35]
9. 기타
라코타어는 '라코티야피', '테톤어', '테톤', '테톤 수'라고도 불린다.[9] 원어민을 만나기 어렵거나 만날 기회가 적은 사람들을 위해 혼자서 공부할 수 있는 자료들이 있으며, 파인 리지(Pine Ridge) 몰입 프로그램에서 추가적인 인쇄물 및 전자 자료가 제작되었다.
제목 | 저자 | 비고 |
---|---|---|
라코타어: 초보자를 위한 언어 강좌 | 오글라라 라코타 칼리지(Oglala Lakota College) | 15개의 CD/테이프 세트 포함, 고등학교/대학교 수준 |
라코타어 읽기와 쓰기 | 앨버트 화이트 햇 시니어(Albert White Hat Sr.) | 2개의 테이프 세트 포함, 고등학교/대학교 수준 |
콜로라도 대학교 라코타 프로젝트: 라코타어 입문, 1권 & 2권 (테이프 세트 포함), 기초 이중 언어 사전, 단계별 읽기 자료 | 고등학교/대학교 수준 | |
라코타어 사전: 라코타어-영어/영어-라코타어, 새로운 종합판 | 유진 뷰첼, S.J. & 폴 만하트 | |
영어-라코타어 사전 | 브루스 잉엄 | |
라코타어 문법 | 유진 뷰첼, S.J. | 전문가 수준 |
Rood & Taylor의 논문 | 전문가 수준 [9] | |
다코타 텍스트 | 엘라 델로리아 | 민담과 민간 이야기, 해설의 이중 언어 병렬 자료, 전문가 수준 (네브래스카 대학교 출판부 출판. 참고: 사우스다코타 대학교 판은 단일 언어로, 영어 번역만 수록) |
"라코타 토들러" 앱 | 2세에서 9세 사이의 어린이를 위해 설계, 아이폰에서 사용 가능[37] | |
Matho Waunsila Tiwahe: 라코타어 베어스타인 베어스(The Lakota Berenstain Bears) | 유창한 원어민 성우가 참여하여 라코타어로 더빙된 베어스타인 베어스 20편의 DVD. |
9. 1. 언어 명칭 별칭
라코타어는 라코티야피, 테톤어, 테톤, 테톤 수라고도 불린다.9. 2. 외부 자료
라코타어 원어민과 만나기 어렵거나, 만날 기회가 적은 사람들을 위해 라코타어를 혼자서 공부할 수 있는 자료들이 있다. 다음은 현재 구할 수 있는 자료들의 목록이다.파인 리지(Pine Ridge) 몰입 프로그램에서 추가적인 인쇄물 및 전자 자료가 제작되었다.
제목 | 저자 | 비고 |
---|---|---|
라코타어: 초보자를 위한 언어 강좌 | 오글라라 라코타 칼리지(Oglala Lakota College) | 15개의 CD/테이프 세트 포함, 고등학교/대학교 수준 |
라코타어 읽기와 쓰기 | 앨버트 화이트 햇 시니어(Albert White Hat Sr.) | 2개의 테이프 세트 포함, 고등학교/대학교 수준 |
콜로라도 대학교 라코타 프로젝트: 라코타어 입문, 1권 & 2권 (테이프 세트 포함), 기초 이중 언어 사전, 단계별 읽기 자료 | 고등학교/대학교 수준 | |
라코타어 사전: 라코타어-영어/영어-라코타어, 새로운 종합판 | 유진 뷰첼, S.J. & 폴 만하트 | |
영어-라코타어 사전 | 브루스 잉엄 | |
라코타어 문법 | 유진 뷰첼, S.J. | 전문가 수준 |
Rood & Taylor의 논문 | 전문가 수준 [9] | |
다코타 텍스트 | 엘라 델로리아 | 민담과 민간 이야기, 해설의 이중 언어 병렬 자료, 전문가 수준 (네브래스카 대학교 출판부 출판. 참고: 사우스다코타 대학교 판은 단일 언어로, 영어 번역만 수록) |
"라코타 토들러" 앱 | 2세에서 9세 사이의 어린이를 위해 설계, 아이폰에서 사용 가능[37] | |
Matho Waunsila Tiwahe: 라코타어 베어스타인 베어스(The Lakota Berenstain Bears) | 유창한 원어민 성우가 참여하여 라코타어로 더빙된 베어스타인 베어스 20편의 DVD. |
참조
[1]
웹사이트
Ella Cara Deloria
https://awis.org/his[...]
Association for Women in Science
2024-02-22
[2]
웹사이트
Winged Messenger Nations: Birds in American Indian Oral Tradition: Albert White Hat Sr. & Francis Cut
https://nativeede.wi[...]
The Winged Messenger Project
2024-02-22
[3]
논문
Anamnesis in the Lakota Language and Lakota Concepts of Time and Matter
[4]
논문
Turning the Tables on Assimilation: Oglala Lakotas and the Pine Ridge Day Schools 1889–1920s
[5]
서적
Lakota Belief and Ritual
https://books.google[...]
U of Nebraska Press
2021-12-18
[6]
논문
Vietnam Akíčita: Lakota and Dakota Military Tradition in the Twentieth Century
https://conservancy.[...]
University of Minnesota
2020-05
[7]
간행물
Elementary Bilingual Dictionary English–Lakhóta Lakhóta–English
CU Lakhóta Project University of Colorado
[8]
웹사이트
Lakota letters and sounds
http://www.lakhota.o[...]
[9]
서적
Sketch of Lakhota, a Siouan Language, Part I
https://web.archive.[...]
Handbook of North American Indians, Vol. 17 (Languages)
[10]
서적
The Languages of Native North Ame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Language Materials Project: Lakota
http://www.lmp.ucla.[...]
UCLA
2010-12-23
[12]
논문
Comments on the Politics of Orthography
[13]
문서
Palmer
[14]
서적
Native Heritage: Personal Accounts by American Indians, 1790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VNR AG
[15]
서적
Mehrsprachigkeit. Vom Alten Orient bis zum Esperanto
http://www.sonjajohn[...]
Zaphon, Münster www.zaphon.de
[16]
서적
Mehrsprachigkeit. Vom Alten Orient bis zum Esperanto
http://www.sonjajohn[...]
Zaphon, Münster www.zaphon.de
[17]
서적
Mehrsprachigkeit. Vom Alten Orient bis zum Esperanto
http://www.sonjajohn[...]
Zaphon, Münster www.zaphon.de
[18]
서적
Mehrsprachigkeit. Vom Alten Orient bis zum Esperanto
http://www.sonjajohn[...]
Zaphon, Münster www.zaphon.de
[19]
웹사이트
Beyond Colors, Numbers and Animals
https://par.nsf.gov/[...]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21-12-16
[20]
웹사이트
Red Cloud School Fights to Save Lakota Language
https://www.nativeti[...]
Rapid City Journal
2021-12-16
[21]
웹사이트
Immersion School Seeks to spark everyday use of Lakota language and preserve cultural identity
https://www.westrive[...]
2018-08-08
[22]
웹사이트
Lakota elders helped a white man preserve their language. Then he tried to sell it back to them.
https://www.nbcnews.[...]
2022-06-03
[23]
웹사이트
Standing Rock banishment resolution
https://www.document[...]
2022-06-03
[24]
웹사이트
Some phonological and phonetic aspects of stress and intonation in Lakhota: a preliminary report
http://www.humnet.uc[...]
[25]
뉴스
Ten studies in the alphabet of the Lakota language
https://www.lakotati[...]
2008-11-13
[26]
서적
Dakota Texts
G.E. Stechert
[27]
웹사이트
Celebrating 125 Years
https://www.redcloud[...]
2013-03
[28]
뉴스
Sinte Gleska University to reject Lakota Language Consortium membership
https://calthunderha[...]
2002-08-30
[29]
뉴스
Brewer pledges to preserve Lakota language
http://rapidcityjour[...]
2012-11-16
[30]
뉴스
Chestnut Hill native looks to revitalize "eroded" American Indian language
http://www.newsworks[...]
2012-11
[31]
뉴스
Learning Lakota, one word at a time
http://bismarcktribu[...]
2012-11-11
[32]
논문
Tribal College Program Teaches Lakota Language to Youngsters
2012
[33]
뉴스
Indians press for funds to teach Native languages
http://www.arguslead[...]
2014-06-19
[34]
뉴스
School Opens In Protector Camp
https://www.lakotati[...]
2016-09-01
[35]
논문
Sitting Bull Offers New Lakota Curriculum
[36]
뉴스
Faded but Vibrant, Indian Languages Struggle to Keep Their Voices Alive
https://www.nytimes.[...]
1991-01-08
[37]
웹사이트
App Shopper: Lakota Toddler (Education)
http://appshopper.co[...]
2012-09-12
[38]
웹사이트
Language Variation Among Native Americans: Observations of Lakota English
http://eng.sagepub.c[...]
[39]
웹사이트
Lakota institute brings language to life
https://rapidcityjou[...]
2021-05-26
[40]
저널
Anamnesis in the Lakota Language and Lakota Concepts of Time and Matter
[41]
저널
Turning the Tables on Assimilation: Oglala Lakotas and the Pine Ridge Day Schools 1889–1920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