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렁덩덩 신선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렁덩덩 신선비는 뱀이 변신한 선비와 인간 여성의 결혼, 그리고 이별과 재회를 다룬 한국의 민담이다. 큐피드와 프시케 신화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아르네-톰슨 민담 분류법에 따르면 "잃어버린 남편을 찾아서" 유형에 속한다. 45가지가 넘는 변형으로 전승되었으며, 뱀은 신성한 존재로 묘사되고, 여성의 지혜와 시련 극복, 일부다처제 사회의 갈등을 보여준다. 상사뱀, 야래자 등 유사 설화와 비교되며, 일본 설화와의 연관성도 추측된다. 극작가 오영진의 희곡 맹진사댁 경사의 모티프가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류교혼설화 - 프시케
    프시케는 그리스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아름다운 미녀로, 에로스와의 사랑에 시련을 겪지만 이를 극복하고 영혼의 여신이 된다.
  • 이류교혼설화 - 개구리 왕자
    《개구리 왕자》는 그림 형제가 수록한 동화로, 금공을 찾아준 개구리와의 약속을 저버린 공주와 왕자로 변신한 개구리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약속과 신뢰, 진정한 사랑의 중요성 등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다양한 매체로 재해석되었다.
  • 한국의 민담 - 흥부전
    흥부전은 작자 미상의 고전 소설로, 착한 흥부와 심술궂은 놀부 형제를 통해 권선징악과 형제애를 나타내면서 조선 후기 사회상과 계층 갈등을 반영하는 판소리계 소설이자 모방담 설화이다.
  • 한국의 민담 - 아기장수 우투리
    아기장수 우투리는 한국 전래 설화에 등장하는 영웅으로, 산의 정기를 받아 태어난 비범한 아이가 역모를 일으킬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에 죽임을 당하거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죽는다는 공통된 줄거리를 가진다.
구렁덩덩 신선비
이야기 정보
유형한국 민담
주제뱀 신랑
등장인물뱀 신랑
막내딸
질투하는 언니들
지역적 관련성한국
줄거리
내용 요약가난한 집안의 막내딸이 뱀과 결혼하여 행복하게 살지만, 질투심에 눈이 먼 언니들로 인해 불행을 겪는 이야기. 뱀 신랑은 과거 시험을 보러 가기 전 자신의 껍질을 아내에게 맡기지만, 언니들이 껍질을 태워버려 뱀 신랑은 돌아오지 못하게 된다. 아내는 남편을 찾아 긴 여정을 떠나고, 결국 재회한다.
변형
이야기 변형이야기는 지역과 구연자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뱀의 정체, 시련의 내용, 결말 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의미
상징적 의미뱀 신랑 이야기는 외모로 판단하지 않고 내면의 가치를 중시해야 한다는 교훈을 준다. 또한, 질투와 시기는 파멸을 불러올 수 있다는 경고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같이 보기
관련 항목한국 설화
구미호
장화홍련전
콩쥐팥쥐

2. 역사

큐피드와 프시케 신화와 유사한 서사 패턴을 채택했다. 아르네-톰슨 민담 분류법에 따르면 이 이야기는 유형 425, "잃어버린 남편을 찾아서"의 한국 버전으로 간주될 수 있다.[4][5][6] 구렁덩덩 신선비는 한국 전역에서 45가지가 넘는 변형(다른 평가에서는 90개[7])으로 구전되었으며, 일부는 ''한국구비문학대계''와 같은 주요 한국 민담집에 수록되었다.

3. 줄거리

옛날 옛적 한 노부부가 살았는데, 늙은 아내가 뱀을 낳았다. 이웃집 세 딸 중 막내딸만이 뱀을 보고 신성한 존재로 여겼다. 뱀은 자라서 이웃집 막내딸과 결혼했다. 첫날밤, 뱀은 준비된 항아리들에서 목욕하고 허물을 벗어 잘생긴 선비로 변했다. 신부의 언니들은 이를 질투했다.

어느 날, 뱀 남편은 과거 시험을 보러 서울로 떠났고, 아내는 그의 허물을 잘 간직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언니들이 허물을 태워버렸고, 이를 감지한 뱀 선비는 사라졌다. 아내는 남편을 찾아 나섰고, 여러 조력자를 만났다.

뱀 선비는 이미 재혼한 상태였고, 두 아내에게 과제를 내어 더 잘하는 이와 살기로 했다. 첫 번째 아내가 과제에 성공하여 뱀 선비와 다시 살게 되었다.[13]

3. 1. 기본 줄거리

옛날 옛적 한 노부부가 살고 있었는데, 늙은 아내가 임신하여 뱀을 낳았다. 늙은 아내는 뱀을 뒷마당에서 키웠다. 이웃집의 세 딸 중 뱀을 본 셋째 딸은 늙은 아내가 신성한 뱀 선비("구렁덩덩 신선비")를 낳았다고 말했다.[13] 뱀이 자라 결혼할 때가 되자, 어머니에게 이웃집 딸 중 한 명과 결혼하고 싶다고 했다. 뱀의 어머니는 이웃집에 가서 청혼했지만, 맏딸과 둘째 딸은 거절했고, 셋째 딸이 청혼을 받아들여 뱀과 결혼했다.[13]

결혼 첫날밤, 뱀은 신부에게 간장 항아리, 밀가루 항아리, 물 항아리를 준비하라고 했다. 뱀은 간장 항아리에 들어갔다 나와 밀가루 항아리에서 구르고, 마지막으로 물 항아리에서 목욕을 했다. 밖으로 나오자 뱀은 허물을 벗고 잘생긴 선비로 변했다.[13] 신부의 언니들은 막내 여동생이 잘생긴 선비와 사는 것을 질투했다.

어느 날, 뱀 남편은 아내에게 자신의 허물을 아무에게도 보여주지 않겠다고 약속하게 하고 서울로 과거 시험을 보러 갔다. 그러나 아내의 언니들이 몰래 뱀 허물을 찾아 태워버렸다.[13] 서울에서 자신의 허물이 불탔다는 것을 감지한 뱀 선비는 사라졌다. 남편이 돌아오지 않자, 아내는 남편을 찾아 나섰다. 가는 길에 까마귀, 멧돼지, 빨래하는 여자, 밭을 가는 농부를 만나 도움을 받았다.[13]

아내가 그를 따라 잡았을 때, 뱀 선비는 이미 다른 여자와 재혼한 상태였다. 그는 두 여자에게 과제를 주고 더 잘 수행하는 여자와 함께 살기로 결정했다. 과제에는 장작 패기, 물 긷기, 호랑이 눈썹에서 털 하나 뽑아오기 등이 있었는데, 첫 번째 아내는 성공했지만 두 번째 아내는 실패했다. 뱀 선비는 결국 두 번째 아내를 떠나 첫 번째 아내와 행복하게 다시 살게 되었다.[13]

3. 2. 다양한 판본

이 민담은 판본에 따라 뱀의 탄생, 셋째 딸과의 결혼, 그리고 재회에 대한 이야기가 다양하다. 뱀의 어머니는 늙은 여자이거나 과부로 묘사되며, 뱀은 동물의 알을 줍거나 먹는 행위, 혹은 스님이 막대기로 찌르는 행위를 통해 태어난다.[13]

어떤 판본에서는 셋째 딸의 아버지가 뱀의 청혼을 처음에는 거절하지만, 뱀이 가족을 파멸시키겠다고 위협하자 마지못해 받아들인다. 뱀이 허물을 벗는 모습이나 뱀 남편과 첫 번째 아내의 재회 장면을 자세히 묘사하는 판본이 있는 반면, 간략하게 다루는 판본도 있다. 셋째 딸이 남편을 찾아 떠나는 여정에 대한 세부 사항도 판본마다 다르다.[13]

4. 특징과 의미

'구렁덩덩 신선비'는 단순한 흥미 위주의 설화가 아니며, 한국 서사 문학 속 여성 인물들의 시련을 반영한다는 특징과 의미를 지닌다.[16]

4. 1. 신비로운 존재

구렁덩덩 신선비의 뱀은 신비로운 존재이다. 이야기의 일부 버전에서 뱀은 어머니에게 이웃집 셋째 딸에게 청혼하지 않으면 손에 불을, 다른 손에 칼을 들고 다시 자궁으로 돌아가겠다고 위협한다. 이 장면은 뱀이 신이라고 가정해야만 이해된다. 그리고 뱀이 신이기 때문에 어머니는 아들의 요청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14]

셋째 딸이 뱀을 신성한 뱀 학자로 알아보는 것은 그녀의 지혜를 보여준다. 뱀과의 첫 만남은 그녀의 기도에 대한 신의 응답으로 볼 수 있다. 뱀 껍질이 불타 사라진 후 남편을 찾기 위한 셋째 딸의 여정은 잃어버린 신을 다시 맞이하려는 과정으로 해석된다.[15]

4. 2. 여성의 시련과 극복

셋째 딸은 뱀을 신성한 뱀 학자로 알아보는 지혜를 보여준다. 뱀과의 첫 만남은 기도에 대한 신의 응답으로 볼 수 있다. 뱀 껍질이 불타 사라진 후 남편을 찾기 위한 셋째 딸의 여정은 잃어버린 신을 다시 맞이하려는 과정으로 해석된다.[15]

셋째 딸의 시련은 한국 서사 문학 속 여성 인물들을 반영한다.[16] 뱀 학자의 새로운 아내와의 경쟁은 일부다처제로 인한 본처와 첩 사이의 갈등을 보여준다. 셋째 딸이 새 아내를 이기는 것은 첩을 물리치는 본처를 응원하는 일반적인 여성 심리를 나타낸다.

4. 3. 일부다처제 사회의 갈등

뱀 신랑의 새로운 아내와의 경쟁은 일부다처제로 인한 본처와 첩 사이의 갈등을 보여준다.[14] 셋째 딸이 새 아내를 이기는 것은 첩을 물리치는 본처를 응원하는 일반적인 여성 심리를 나타낸다.[15]

5. 다른 설화와의 비교

''구렁덩덩 신선비''는 큐피드와 프시케 신화와 유사한 서사 구조를 가지고 있다. 아르네-톰슨 민담 분류법에 따르면 이 이야기는 유형 425, "잃어버린 남편을 찾아서"의 한국 버전으로 볼 수 있다.[4][5][6] ''구렁덩덩 신선비''는 한국 전역에서 45가지가 넘는 다양한 이야기로 구전되었으며,[7] 이 이야기들 중 일부는 ''한국구비문학대계''와 같은 주요 한국 민담집에 수록되었다.

5. 1. 유사 설화

'구렁덩덩 신선비'는 상사뱀, 야래자와 같이 동물[변신] 설화와 유사하다.[4][5][6]

5. 2. 동아시아 설화와의 비교

한국 학계에서는 한국 설화인 뱀신랑과 일본 설화 아메노와카히코 사이의 연관성을 추측한다. 두 설화 모두 뱀 신랑이 인간 여성과 결혼하고, 사라진 후 배우자가 그를 찾아 나선다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 설화는 구전으로 전해 내려온 반면, 일본 설화는 일본 중세 시대의 문학적 발전의 결과라는 주장도 있다.[17] 또 다른 비교 지점은 아내의 여정인데, 한국 설화의 일부 버전에서는 조력자들의 안내를 받아 남편의 세계인 물속 세계로 향하고, 일본 설화에서는 하늘의 세계로 올라간다.[18]

6. 현대적 유산

이 이야기는 한국 극작가 오영진에게 외모, 권력, 가족 관계와 같은 외부적인 면에 집착하고 내면을 등한시하는 인간의 모습을 비판하는 그의 희곡 《맹진사댁 경사》의 모티프를 제공했다.[19]

참조

[1] 서적 A Type and Motif Index of Japanese Folk-Literature Suomalainen tiedeakatemia 1971
[2] 서적 Survey of Korean Arts Literature https://books.google[...] National Academy of Arts 1970
[3] 간행물 Encyclopedia of Korean Folk Literature: Encyclopedia of Korean Folklore and Traditional Culture Vol. III 길잡이미디어 2014
[4] 웹사이트 구렁덩덩신선비 (Gureongdeongdeong sinseonbi) http://folkency.nfm.[...] 2019-10-23
[5] 논문 "다문화시대 상호문화능력 신장을 위한 한국 구비문학 읽기 — <뱀신랑–AT 425. 잃어버린 남편을 찾아서>⋅<구렁 덩덩신선비>를 중심으로 —" 2019
[6] 서적 Oral Literature of Korea https://books.google[...] Jimoondang Publishing Company 2005
[7] 논문 "<구렁덩덩신선비>와 「아메와카히코조시」의 친연성에 관한 비교문학적인 고찰" 2014
[8] 간행물 Encyclopedia of Korean Folk Literature: Encyclopedia of Korean Folklore and Traditional Culture Vol. III 길잡이미디어 2014
[9] 서적 Korean Folktales https://books.google[...] Jimoondang International 2001
[10] 논문 "다문화시대 상호문화능력 신장을 위한 한국 구비문학 읽기 — <뱀신랑–AT 425. 잃어버린 남편을 찾아서>⋅<구렁 덩덩신선비>를 중심으로 —" 2019
[11] 논문 "<구렁덩덩신선비>와 「아메와카히코조시」의 친연성에 관한 비교문학적인 고찰" 2014
[12] 서적 Oral Literature of Korea Jimoondang Publishing Company 2005
[13] 웹사이트 구렁덩덩신선비 (Gureongdeongdeong sinseonbi) http://folkency.nfm.[...] 2019-10-23
[14] 웹사이트 구렁덩덩신선비 (Gureongdeongdeong sinseonbi) http://folkency.nfm.[...] 2019-10-23
[15] 웹사이트 구렁덩덩 신선비 (Gureongdeongdeong sinseonbi: : A Tale About a Serpent Scholar's Test and Recovery of Love) https://terms.naver.[...] 2019-10-23
[16] 웹사이트 구렁덩덩신선비 http://encykorea.aks[...] 2019-10-23
[17] 논문 "<구렁덩덩신선비>와 「아메와카히코조시」의 친연성에 관한 비교문학적인 고찰" 2014
[18] 논문 "<구렁덩덩신선비>와 「아메와카히코조시」의 친연성에 관한 비교문학적인 고찰" 2014
[19] 웹사이트 뱀신랑 (Baemsillang) http://www.doopedia.[...] 2019-1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