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룡(古龍)은 1938년 홍콩에서 태어나 1985년 사망한 대만의 무협 소설 작가이다. 그는 짧은 문장과 시각적인 묘사, 하드보일드한 문체를 특징으로 하며, 《절대쌍교》, 《초류향전기》, 《소이비도》 시리즈 등 다수의 인기 작품을 남겼다. 김용, 양우생과 함께 '무협 삼각'으로 불리며, 작품은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다. 그의 작품은 한국 무협 소설 붐을 일으키는 데 기여했으며, 한국 작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번역가 - 싼마오
    싼마오는 자유로운 삶과 여성의 독립적인 삶을 제시하며 중국어권 독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은 중화민국 작가 천마오핑의 필명으로, 특히 자전적 소설 《사하라 이야기》로 널리 알려져 있다.
  • 대만의 번역가 - 리친펑
    리친펑은 타이완 출신의 일본 소설가로, 2017년 소설 『독무』로 데뷔하여 삶과 죽음, 성적 다양성 등을 다루는 작품으로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상 등을 수상했다.
  • 중국어-영어 번역가 - 에즈라 파운드
    에즈라 파운드는 20세기 모더니즘 운동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미국의 시인이자 비평가, 번역가였으나, 이미지즘 운동의 중심인물로서 혁신적인 시적 기법을 도입하고 여러 작가에게 영향을 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친파시즘 활동과 반유대주의적 발언으로 논란이 되었으며, 반역죄로 체포 후 정신병원에 수감되었다가 석방되어 이탈리아에서 생을 마감했다.
  • 중국어-영어 번역가 - 자오위안런
    중국의 저명한 언어학자, 음성학자, 작곡가인 자오위안런은 칭화 대학 등에서 다양한 학문을 공부하고 중국어 방언 조사, 문법 연구, 국어 로마자 제정 등에 기여했으며,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번역 및 가곡 작곡 등 다방면에서 업적을 남겼다.
구룽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슝야오화
출생1938년 6월 7일
출생지영국령 홍콩
사망1985년 9월 21일
사망지타이베이시
직업작가, 각본가, 영화 제작자, 영화 감독
국적중화민국
모교단강대학
장르무협 소설
작품 활동
활동 기간1960년 - 1985년
대표 작품초류향전기
육소봉전기
소리비도
절대쌍교
유성호접검
가족 관계
배우자정웨샤 (1958년 결혼, 1965년 사별)
메이바오주 (1965년 재혼, 1968년 사별)
예쉐 (1970년 삼혼, 1985년 이후 미망인)
자녀정샤오룽 (장남, 작가)
예이콴 (차남, 작가)
슝정다 (삼남, 작가)
기타
관련 인물슝펑성 (아버지)
경력타이베이 바오룽 영화공사 극작실 실장

2. 생애

슝야오화(熊耀華)는 1938년 6월 7일 홍콩에서 태어났지만,[2] 등록된 신분증에는 1941년생으로 기재되어 있다. 본관은 중국 장시성(江西省) 난창이며, 어린 시절에는 한커우에서 살았다. 1952년 부모와 함께 타이완 타이페이로 이주했다. 1956년 부모의 이혼 후, 친구들의 도움과 아르바이트로 학비를 벌어 단강대학 외국어학과를 졸업했다.

2. 1. 어린 시절과 청소년기 (1938년 ~ 1959년)

슝야오화(熊耀華)는 1938년 6월 7일 홍콩에서 태어났지만,[2] 등록된 신분증에는 1941년생으로 기재되어 있다. 본관은 중국 장시성(江西省) 난창이며, 어린 시절에는 한커우에서 살았다. 1952년 부모와 함께 타이완 타이페이로 이주했다. 1956년 부모의 이혼 후, 친구들의 도움과 아르바이트로 학비를 벌어 단강대학 외국어학과를 졸업했다.

2. 2. 작가 활동 (1960년 ~ 1985년)

1960년 필명 '구룽'으로 첫 무협 소설 《창궁신검》()을 출판했다. 1960년부터 1961년까지 8편의 소설을 출판했지만,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했다. 신베이시 루이팡 구로 이주하여 3년 동안 그곳에서 살았고, 이후 관점을 바꾸어 새로운 작풍을 채택했다. 1967년부터 1970년대 후반까지 작품을 통해 현대 무협 소설 장르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10년 동안 대만 무협 장르의 유일한 대표자였던 구룽은 김용, 량우성과 함께 '무협 삼각(Three Legs of the Tripod of Wuxia)'으로 불렸다. 대표작으로 《절대쌍교(絶代雙驕)》, 《초류향전기(楚留香傳奇)》, 《천애명월도(天涯明月刀)》가 있다.

1977년 간이 악화되어 건강이 쇠퇴하기 시작했다. 1980년 타이베이시 베이터우구의 호텔 '음송각'에서 술자리 트러블로 손과 복부를 찔려 중상을 입었다. 이때 2L 정도의 출혈을 보였고, 병원으로 이송되어 치료를 받았지만, 간염 환자의 혈액을 수혈받아 간염에 감염되었다. 이후 구룽 명의의 작품은 거의 모두 대필이라고 전해진다.

1985년, 무협 소설의 세계를 그대로 보여주는 듯한 무뢰한 삶을 살다가 병사했다.

2. 3. 사생활

고룡은 자유분방하고 호방한 성격으로, 작품 속 인물들처럼 낭만적인 삶을 추구했다.[1] 잦은 음주와 여성 편력으로 여러 차례 결혼과 이혼을 반복했다.

고룡은 4번 결혼했다.

부인관계자녀
정월하첫 번째 아내, 댄서정소룡 (장남)
엽설두 번째 아내, 댄서, 중일 혼혈엽이관 (차남)
매보주세 번째 아내웅정달 (삼남)
우수령네 번째 아내(자녀 없음)



첫 번째 아내 정월하와의 사이에서 아들 정소룡을, 두 번째 아내 엽설과의 사이에서 아들 엽이관을, 세 번째 아내 매보주와의 사이에서 아들 웅정달을 얻었다.[1] 네 번째 아내 우수령은 고룡의 임종을 지켰다.

장남 정소룡은 경찰관으로, 세계 경찰 유도 대회에서 4번 금메달을 획득한 유도의 명수이다. 그는 아버지 고룡에 대해 "작가로서는 천재였지만 아버지로서는 최악의 남자였다"고 평했다.

3. 작품 세계

고룡은 어니스트 헤밍웨이, 잭 런던, 존 스타인벡, 프리드리히 니체 등 서양 작가들의 영향을 받아 짧은 문장과 단락, 등장인물 간의 대화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하는 특징을 보인다.[3] 김용, 량우성과 달리 중국 역사, 문화, 철학적 아이디어보다는 인간 삶의 특이성, 날카로운 재치, 시적인 철학, 신비로운 음모, 등골이 오싹해지는 스릴을 강조한다.[3]

카메라를 의식한 듯한 시각적인 묘사가 두드러지며, 지문이나 등장인물의 대사에서 "인간이란…", "결국 여자란…"과 같은 철학적인 주제를 다루어 하드보일드한 매력을 더한다.[3] 중국에서는 이러한 대사들을 발췌하여 『고룡 잠언집(古龍箴言集)』을 출판하기도 했다.[3]

대만의 정세와 관련하여, 고룡의 작품에는 구체적인 사건이나 인물이 거의 언급되지 않는다.[4] 등장인물은 대부분 가공의 인물이지만, 개성 있고 매력적인 인물들이 다수 등장하여 "홍콩의 김용, 대만의 고룡"이라고 불릴 정도로 인기를 얻었다.[4]

3. 1. 특징

고룡의 작품 속 주인공은 이야기가 시작될 때부터 인격과 무술이 모두 완성된 경우가 많고, 과거 또한 밝혀지지 않아 수련 과정이나 소년 시절의 모습은 거의 언급되지 않는다.[1] 김용이 주인공의 성장과 남녀 간의 연애를 주로 다루는 반면, 고룡은 남자들 간의 우정을 더 중시하며, 특히 "친구"에게 독특한 무게를 부여하여 주인공에게 믿음직한 친구가 있는 경우가 많다.[1]

다만, 이러한 경향은 1960년대 후반 이후의 중기 작품에서 주로 나타나며, 초기작인 『창궁신검(蒼穹神劍)』, 중기작인 『명검풍류(名劍風流)』, 『완화세검록(浣花洗剣録)』 등에서는 "성장하는 주인공"과 같이 정통 무협 소설의 스타일을 따르는 작품이 대부분이다.[2] 완성된 인격의 주인공, 믿음직한 조력자, 남자들 간의 우정 등 고룡 작품의 특징적인 스타일은 1966년에 발표된 『무림외사(武林外史)』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난다.[2] 주인공 심랑(沈浪), 조력자 웅묘아(熊猫児), 히로인 주칠칠(朱七七) 등의 캐릭터는 초류향(楚留香), 소이비도(小李飛刀), 육소봉(陸小鳳) 시리즈 등에도 계승되었다.[2]

고룡의 문체는 카메라를 의식한 듯한 시각적인 묘사가 두드러지며, 지문이나 등장인물의 대사에서 "인간이란…", "결국 여자란…"과 같은 철학적인 주제가 등장하여 하드보일드한 매력을 더한다.[3] 중국에서는 이러한 대사들을 발췌하여 『고룡 잠언집(古龍箴言集)』을 출판하기도 했다.[3]

당시 대만의 정세와 관련하여, 고룡의 작품에는 구체적인 사건이나 인물이 거의 언급되지 않는다.[4] 등장인물은 대부분 가공의 인물이지만, 개성 있고 매력적인 인물들이 다수 등장하여 "홍콩의 김용, 대만의 고룡"이라고 불릴 정도로 인기를 얻었다.[4]

3. 2. 집필 스타일

어니스트 헤밍웨이, 잭 런던, 존 스타인벡, 프리드리히 니체 등 서양 작가들의 영향을 받아, 짧은 문장과 단락, 등장인물 간의 대화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한다. 김용, 량우성과 달리 중국 역사, 문화, 철학적 아이디어보다는 인간 삶의 특이성, 날카로운 재치, 시적인 철학, 신비로운 음모, 등골이 오싹해지는 스릴을 강조한다.[3]

김용이 주인공의 성장을 그리는 것과는 달리, 구룽이 그리는 작품에서는 주인공은 이야기가 시작될 때부터 인격과 무술 모두 완성된 경우가 많다. 주인공들의 과거 또한 밝혀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 그들이 어떻게 수련했는지, 소년 시절에는 어떤 인물이었는지 등도 거의 언급되지 않는다. 또한 김용은 주인공과 히로인의 성장과 연애를 그리는 것에 비해, 구룽은 남녀 간의 연애보다는 오히려 남자들 간의 우정을 그리는 경향이 있다. 특히 "친구"에게 독특한 무게가 부여되어, 주인공에게는 믿음직한 친구가 있는 경우가 많다.[4]

다만, 이러한 경향은 1960년대 후반 이후의 중기 작품에서 보이는 것으로, 초기작인 『창궁신검(蒼穹神劍)』부터 중기작인 『명검풍류(名劍風流)』, 『완화세검록(浣花洗剣録)』 무렵까지의 작품에서는 "성장해 가는 주인공" 등 이른바 정통 무협 소설의 스타일을 따르는 작품이 대부분이다. 완성된 인격의 주인공, 믿음직한 조력자, 남자들 간의 우정 등, 이른바 중기 이후 구룽 작품의 템플릿이라고 할 수 있는 스타일은 1966년에 발표된 『무림외사(武林外史)』가 그 전형으로 여겨진다. 주인공인 심랑(沈浪), 조력자인 웅묘아(熊猫児), 히로인 주칠칠(朱七七) 등의 캐릭터 형성은 초류향이나 소이비도, 육소봉 시리즈 등 구룽 작품에도 계승되었다.[5]

문체는 상당히 특징적인데, 마치 카메라를 의식한 듯한 시각적인 묘사가 두드러진다. 또한, 지문이나 등장인물의 대사에서 "인간이란…", "결국 여자란…"과 같은 거창한 테제가 등장하며, 이것이 하드보일드한 매력을 자아낸다. 중국에서는 이 대사들을 발췌하여 『구룽 잠언집(古龍箴言集)』까지 출판되었다.[6]

4. 주요 작품 목록

구룽은 1960년 필명 '구룽'으로 첫 무협 소설 ''창궁신검''()을 출판한 이후, 절대쌍교, 초류향전기, 천애명월도 등 다수의 작품을 발표했다. 그의 작품은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초기작'''

제목출판 연도비고
창궁신검1960년
월이성사1960년
검독매향(하락일검)1960년상관정 대필
검기서향1960년묵여생 대필
상비검1960년-1963년
고성전1960년-1963년
실혼인1960년
유협록1960년
호화령1962년
신군별전1963년
채환곡1961년-1963년
잔금결옥1960년미완
표향검우1963년-1965년
검현록1962년-1963년온옥 대필
검객행1962년-1963년
완화세검록1964년-1966년
정인전(노검)1963년-1964년
대기영웅전(철혈대기)1963년-1965년



'''중•후기작'''

제목출판 연도비고
무림외사1966년
명검풍류1965년챠오치(喬奇) 대필
절대쌍교1966년-1969년챠오치(喬奇) 대필, 일본어 번역본 간행
관락영웅1971년일본어 번역본 간행
대인물1971년
유성·나비·검1970년-1971년
칠살수1973년
검·화·연우강남1973년
삼소야적검1975년
검기엄상기사전(奇士伝) 대필
백옥호랑이일본어 번역본 『성백호전(聖白虎伝)』
백옥조룡1981년중쇄매(中碎梅) 대필
대지비응1976년
원월만도1977년쓰마쯔옌(司馬紫煙) 대필
영웅무루1978년
칠성룡왕1978년차이싱궈(蔡興國) 대필
풍령중적도성1980년위동러우(于東樓) 대필
노검광화1982년딩칭(丁情) 대필
나일검적풍정1983년딩칭(丁情) 대필
벽혈세은창1976년
국화적자1985년추리에(楚烈) 대필
철검홍안롱청펑(龍乗風) 대필
강호기담(흡혈아)1975년황잉(黄鷹) 대필
금검잔골령
명류검객몰우록대필, 실제 작가 불명
다정검객무정검일본어 번역 출간
변성랑자일본어 번역 출간
구월응비1974년
천애명월도1975년
변성도성1983년딩칭 대필
비도, 또 비도를 보다1981년딩칭 편집
소십일랑1973년
화병소십일랑1976년
혈해표향(血海飄香)1969년
대사막(大沙漠)1970년
화미조(画眉鳥)1971년
차시환혼(借屍還魂)일본어 번역본 간행 ("박쥐 전기"와 합본)
박쥐 전기(蝙蝠伝奇)일본어 번역본 간행
도화전기(桃花伝奇)1973년
신월전기(新月傳奇)1979년
오야란화(午夜蘭花)1980년
육소봉전기(금붕왕조)일본어 번역 출간
수화대도일본어 번역 출간
결전전후일본어 번역 출간
은구도방1977년
유령산장1977년
봉무구천1978년-1979년채흥국 대필
검신일소1981년고릉 대필
장생검(長生剣)1974년
공작령(孔雀翎)1974년대필
벽옥도(碧玉刀)1974년
다정환(多情環)1974년
패왕창(霸王槍)1975년
주먹(拳頭)1976년
이별구(離別鉤)1978년
도박, 랑아, 추살1984년
자연, 군호1984년
은조, 해신1984년
혈앵무(血鸚鵡)1974년황잉(黄鷹) 대필
천마도(天魔刀)황잉(黄鷹) 대필
흑석고(黒蜥蜴)황잉(黄鷹) 대필
수정인(水晶人)황잉(黄鷹) 대필
분고루(粉骷髏)황잉(黄鷹) 대필
나찰녀(羅刹女)황잉(黄鷹) 대필
무익편복(無翼蝙蝠)황잉(黄鷹) 대필


4. 1. 소설

구룽은 1960년 필명 '구룽'으로 첫 무협 소설 ''창궁신검''()을 출판했다.[1] 1960년부터 1961년까지 8편의 소설을 출판했지만,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했다.[1] 신베이시 루이팡구로 이주하여 3년간 그곳에서 살았고, 이후 관점을 바꾸어 새로운 작풍을 채택했다.[1] 1967년부터 1970년대 후반까지 작품으로 현대 무협 소설 장르에서 두각을 나타냈다.[1] 10년 동안 대만 무협 장르의 유일한 대표자였던 슝은 김용, 량우성과 함께 '무협 삼각(Three Legs of the Tripod of Wuxia)'으로 불렸다.[1] 대표작으로 《절대쌍교》, 《초류향전기》, 《천애명월도》가 있다.

이 작품들 중 일부는 다른 작가들과 공동 집필했다.[1]

'''초기작'''

제목출판 연도비고
창궁신검1960년
월이성사1960년
검독매향(하락일검)1960년상관정 대필
검기서향1960년묵여생 대필
상비검1960년-1963년
고성전1960년-1963년
실혼인1960년
유협록1960년
호화령1962년
신군별전1963년
채환곡1961년-1963년
잔금결옥1960년미완
표향검우1963년-1965년
검현록1962년-1963년온옥 대필
검객행1962년-1963년
완화세검록1964년-1966년
정인전(노검)1963년-1964년
대기영웅전(철혈대기)1963년-1965년



'''중•후기작'''

제목출판 연도비고
무림외사1966년
명검풍류1965년챠오치(喬奇) 대필
절대쌍교1966년-1969년챠오치(喬奇) 대필, 일본어 번역본 간행
관락영웅1971년일본어 번역본 간행
대인물1971년
유성·나비·검1970년-1971년
칠살수1973년
검·화·연우강남1973년
삼소야적검1975년
검기엄상기사전(奇士伝) 대필
백옥호랑이일본어 번역본 『성백호전(聖白虎伝)』
백옥조룡1981년중쇄매(中碎梅) 대필
대지비응1976년
원월만도1977년쓰마쯔옌(司馬紫煙) 대필
영웅무루1978년
칠성룡왕1978년차이싱궈(蔡興國) 대필
풍령중적도성1980년위동러우(于東樓) 대필
노검광화1982년딩칭(丁情) 대필
나일검적풍정1983년딩칭(丁情) 대필
벽혈세은창1976년
국화적자1985년추리에(楚烈) 대필
철검홍안롱청펑(龍乗風) 대필
강호기담(흡혈아)1975년황잉(黄鷹) 대필
금검잔골령
명류검객몰우록대필, 실제 작가 불명
다정검객무정검일본어 번역 출간
변성랑자일본어 번역 출간
구월응비1974년
천애명월도1975년
변성도성1983년딩칭 대필
비도, 또 비도를 보다1981년딩칭 편집
소십일랑1973년
화병소십일랑1976년
혈해표향(血海飄香)1969년
대사막(大沙漠)1970년
화미조(画眉鳥)1971년
차시환혼(借屍還魂)일본어 번역본 간행 ("박쥐 전기"와 합본)
박쥐 전기(蝙蝠伝奇)일본어 번역본 간행
도화전기(桃花伝奇)1973년
신월전기(新月傳奇)1979년
오야란화(午夜蘭花)1980년
육소봉전기(금붕왕조)일본어 번역 출간
수화대도일본어 번역 출간
결전전후일본어 번역 출간
은구도방1977년
유령산장1977년
봉무구천1978년-1979년채흥국 대필
검신일소1981년고릉 대필
장생검(長生剣)1974년
공작령(孔雀翎)1974년대필
벽옥도(碧玉刀)1974년
다정환(多情環)1974년
패왕창(霸王槍)1975년
주먹(拳頭)1976년
이별구(離別鉤)1978년
도박, 랑아, 추살1984년
자연, 군호1984년
은조, 해신1984년
혈앵무(血鸚鵡)1974년황잉(黄鷹) 대필
천마도(天魔刀)황잉(黄鷹) 대필
흑석고(黒蜥蜴)황잉(黄鷹) 대필
수정인(水晶人)황잉(黄鷹) 대필
분고루(粉骷髏)황잉(黄鷹) 대필
나찰녀(羅刹女)황잉(黄鷹) 대필
무익편복(無翼蝙蝠)황잉(黄鷹) 대필


4. 2. 각색 작품

고룡의 작품은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대표적인 각색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작품각색
절대쌍교1977년 드라마, 1979년 드라마, 1986년 드라마, 1988년 드라마, 2002년 드라마, 2002년 드라마, 2005년 드라마, 2020년 드라마
초류향 시리즈1979년 드라마, 1984년 드라마, 1985년 드라마, 1995년 드라마, 2001년 드라마, 2007년 드라마, 2012년 드라마
소이비도 시리즈1978년 드라마, 1995년 드라마, 2003년 드라마, 2012년 드라마
육소봉 시리즈1976년 드라마, 1986년 드라마, 2001년 드라마, 2001년 드라마, 2006년 드라마, 2015년 드라마
소십일랑 시리즈1978년 드라마, 2002년 드라마, 2005년 드라마, 2016년 드라마
원월만도1994년 드라마, 2012년 드라마
천애명월도1976년 영화, 2012년 드라마, 온라인 게임
기타2001년 드라마, 2003년 드라마, 1976년 영화, 1993년 영화, 2010년 드라마


5. 한국에 미친 영향

고룡의 대표작으로는 《절대쌍교》, 《초류향전기》, 《천애명월도》 등이 있다. 이 작품들은 1980년대부터 한국에 번역, 소개되어 무협 소설 붐을 일으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절대쌍교》, 《초류향전기》 등은 한국 독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으며, 영화와 드라마로도 제작되어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웹사이트 古龍 https://web.archive.[...] 2005-08-03
[2] 웹사이트 Life / Gu Long / Authors / Wuxiapedia – The comprehensive wuxia knowledge base https://web.archive.[...]
[3] 뉴스 New Gulong Online confirmed for Southeast Asia https://web.archive.[...] Jonathan Toyad 2013-02-04
[4] 웹사이트 古龍(中文百科大全) http://www.zwbk.org/[...] 2012-07-20
[5] 문서 본명
[6] 문서 본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