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호뎐 1938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미호뎐 1938》은 1938년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구미호가 현대로 돌아가기 위해 벌이는 K-판타지 액션 활극이다. 이 드라마는 예상치 못한 사건으로 1938년에 소환된 구미호 이연이 그 시대의 이랑, 류홍주 등을 만나면서 겪는 이야기를 그린다. 이동욱, 김소연, 김범, 류경수 등이 출연하며, AGB 닐슨 미디어 리서치 조사 결과 최고 시청률 8.024%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미호를 소재로 한 작품 - 구미호 (영화)
1994년 개봉한 영화 구미호는 인간이 되고 싶어하는 구미호 하라와 그녀를 돕는 택시 운전사 혁의 이야기를 그린 판타지 영화로, 한국 영화 최초로 컴퓨터 생성 이미지를 사용하고 벽산 그룹의 지원을 받아 한국 영화 산업에 변화를 가져왔다. - 구미호를 소재로 한 작품 - 구미호: 여우누이뎐
구미호: 여우누이뎐은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인간에게 배신당한 구미호 구산댁과 딸, 구미호의 간을 탐하는 윤두수, 반인반수 소녀 연이의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이다. - TvN 토일드라마 - 엄마친구아들 (드라마)
《엄마친구아들》은 스튜디오드래곤과 더모도리가 제작하고 유제원 연출, 신하은 극본으로 정해인, 정소민, 김지은, 윤지온 등이 출연하여 건축가, 백수, 119 구급대원, 기자 역할을 맡아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2024년 드라마이다. - TvN 토일드라마 - 아라문의 검
아라문의 검은 아스에서 타곤, 태알하, 은섬, 탄야의 운명적인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로, 스튜디오드래곤과 KPJ가 제작하고 김영현, 박상연 작가, 김광식 연출, 장동건, 이준기, 신세경, 김옥빈 등이 출연하여 아스달 세력과 아고 연합, 뇌안탈 간의 갈등과 서사를 다룬다. -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만세전
《만세전》은 염상섭의 소설로, 일제강점기 도쿄 유학생인 '나'가 아내의 위독 소식을 듣고 귀국하는 과정에서 조선의 암울한 현실과 식민지 지식인의 무기력함을 묘사한다. -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삼대
《삼대》는 1920년대~1930년대 일제강점기 한국을 배경으로 조씨 일가 3대의 갈등을 통해 식민지 현실을 드러내고 가족주의의 완고성, 식민지 현실의 폐쇄성, 변화하는 사회 속 개인의 모습을 보여주는 가족사 소설이다.
구미호뎐 1938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구미호뎐 1938 |
로마자 표기 | Gumihodyeon 1938 |
장르 | 액션 판타지 |
제작 | 스튜디오 드래곤 |
극본 | 한우리 |
연출 | 강신효 조남형 |
출연 | 이동욱 김소연 김범 류경수 |
음악 | 홍대성 소수정 박서희 황미래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에피소드 수 | 12 |
책임 프로듀서 | 이혜영 |
프로듀서 | 나지현 함근호 |
제작사 | 스튜디오 드래곤 하우 픽쳐스 |
방송사 | tvN |
방송 기간 | 2023년 5월 6일 ~ 2023년 6월 11일 |
관련 작품 | 구미호뎐 |
시청 등급 | [[파일:Republic Of Korea Broadcasting-TV Rating System(15).svg|20px|15세 이상 시청가|link=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 15세 이상 시청가 |
방송 시간 | 매주 토요일, 일요일 오후 9시 20분 ~ 오후 10시 30분 |
방송 분량 | 1시간 10분 |
방송 시즌 | 2 |
제작 | 박진형, 손재성 |
기획 | tvN, 스튜디오드래곤, ㈜플러스엠엔터테인먼트 |
제작 총괄 | 신선주, 라보라 |
외부 링크 | 구미호뎐 1938 홈페이지 |
2. 기획 의도
1938년 혼돈의 시대에 불시착한 구미호가 현대로 돌아가기 위해 펼치는 K-판타지 액션 활극이다. 구미호뎐 1938은 이동욱이 구미호뎐 이후 일어난 특정 사건으로 인해 예상치 못하게 일제강점기인 1938년으로 시간 여행을 하게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그곳에서 그는 그 시대의 김범인 이랑과 김소연인 류홍주를 만난다.
3. 제작진
3. 1. 제작사
스튜디오드래곤, 하우픽쳐스, 플러스엠엔터테인먼트
3. 2. 극본
한우리 : OCN 《작은 신의 아이들》, tvN 수목 드라마 《구미호뎐》 집필
3. 3. 연출
강신효는 SBS 《순수의 시대》, SBS 《올인》, SBS 《상속자들》, OCN 《작은 신의 아이들》, tvN 《구미호뎐》을 연출하였다.[1] 조남형은 tvN 《구미호뎐》, OCN 《우월한 하루》를 연출하였다.[2]
4. 등장 인물
- '''이연''' (이동욱 분) : 구미호九尾狐|구미호중국어.[9] 백두대간의 전직 산신. 영원한 첫사랑 남지아와 행복한 결말을 맞이했지만, 예상치 못한 사건으로 1938년에 불시착한다.
- '''류홍주''' (김소연 분) : 전직 서쪽산신이자 묘연각의 주인.[10] 본체는 수리부엉이이다. 이연을 차지하고 싶어한다.
- '''이랑''' (김범 분) : 인간과 구미호 사이에서 태어난 반인반호.[11] 1930년대에는 마적단 두목으로 살았다. 인어 장여희와 사랑에 빠진다.
- '''천무영''' (류경수 분) : 홍백탈을 쓴 전직 북쪽산신.[12] 본체는 백두산 호랑이이다. 죽은 자도 살리는 의술과 불을 다스리는 능력을 지녔다. 류홍주를 짝사랑하여 이연을 노린다.
- '''구신주''' (황희 분) : 토종여우이자 이연의 오른팔. 이연과 함께 미래에서 1938년으로 왔다.
- '''선우은호''' (김용지 분) : 선우일보 기자. 독립 운동가이자 폭발물 전문가로, 여러 사건에서 이연 일행과 얽힌다.
- '''복혜자''' (김수진 분) : 우렁각시. '오복양품점'의 주인이자 '광복의용대 경성 제4지부'의 핵심 인물이다.
- '''유재유''' (한건유 분) : 류홍주의 경호원.[15] 본체는 진돗개이다.
- '''매화''' (김주영 분) : 묘연각의 기생.[16]
- '''난초''' (나현 분) : 묘연각의 기생.[17] 가야금 연주 실력이 뛰어나다.
- '''국희''' (강나언 분) : 묘연각의 기생.[18]
- '''죽향''' (주예림 분) : 묘연각의 기생.[14]
- '''장여희''' (우현진 분) : 인어.[19] 낮에는 양품점 직원, 밤에는 클럽 파라다이스에서 가수 일을 한다.
- '''부두목''' (조달환 분) : 1938년 이랑의 오른팔이자 산적 두목.[20]
- '''탈의파''' (김정난 분) : 내세 출입국관리사무소의 1인자.[14] 염라대왕의 여동생이자 현의옹의 아내이다.
- '''현의옹''' (안길강 분) : 내세 출입국관리사무소의 2인자.[14] 삼도천 문지기이자 탈의파의 남편이다.
- '''가토 류헤이''' (하도권 분) (†) : 총독부 경무국장.[14] 다이텐구라는 일본 요괴이다.
- '''사이토 아키라''' (임지호 분) : 총독부 경무국 보안과 요원.[21]
4. 1. 주요 인물
- 이동욱 : 이연 역 - '''구미호'''[9]九尾狐|구미호중국어는 9개의 꼬리를 가진 여우로, 백두대간의 수호자였다. 영원한 첫사랑인 남지아와 행복한 결말을 맞이했지만, 예상치 못한 사건에 휘말려 1938년으로 소환된다. 1938년은 ‘의외로 결벽증’인 그를 충격적인 위생 실태로 맞이했다. 게다가 와이파이, 민트초코 아이스크림도 없고, 사랑하는 지아도 곁에 없다. 그는 자신이 살던 곳으로 돌아가려 하지만, 여러 인물들이 그의 발목을 잡는다. 다시 만난 동생 이랑에게는 자신이 미래에서 왔다는 사실을 말해주지 않는다. 그는 시대의 격랑에 분연히 몸을 던진다. '지켜야 할 연인이 없는' 시대의 그는 우리가 아는 것보다 훨씬 무자비하다.
- 김소연 : 류홍주 역 - '''묘연각의 주인이자, 전직 서쪽산신.'''[10] 경성 최고급 요릿집 묘연각의 주인으로, 늙지 않는다는 소문이 도는 여인이다. 절세가인이자 불세출의 예인으로, 그녀를 품어보고자 하는 사내들이 많다. 장정 몇이 덤벼도 꺾지 못하는 말술이며, 어마어마한 괴력의 소유자다. 그녀의 정체는 이연과 더불어 한반도를 다스리던 4대 산신 중 하나로, 본체는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2급 수리부엉이다. 그녀는 산신의 금기를 어기고 지옥형에 처해진 적도 여러 번 있다. 자신보다 약한 것들과는 친구를 하지 않는다는 신조를 가지고 있어 외로움을 느끼던 중, 이연이 나타나자 그를 차지하려 한다.
- 김범 : 이랑 역 - '''인간과 구미호 사이에서 태어난 혼종 반인반호'''[11] 형과 원수가 되어 산야를 떠돌다 마적 떼에게 습격당했다. 마적 떼 두목을 죽이고 그들의 우두머리가 되어 1930년대를 마적단 두목으로 살았다. 냉정한 살인귀가 된 이랑 앞에 형 이연이 나타나고, 피 튀기는 싸움 끝에 이연에게 붙들려 모던보이로 다시 태어난다. 이랑은 '곁에 있는 이연'의 정체를 의심하지만, 나중에 그가 미래에서 왔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랑의 첫사랑'은 인어이며, 이연은 '우리 집에 해산물은 절대 안 된다'며 그를 놀린다. 이랑은 여전히 서툴고 거칠지만, 불완전한 인어의 다리에 보폭을 맞춰 느리게 걷는 법을 배우고, 그녀를 위해 피아노를 연주한다.
- 류경수 : 천무영 역 - '''홍백탈, 전직 북쪽산신.'''[12] 죽은 자도 살리는 전직 북쪽 산신으로, 이연, 홍주의 오랜 친구이다. ‘삼도천 수호석’을 훔쳐 과거로 달아난 수수께끼의 인물이며, 이연을 1938년에 가둬버린 당사자이기도 하다. 이연과 전면전을 벌여도 밀리지 않는 무공, 뛰어난 의술 실력, ‘불’을 다스리는 능력을 가졌다. 본체는 백두산 호랑이다. 과거 4대 산신 중 가장 온화했지만, 지금은 변하여 사람을 잔인하게 이용하고 요괴로 만들기도 한다. 그는 홍주를 짝사랑하여 이연을 노린다.
4. 2. 이연 주변 인물
- 황희 : 구신주 역 - '''토종여우, 이연의 오른팔.'''
이연과 함께 미래에서 왔다. 타임슬립과 동시에 징용을 당한 것도 모자라, 웬 마적단에게 전 재산을 털렸다. 온갖 고초 끝에 경성에 돌아왔지만, 경성은 넓고 이연의 행방은 묘연했다. 냉면집 배달알바로 근근이 살아가는데, 배달 도중 이연을 본 것만 같다?! 아내와 똑같이 생긴 인간여자를 지켜주며, 그녀의 독립운동을 돕는다. - 김용지 : 선우은호 역 - '''선우일보 기자'''
정체를 감춘 독립 운동가이자 폭발물 전문가. 이름난 재력가의 딸이지만, 하나뿐인 언니가 총독부 관료에게 시집갔다가 목을 맨 후, 광복의용대원이 됐다. 온갖 사건사고의 목격자이자 당사자가 되어 이연 일행과 얽힌다. '이것들은 뭔데 이렇게 나를 지키려고 난리지?' 은호는 자신의 얼굴이 신주의 아내와 놀랄 만큼 닮아있다는 걸 모른다. - 김수진 : 복혜자 역 - '''우렁각시'''
경성 한복판에 자리한 '오복양품점'의 주인. 주 고객은 경성의 내로라하는 부호들과 일본인 사모님들이다. 하지만 이곳은 '광복의용대 경성 제4지부' 비밀 아지트. '명색이 조선요괴인데, 나라 뺏기고 손가락만 빨고 있을 순 없잖니.' 만주로 가는 군자금 대부분이 우렁각시의 손에서 움직인다.
4. 3. 류홍주 주변 인물
한건유 : 유재유 역 - 홍주의 경호원[15]: 그림자처럼 홍주 곁을 지키는 충직하고 과묵한 사내이다. 본체는 ‘토종 진돗개’로, 천연기념물 53호란 사실에 은근히 자부심을 갖고 있다. 홍주의 안전을 제외하곤 그 어떤 관심도 없다.
김주영 : 매화 역 - 묘연각의 기생[16]
: 어린 시절, 길에서 동냥을 하다 홍주에게 거둬졌다. 홍주를 무조건적으로 믿고 따르며, 묘연각의 안살림을 책임지고 있다.
나현 : 난초 역 - 묘연각의 기생[17]
: '젊고, 잘생기고, 비싼 문화주택 가진' 남자가 이상형이다. 가야금 타는 솜씨가 일품. 머리는 좀 나쁘지만, 여리고 정이 많다.
강나언 : 국희 역 - 묘연각의 기생[18]
: 아들만 다섯인 집안 막내딸로 태어나 피죽도 제대로 못 먹고 자랐다. 식탐이 심해서 손님상에서 자주 안주를 훔쳐 먹는다.
주예림 : 죽향 역 - 묘연각의 기생[14]
: 아버지에게 버림받은 어린 소녀. 뜻밖에, 천재적인 두뇌로 하나를 가르치면 열을 아는 수재다.
4. 4. 이랑 주변 인물
- 우현진: 장여희 역 - '''인어'''[19]
낮에는 양품점 직원, 밤에는 클럽 파라다이스의 이름 없는 가수로 두 가지 일을 하는 생활력 강한 인어 아가씨. 그녀는 경성이 좋았다. 구락부의 반짝이는 불빛, 자신의 노래를 들어주는 사람들, 무엇보다 '구경거리가 될 건지, 가수가 될 건지 둘 중 하나만 해'라며 차갑게 말하며 그녀 인생에 뛰어든 이랑을 만났기 때문이다.
- 조달환: 부두목 역[20] - 1938년 이랑의 오른팔이자, 산적 두목.
4. 5. 내세출입국 관리사무소
김정난이 연기한 탈의파는 내세 출입국관리사무소의 1인자이다.[14] 낡은 것과 옛것이 가차 없이 버려지던 시대에, 부정한 것들을 묻어둔 땅이 '문화주택' 건설 붐으로 파헤쳐지면서 잊혀 가는 토착신들이 분노를 감추지 않았다. 탈의파는 들끓는 이승을 통제하느라 바쁜 와중에도 경성에 생긴 '극장' 때문에 가끔 사무실을 빠져나왔다. 염라대왕 (저승의 최고 통치자)의 여동생이자 현의옹의 아내로, 사후 세계 저승의 이민 사무소에서 망자들의 명단을 관리하며, 이연에게 임무를 부여한다.[14]안길강이 연기한 현의옹은 내세 출입국관리사무소의 2인자이다.[14] 인간사에 함부로 개입하지 말라는 탈의파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조선 독립운동을 지원하며 '그레고리 현'이라는 가명으로 활동했다. 삼도천 문지기로서 수많은 죽음을 봐왔지만, 전쟁, 고문, 강제노역 등으로 짓밟히는 목숨들을 보며 이건 아니라고 생각했다. 삼도천의 문지기이자, 탈의파의 남편이자 복길의 아버지로, 사후 세계 이민 사무소에서 일하며 망자들이 저승으로 들어가기 전에 브리핑을 한다.[14]
4. 6. 조선총독부
- 하도권 : 가토 류헤이(加藤 龍平) 역 (†) - 총독부 경무국장[14]
: 종로경찰서장 목을 날릴 수 있는 총독부 최고 권력자 중 하나이다. 정한론의 기수들을 배출한 조슈 번 출신 엘리트 관료로 알려져 있지만, 그의 정체는 노회한 일본 요괴 다이텐구이다. 조선총독부에서 가장 강력한 인물 중 한 명이다.
- 임지호 : 사이토 아키라(齋藤 晶) 역 - 총독부 경무국 보안과 요원[21]
: 다부진 체격, 사람 속을 꿰뚫어 보는 듯한 눈빛을 가진 인물이다. 사무라이 정신으로 꽉 찬 일본 요괴로, 경무국장의 수족으로 사람 행세를 하며 조선을 탄압하는 데 앞장선다.
4. 7. 그 외 인물
- 김승화 : 유키 역[22]
- 이재용 : 선우찬 / 타와라 쇼 역 - 은호의 아버지이자 세이코의 남편이다.
- 박현정 : 세이코 역 - 은호의 어머니이자 선우찬의 아내이다.
- 정수교 : 정대승 역[23] - 종로경찰서 형사이다.
- 박예린 : 류홍주 아역
- 김영웅 : 업신 수호자 역
- 조민호 : 업신 역
- 이상경 : 측신 역
- 김유하 : 새타니 역
- 임기홍 : 오도전륜대왕 역
- 고건한 : 장산범 역
- 류승국 : 일본군 대좌 역
- 심희섭 : 천호영 / 태초의 산신 역
- 미상 : 운전사 역
- 미상 : 토착신 역
- 미상 : 독립운동가 역
- 정선철 : 뉴도 역
- 이규호 : 오오가마 역
- 정재원 : 우시우치보 역 - 일본 요괴이다.
- 서영주 : 사토리 역[25] - 이연과 이랑을 위협하는 최종 빌런이다.
- 박정언 : 제석신 역 - 조선 토착신 중 한 분으로, 조상신이다.
- 장하경 : 양영애[24] - 부산에서 상경한 미스 조선으로, 조선 최고의 미인이 되기를 꿈꾼다.
4. 8. 특별 출연
5. 시청률
2023년 | ||||
---|---|---|---|---|
회차 | 방송일 | 부제 (서브 타이틀) | AGB 시청률 | |
한국(전국) | 서울(수도권) | |||
1회 | 5월 6일 | 형제, 1938 | 6.463% | 7.409% |
2회 | 5월 7일 | 아름다울 美 | 7.129% | 8.303% |
3회 | 5월 13일 | 새타니 | 5.233% | 5.808% |
4회 | 5월 14일 | 업동이 | 6.682% | 7.606% |
5회 | 5월 20일 | 업동이Ⅱ | 5.533% | 6.656% |
6회 | 5월 21일 | 구석놀이 | 6.860% | 8.116% |
7회 | 5월 27일 | 장산범 | 5.324% | 6.249% |
8회 | 5월 28일 | 토착신들 | 6.736% | 7.983% |
9회 | 6월 3일 | 반도호텔 | 4.988% | 6.155% |
10회 | 6월 4일 | 시니가미 용병단 | 6.625% | 8.196% |
11회 | 6월 10일 | 덫 | 4.728% | 5.475% |
12회 | 6월 11일 | 조선의 마지막 산신 | 8.024% | 9.102% |
시청률 조사는 닐슨 코리아에서 전국 단위로 이루어졌다.[28] 12회에서 최고 시청률 8.024%(전국), 9.102%(수도권)를 기록했고, 11회에서 최저 시청률 4.728%(전국), 5.475%(수도권)를 기록했다.
6. OST
연가|戀歌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