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조 릿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조 릿시(藤原立子)는 가마쿠라 시대의 인물로, 준토쿠 천황의 중궁이었다. 1192년에 태어나 후지와라노 다카노부의 딸로, 1209년 준토쿠 천황에게 입내했다. 1211년 뇨고가 되었고, 이어서 중궁으로 책립되었다. 테이시 내친왕과 츄쿄 천황을 낳았으며, 조큐의 난으로 남편이 유배된 후 출가하여 1247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세기 일본의 비구니 - 고후카쿠사인노 니죠
    고후카쿠사인노 니죠는 가마쿠라 시대 여류 문학가이자 고후카쿠사 천황의 측실이며 자전적 수필 《토와즈가타리》의 저자이지만,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다.
  • 13세기 일본의 비구니 - 다이라노 도쿠시
    다이라노 도쿠시는 헤이안 시대 말 다이라노 기요모리의 딸이자 다카쿠라 천황의 중궁으로, 안토쿠 천황을 낳았으며 헤이시 정권 붕괴 후 출가하여 잣코인에서 은거하다 생을 마감했다.
  • 12세기 일본의 비구니 - 사이교의 딸
    사이교의 딸은 사이교의 딸이 있었다는 사실을 다루며, 동시대 문헌에 단편적으로 언급되지만 이름은 불명확하고, 『발심집』에는 출가 시 동생에게 맡겨 구조 민부경의 딸인 "레이제이 전"의 양녀가 되어 아마노 땅에 살았다는 기록이 있으며, 에도시대의 『사이교모노가타리』에는 다양한 일화가 추가되었지만 후대 창작 가능성이 있고, 와카야마현 가쓰라기정 가미아마노에는 관련 유적들이 남아 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 12세기 일본의 비구니 - 시즈카 고젠
    시즈카 고젠은 가마쿠라 시대의 시라뵤시 무용가로, 미나모토노 요시츠네와의 비극적인 사랑과 겐페이 전쟁 후 파란만장한 삶, 그리고 가마쿠라에서 겪은 고난으로 인해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고 일본 각지에 관련 전설과 유적을 남겼다.
  • 1192년 출생 - 미나모토노 사네토모
    미나모토노 사네토모는 호조 씨의 영향력 아래 가마쿠라 막부의 3대 쇼군으로 즉위했으나, 뛰어난 와카 시인으로서 『금해와가집』을 남기고 송나라 문화에 관심을 가졌지만 조카 구교에게 암살당해 겐지 쇼군가의 혈통이 끊겼다.
  • 1192년 출생 - 고종 (고려)
    고종은 고려의 23대 왕으로, 최씨 무신정권의 영향력 아래 몽골 제국의 침입에 대항하여 강화도로 천도, 팔만대장경 조각을 완성했으나 몽골과의 화의 직후 사망했다.
구조 릿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구죠 릿시
구죠 릿시
이름구죠 릿시
원어 이름九条 立子
로마자 표기Kujō Ritsushi
다른 이름히가시이치죠인(東一条院)
신분
직위일본의 황후 (중궁)
여원호히가시이치죠인
재위 기간
황후조겐 5년 1월 22일 - 조큐 4년 3월 25일 (1211년 2월 7일 - 1222년 5월 8일)
여원조큐 4년 3월 25일 - 호지 원년 12월 21일 (1222년 5월 8일 - 1248년 1월 18일)
생애
출생겐큐 3년 (1192년)
사망호지 원년 12월 21일 (1248년 1월 18일)
사망 장소헤이안쿄 (교토)
가문
씨족후지와라 씨 (구죠 가문)
아버지구죠 요시쓰네
어머니이치죠 요시야스의 딸
가족 관계
배우자순토쿠 천황
자녀데시 내친왕
주쿄 천황
혼인
입내조겐 3년 3월 23일 (1209년 4월 28일)
결혼1211년, 순토쿠 천황과 결혼 (1242년 사망)
기타
여어 선하조겐 4년 12월 29일 (1211년 1월 15일)

2. 생애

조겐 3년 (1209년) 준토쿠 천황에게 입내하였다. 구칸쇼(愚管抄)에 따르면, 당초 쓰치미카도 천황에게 입내할 예정이었으나 고토바인의 요청으로 준토쿠 천황의 동생 모리나리 친왕(훗날의 준토쿠 천황)에게 입내하게 되었다고 한다. 조겐 4년 12월 29일 (1211년 1월 15일) 뇨고가 되었고, 이듬해 조겐 5년 1월 22일 (1211년 2월 7일) 중궁에 책립되었다. 겐포 5년 (1217년) 3월 22일, 테이시 내친왕 (메이기몬인)을 출산하고, 겐포 6년 (1218년) 10월 10일에는 카네나리 친왕(훗날의 쿠죠 폐제 (츄쿄 천황))을 출산했다.

조큐 3년 (1221년) 조큐의 난으로 남편 준토쿠 상황이 사도가시마로 유배되자, 1222년 히가시이치죠인이 되었다. 가로쿠 2년 (1226년) 출가하였고, 호지 원년 (1247년)에 57세로 사망했다.

2. 1. 출생과 가문 배경

조겐 3년 (1209년) 준토쿠 천황에게 입내하였다. 『구칸쇼(愚管抄)』에 의하면, 당초에는 츠치미카도 천황에게 입내시키기 위해 준비가 진행되었으나, 고토바인의 요청으로 동생인 동궁 모리나리 친왕(훗날의 준토쿠 천황)에게 입내가 결정되었다고 한다. 조겐 4년 12월 29일 (1211년 1월 15일)에 뇨고 선하가 되었고, 다음 해 조겐 5년 1월 22일 (1211년 2월 7일)에는 중궁으로 책립되었다.

2. 2. 입궁과 황후 책봉

조겐 3년(1209년) 준토쿠 천황에게 입궁하였다. 『구칸쇼(愚管抄)』에 따르면, 당초 쓰치미카도 천황에게 입궁할 예정이었으나 고토바인의 요청으로 준토쿠 천황에게 입궁하게 되었다고 한다. 조겐 4년 12월 29일 (1211년 1월 15일) 뇨고가 되었고, 이듬해 조겐 5년 1월 22일 (1211년 2월 7일) 중궁으로 책립되었다. 겐포 5년 (1217년) 3월 22일 테이시 내친왕 (메이기몬인)을 출산하고, 겐포 6년 (1218년) 10월 10일에는 카네나리 친왕(훗날의 쿠죠 폐제 (츄쿄 천황))을 출산했다.

2. 3. 황자녀 출산

1217년 데이시 내친왕(메이기몬인)을 출산하고, 1218년 가네나리 친왕(후의 주쿄 천황)을 출산했다.[1] 조큐의 난 이후, 남편 준토쿠 상황이 사도섬으로 유배되자, 1222년 히가시이치조인이 되었다.[1]

2. 4. 조큐의 난과 유배

1221년 조큐의 난으로 남편 준토쿠 상황이 사도섬으로 유배되자, 이듬해 1222년 3월 25일에 원호 선하를 받아 히가시이치죠인이 되었다.[1] 1226년 8월 7일에 출가하였다.[1]

2. 5. 출가와 사망

조큐의 난(1221년)으로 남편 준토쿠 상황이 사도가시마로 유배되자, 이듬해 3월 25일에 원호 선하를 받아 히가시이치조인이 되었다. 가로쿠 2년(1226년) 8월 7일에 출가했으며, 호지 원년(1247년)에 5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가계도

후지와라노 다쓰코|藤原立子일본어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이름비고
아버지후지와라노 다카노부
어머니고토바인의 유모
남편준토쿠 천황조큐의 난으로 사도가시마에 유배됨[1]
장녀테이시 내친왕 (메이기몬인)[1]
장남카네나리 친왕 (쿠죠 폐제)[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