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1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211년은 남송, 금나라, 일본 등 여러 국가에서 연호를 사용하고, 고려, 몽골 제국 등에서 기년으로 사용된 해이다. 고려에서는 교정도감이 설치되었고, 최충헌의 난으로 희종이 폐위되고 강종이 즉위했다. 칭기즈 칸은 금나라를 공격하고 서요는 멸망했으며, 라틴 제국과 룸 술탄국 사이의 전투에서 룸 술탄국 군주 카이쿠스라우 1세가 사망했다. 또한, 잉글랜드의 존 왕은 웨일스 반란을 진압하고, 알비 십자군이 툴루즈를 정복하는 등 유럽과 아시아에서 다양한 사건들이 일어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211년 | |
---|---|
기본 정보 | |
![]() | |
연대별 | |
13세기 | 1211년 1212년 1213년 1214년 1215년 1216년 1217년 1218년 1219년 |
2. 연호
3. 기년
국가 지도자 연호 남송 영종 가정 4년 금 위소왕 대안 3년 고려 희종 희종 7년 몽골 제국 칭기즈 칸 태조 6년 서하 양종 황건 2년 신종 광정 원년 리 왕조 혜종 건가 원년 일본 조겐 5년, 겐랴쿠 원년(음력 3월 9일-) 기타 간지 신미 황기 1871년 서요 천희 34년? 대리국 천개 7년 단기 3544년 불멸기원 1753년 - 1754년 이슬람력 607년 - 608년 유대력 4971년 - 4972년
4. 사건
4. 1. 고려
4. 2. 몽골 제국
4. 3. 동로마 제국
4. 4. 유럽
4. 5. 기타
6월 - 쿠트브 알딘 아이바크의 사위인 샴스 우드딘 일투트미쉬가 델리 술탄국의 통치자가 되어 인도에서 일어난 힌두교 반란을 진압하였다.
5. 탄생
- 1월 20일 - 아녜스 프라하, 보헤미아의 여원장 (d. 1282년)
- 4월 25일 - 프리드리히 2세, 오스트리아 공국과 슈티리아 공국 공작 (d. 1246년)
- 9월 22일 - 이븐 칼리칸, 바르마키드 역사가 (d. 1282년)
- 12월 3일 - 프란체스코 리피, 이탈리아 귀족 (d. 1291년)
- 아잘 샴스 알딘 오마르, 호라즘샤 왕조의 총독 (d. 1279년)
- 카지미에시 1세 쿠야비아 공, 폴란드 귀족이자 기사 (d. 1267년)
- 엘레오노르 포르투갈 공주, 덴마크 왕비 (d. 1231년)
- 하인리히 7세, 독일 왕국의 왕 (''로마 왕'') (d. 1242년)
- 휴 빅고드, 영국 귀족이자 대법관 (d. 1266년)
- 요한 1세, "신학자"로 불리는 독일 귀족 (d. 1264년)
- 무함마드 3세, 니자리 이스마일리 국가의 지배자 (d. 1255년)
- 프리예즈다 1세, 보스니아 귀족 (''반'')이자 기사 (d. 1287년)
- 신뇨, 일본 불교 비구니이자 작가 (d. 1282년)
- 빌리엄 드 빌라르두앵, 아카이아 공국의 공작 (d. 1278년)
- 안다 지나가타,가마쿠라 시대의 고케닌 (+ 1262년)
- 카지미에시 1세,쿠야비 공,시에라츠 공,웽치차 공,도브진 공 (+ 1267년)
- 기욤 2세 드 빌라르두앵,제4대 아카이아 공국 공 (+ 1278년)
- 기라 나가우지,가마쿠라 시대의 고케닌 (+ 1290년)
- 쿠죠 노리자네,가마쿠라 시대의 공경 (+ 1235년)
- 사이이드 아자르,부하라 출신의 몽골 제국 관료 (+ 1279년)
- 쩐 리우,대월쩐 왕조의 왕족,무장 (+ 1251년)
- 하인리히 7세,독일 왕 (+ 1242년)
6. 사망
- 2월 2일 - 아델라이데 메이센 공녀, 보헤미아 왕국 공작비
- 3월 14일 - 피에트로 갈로치아(또는 갈루치), 이탈리아 추기경
- 3월 26일 - 산초 1세("개척왕"), 포르투갈 왕국 국왕 (1154년 출생)
- 5월 16일 - 메슈코 4세 꼬불꼬불한 다리, 폴란드 왕국 공작 (1130년 출생)
- 5월 16일 - 메슈코 1세 옵로니크, 실롱스크 공, 라치보리 공, 오폴레 공, 크라쿠프 공, 폴란드 대공(1130년 출생)
- 6월 9일 - 앙드레 2세 드 비트레, 프랑스 귀족이자 기사 (1150년 출생)
- 6월 17일 - 카이쿠스라우 1세, 룸 술탄국 통치자
- 8월 1일 - 후지와라 스에요시,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1153년 출생)
- 8월 6일 - 히사코 내친왕,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황족(1137년 출생)
- 8월 9일 - 윌리엄 드 브라오스, 브램버 4대 영주, 노르만 귀족
- 8월 18일 - 나라파티시투, 파간 왕국(버마) 통치자 (1150년 출생)
- 10월 14일 - 페르난도 데 카스티야, 스페인 왕자 (1189년 출생)
- 11월 29일 - 팔 요운손, 아이슬란드 주교 (1155년 출생)
- 12월 8일 - 아델라이데 폴란드 공주, 폴란드 공주
- 12월 14일 - 쇼시 공주, 일본 황후 (1195년 출생)
- 아부 무사 알자줄리, 알모하드 문헌학자 (1146년 출생)
- 알렉시오스 3세 앵겔로스, 동로마 제국 앵겔로스 왕조의 제2대 황제(1156년 출생)
- 에우프로시네 두카이나 카마테라, 비잔티움 황후
- 위그 1세, 사르데냐 지배자(아르보레아 판사) (1178년 출생)
- 피터 드 블루아, 프랑스 성직자이자 외교관 (1130년 출생)
- 로버트 오브 손햄, 잉글랜드 센네샬(seneschal)이자 기사
- 로저 드 레이시("컨스터블"), 잉글랜드 귀족 (1170년 출생)
- 샘슨 오브 토팅턴, 잉글랜드 수도승이자 수도원장 (1135년 출생)
- 시즈카 고젠, 일본 궁정 무희 (1165년 출생)
- 스뱌토슬라프 3세 이고레비치, 키예프 공작 (1176년 출생)
- 토마스 모로시니, 콘스탄티노플 라틴 총대주교
- 창파 가야레, 티베트 불교 지도자 (1161년 출생)
- 우라카 포르투갈 공주, 레온 왕국 왕비 (1148년 출생)
- 샹종, 서하의 제7대 황제(1170년 출생)
참조
[1]
서적
George Akropolites: The History – Introduction, Translation and Commentary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George Akropolites: The History – Introduction, Translation and Commentary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Genghis Khan: Life, death and Resurrection
[4]
서적
Industrial operations research
Prentice-Hall
[5]
서적
The History of the Albigensian Crusade: Peter of les Vaux-de-Cernay's Historia Albigensis
[6]
서적
Cassell's Chronology of World Histo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