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군리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군리제는 701년(대보 원년)에 제정된 대보율령에 의해 일본 국내를 국(国), 군(郡), 리(里)의 세 단계 행정 조직으로 편성한 것을 말한다. 지방 행정 조직은 천황의 권력이 미치는 범위에 따라 기내와 칠도로 나뉘고, 그 아래에 66개 국과 섬들이 위치했다. 각 지방에는 국사, 군사, 이장이 배치되었으며, 리는 715년에 향으로 개칭되었다. 국에는 국사, 군에는 군사, 향에는 향장과 리정이 각각 배치되어 지방 행정을 담당했다. 중앙 정부와 지방 행정 조직을 연결하기 위해 간선 도로, 관문, 역 등이 정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폐지된 행정 구역 - 부번현 삼치제
    부번현 삼치제는 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에서 시행된 지방 행정 체제로, 막부 직할지를 부와 현으로 나누고 번을 존속시키다가 1871년 폐번치현으로 종료되었다.
  • 일본의 폐지된 행정 구역 - 판적봉환
    판적봉환은 1868년부터 1871년까지 일본에서 시행된 제도로, 봉건적 막번 체제를 개혁하고 중앙집권화를 강화하기 위해 각 번의 토지와 백성을 천황에게 반환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 오기칠도 - 산요도
    산요도는 킨키 지방과 규슈 지방을 연결하는 역사적인 도로로, 고대 간선도로에서 해상 운송 발달, 몽골 침략 시기 교통로, 에도 시대 숙장 설치, 현대 국도 2호선 계승, 교통 및 경제 중심축 기능까지 시대에 따라 그 역할과 경로가 변화해 왔다.
  • 오기칠도 - 도카이도
    도카이도는 혼슈 태평양 연안 중부 지역을 가리키는 율령제 하의 행정 구역으로, 에도 시대에는 간토와 간사이 지방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였으며, 현재는 국도, 철도, 신칸센 등으로 그 기능을 계승하고 있다.
  • 일본의 율령제 - 다자이후
    다자이후는 고대 일본 규슈의 중앙 정부 기관이자 관할 지역 명칭으로, 한반도 교류 거점, 쓰쿠시다자이로서 규슈 통치 및 외교 담당, 당나라 침략 대비 방어 시설 건설, 율령제 이후 규슈 중심지 기능 유지, 스가와라노 미치자네 좌천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는 역사 유적과 다자이후 덴만구가 위치한 곳이다.
  • 일본의 율령제 - 훈등
    훈등은 일본 메이지 시대에 제정된 훈장 등급 체계로, 훈공에 따라 훈장의 종류를 8단계로 구분한 것이며, 과거 훈위가 소멸된 후 메이지 시대에 도입되어 유지되고 있고 훈등 사칭은 법률로 금지된다.
국군리제
개요
유형법령
국가대한민국
시행일기원전 4세기 ~ 기원후 8세기
정의
내용신라, 고구려, 백제 등의 국가에서 시행된 지방 행정 제도로, 중앙 집권 체제 강화가 목적이었다. 통일신라 시대에 정비되어 고려 시대까지 이어진다.
역사
기원기원전 4세기경 진나라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 전래삼국 시대에 전래되어 각 국가의 상황에 맞게 변형되어 시행되었다.
통일 신라신문왕 5년(685년)에 전국을 9주 5소경으로 나누고, 주 아래에 군과 현을 두는 방식으로 정비되었다.
고려 시대기본적인 틀은 유지되었으나, 행정 구역 명칭과 편제가 일부 변경되었다.
특징
행정 구역주(州): 광역 행정 구역
군(郡): 주 아래의 중간 행정 구역
현(縣): 군 아래의 기초 행정 구역
리(里): 현 아래의 최말단 행정 구역
지방관 파견중앙에서 지방관을 파견하여 지방 통치를 강화했다.
조세 징수지방에서 조세를 징수하여 중앙 정부의 재정을 확보했다.
군사 제도지방의 군사력을 활용하여 국방력을 강화했다.
영향
중앙 집권 강화지방 세력을 약화시키고 중앙 정부의 통제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사회 안정지방의 치안을 유지하고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다.
문화 발전지방 문화를 발전시키고 지역 간 교류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했다.
참고
같이 보기한국의 행정 구역 변천
조선의 8도

2. 율령제의 지방 행정 조직

701년(대보 원년)에 제정된 대보율령에 의해 일본 국내는 국(国)·군(郡)·리(里)의 세 단계 행정 조직으로 편성되었다. 지방 행정 조직이 전국적인 규모로 움직이기 시작한 것은 덴무 천황 시대로 추정된다.

행정 구획은 천황의 권력이 미치는 범위인 기내(畿内)와 칠도(七道)로 나뉘었고, 그 아래에 66개 국과 이키 섬, 쓰시마 섬이 설치되었다. 이러한 행정 구획 외에도 도고쿠·반토무쓰·데와가 있었다. 행정 조직은 모두 태정관 좌우변관국의 공동 관할 하에 있었다.

지방은 국, 군, 리로 편성되었으며, 각각 국사, 군사, 리장이 배치되었다. 715년(레이키 원년)에 리는 향으로 고쳐지고, 향은 2, 3개의 리로 나누었다. 군은 대보령 이전에는 (評)이라고 불렸다. 지방 관청은 관아(官衙)라고 하며, 국부(国府)(국아)·군가(郡家)(군아)라고 불렸다. 지방 행정 기관은 서민을 통제하고, 조세를 징수하는 기구였다.

중앙 정부와 지방 행정 조직을 잇는 간선 도로(폭 약 6~12미터)가 정비되었으며, 관문과 역 등도 정비되었다.

2. 1. 국(国)과 국사(国司)

701년(대보 원년)에 제정된 대보율령에 의해 일본 국내는 국(国)·군(郡)·리(里)의 세 단계 행정 조직으로 편성되었다. 지방은 일반적으로 '''국''', 그 아래에 '''군''', 더 나아가 그 아래에 '''리'''를 설치하는 행정 조직으로 편성되었으며, 각각 국사·군사·리장이 배치되었다. 따라서 국군리제라고 불린다. 리는 715년(레이키 원년)에 '''향'''으로 고쳐지고, 향을 2, 3개의 리로 나누었다. 국은 대구획이며, 군은 중구획이다. 군은 대보령 이전에는 '''(評)'''이라고 불렸다.

국사에는 守|카미일본어(카미), 介|스케일본어(스케), 掾|조일본어(조), 目|사칸일본어(사칸), 史生|시세이일본어(시세이)이 배치되었다. 국사는 중앙에서 천황의 미코토모치(御言持, 칙사)로서 교대로 부임하여 군사를 지휘하며 국내를 지배했다.

이후 현지에서 채용된 서기관으로서 国書生|구니쇼세이일본어(구니쇼세이) 수십 명, 국학이라는 '''지방 대학'''이 설치되어 국박사, 의사가 교편을 잡았고, 학생 수십 명, 의생 수 명이 등교했다.

국에도 대・상・중・하의 4등급이 있으며, 중국에는 개가 없고, 하국에는 연도 배치되지 않는 등, 직원의 차이가 있지만, 등급 구분의 기준은 명확하지 않다.

국은 덴무 10년(681년) 이전에 율령제의 국이 성립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전 아스카 이타부키노미야 유적에서 다수의 목간이 출토되었는데, 그 목간 안에 '신사년'이라는 '덴무 10년'에 해당하는 연기가 적혀 있었다.

각국에는 군단이 설치되었고, 국사가 이를 통솔했다. 군단은 병사 1,00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대기(大毅) 1명, 소기(少毅) 2명이 배치되었다. 그 내부는 50명으로 1개 대(기병대, 보병대)로 구성되었으며, 대정(隊正)(50장)이 대를, 여수(旅帥)(100장)이 2개 대(100명)를, 교위(校尉)(200장)가 4개 대를 각각 통솔했다. 그 외에 사무직원인 주장(主張)이 1명 배치되었다. 실제로는 1,000명에 미치지 못하는 군단도 있었다. 600명 이상인 경우에는 대·소기 각 1명, 500명 이하인 경우에는 그냥 기(毅) 1명이 배치되었다.

2. 2. 군(郡)과 군사(郡司)

701년(대보 원년)에 제정된 대보율령에 의해 일본 국내는 국(国)·군(郡)·리(里)의 세 단계 행정 조직으로 편성되었다. 지방 행정 조직은 일반적으로 '''국''', 그 아래에 '''군''', 더 나아가 그 아래에 '''리'''를 설치하였으며, 각각 국사·군사·리장이 배치되었다. 따라서 국군리제라고 불린다. 군은 대보령(701년; 대보 원년) 이전에는 '''(評)'''이라고 불렸다. 지방 관청은 '''관아(官衙)'''라고 하며, 국과 군에 설치되어 국부(国府)(국아)·군가(郡家)(군아)라고 불렸다.

군사에는 다이료(大領, 대령)・쇼료(少領, 소령)・슈세이(主政, 주정)・슈초(主帳, 주장)가 배치되었다. 다이료와 쇼료를 합쳐 군령이라고 불렀다. 군령에는 과거의 국조 일족 등 재지 수장이 임명되었다. 종신의 직책이었다.

군은 20리(里)를 1개 단위로 하여, 1개 단위는 1,000호(戶)를 상한으로 하였으며, 그 령(領, 영) 내에 포함되는 리(里)의 수에 따라 5등급으로 구분된다.

등급리(里)의 수
대군(大郡)16~20리
상군(上郡)12~15리
중군(中郡)8~11리
하군(下郡)4~7리
소군(小郡)2~3리



하군에는 주정이 배치되지 않고, 소군에서는 다이료・쇼료를 구분하지 않고 오직 령 1명만을 두었다.

군은 6세기 중엽 무렵의 긴메이 천황 시대에 둔창(屯倉)의 설치가 확대되면서 야마토 정권의 지방 정치 조직이 되었다. 사(史)의 지배가 미치는 토지와 인간의 총체를 가리켜 "코오리(コオリ)"라고 불렀다고 한다. 코오리의 칭호는 율령제 하의 군(郡)의 와훈(和訓)으로 여겨지며, 현대까지 계승되고 있다. 군의 제도는 701년(다이호 1년) 시행된 대보율령에서 시작되었지만, 그 이전의 지방 행정 조직은 "'''평'''"이라고 쓰였으며, "코오리"라고 불렸다.

2. 3. 향리(郷里)·향장(郷長)·이장(里長)

715년(레이키 원년)에 리(里)는 향(郷)으로 고쳐졌고, 향은 2~3개의 리로 나뉘었다. 향의 통솔자는 향장(郷長)이었고, 리에는 리정(里正)이 설치되었다. 740년(덴표 12년)경을 경계로 리는 폐지되고 향제로 이행했다.

3. 중앙 정부와 지방 행정 조직의 연결

701년(대보 원년) 대보율령 제정으로 일본은 국(国)·군(郡)·리(里)의 3단계 행정 조직으로 편성되었다. 지방은 일반적으로 '''국''', 그 아래에 '''군''', '''리'''를 설치하고 각각 국사·군사·리장을 배치하여 국군리제라고 불렀다. 715년(레이키 원년) '''리'''는 '''향'''으로 고쳐지고, 향을 2~3개 리로 나누었다. 국은 대구획, 군은 중구획이며, 군은 대보령 이전에는 '''(評)'''이라고 불렸다. 중앙 정부와 지방 행정 조직을 연결하는 간선 도로(폭 약 6m~12m)와 '''관문''', '''역''' 등이 정비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