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키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키국은 일본의 옛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이키섬에 해당한다. 3세기 중국 역사서인 《삼국지》 위지왜인전에 '일대국'으로 처음 등장하며, 이후 《위략》, 《양서》, 《수서》 등에도 기록되었다. 7세기 율령제 개혁에 따라 이키국으로 편성되었으며, 조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흔적이 발견될 정도로 역사가 깊다. 13세기 몽골의 일본 원정 당시 쓰시마섬과 함께 공격받아 주민들이 학살되었고, 고려 말과 조선 초 왜구의 근거지로 지목되기도 했다. 메이지 시대 초 히라도번의 영지였으나, 1871년 폐번치현으로 나가사키현에 편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키국 - 원나라의 일본 원정
    원나라의 일본 원정은 13세기 후반 쿠빌라이 칸이 일본을 정복하려 두 차례 시도한 원정으로, 몽골, 고려, 중국 군대가 참여했으나 두 번 모두 태풍으로 인해 실패하고 일본 가마쿠라 막부의 쇠퇴를 가속화했다.
  • 이키국 - 도이의 입구
    도이의 입구는 1019년 여진족 해적 '도이'가 고려 방면에서 출발하여 일본의 쓰시마, 이키 섬을 공격하고 규슈 지역을 약탈한 사건으로, 일본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으며 만주족에 대한 경계심을 심어주는 계기가 되었다.
  • 사이카이도 - 사쓰마국
    사쓰마국은 현재의 가고시마현에 해당하는 과거 일본의 행정 구역으로, 702년 설치되어 시마즈 가문의 지배를 받았으며 폐번치현으로 폐지되어 가고시마현이 되었다.
  • 사이카이도 - 히고국
    히고국은 7세기 중엽 히노쿠니에서 분할되어 성립된 일본의 옛 구니로, 현재의 구마모토현 대부분과 미야자키현 일부를 포함하며, 센고쿠 시대 일본 기독교의 중심지였고, 미야모토 무사시가 『오륜서』를 완성한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키국
지도 정보
1868년 일본의 주 지도, 이키국 강조 표시
1868년 일본의 주 지도 (이키국 강조 표시)
기본 정보
공식 명칭이키국 (壱岐国)
다른 이름잇슈 (壱州)
국가일본
위치이키섬, 나가사키현 이키시
소속사이카이도
국력하국 (下国)
거리원국 (遠国)
역사
성립 시기7세기
폐지 시기1871년
주요 사건7세기: 이키국 설치
1871년: 폐지
행정 구역
수도이시다 군 (石田郡) (추정)
2군 11향
문화
국분사나가사키현 이키시 (이키국분사 터)
국분니사(미상)
이치노미야아마노테나가오 신사(나가사키현 이키시)
고 신사(나가사키현 이키시)

2. 연혁

사료상으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중국의 역사서인 《삼국지》 위지 왜인전에 '일대국'(一大國)으로 등장하는 것이다. 《위략》 일문이나 《양서》, 《수서》에는 '일지국'(一支國)으로 기록되어 있다.

한자 표기는 고대에 壱岐 외에도 伊伎, 伊吉, 伊岐, 由紀, 由吉 등이었고, '이키'(いき) 또는 '유키'(ゆき)로 읽었다. 7세기에 율령제에 따른 이키국이 설치되면서, 대체로 壱岐로 쓰고 '이키'로 읽는 방식이 정착되었다. 이키국은 쓰시마와 마찬가지로 '섬'이라는 행정단위로써 '''이키섬'''으로도 불렸으며, 그 고쿠시(国司)는 도사(島司)로도 불렸다.

일본 열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조몬 시대, 야요이 시대, 고훈 시대의 유물이 다수 발견되어 지속적인 인간의 거주와 활동을 보여준다. 특히 原の辻遺跡일본어은 야요이 시대의 대표적인 유적 중 하나로, 일본 열도와 아시아 본토 간의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2. 1. 여원 연합군의 일본 원정과 왜구

13세기 두 차례에 걸친 여원 연합군의 일본 원정 당시 쓰시마 다음으로 공격 목표가 되었고, 섬을 함락시킨 몽골군에 의해 섬 주민 대부분이 학살당했다. 고려 말기에서 조선 초기에 한반도 해안에 출몰했던 왜구의 근거지로 지목된 삼도(三島)의 하나로 꼽히며, 나머지 두 곳은 쓰시마히젠국 마쓰우라였다.

2. 2. 근세 이후

13세기 두 차례에 걸친 여원 연합군의 일본 원정 당시 쓰시마 다음으로 공격 목표가 되었고, 섬을 함락시킨 몽골군에 의해 섬 주민 대부분이 학살당했다.[1] 한국측 기록에는 고려 말기에서 조선 초기에 한반도 해안에 출몰했던 왜구의 근거지로 지목된 삼도(三島)의 하나로 꼽힌다.[1] 나머지 두 곳은 쓰시마히젠국 마쓰우라였다.[1]

메이지 초기 《구고국령취조장》이 작성되던 시점까지 이키 전역은 히젠 히라도번의 영지였다.[1] 1871년 7월 14일(양력 8월 29일) 폐번치현으로 히라도 현의 관할에 놓였다가[1] 11월 14일(양력 12월 25일) 제1차 부현 통합으로 나가사키현에 편입되었다.[1]

3. 지역

이키국은 나가사키현에 속해 있었다. 1896년 4월 1일 이시다군이 이키군에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메이지 초기에는 전 지역이 히젠 히라도번령이었다. 1871년 폐번치현에 의해 히라도현 관할이 되었다가, 이후 제1차 부현 통합에 의해 나가사키현 관할이 되었다.[1]

구역석수
이키군11개 촌·18981석
이시다군11개 촌·16061석

[1]

3. 1. 군


  • 이키 군( 壱岐郡|이키 군일본어) - 가스 향(可須郷)[2], 가제하야 향(風早郷), 쵸안 향(潮安郷), 나카 향(那賀郷), 이사후시 향(鯨伏郷), 이타케 향(伊宅郷), 다가와 향(田河郷)
  • 石田郡|이시다 군일본어 - 이시다 향(石田郷), 누마쓰 향(沼津郷), 모노노베 향(物部郷), 노하라 향(篦原郷)
  • 1896년 4월 1일 이시다군이 이키군에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3. 2. 에도 시대의 번

메이지 초기에는 전 지역이 히젠 히라도번령이었다. (22개 촌·35042석)[1]

구역석수
이키군11개 촌·18981석
이시다군11개 촌·16061석

[1]

메이지 4년[1] 7월 14일 (1871년8월 29일) 폐번치현에 의해 히라도현 관할이 되었다.[1] 이후 11월 14일 (1871년 12월 25일) 제1차 부현 통합에 의해 나가사키현 관할이 되었다.[1]

4. 역사 시설

이키 섬은 일본 열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조몬 시대, 야요이 시대, 고훈 시대의 유물이 다수 발견되어 지속적인 인간의 거주와 활동을 보여준다. 중국의 3세기경 역사서인 삼국지의 일부인 《위지왜인전》에는 한반도 동쪽의 열도에 위치한 "이키국"(一支国)에 대한 언급이 있다. 고고학자들은 이를 일본에서 발견된 가장 큰 야요이 시대의 정착지 중 하나인 原の辻遺跡|하라노쓰지 유적일본어으로 잠정적으로 확인했으며, 여기서 발견된 유물은 일본 열도와 아시아 본토 간의 긴밀한 교류를 시사한다. 또한 《위략》, 《양서》, 《수서》에도 언급되어 있다.

이 섬들은 7세기 후반의 ''율령제'' 개혁에 따라 이키국으로 편성되었으며, "이키노쿠니"라는 이름은 나라의 황도에서 발견된 나무 표지에서도 나타난다.

1871년 7월 폐번치현 이후, 이키국은 1871년부터 "히라도현"의 일부가 되었고, 이후 나가사키현의 일부가 되었다.

4. 1. 국부(国府)

국청(國廳)의 정확한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전통적으로는 구 이시다 지역의 아시베에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곳에서는 이키국의 고쿠분지 유적이 발견되었다. 두 개의 신사가 이키국의 이치노미야 칭호를 놓고 경쟁하고 있는데, 하나는 구 고노우라에 있는 Amenotanagao-Jinja|天手長男神社|아메노타나가오 신사일본어이며, 다른 하나는 아시베에 있는 Ko-Jinja|興神社|고 신사일본어이다.

국부는 이시타군에 있었다. 이키시 아시베초 유노타케 오코레후레 부근의 오코 신사가 아니냐는 추측이 있지만, 그 외에도 장소에 대한 여러 설이 있으며 유적도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4. 2. 국분사(国分寺) 및 국분니사(国分尼寺)

国分寺일본어 및 国分尼寺일본어의 유적은 구 이시다 지역의 아시베에서 발견되었다.[1]

; 이키 国分寺일본어

: 나가사키현 이키시 아시베정 나카노고 니시후레.[1]

4. 3. 신사(神社)

연희식 신명장』에는 대사(大社) 7좌 7사, 소사(小社) 17좌 17사, 총 24좌 24사가 기재되어 있다 ("이키국의 식내사 일람" 참조). 대사 7사는 아래와 같으며, 해신사를 제외하고 명신대사이다.

신사명비고
이키군스미요시 신사 (이키시 아시베초)
이키군효즈 신사하치만 신사(이키시 카츠모토초) 외에 논사 1사.
이키군츠쿠요미 신사하치만 신사(이키시 아시베초) 외에 논사 1사.
이키군나카츠 신사세이보구(이키시 카츠모토초) 외에 논사 1사.
이시다군아마테나가오 신사코 신사(이키시 아시베초) 외에 논사 1사.
이시다군아마테나가히메 신사현재는 아마테나가오 신사에 합사.
이시다군해신사명신대사가 아니다.


  • 소샤: 소샤 신사 - 코 신사 섭사.
  • 이치노미야: '''아마테나가오 신사''' 또는 '''코 신사'''
  • 니노미야: 세이보구


이치노미야는 아마테나가오 신사이다. 그러나 고노우라정에 있는 현재 "아마테나가오 신사"가 이키국 이치노미야이자 식내사인 아마테나가오 신사인지는 명확한 증거가 없다. 식내사 아마테나가오 신사를 현재 위치로 비정한 것은 국학자 타치바나 미츠요시이다. 미츠요시는 "타나가오"라는 사명(社名)을 근거로 고노우라정 타나카에 아마테나가오 신사가 있었다고 생각했고, 실제로 타나카에서 황폐한 제사장의 흔적을 발견하여 이곳을 식내사 아마테나가오 신사로 비정했다. 미츠요시의 보고에 따라 히라도 번 주의 명령으로 사전 등이 정비되었다. 최근 연구에서는 이키시 아시베초의 코 신사가 본래의 식내사이자 이치노미야인 아마테나가오 신사였다는 설이 유력하다.[1]

4. 4. 안국사(安国寺) 및 이생탑(利生塔)

안국사는 나가사키현 이키시 아시베마치 후카에 사카에후레에 있다.

5. 인물

7세기에 율령제 국가로서 이키국이 설치되면서 이키국은 "섬"이라는 행정 단위로 '''이키 섬'''이라고도 불리며, 그 국사는 시마노 츠카사(島司)라고도 불렸다.

역사 기록에 나타난 이키국 국사(지방관)는 다음과 같다.

순서이름재임 기간비고
1이타모치노 야스마로덴표 2년 정월 (730년 1월)
2타베노 오키마로진고케이운 3년 6월 (769년 7월)
3마나코노 왕코닌 6년 9월 (815년 10월)곤노카미
4히로네노 왕쇼와 9년 7월 (842년 8월)곤노카미
5가모노 아소미겐큐 3년 11월 (879년 12월)
6스가와라노 기요아키덴교 2년 11월 (939년 12월)
7(성씨 불명) 뇨마츠덴랴쿠 4년 윤5월 (950년 6월)
8후지와라노 요리타다칸닌 3년 4월 (1019년 5월)
9후지와라노 요시사다오토쿠 2년 (1085년)
10(성씨 불명) 사다키요가호 2년 (1095년)
11오에노 사다타다텐에이 연간
12온베노 아키카네다이지 원년 2월 (1126년 2월)
13후지와라노 요리나리고지 2년 정월 (1143년 1월)
14후지와라노 기미토시큐안 5년 3월 (1149년 4월)
15후지와라노 구니쓰나큐주 연간
16(성씨 불명) 사다토모헤이지 원년 12월 (1160년 1월)
17후지와라노 요리쓰네에이만 2년 2월 (1166년 2월)
18(성씨 불명) 모리나리지쇼 2년 11월 (1178년 12월)
19미나모토노 토시미츠지쇼 4년 정월 (1180년 1월) - 동년 2월 (1180년 2월) 파면
20타이라노 치치카쥬에이 2년 11월 (1183년 12월)
21타이라노 치카아키쇼지 원년 9월 (1199년 9월)
22(성씨 불명) 노부히사켄랴쿠 2년 정월 (1212년 1월)
23미나모토노 야스자네겐포 원년 정월 (1213년 1월)
24가사이 기요시게조큐 원년 정월 (1219년 1월)
25미요시노 타메시게조큐 2년 4월 (1220년 5월)
26(성씨 불명) 기미나오조큐 4년 4월 (1222년 5월)
27후지와라노 스케야스안테이 원년 12월 (1228년 1월)
28다카시나노 토키무네안테이 2년 정월 (1228년 2월)
29키요하라노 노리요시칸키 원년 12월 (1229년 12월)
30후지와라노 나리노리칸키 2년 정월 (1230년 1월) - 동 3년 2월 (1231년 3월) 파면
31나카하라노 유키카네칸키 3년 2월 (1231년 3월)
32나카하라노 모로타네텐푸쿠 원년 정월 (1233년 2월)
33고레무네노 아사나오카테이 원년 11월 (1235년 12월)
34미우라노 미츠무라카테이 3년 정월 (1237년 1월)
35사사키 야스쓰나카테이 3년 12월 (1237년 12월) - 랴쿠닌 원년 8월 (1238년 9월) 파면
36나카하라노 모로요니지 원년 정월 (1240년 1월)
37미나모토노 카네요리겐겐 3년 정월 (1245년 1월)
38후지와라노 카네토모호지 2년 정월 (1248년 1월) - 켄초 2년 정월 (1250년 2월) 파면
39후지와라노 모토마사켄초 3년 정월 (1251년 1월)
40미요시노 린케이코안 6년 12월 (1283년 12월)
41타치바나노 구니노리코안 7년 11월 (1284년 12월)
42후지와라노 스케카네쇼오 원년 3월 (1288년 4월)
43후지와라노 토오나리쇼오 원년 4월 (1288년 5월)
44미나모토노 타다무네쇼오 원년 9월 (1288년 9월)
45타이라노 키요히데조와 4년 12월 (1348년 12월)
46오우치나 카케엔분 3년 12월 (1358년 12월)
47후지와라노 키요토쿠쇼헤이 14년 7월 (1359년 7월)
48(성씨 불명) 노부아키메이토쿠 원년 8월 (1390년 9월)



가마쿠라 막부 시기에는 1244년부터 지바 다네쓰구(지바 씨인지는 불확실)[3], 1273년부터는 무토 스케요시가 슈고를 역임했다.[3] 1274년에는 다이라노 가게타카가 슈고다이(守護代)를 역임했다.

무로마치 막부 시기 이키국의 슈고는 다음과 같다.



【위 기간 사이에는 슈고직이 존재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1]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이키국의 슈고(혹은 슈고다이)들은 다음과 같다.[1]

이키노카미(壱岐守)는 무가의 관위로서 사용되기도 했다.

5. 1. 국사(国司)

7세기에 율령제 국가로서 이키국이 설치되면서 이키국은 "섬"이라는 행정 단위로 '''이키 섬'''이라고도 불리며, 그 국사는 시마노 츠카사(島司)라고도 불렸다.

역사 기록에 나타난 이키국 국사(国司)는 다음과 같다.

순서이름재임 기간비고
1이타모치노 야스마로덴표 2년 정월 (730년 1월)
2타베노 오키마로진고케이운 3년 6월 (769년 7월)
3마나코노 왕코닌 6년 9월 (815년 10월)곤노카미
4히로네노 왕쇼와 9년 7월 (842년 8월)곤노카미
5가모노 아소미겐큐 3년 11월 (879년 12월)
6스가와라노 기요아키덴교 2년 11월 (939년 12월)
7(성씨 불명) 뇨마츠덴랴쿠 4년 윤5월 (950년 6월)
8후지와라노 요리타다칸닌 3년 4월 (1019년 5월)
9후지와라노 요시사다오토쿠 2년 (1085년)
10(성씨 불명) 사다키요가호 2년 (1095년)
11오에노 사다타다텐에이 연간
12온베노 아키카네다이지 원년 2월 (1126년 2월)
13후지와라노 요리나리고지 2년 정월 (1143년 1월)
14후지와라노 기미토시큐안 5년 3월 (1149년 4월)
15후지와라노 구니쓰나큐주 연간
16(성씨 불명) 사다토모헤이지 원년 12월 (1160년 1월)
17후지와라노 요리쓰네에이만 2년 2월 (1166년 2월)
18(성씨 불명) 모리나리지쇼 2년 11월 (1178년 12월)
19미나모토노 토시미츠지쇼 4년 정월 (1180년 1월) - 동년 2월 (1180년 2월) 파면
20타이라노 치치카쥬에이 2년 11월 (1183년 12월)
21타이라노 치카아키쇼지 원년 9월 (1199년 9월)
22(성씨 불명) 노부히사켄랴쿠 2년 정월 (1212년 1월)
23미나모토노 야스자네겐포 원년 정월 (1213년 1월)
24가사이 기요시게조큐 원년 정월 (1219년 1월)
25미요시노 타메시게조큐 2년 4월 (1220년 5월)
26(성씨 불명) 기미나오조큐 4년 4월 (1222년 5월)
27후지와라노 스케야스안테이 원년 12월 (1228년 1월)
28다카시나노 토키무네안테이 2년 정월 (1228년 2월)
29키요하라노 노리요시칸키 원년 12월 (1229년 12월)
30후지와라노 나리노리칸키 2년 정월 (1230년 1월) - 동 3년 2월 (1231년 3월) 파면
31나카하라노 유키카네칸키 3년 2월 (1231년 3월)
32나카하라노 모로타네텐푸쿠 원년 정월 (1233년 2월)
33고레무네노 아사나오카테이 원년 11월 (1235년 12월)
34미우라노 미츠무라카테이 3년 정월 (1237년 1월)
35사사키 야스쓰나카테이 3년 12월 (1237년 12월) - 랴쿠닌 원년 8월 (1238년 9월) 파면
36나카하라노 모로요니지 원년 정월 (1240년 1월)
37미나모토노 카네요리겐겐 3년 정월 (1245년 1월)
38후지와라노 카네토모호지 2년 정월 (1248년 1월) - 켄초 2년 정월 (1250년 2월) 파면
39후지와라노 모토마사켄초 3년 정월 (1251년 1월)
40미요시노 린케이코안 6년 12월 (1283년 12월)
41타치바나노 구니노리코안 7년 11월 (1284년 12월)
42후지와라노 스케카네쇼오 원년 3월 (1288년 4월)
43후지와라노 토오나리쇼오 원년 4월 (1288년 5월)
44미나모토노 타다무네쇼오 원년 9월 (1288년 9월)
45타이라노 키요히데조와 4년 12월 (1348년 12월)
46오우치나 카케엔분 3년 12월 (1358년 12월)
47후지와라노 키요토쿠쇼헤이 14년 7월 (1359년 7월)
48(성씨 불명) 노부아키메이토쿠 원년 8월 (1390년 9월)


5. 2. 슈고(守護)

가마쿠라 막부 시기에는 1244년부터 지바 다네쓰구(지바 씨인지는 불확실)[3], 1273년부터는 무토 스케요시가 슈고를 역임했다.[3] 1274년에는 다이라노 가게타카가 슈고다이(守護代)를 역임했다.

무로마치 막부 시기 이키국의 슈고는 다음과 같다.

【위 기간 사이에는 슈고직이 존재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1]

한편,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이키국의 슈고(혹은 슈고다이)들은 다음과 같다.[1]

5. 2. 1. 가마쿠라 막부

1244년 ~ ? - 지바 다네쓰구(지바씨인지는 불확실)[3]

1273년 ~ ? - 무토 스케요시

1274년 - 슈고다이(守護代) 다이라노 가게타카

5. 2. 2. 무로마치 막부

무로마치 막부 시기 이키국의 슈고는 다음과 같다.

【위 기간 사이에는 슈고직이 존재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1]

한편, 다음은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이키국의 슈고(혹은 슈고다이)들이다.[1]

5. 3. 무가 관위로서의 이키노카미(壱岐守)

이키노카미(壱岐守)는 무가의 관위로서 사용되기도 했다.

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p. 379 https://books.google[...] 2005
[2] 서적 해동제국기
[3] 문서 성이 지바 씨(千葉氏)가 맞는지조차 불확실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