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제회계기준위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는 전 세계 금융 시장의 투명성, 책임성,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국제재무보고기준(IFRS)을 개발하는 기관이다. 1973년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C)로 설립되어 국제회계기준(IAS)을 발표했으며, 2001년 조직 개편을 통해 IASB로 명칭을 변경했다. IASB는 IFRS 재단 산하 기구로, 회계 기준 설정, IFRS 표준 및 관련 기술 활동을 담당하며, IFRS 재단 관리위원회의 감독을 받는다. 2021년에는 지속가능성 관련 기준을 담당하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설립되면서, IFRS는 IASB가 발행한 회계 기준과 ISSB가 발행한 지속가능성 관련 기준의 조합을 의미하게 되었다. 한국은 2009년부터 K-IFRS를 도입하여 국제회계기준을 채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회계 - 감가상각
    감가상각은 시간 경과, 사용, 노후화에 따른 자산 가치 감소를 회계적으로 인식하는 방법으로, 취득 원가를 내용연수에 걸쳐 배분하여 수익과 비용을 일치시키고 재무 상태 파악에 기여하며, 유형자산에 적용되지만 토지 등은 제외되고, 정액법, 정률법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며, 세법상 한도가 제한되고 국가별로 상이한 제도를 운영한다.
  • 회계 - 배당
    배당은 기업이 이익을 주주에게 분배하는 것으로,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최초로 정기적인 배당을 지급한 사례로 알려져 있으며, 신뢰도 향상 및 자본 조달에 기여하고, 현금, 주식, 현물 등 다양한 형태로 지급되며, 배당 수익률, 배당 성향 등으로 평가된다.
  • 1973년 설립 - 김앤장 법률사무소
    김앤장 법률사무소는 1973년 김영무 변호사가 설립하여 미국 로펌 시스템을 도입, 한국 법률 서비스의 국제화를 이끌었으며, 다양한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규제, 경영, 분쟁 해결 등 여러 분야에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한민국 법률사무소이다.
  • 1973년 설립 - 마약단속국
    미국 마약단속국(DEA)은 마약 밀매와 불법 약물 사용 방지를 위해 통제물질법을 집행하는 연방 기관으로, 등록 시스템 운영, 국제적 활동 전개, 그리고 여러 비판과 논란에 직면해 있다.
  • 국제 기구 - 아시아 협력 대화
    아시아 협력 대화는 2002년 아시아 국가 간 상호 의존성 증진 및 협력 강화를 목표로 태국 총리의 제안으로 설립된 정부 간 협의체로, 아시아 공동체 형성을 지향하며 35개 회원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 국제 기구 - 국제기구
    국제기구는 국가들이 공동의 목표를 위해 설립한 연합으로, 정부간기구(IGO)와 국제비정부기구(INGO)로 나뉘며, 경제적 이익, 정치적 영향력 확대, 안보 강화 등을 위해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국제회계기준위원회
국제회계기준위원회
개요
종류국제 조직
설립2001년
본부영국런던
약칭IASB
모체국제회계기준재단
웹사이트국제회계기준위원회 공식 웹사이트
세부 사항
이전 명칭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Committee
목적전 세계적으로 고품질의, 이해 가능하고, 집행 가능한 국제회계기준(IFRS)을 개발하여 일반 목적 재무제표의 투명성, 책임성 및 효율성을 높이는 것.
전 세계적으로 이러한 기준의 사용을 촉진하는 것.
자본 시장에서 정보에 근거한 의사 결정을 내리기 위해 재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공익을 위해 봉사하는 것.
조직 구조
이사회 구성의장 1명
부의장 1명
이사 12명
임명국제회계기준재단에 의해 임명됨
감독국제회계기준재단
자문 기구IFRS 해석위원회
IFRS 자문위원회

2. 역사적 배경

IFRS 표준은 IFRS 재단(IFRS Foundation)의 독립적인 표준 제정 기관인 IASB(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Board)에서 개발했다.[17] IASB는 2001년 이전까지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C)에서 발표한 국제회계기준(IAS)을 발표했다. 이후 조직 개편으로 기준 제정 기구의 이름을 IASC에서 IASB로 변경하고, 이를 감독할 재단을 설립했는데, 초기에는 IASC 재단으로 알려졌다가 2010년 중반에 IFRS 재단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2021년, IFRS 재단은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를 IASB의 자매 기준 제정 기구로 설립했다.

2. 1.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C) 설립과 IAS 발표 (1973년)

1973년에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C)가 설립되어 국제회계기준(IAS)을 발표했다.[1]

2. 2. IASC에서 IASB로 개편 (2001년)

2001년 3월 1일,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C)의 후임 기구인 IASB(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Board, 국제회계기준위원회)가 회계 기준 설정 책임을 맡게 되었다.[17] 이는 IASC의 미래 രൂപแบบ에 대한 권고 사항 보고서에 따른 구조 조정의 결과였다.

2001년 조직 개편으로 기준 제정 기구의 명칭이 IASC에서 IASB로 변경되었고, IASB를 감독할 재단이 설립되었다. 이 재단은 초기에는 IASC 재단으로 불렸다가 2010년에 IFRS 재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또한, 새로 발표되는 기준은 IAS 대신 IFRS로 표기하기로 결정했다. IASC/IASB 기준 전체(2001년까지 발행된 IAS와 그 이후 발행된 IFRS 포함)는 IFRS로 통칭된다.

IASB는 IFRS 재단이 채택한 3계층 구조의 일부로서, IFRS 표준 및 관련 기술 활동을 설정한다. IASB는 조직의 거버넌스, IASB 회원 임명 및 자금 지원을 담당하는 IFRS 재단 관리위원회의 감독을 받는다. IFRS 재단은 자본 시장 당국의 모니터링위원회에 공개적이고 공식적으로 책임을 진다.[18][19][20]

2. 3.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설립 (2021년)

2021년, IFRS 재단은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를 IASB의 자매 기준 제정 기구로 설립했다.[1] 이에 따라 IFRS는 IASB가 발행한 회계 기준과 ISSB가 발행한 지속가능성 관련 기준(IFRS-S, 마지막 "S"는 지속가능성을 의미)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1] 2001년 이전에 발행된 IAS는 그대로 IAS로 표기하고, 그 이후에 발행된 IFRS와 IFRS-S는 모두 IFRS로 통칭한다.[1]

3. IASB의 구조 및 구성

IFRS 재단의 독립적인 표준 제정 기관인 IASB(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Board)는 IFRS 표준을 개발했다.[17] IASB는 IFRS 재단이 채택한 3계층 구조의 일부이며, IFRS 표준 및 관련 기술 활동을 설정한다. IASB는 IFRS 재단 관리위원회가 감독하며, 이 위원회는 조직의 거버넌스, IASB 회원 임명 및 자금 지원을 담당한다. IFRS 재단은 자본 시장 당국의 모니터링위원회에 공개적이고 공식적으로 책임을 진다.[18][19][20]

IASB는 원래 14명의 전임 이사로 구성되었으며 각 이사는 한 표의 의결권을 가졌다. 2009년 1월, 재단 이사회는 IASB를 16명으로 확대하고 지리적 구성을 더 고려했다. 2015년 구조 및 효율성 검토 후, 2016년에 위원 수를 다시 14명으로 조정했다.

IFRS 해석 위원회는 IASB의 해석 기구로, 실무에서 발생하는 적용 문제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며 15명의 위원으로 구성된다.[2]

3. 1. IASB의 역할 및 권한

IFRS 재단의 독립적인 표준 제정 기관인 IASB(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Board)는 IFRS 표준(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IFRS Standards)을 개발했다.[17] IASB는 IFRS 표준 및 관련 기술 활동을 설정한다. IASB는 조직의 거버넌스, IASB 회원 임명 및 자금 지원을 담당하는 IFRS 재단 관리위원회가 감독하며, IFRS 재단은 자본 시장 당국의 모니터링위원회에 공개적이고 공식적으로 책임을 진다.[18][19][20]

IASB는 2001년 3월 1일 전임기구인 IASC(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Committee)로부터 회계 기준 설정 책임을 위임받았다.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는 원래 전임 이사 14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이사는 한 표의 의결권을 행사했다. 이들은 표준 제정, 회계 작성 및 활용, 시장/금융 규제, 학술 연구 등 다양한 경험을 가진 전문가 그룹으로 선발되며, 다양한 지역적 배경을 고려한다.[1] 2009년 1월, IASB는 16명으로 확대되었으며, IASB의 지리적 구성에 더 많은 고려를 기울였다. 2015년 이사회의 구조 및 효율성 검토 이후, 2016년에 다시 위원 수를 14명으로 설정했다.

표준, 공개 초안 또는 최종 "IFRIC" 해석의 공표에 만장일치의 투표는 필요하지 않다. 위원회의 2016년 헌법은 공개 초안 또는 IFRS 표준(IAS 표준 또는 해석 위원회의 IFRIC 해석 포함)의 공표는 위원 수가 13명 이하인 경우 위원 8명의 승인을, 위원 수가 14명인 경우 9명의 승인을 필요로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토론 용지 발행을 포함한 위원회의 다른 결정은 위원회 회의에 참석한 위원 과반수의 찬성을 필요로 하며, 이 회의는 위원회 위원의 60% 이상이 직접 또는 원격 통신을 통해 참석해야 한다.[3]

IFRS 해석 위원회는 15명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이는 IASB의 해석 기구이며, 실무에서 발생하는 적용 문제에 대한 적시의 지침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2]

3. 2. 위원 구성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는 표준 제정, 회계 작성 및 활용, 시장/금융 규제, 학술 연구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14명으로 구성되며, 지리적 다양성을 고려하여 선발된다.[1] 2009년 1월 회의에서 재단 이사회는 IASB를 16명으로 확대하고 지리적 구성을 더 고려했으나, 2015년 이사회의 구조 및 효율성 검토 이후 2016년에 다시 위원 수를 14명으로 설정했다.

IFRS 해석 위원회는 IASB의 해석 기구로, 실무에서 발생하는 IFRS 적용 문제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며 15명의 위원으로 구성된다.[2]

표준, 공개 초안 또는 최종 "IFRIC" 해석의 공표에는 만장일치가 필요하지 않다. 위원회 2016년 헌법에 따르면, 공개 초안 또는 IFRS 표준(IAS 표준 또는 해석 위원회의 IFRIC 해석 포함) 공표는 위원 수가 13명 이하인 경우 8명, 14명인 경우 9명의 승인이 필요하다. 토론 용지 발행을 포함한 다른 결정은 위원회 회의에 참석한 위원 과반수의 찬성을 필요로 하며, 회의는 위원의 60% 이상이 직접 또는 원격 통신으로 참석해야 한다.[3]

2021년 3월 현재 위원회 위원은 다음과 같다:[4]

  • 안드레아스 바르코우(의장), 독일
  • 수 롤드 (부의장)
  • 닉 앤더슨, 영국, 자누스 헨더슨 투자자
  • 타데우 센돈, 브라질
  • 잭 가스트, 미국
  • 루젠차오, 중국
  • 브루스 맥켄지, 남아프리카 공화국
  • 베르트랑 페린, 프랑스
  • 톰 스콧, 캐나다
  • 스즈키 리카, 일본
  • 앤 타르카, 호주
  • 메리 토카, 미국


전 IASB 위원으로는 제임스 J. 라이젠링, 로버트 P. 가넷 (전 앵글로 아메리칸 PLC)[5], 메리 바스,[6] 데이비드 트위디, 질베르 젤라르,[7] 워렌 맥그리거,[8], 타츠미 야마다 (전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KPMG)가 있다.[9]

3. 3. 의사 결정 과정

표준, 공개 초안 또는 최종 "IFRIC" 해석의 공표에는 만장일치가 필요하지 않다.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의 2016년 헌법에 따르면, 위원 수가 13명 이하인 경우 위원 8명의 승인을, 위원 수가 14명인 경우 9명의 승인을 필요로 한다.[3] 위원회의 다른 결정은 위원회 회의에 참석한 위원 과반수의 찬성을 필요로 하며, 회의는 위원의 60% 이상이 직접 또는 원격 통신을 통해 참석해야 한다.[3]

3. 4. 역대 IASB 의장

이름재임 기간비고
데이비드 트위디2001년 4월 ~ 2011년 6월영국 공인 회계사[10]
한스 후거보르스트2011년 7월 ~ 2021년 6월[10]
안드레아스 바르코우2021년 7월 ~ 현재[10]


4. IASB의 운영 및 자금 조달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의 운영 자금은 IFRS 재단에서 마련한다.[12] 자금 대부분은 자체적인 재정 지원 체제를 구축한 관할 구역의 자발적인 기여금으로 충당되며, 이는 각 관할 구역의 국내총생산의 일정 비율로 책정된다. 대형 회계 법인에서도 일부 기여금이 나온다. 2019년 IFRS 재단의 수입은 3100만파운드였으며, 이 중 2000만파운드는 기여금, 1100만파운드는 출판 및 관련 활동으로 자체 창출되었다.[13]

4. 1. 운영 방침 논의

국제회계기준위원회는 운영 방침 등에 대한 논의를 리에종 국가 회의(국제회계기준위원회와 리에종 국가가 진행해 온 정기 협의)에서 진행해 왔다. 리에종 국가 회의는 일본, 미국, 영국, 캐나다, 독일, 프랑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의 8개 주요 회계 기준 설정 주체(리에종 국가)로 구성되었으며, 2004년 이후에는 EFRAG(유럽 재무 보고 자문 그룹)가 참여했다.[1]

2005년 9월 이후에는 리에종 국가 회의가 아닌, WSS 회의(세계 각국의 회계 기준 설정 주체가 모이는 세계 회계 기준 설정 주체 회의)에서 운영 방침을 논의하고 있다.[1] 이에 따라 국제회계기준위원회는 리에종 국가 회의의 위상을 국제회계기준위원회의 공식 회의에서 리에종 국가가 자체적으로 주최하는 회의로 변경하여, 각 회계 기준 설정 주체가 진행하는 연구 프로젝트 등을 논의하는 장으로 삼았다.[1]

4. 2. 자금 조달

IASB의 운영 자금은 IFRS 재단에서 마련한다.[12] 자금 대부분은 자체적인 재정 지원 체제를 구축한 관할 구역의 자발적인 기여금으로 충당된다. 기여금은 일반적으로 각 관할 구역의 국내총생산의 일정 비율로 책정된다. 또한 일부 기여금은 대형 회계 법인에서 나온다. 2019년 IFRS 재단의 수입은 3100만파운드였으며, 이 중 2000만파운드는 기여금, 1100만파운드는 출판 및 관련 활동에서 자체적으로 창출된 수입이었다.[13]

5. K-IFRS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K-IFRS는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에서 제정한 국제회계기준(IFRS)을 채택한 것으로, 2009년부터 원하는 기업에 대하여 조기 적용되었고 2011년부터 모든 상장기업에 의무 적용되고 있다.

5. 1. K-IFRS 도입 배경

국제회계기준(IFRS)과의 정합성을 높이고 국내 기업의 회계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에서 제정한 국제회계기준(IFRS)을 주요하게 채택하여 K-IFRS를 도입하였다. 2009년부터 도입을 원하는 기업에 대하여 조기 적용을 허용하였고, 2011년부터는 모든 상장기업에 의무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5. 2. K-IFRS 도입 현황

K-IFRS는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에서 제정한 국제회계기준(IFRS)을 주요하게 채택한 것으로, 2009년부터 원하는 기업에 대하여 조기 적용하고 2011년부터 모든 상장기업에 의무 적용하고 있다.

6. IASB 미션

Mission Statement영어에 따르면, IASB의 미션은 "전 세계 금융 시장에 투명성, 책임성 및 효율성을 제공하는 IFRS 표준을 개발하는 것"이다.[16] IASB의 업무는 글로벌 경제에서 신뢰, 성장 및 장기적인 재정 안정을 촉진함으로써 공익에 기여한다.[16]

참조

[1] 웹사이트 IASB Members https://www.ifrs.org[...] IFRS Foundation 2018
[2] 웹사이트 IFRS Interpretations Committee https://www.ifrs.org[...] IFRS Foundation 2018
[3] 웹사이트 Constitution https://www.ifrs.org[...] IFRS Foundation 2018
[4] 웹사이트 IFRS Foundation https://www.ifrs.org[...] IFRS Foundation 2020
[5] 웹사이트 IFRS - Death of Robert P. Garnett, former member of the IASB and Chair of the Interpretations Committee https://www.ifrs.org[...]
[6] 웹사이트 Mary e. Barth https://www.gsb.stan[...]
[7] 웹사이트 G. Gélard : " Un lobbying anti-IFRS de puissants groupes français " https://business.les[...] 2013-01-16
[8] 웹사이트 Accounting Hall of Fame | Warren McGregor https://fbe.unimelb.[...] 2020-08-28
[9] 웹사이트 Tatsumi Yamada | Integrated Reporting https://integratedre[...]
[10] 웹사이트 Andreas Barckow https://www.ifrs.org[...] IASB 2022-02-28
[11] 웹사이트 Due Process Handbook https://www.ifrs.org[...] IFRS Foundation 2018
[12] 웹사이트 IFRS Foundation funding https://www.ifrs.org[...] IFRS Foundation 2018
[13] 웹사이트 IFRS Foundation Annual Report 2019 https://cdn.ifrs.org[...] IFRS Foundation 2020-08-28
[14] 웹사이트 http://buy.iasb.org/
[15] 웹사이트 第1回NSS会議報告,財団法人財務会計基準機構,企業会計基準委員会 http://www.asb.or.jp[...]
[16] 웹사이트 Mission Statement https://www.ifrs.org[...] IFRS Foundation 2018
[17] 웹사이트 About the IASB https://www.ifrs.org[...] IFRS Foundation 2018
[18] 웹사이트 Monitoring Board http://www.iasplus.c[...] Deloitte Global Services Limited 2012-08-30
[19] 웹사이트 How we are structured https://www.ifrs.org[...] IFRS Foundation 2018
[20] 웹사이트 Overview of the structure of the IFRS Foundation and IASB http://www.iasplus.c[...] Deloitte Global Services Limited 2012-08-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