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수자리 KW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궁수자리 KW는 변광성으로, 1942년 헨리에타 힐 스웁에 의해 발견되었다. 약 2등급 범위 내에서 불규칙하게 밝기가 변하며, 반주기 변광성으로 분류된다. 궁수자리 OB5 성협에 속해 있다고 가정할 때, 지구로부터 약 2,159 파섹 거리에 위치한다. 광도가 높은 차가운 초거성으로, 분광형은 M0에서 M4 사이에서 변동하며, 태양의 200,000 ~ 363,000배의 광도를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M형 초거성 - 적색초거성
적색 초거성은 차가운 표면 온도, 거대한 크기, 높은 밝기를 지닌 초거성으로, 무거운 원소를 생성하며 초신성 폭발로 생을 마감하는 진화한 별이다. - M형 초거성 - 큰개자리 VY
큰개자리 VY는 우리 은하에서 가장 극단적인 별 중 하나로, 태양의 수십만 배에 달하는 광도를 내며, 활발한 질량 손실을 보이다가 10만 년 내에 초신성으로 폭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 준규칙 변광성 - 큰개자리 VY
큰개자리 VY는 우리 은하에서 가장 극단적인 별 중 하나로, 태양의 수십만 배에 달하는 광도를 내며, 활발한 질량 손실을 보이다가 10만 년 내에 초신성으로 폭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 준규칙 변광성 - 베텔게우스
베텔게우스는 오리온자리에서 가장 밝은 적색 초거성이자 'α Orionis'로 불리며, 1603년 요한 바이어에 의해 명명되었고, 아랍어에서 유래한 이름이 중세 라틴어 번역 과정에서 오역되었으며, 2019년 말부터 2020년 초까지 감광 현상으로 주목받았고,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에 의해 공식 명칭으로 승인되었다. - 궁수자리 - 메시에 24
메시에 24는 샤를 메시에가 발견한 은하수 내 성운으로, 밝기가 다양한 별들이 흩어져 있으며 NGC 6603을 포함하고, 존 허셜의 관측 기록은 추후 연구에 혼란을 주기도 했다. - 궁수자리 - 아치스 성단
아치스 성단은 짙은 먼지로 둘러싸여 가시광선 관측이 어렵지만 엑스선, 적외선, 전파 관측으로 연구되는, 반지름 약 1광년의 젊고 뜨거운 별 약 150개로 이루어진 성단으로, 별들은 밝고 빠른 항성풍을 방출하며 수백만 년 안에 수소를 소모한다.
궁수자리 KW | |
---|---|
기본 정보 | |
별자리 | 궁수자리 |
변광성 기호 | KW Sgr |
고유 명칭 | KW Sgr |
관측 정보 | |
시대 | J2000.0 |
겉보기 등급 (V) | 11.0 |
겉보기 등급 (K) | 1.43 |
특징 | |
분광형 | M1.5Iab (M0I - M4Ia) |
U-B 색지수 | 3.21 |
B-V 색지수 | 2.47 |
V-R 색지수 | 2.58 |
J-K 색지수 | 1.56 |
변광성 종류 | SRc |
운동 정보 | |
시선 속도 | -7.40 km/s |
고유 운동 (적경) | +0.843 mas/yr |
고유 운동 (적위) | -0.946 mas/yr |
시차 | 0.4355 mas |
거리 | 약 7,890 광년 (2,420 pc) |
절대 등급 (V) | -7.7 |
물리적 특징 | |
질량 | 20 태양질량 (또는 20-40 M☉) |
반지름 | 1,009 R☉ |
광도 (볼로미터) | 175,000 L☉ |
표면 온도 | 3,720 K |
표면 중력 | 0.0 |
식별 정보 | |
기타 명칭 | KW Sgr CD−27°12032 HD 316496 HIP 87433 AAVSO 1745-28 가이아 DR24063462206570029312 가이아 DR34063462206570029312 |
심바드 | KW Sgr |
2. 변광성
궁수자리 OB5 성협에 속해 있다는 가정 하에, 2,420 파섹의 거리가 측정되었다.[8] 히파르코스 미션에서 도출된 시차는 음수이므로 거리에 대한 정보를 거의 제공하지 않으며, 단지 거리가 매우 멀다는 것만을 시사한다. 가이아 데이터 릴리스 2의 시차는 0.5281 ± 0.1392 mas이며, 약 1,900 pc의 거리를 의미한다. 가이아 결과는 상당한 통계적 오차 범위를 가지며, 측성 과잉 잡음이 허용 수준을 훨씬 초과한다는 지표를 보이므로 시차를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2021년에 발표된 연구에서는 가이아 DR3(가이아 DR2의 후속)에서 발표된 시차를 사용하여 KW Sgr까지의 광기하학적 거리를 2,159 파섹으로 측정했다.[9]
[1]
논문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헨리에타 힐 스웁은 1942년에 궁수자리 KW를 변광성으로 등재했다. 밝기는 약 2등급 범위 내에서 불규칙하게 변한다.[6] 반주기 변광성으로 분류되지만,[3] 주기는 670일로 표기되어 있으나 불확실하다.[6] 특이한 차가운 스펙트럼으로 인해 공생 변광성과 비교되었지만, 더 이상 격변적인 쌍성으로 간주되지 않는다.[7]
3. 거리
4. 물리적 특징
1942년, 헨리에타 힐 스웁은 궁수자리 KW를 변광성으로 등재했다. 밝기는 약 2등급 범위 내에서 불규칙하게 변한다.[6] 반주기 변광성으로 분류되지만,[3] 670일로 표기된 주기는 불확실하다.[6] 특이한 차가운 스펙트럼으로 인해 공생 변광성과 비교되었지만, 더 이상 격변적인 쌍성으로 간주되지 않는다.[7]
궁수자리 KW는 광도가 높은 차가운 초거성으로 분류되며, 분광형은 M0에서 M4 사이에서 변동한다.[3] 에밀리 르베스크가 이끈 2005년 연구에서는 MARCS 모델을 사용하여 궁수자리 KW의 높은 광도를 363000L로 계산했으며, 의 유효 온도를 가정하여 매우 큰 반지름 1460R을 계산했다. 이 별은 이후 가장 큰 별 및 가장 밝은 별 은하수 적색 초거성 중 하나로 묘사되었으며, 여기에는 세페우스자리 V354, 백조자리 KY, 세페우스자리 뮤가 포함된다.[10]
더 최근에는 궁수자리 KW의 볼로미터 광도가 200000L 정도로 더 낮게 계산되었으며, 측정된 각 직경과 광도를 기반으로 반지름이 1009R ± 142R로 계산되었다.[2][11]
참조
[2]
논문
The atmospheric structure and fundamental parameters of the red supergiants AH Scorpii, UY Scuti, and KW Sagittarii
[3]
웹사이트
KW Sgr, database entry, The combined table of GCVS Vols I-III and NL 67-78 with improved coordinates,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http://www.sai.msu.s[...]
[4]
논문
Third bibliographic catalogue of stellar radial velocities (Text in French)
[5]
논문
Red Supergiants in the Andromeda Galaxy (M31)
[6]
논문
Variable stars in MWF 189
[7]
논문
A Catalog and Atlas of Cataclysmic Variables: The Living Edition
[8]
논문
Distance scale for high-luminosity stars in OB associations and in field with Gaia DR2. Spurious systematic motions
[9]
논문
Estimating distances from parallaxes. V: Geometric and photogeometric distances to 1.47 billion stars in Gaia Early Data Release 3
2021-03-01
[10]
논문
The Effective Temperature Scale of Galactic Red Supergiants: Cool, but Not as Cool as We Thought
[11]
논문
The mass-loss rates of red supergiants and the de Jager prescription
2011
[12]
논문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13]
웹사이트
KW Sgr, database entry, The combined table of GCVS Vols I-III and NL 67-78 with improved coordinates,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http://www.sai.msu.s[...]
[14]
논문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15]
논문
Third bibliographic catalogue of stellar radial velocities (Text in French)
[16]
논문
The Effective Temperatures and Physical Properties of Magellanic Cloud Red Supergiants: The Effects of Metallicity
[17]
논문
The atmospheric structure and fundamental parameters of the red supergiants AH Scorpii, UY Scuti, and KW Sagittarii
[18]
논문
VizieR Online Data Catalog: Velocity and proper motion of OB associations (Melnik+, 2009)
[19]
웹사이트
天文おまかせガイド.net~いて座KW星(KW Sgr)
http://astronomy.lo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