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백조자리 KY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조자리 KY는 백조자리에 위치한 밝은 적색 초거성으로, 변광성이다. NGC 6913 산개 성단 근처에 위치하지만 성단의 구성원은 아니다. 표면 온도는 약 3500 켈빈으로 추정되며, 광도는 태양의 10만 배 이상이다. 강력한 항성풍을 가지고 있으며, 질량을 빠르게 잃고 있어 '차가운 극대거성'으로 불리기도 한다. 밝기 변화의 주기성은 뚜렷하지 않으며, 사진 등급상 13.5 ~ 15.5 등급 사이에서 변동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M형 극대거성 - 큰개자리 VY
    큰개자리 VY는 우리 은하에서 가장 극단적인 별 중 하나로, 태양의 수십만 배에 달하는 광도를 내며, 활발한 질량 손실을 보이다가 10만 년 내에 초신성으로 폭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 M형 극대거성 - 세페우스자리 뮤
    세페우스자리에 있는 붉은색 초거성 세페우스자리 뮤는 '허셜의 석류석 별'이라고도 불리며, 밝기가 변하는 반규칙 변광성이자 수천 광년 떨어져 있는, 초신성 폭발 가능성이 있는 별이다.
  • 느린 불규칙 변광성 - 큰개자리 VY
    큰개자리 VY는 우리 은하에서 가장 극단적인 별 중 하나로, 태양의 수십만 배에 달하는 광도를 내며, 활발한 질량 손실을 보이다가 10만 년 내에 초신성으로 폭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 느린 불규칙 변광성 - 안타레스
    안타레스는 붉은색을 띠는 M형 초거성이며, 화성과 유사한 색으로 인해 '아레스의 대적자'라는 이름을 가지며, 쌍성계를 이루는 전갈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
  • M형 초거성 - 적색초거성
    적색 초거성은 차가운 표면 온도, 거대한 크기, 높은 밝기를 지닌 초거성으로, 무거운 원소를 생성하며 초신성 폭발로 생을 마감하는 진화한 별이다.
  • M형 초거성 - 큰개자리 VY
    큰개자리 VY는 우리 은하에서 가장 극단적인 별 중 하나로, 태양의 수십만 배에 달하는 광도를 내며, 활발한 질량 손실을 보이다가 10만 년 내에 초신성으로 폭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백조자리 KY
위치
사드르 영역
백조자리 KY의 사드르 영역 내 위치 (동쪽이 위쪽)
식별 정보
별자리백조자리
겉보기 등급11.14 (10.60 - 11.74)
특징
분광형M3 Ia (M3.5 Ia)
B-V 색지수+3.39
U-B 색지수+2.91
변광성 유형Lc형
위치 정보
고유 운동 (적경)–3.556
고유 운동 (적위)–6.061
연주 시차0.6687
거리1436 pc (4680 광년)
절대 등급–8.18
물리적 특성
질량19 태양 질량
반지름1032 태양 반지름
광도138,000 ~ 273,000 태양 광도 (추정 1,100,000 태양 광도)

2. 관측

백조자리 KY는 밝은 산개성단 NGC 6913 근처에 있으나 성단의 구성원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밤하늘에서는 밝은 별 백조자리 감마에서 가까운 곳에 있다.[22] 1930년에 이 별이 변광성임이 확인되었으며[23] 이후 변광성 명칭인 백조자리 KY로 명명되었다.[24] 분광형은 모건-키넌 체제에 따라 M3 Ia가 부여되었으며 이후 분광형에는 미세한 조정만 있었다.[25]

백조자리 KY는 성간소광 때문에 심하게 적색화(赤色化)되어 보이며 가시광선에서 원래 밝기보다 7.75 등급만큼 어둡게 보인다.[18] 만약 소광 효과가 없다면 이 별은 맨눈으로도 잘 보일 것이다.[18]

3. 물리적 특징

백조자리 KY는 부피가 매우 크며 표면온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초거성으로 강력한 항성풍을 뿜고 있다. 이 별은 적색초거성 중에서도 아주 빠른 속도로 질량을 잃고 있으며 '차가운 극대거성'으로 불리기도 한다.[21][26]

베텔게우스(왼쪽)와 비교한 백조자리 KY(오른쪽)의 크기.


2005년에 추정된 베텔게우스, 세페우스자리 뮤, 백조자리 KY, 세페우스자리 V354의 크기 비교


이 별의 물리적 성질들은 확실하지 않으나 표면 유효온도는 대략 3500 켈빈 정도이며 광도는 태양의 10만 배 이상으로 추정된다. K-대역의 적외선 밝기에 맞춘 모형에 따르면 광도는 태양의 27만 3천 배까지 올라간다. 심지어 안시 밝기에 기초한 또다른 모형으로는 광도를 태양의 110만 배까지 추정한 결과도 있다. 광도 추정치의 편차가 이처럼 큰 이유는 소광(消光)되는 정도를 가정한 값이 논문마다 달랐기 때문이다. 높은 광도값에 기초할 경우 별의 반지름은 태양의 2850 배 정도로 나온다.[18] 최근에 U 대역으로부터 60 마이크론 극초단파 플럭스까지의 파장 전범위에 걸쳐 스펙트럼에너지분포를 합친 결과 별의 광도는 태양의 13만 8천 배로 나왔다.[21]

백조자리 KY는 강한 항성풍을 가진 밝은 적색 초거성으로 분류된다. 약 4.9×10-6 태양 질량의 속도로 질량을 잃고 있으며 차가운 극대거성으로 묘사되어 왔다.[1][9]

백조자리 KY는 큰 진폭을 보여주는 변광성이지만 밝기변화에 뚜렷한 주기성은 없다. 가끔 급격한 밝기 변화를 보이지만 보통 때에는 긴 주기에 걸쳐 밝기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22] 사진등급상 밝기는 13.5 ~ 15.5 등급 사이에서 진폭을 보이지만[19] 안시등급상 범위는 10.60 ~ 11.74 등급이다.[17]

Kochanek 외 (2017)가 발표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플롯된 백조자리 KY의 시각 밴드 광도 곡선

3. 1. 크기

백조자리 KY는 부피가 매우 크며 표면온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초거성으로 강력한 항성풍을 뿜고 있다. 이 별은 적색초거성 중에서도 아주 빠른 속도로 질량을 잃고 있으며 '차가운 극대거성'으로 불리기도 한다.[21][26]

이 별의 물리적 성질들은 확실하지 않으나 표면 유효온도는 대략 3500 켈빈 정도이며 광도는 태양의 10만 배 이상으로 추정된다. K-대역의 적외선 밝기에 맞춘 모형에 따르면 광도는 태양의 27만 3천 배까지 올라간다. 심지어 안시 밝기에 기초한 또다른 모형으로는 광도를 태양의 110만 배까지 추정한 결과도 있다. 광도 추정치의 편차가 이처럼 큰 이유는 소광(消光)되는 정도를 가정한 값이 논문마다 달랐기 때문이다. 높은 광도값에 기초할 경우 별의 반지름은 태양의 2850 배 정도로 나온다.[18] 최근에 U 대역으로부터 60 마이크론 극초단파 플럭스까지의 파장 전범위에 걸쳐 스펙트럼에너지분포를 합친 결과 별의 광도는 태양의 13만 8천 배로 나왔다.[21]

백조자리 KY는 큰 진폭을 보여주는 변광성이지만 밝기변화에 뚜렷한 주기성은 없다. 가끔 급격한 밝기 변화를 보이지만 보통 때에는 긴 주기에 걸쳐 밝기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22] 사진등급상 밝기는 13.5 ~ 15.5 등급 사이에서 진폭을 보이지만[19] 안시등급상 범위는 10.60 ~ 11.74 등급이다.[17]

3. 2. 변광성

백조자리 KY는 부피가 매우 크며 표면온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초거성으로 강력한 항성풍을 뿜고 있다. 이 별은 적색초거성 중에서도 아주 빠른 속도로 질량을 잃고 있으며 '차가운 극대거성'으로 불리기도 한다.[21][26]

이 별의 물리적 성질들은 확실하지 않으나 표면 유효온도는 대략 3500 켈빈 정도이며 광도는 태양의 10만 배 이상으로 추정된다. K-대역의 적외선 밝기에 맞춘 모형에 따르면 광도는 태양의 27만 3천 배까지 올라간다. 심지어 안시 밝기에 기초한 또다른 모형으로는 광도를 태양의 110만 배까지 추정한 결과도 있다. 광도 추정치의 편차가 이처럼 큰 이유는 소광(消光)되는 정도를 가정한 값이 논문마다 달랐기 때문이다. 높은 광도값에 기초할 경우 별의 반지름은 태양의 2850 배 정도로 나온다.[18] 최근에 U 대역으로부터 60 마이크론 극초단파 플럭스까지의 파장 전범위에 걸쳐 스펙트럼에너지분포를 합친 결과 별의 광도는 태양의 13만 8천 배로 나왔다.[21]

백조자리 KY는 큰 진폭을 보여주는 변광성이지만 밝기변화에 뚜렷한 주기성은 없다. 가끔 급격한 밝기 변화를 보이지만 보통 때에는 긴 주기에 걸쳐 밝기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22] 사진등급상 밝기는 13.5 ~ 15.5 등급 사이에서 진폭을 보이지만[19] 안시등급상 범위는 10.60 ~ 11.74 등급이다.[17]

4. 같이 보기

참조

[1] 논문 The mass-loss rates of red supergiants and the de Jager prescription
[2] 논문 The first INTEGRAL-OMC catalogue of optically variable sources
[3] 웹사이트 KY Cyg, database entry, The combined table of GCVS Vols I-III and NL 67-78 with improved coordinates,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http://www.sai.msu.s[...] 2010-11-12
[4] 논문 The Effective Temperature Scale of Galactic Red Supergiants: Cool, but Not As Cool As We Thought
[5] 논문 Researches with the Schmidt telescopes. III. Variable stars in the field of gamma Cygni
[6] 논문 Relative Koordinaten, Oerter und Karten neuer Veraenderlicher
[7] 논문 Die Veraenderlichen Sterne der noerdlichen Milchstrasse. Teil II
[8] 논문 Photoelectric two-dimensional spectral classification of M supergiants
[9] 논문 IRAS observations of the cool galactic hypergiants
[10] 간행물 2058131491974019968
[11] 논문 Estimating distances from parallaxes. V: Geometric and photogeometric distances to 1.47 billion stars in Gaia Early Data Release 3 2021-03-01
[12] 논문 The historical record of massive star formation in Cygnus 2020-10
[13] 논문 The All-Sky Automated Survey for Supernovae (ASAS-SN) Light Curve Server v1.0 2017-10
[14] 웹사이트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https://simbad.u-str[...] 2014-09-20
[15] 웹사이트 Big and Giant Stars: KY Cygni http://jumk.de/astro[...] 2014-09-20
[16] 논문 VizieR Online Data Catalog: 2MASS All-Sky Catalog of Point Sources (Cutri+ 2003)
[17] 논문 The first INTEGRAL-OMC catalogue of optically variable sources https://archive.org/[...]
[18] 논문 The Effective Temperature Scale of Galactic Red Supergiants: Cool, but Not As Cool As We Thought
[19] 웹사이트 KY Cyg, database entry, The combined table of GCVS Vols I-III and NL 67-78 with improved coordinates,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http://www.sai.msu.s[...] 2010-11-12
[20] 뉴스 List of Largest Stars Gets 3 New Chart Toppers http://www.space.com[...] space.com 2005-01-10
[21] 논문 The mass-loss rates of red supergiants and the de Jager prescription
[22] 논문 Researches with the Schmidt telescopes. III. Variable stars in the field of gamma Cygni
[23] 논문 Relative Koordinaten, Oerter und Karten neuer Veraenderlicher
[24] 논문 Die Veraenderlichen Sterne der noerdlichen Milchstrasse. Teil II
[25] 논문 Photoelectric two-dimensional spectral classification of M supergiants
[26] 논문 IRAS observations of the cool galactic hypergian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