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권욱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욱현은 대한민국의 전기공학자이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에서 학사,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브라운 대학교에서 제어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를 역임했으며, 스탠퍼드 대학교 객원조교수, 과학재단-서울대 제어계측신기술연구센터 초대 소장, 국제자동제어연맹(IFAC) 회장 등을 지냈다. 또한, 벤처 창업 지원과 과학기술 계산 소프트웨어 '셈툴' 개발을 주도했으며, 대한민국학술원상,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과학기술유공자 등으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 - 임지순
    대한민국의 물리학자 임지순은 전산재료물리학 분야를 개척하고 "Momentum-space formalism" 논문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울대학교 교수 및 이론물리센터 소장 역임, 다수의 수상 경력과 함께 현재 포항공과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 - 박승정
    박승정은 심혈관 중재 시술 분야의 권위자로, 서울아산병원 병원장과 울산대학교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을 역임하며 대한중재심장학회 창립, 아시아 태평양 중재 심장학회 활동, 좌주간부 질환 스텐트 시술 국내 도입, 약물 스텐트 개발 기여, NEJM 연구 결과 발표 등 심혈관 질환 치료 발전에 기여한 의학자이다.
  • 대한민국학술원상 수상자 - 고승제
    고승제는 한국경제사와 정약용 연구에 기여한 경제학자이자 교육자로,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하고 한국개발연구원 이사장과 한국경제학회 회장을 지냈으나, 일제강점기 친일 행적으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될 예정이다.
  • 대한민국학술원상 수상자 - 양성길
    양성길은 릿쿄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닐스 보어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 교토 대학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다가 2001년 폐암으로 사망한 일본의 물리학자이다.
  • 대한민국의 로봇공학자 - 진대제
    진대제는 세계 최초 16메가 D램 개발을 주도한 공학자이자 기업인, 정치인으로, 정보통신부 장관을 역임하고 미국 공학한림원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현재 솔루스첨단소재 대표이사이다.
  • 대한민국의 로봇공학자 - 데니스 홍
    데니스 홍은 한국계 미국인 로봇 공학자이자 UCLA 교수 겸 로봇 연구소 소장으로, 시각장애인 운전 자동차, 휴머노이드 로봇, 재난 구조 로봇 개발 등 로봇 공학 분야에서 혁신적인 업적을 이루었으며 사회적 문제 해결에도 기여하고 있다.
권욱현 - [인물]에 관한 문서

2. 학력

연도학교학위전공
1959 ~ 1962경기고등학교
1966서울대학교 공과대학공학사전기공학
1972서울대학교 대학원공학석사전기공학
1976브라운 대학교공학박사제어공학


3. 주요 경력

기간경력
1977 ~ 2008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1981.01 ~ 1981.12미국 스탠퍼드 대학교 객원조교수
1991 ~ 2008과학재단-서울대 제어계측신기술연구센터 초대 소장
1992.12.06 ~ 1996.11.04서울대학교 자동화시스템공동연구소 제2대 소장
1996 ~ 1998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 학부장
1998 ~ 1999제어로봇시스템학회 5대 회장
1999 ~미국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EEE) 펠로우
2001 ~세계과학학술원(TWAS) 펠로우
2001 ~ 2009대한민국 산업자원부 전력정책심의위원회 위원장
2002 ~ 2006한국공학 한림원 부회장
2005 ~ 2008국제자동제어연맹(IFAC) 회장
2007 ~ 2015포항공과대학교 이사
2008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2010 ~ 2014대구경북과학기술원 석좌교수
2015 ~기초과학연구원 과학자문위원회 위원
2019 ~ 2022제어로봇시스템학회 자문위원장
2022 ~미국공학한림원 국제회원


4. 생애 및 업적

권욱현은 1962년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전기공학과에 입학하여 1966년에 졸업하였다. 이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브라운 대학교에서 제어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7년부터 서울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제어공학 분야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썼다.[1]

4. 1. 연구 및 벤처 창업 지원

권욱현 교수는 연구실의 학문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연구 주제별로 팀장-팀원 체제를 도입하여 자율성과 팀워크를 강조했으며, 제어계측신기술연구센터를 설립하여 조직적이고 협동적인 연구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가능하게 했다.[1] 또한, 실험실 연구를 창업으로 연결시켰다. 스탠포드대학에 방문교수로 갔을 때 목격한 실리콘밸리로부터 깊은 인상을 받고, 대학원생들에게 "교수(연구자) 아니면 창업(기업가)하라"며 실험실 벤처 창업을 강조했다.[1] 이로써 실험실 연구-창업의 선순환 구조가 갖추어져 서로 간에 시너지가 생겨났다.[1] 배출한 박사 55명 포함 석박사 130명 가운데 34명이 벤처기업 창업에 참여했으며, 이들이 세운 벤처기업은 12개이고 2017년 연간 매출액은 2조을 넘어섰다.[1]

4. 2. 과학기술 계산 소프트웨어 개발

김욱현 교수는 과학기술 계산 소프트웨어 패키지 '셈툴' 개발을 주도하였다. 이는 선진국 소프트웨어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국내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1990년부터 15년간의 개발 끝에 상업용 제품을 출시하였으며, 셈툴 개발 과정에서 축적된 지식은 14권의 책(저술 9권, 편저 4권, 번역 1권)으로 발간되어 교육 및 연구 인프라 구축에 활용되고 있다.[1]

셈하다의 셈과 도구의 툴을 결합한 “셈도구”의 뜻을 지닌 셈툴은 선진국의 소프트웨어 대항마로 추진된 방대한 규모의 국산 과학기술 계산 패키지이다. 1990년 개발에 착수하여 1992년 첫 시제품을 선보였고, 이후 개선을 거쳐 2000년부터 상업용 제품을 출시하였다. 퇴임 후 2009년, 제자 김광진 사장이 셈웨어를 설립해 그 뒤를 잇고 있다. 15년에 걸친 셈툴 개발 노력은 14권의 책 발간으로 이어졌고, 대학의 교육 및 연구 인프라 지원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1]

5. 수상 경력

연도수상 내역
1997년대한민국학술원상
2000년매일경제신문 신지식인상 대상
2007년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2018년과학기술유공자 선정[3]


6. 저서

Receding Horizon Control. Model Predictive Control for State Models영어 (Springer Verlag, 2005) / 권욱현, 한수희

참조

[1] 문서 휴맥스(변대규), 우리기술(김덕우), 파인디지털(김용훈), 바텍(임성훈), 토필드(이용철), 파이오링크(조영철), 슈프리마(이재원) 등은 그가 배출한 선도적 벤처기업가들이다
[2] 웹인용 자동제어 https://terms.naver.[...] 2019-12-13
[3] Youtube YTN Science 동영상 - DGIST Next Agenda 행사 강연 https://science.yt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