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과학기술유공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과학기술유공자는 과학기술 분야에서 연구 개발 및 기술 혁신 활동을 통해 국가 발전에 이바지한 과학기술인을 지정하는 제도이다. 신기술 개발, 사회 문제 해결, 학문적 성과 달성 등 지정 기준에 따라 심사를 거쳐 선정되며,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 헌액, 과학기술 관련 행사 초청, 복지시설 이용 편의 제공 등 다양한 예우와 지원을 받는다. 2017년부터 매년 자연, 생명, 엔지니어링, 융합 분야에서 과학기술유공자를 선정하고 있으며, 명단은 매년 공개된다.

2. 지정

과학기술유공자는 신기술 개발이나 기술 개량으로 경제·사회 발전에 크게 기여했거나, 세계적인 수준의 과학기술상을 받는 등 학문적 업적이 뛰어난 사람, 또는 지속적인 연구개발 및 기술혁신 활동으로 특정 과학기술 분야 발전에 공헌한 사람을 대상으로 지정한다.[1]

이러한 제도를 통해 과학기술유공자를 예우하고 지원함으로써 과학기술인의 명예와 긍지를 높이고, 과학기술인이 존중받는 사회 문화를 조성하는 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1]

2. 1. 기본 자격 및 지정 기준

기본 자격은 이학·공학 등의 분야와 이와 관련되는 학제 간 융합 분야에서 연구개발 및 기술혁신 활동을 수행하고 있거나 수행한 과학기술인이어야 한다. 이때 사망한 자의 경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사망자로 한정한다.

지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신기술의 개발 또는 기술의 개량을 통하여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거나 관련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이바지한 사람
  • 신기술의 개발 또는 기술의 개량을 통하여 사회문제를 해결하거나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한 사람
  • 새로운 발견이나 원리 규명을 통하여 연구 분야를 개척하거나 해당 분야의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는데 이바지한 사람
  • 세계적 수준의 과학기술상을 수상하는 등 해당 분야에서 독창적이고 선도적인 학문적 성과를 달성한 사람
  • 장기간 연구개발 및 기술혁신 활동을 수행하여 공공성 또는 공익성이 큰 과학기술 분야의 발전에 현저히 이바지한 사람
  • 그 밖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과학기술정책 개발 등을 통하여 위의 5가지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과 같은 수준으로 과학기술의 발전에 이바지하였다고 인정하는 사람[1]


단,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79조 제1항 제1호부터 제4호에 해당하는 자는 지정에서 제외된다.

2. 2. 심사 절차

과학기술유공자 지정을 위한 심사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친다.

  • 분야: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에 따라 자연, 생명, 엔지니어링, 융합 등 4대 분야와 관련된 세부 분야로 나누어 심사한다.
  • 위원회: 산업계, 학계, 연구계를 대표하고 관련 분야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위원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유공자심사위원회 및 전문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한다.
  • 과학기술유공자심사위원회: 산업계, 학계, 연구계를 대표하는 15인 이내로 구성하고, 과학기술유공자 지정 기준, 심사 방법, 지정 및 지정 취소 등을 심의한다.
  • 전문위원회: 분야별 30명 이내의 산업계, 학계, 연구계 전문가로 구성하고, 후보자의 적격성 검토 등 예비 심사 및 본심사를 수행한다.
  • 심사: 예비 심사, 본심사, 최종 심사, 공개 검증 및 지정 등 4단계 심사 및 검증 절차를 거친다.
  • 검증: 동료 평가(peer-review), 한국연구재단 및 NTIS 등의 검증 시스템을 활용하여 후보자의 업적, 성과, 결격 사유 등을 검증한다.

3. 예우 및 지원

과학기술유공자는 대한민국 과학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법률에 의해 다음과 같은 예우 및 지원을 받는다.[1]


  • 과학기술 관련 행사 초청 및 의전상의 예우를 받는다.
  •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복지시설 이용 편의를 제공받는다.
  • 공훈록 발간, 주요 저서·논문 등 업적 홍보 지원을 받는다.
  • 국가과학기술정책 수립 자문에 참여할 수 있다.
  • 출입국 심사 시 우대 혜택을 받는다.


이러한 지원을 통해 과학기술인의 명예와 긍지를 높이고, 과학기술인이 존중받는 사회 문화를 조성하는 데 이바지하고 있다.

3. 1. 예우

과학기술유공자는 법률에 의해 다음과 같은 예우 및 지원을 받는다.[1]

  •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 헌액
  • 과학기술 관련 행사 초청 및 의전상의 예우
  •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복지시설 이용 편의 제공
  • 과학기술유공자의 공훈록 발간, 주요 저서·논문 등 업적 홍보
  • 국가과학기술정책 수립 자문
  • 출입국 심사 우대

3. 2. 활동 지원

과학기술유공자는 법률에 의해 다음과 같은 예우 및 지원을 받을 수 있다.[2]

  • 과학기술 조사·연구
  • 창업 및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기술지도 및 상담
  • 정부의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자문
  • 과학기술 분야 교육 및 강연
  • 과학기술 분야 저술 또는 번역
  • 개발도상국에 대한 기술지원
  • 과학기술유공자와 신진 과학기술인 간 학술적 교류
  • 과학기술 분야 국제교류·협력 등

4. 과학기술유공자 명단

과학기술유공자 명단
연도자연 분야생명 분야엔지니어링 분야융합 분야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4. 1. 2017년

2017년에는 총 32명의 과학기술인이 과학기술유공자로 지정되었다. 분야별로는 자연 분야 9명, 생명 분야 13명, 엔지니어링 분야 10명이다.[1]

2017년 과학기술유공자
자연 분야생명 분야엔지니어링 분야


4. 1. 1. 자연 분야

2017년
김동일 서울대학교 교수[1]
김순경 템플대학교 명예교수[1]
안동혁 한양대학교 명예교수[1]
이원철 국립중앙관상대 초대대장[1]
이임학 UBC 명예교수[1]
이태규 KAIST 명예교수[1]
이휘소 전 페르미국립가속기연구소 이론물리학부장[1]
정창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1]
조순탁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1]
2018년
권경환 포항공과대학교 명예교수[2]
김정흠 고려대학교 명예교수[2]
김호길 포항공과대학교 전)총장[2]
심상철 KAIST 명예교수[2]
유경로 서울대학교 명예교수[2]
2019년
박동길 인하대학교 명예교수
박세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이상수 한국과학원(전)KAIST) 전)원장
2020년
국채표 중앙관상대 전)대장
윤능민 서강대학교 전)명예교수
임덕상 펜실베니아대학교 전)교수
2021년
명효철 고등과학원 원장
이익춘 인하대학교 명예교수
2022년
윤한식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명예 석좌연구원


4. 1. 2. 생명 분야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4. 1. 3. 엔지니어링 분야

2017년
김재근 서울대학교 명예교수[1]
민계식 전 현대중공업 회장[1]
윤덕용 KAIST 명예교수[1]
윤종용 전 삼성전자(주) 대표이사 부회장[1]
염영하 서울대학교 명예교수[1]
이재성 서울대학교 명예교수[1]
이창건 한국원자력문화진흥원 원장[1]
한만춘 연세대학교 명예교수[1]
최순달 KAIST 명예교수[1]
최형섭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초대소장[1]
2018년
강대원 NEC AMERICA 초대소장[2]
권욱현 서울대학교 명예교수[2]
김철우 포스코기술연구소 전 소장[2]
여종기 LG화학기술연구원 전 원장[2]
한필순 한국원자력연구소 전 소장[2]
2019년
김영걸 포스텍 명예교수
김정식 대덕전자 전 회장
김충기 KAIST 명예교수
이충구 현대자동차 전 사장
2020년
노승탁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안병성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 책임연구원
2021년
변증남 KAIST 및 UNIST 명예교수
이현순 두산그룹 고문
2022년
전민제 전엔지니어링 대표이사


4. 1. 4. 융합 분야

융합 분야 과학기술유공자 목록
연도인물비고
2018년이종욱세계보건기구(WHO) 제6대 사무총장[1]
2018년장기려고신대학교 복음병원 명예원장[2]
2019년김시중고려대학교 명예교수
2020년김명자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명예회장
2020년김용관과학지식보급회 전)전무이사
2021년김삼순서울여자대학교 명예교수
2021년정근모과학기술처 전)장관
2022년공병우한글문화원 원장


4. 2. 2018년

2018년에는 총 16명의 과학기술유공자가 지정되었다.

2018년 과학기술유공자
자연 분야생명 분야엔지니어링 분야융합 분야


4. 2. 1. 자연 분야

권경환 포항공과대학교 명예교수[1]
김정흠 고려대학교 명예교수[1]
김호길 포항공과대학교 전)총장[1]
심상철 KAIST 명예교수[1]
유경로 서울대학교 명예교수[1]


4. 2. 2. 생명 분야


  • 김모임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 이상섭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 허영섭 (주)GC녹십자 전 회장
  • 홍창의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4. 2. 3. 엔지니어링 분야

2018년강대원 NEC AMERICA 초대소장


4. 2. 4. 융합 분야

이종욱은 세계보건기구(WHO) 제6대 사무총장을 역임한 백신 및 전염병 분야의 세계적인 전문가이다. 1983년부터 세계보건기구에서 활동하며 백신 연구 및 보급에 힘썼으며, 소아마비, 결핵 등 질병 퇴치에 기여하였다. 2003년 제6대 사무총장으로 취임하여 국제 보건 위기 대응 시스템을 강화하고 조류 인플루엔자(AI) 대응을 주도하였다.[1]

장기려는 '한국의 슈바이처'로 불리는 인물로,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명예원장을 지냈다. 평생을 가난하고 소외된 이웃을 위해 헌신한 외과 의사로, 1951년 부산에 복음병원을 설립하여 무료 진료를 제공하였다. 1968년 한국 최초의 의료보험조합인 청십자의료보험조합을 설립하여 의료 복지 향상에 기여하였다.[2]

4. 3. 2019년

2019년 과학기술유공자
자연 분야생명 분야엔지니어링 분야융합 분야


4. 3. 1. 자연 분야

4. 3. 2. 생명 분야

2019년 생명 분야 과학기술유공자
이름주요 업적
권태완한국식품연구원 전 원장
김영중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이우주연세대학교 전 총장
한인규서울대학교 명예교수


4. 3. 3. 엔지니어링 분야

김영걸 포스텍 명예교수

김정식 대덕전자 전 회장

김충기 KAIST 명예교수

이충구 현대자동차 전 사장

4. 3. 4. 융합 분야

김시중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4. 4. 2020년

2020년에는 총 9명의 과학기술인이 과학기술유공자로 지정되었다.

2020년 과학기술유공자
자연 분야생명 분야엔지니어링 분야융합 분야


4. 4. 1. 자연 분야

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


4. 4. 2. 생명 분야

전종휘 가톨릭대학교 전 명예교수와 한문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 원장은 2020년에 과학기술유공자로 지정되었다.[1]

4. 4. 3. 엔지니어링 분야

노승탁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와 안병성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 책임연구원은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분야 발전에 기여한 과학기술유공자이다.

4. 4. 4. 융합 분야

김명자는|한국어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명예회장, 김용관|한국어 과학지식보급회 전 전무이사는|한국어 2020년에, 김삼순은|한국어 서울여자대학교 명예교수, 정근모는|한국어 과학기술처 전 장관은|한국어 2021년에, 공병우는|한국어 한글문화원 원장은|한국어 2022년에 각각 과학기술유공자로 선정되었다.[1]

4. 5. 2021년

2021년에는 명효철 고등과학원 원장, 이익춘 인하대학교 명예교수, 김정룡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박상대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변증남 KAIST 및 UNIST 명예교수, 이현순 두산그룹 고문, 김삼순 서울여자대학교 명예교수, 정근모 과학기술처 전 장관 등 총 8명이 과학기술유공자로 지정되었다.

4. 5. 1. 자연 분야

연도인물 및 업적
2017년김동일 서울대학교 교수
2018년권경환 포항공과대학교 명예교수
2019년박동길 인하대학교 명예교수
2020년국채표 중앙관상대 전)대장
2021년명효철 고등과학원 원장
2022년윤한식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명예 석좌연구원


4. 5. 2. 생명 분야

김정룡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는 바이러스성 간염 연구 및 예방에 기여하였다.

박상대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는 DNA 복제와 암 연구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4. 5. 3. 엔지니어링 분야

변증남 KAIST 및 UNIST 명예교수는 대한민국 시스템 공학 발전에 기여했다. 이현순 두산그룹 고문은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다.

4. 5. 4. 융합 분야

김삼순 (서울여자대학교 명예교수), 정근모 (과학기술처 전 장관)[1]

4. 6. 2022년

2022년 과학기술유공자
자연 분야생명 분야엔지니어링 분야융합 분야
윤한식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명예 석좌연구원김성호 U.C. 버클리대 명예교수전민제 전엔지니어링 대표이사공병우 한글문화원 원장


4. 6. 1. 자연 분야

자연 분야 과학기술유공자 목록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4. 6. 2. 생명 분야

김성호 U.C. 버클리대 명예교수

4. 6. 3. 엔지니어링 분야

전민제 전엔지니어링 대표이사는 2022년 과학기술유공자로 지정되었다.

4. 6. 4. 융합 분야

공병우는 한글 기계화에 기여한 인물로, 세벌식 한글 자판을 개발하여 한글의 과학화와 정보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그의 업적은 한글을 사용하는 방식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현대 한국 사회에서 정보 기술 발전의 기반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참조

[1] 법률 과학기술유공자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1,2조 http://www.law.go.kr[...]
[2] 웹사이트 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 https://www.koreasc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