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귀곡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귀곡사는 바둑에서 굽은 형태의 돌들이 귀에 몰려 있는 형태로, 흑이 먼저 두어도 살 수 없는 형태를 의미한다. 귀곡사는 기본 형태 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며, 각 형태에 따라 사활이 달라진다. 귀곡사를 다루는 규칙은 국가별로 차이가 있는데, 한국과 일본에서는 귀곡사 형태를 자체로 '죽은 돌'로 간주하는 반면, 중국에서는 실전 해결을 원칙으로 한다.

2. 귀곡사의 형태

귀곡사는 주로 귀에서 발생하는 특수한 형태의 사활 문제이다. 일반적인 사활과는 달리, 와 유사한 형태를 띠지만 패와는 다른 규칙이 적용된다.

위 그림처럼 언뜻 보면 으로 보이지만, 귀곡사라는 특수한 규칙이 적용되어 흑이 죽은 것으로 인정된다. 흑은 백 세 점을 잡으러 들어갈 수 없지만, 백은 특수한 경우에 들어갈 수 있다.

위 그림처럼 백이 들어가면 가 나는데, 바깥쪽 돌은 안쪽 돌을 잡으러 갈 수 없지만, 안쪽 돌은 팻감을 모두 없앤 후 바깥쪽 돌을 잡으러 가 패를 낼 수 있다. 따라서 그대로 두면 계가 시 바깥쪽 돌이 죽은 것으로 인정된다.

아래는 귀곡사의 다른 형태들이다. 붉은 동그라미는 백이 돌을 놓으면 귀곡사궁이 되는 자리이다.

----



아래 그림에서 흑은 완생처럼 보이지만, 백이 a에 돌을 놓으면 흑돌은 귀곡사로 죽는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은 수순 때문이다.

b는 흑에게 착수 금지 구역이므로 흑돌을 놓을 수 없다. 따라서 이 모양은 맨 앞 그림과 같게 되어 흑이 귀곡사로 죽는다.

2. 1. 기본 형태

귀곡사는 굽은 형태의 돌들이 귀에 몰려 있는 모양을 말한다. 이 형태에서는 흑이 먼저 두어도 살 수 없는 형태가 된다.

언뜻 보면 으로 보이지만, 귀곡사라는 특수한 규칙이 적용되어 흑이 죽은 것으로 인정된다. 흑은 백 세 점을 잡으러 들어갈 수 없지만, 백은 특수한 경우에 들어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가 나게 되는데, 바깥쪽의 돌은 안쪽의 돌을 잡으러 가는 시도조차 할 수 없으나, 안쪽의 돌은 팻감을 전부 없애버린 후 바깥쪽의 돌을 잡으러 가서 패를 낼 수 있는 모양이기 때문에, 그대로 둘 경우 계가 시 바깥쪽의 돌이 죽은 것으로 인정된다.

귀에 꺾여 있는 네 눈의 한 예시는 언뜻 보면 세키처럼 보이지만, 백이 수를 두어 4눈으로 만들어 버리는 수가 있어, 이것이 귀에 꺾여 있는 네 눈이라는 이름의 유래이다. 백의 수에 대해 흑이 따내면, 백이 다시 수를 두어 흑은 호리카를 할 수밖에 없고, 백은 따내어 곤(코우)이 된다. 다음에 백이 두면 흑 8점을 잡을 수 있다.

처음 그림으로 돌아가서 생각해보면, 백은 언제든지 곤을 걸 수 있지만, 흑은 타개할 방법이 없다. 즉, 백은 먼저 흑의 곤수를 모두 없애고, 앞서 언급한 순서로 곤을 걸면 흑을 잡을 수 있다.

일본 규칙에서는 실전에서 죽는다고 단정할 수는 없더라도, 백에게 일방적으로 곤을 걸 권리가 있다는 것을 중시하여 이 부분을 단독으로 죽은 것으로 처리한다. 1989년에 제정된 일본 바둑 규약에서는 "「대국의 정지」 후의 사활 확인 시 동일한 곤에서의 되잡기는 행할 수 없다"라고 정하고 있기 때문에 역시 죽은 것으로 된다. 즉, 백은 여기에 돌을 추가로 놓아 자기 땅을 손해볼 필요는 없다.

중국 규칙에서는 자기 땅에 손을 넣어도 손해가 없기 때문에, 실전에서 백 측이 흑돌을 아게하마로 쳐서 해결한다. 일본 규칙에서도 귀의 꺾여 있는 네 눈을 둘러싼 외부의 돌에 눈이 없는 경우에는 곤을 실제로 걸거나 하는 것으로 해결하게 된다.

이러한 형태에서도 백은 잔수를 메운 뒤, 싸움을 걸 수 있다. 따라서 이 역시 흑의 사활은 흑사이다.

때때로 오해를 받기도 하지만, 특정 형태는 백이 수를 메워도 코의 형태가 되지 않으므로 隅のマガリ四目(모서리의 굽은 네 수)가 아니다. 이대로 세키로 간주된다.

2. 2. 다양한 형태

귀곡사는 기본 형태 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각 형태에 따라 사활이 달라지므로, 정확한 판단이 필요하다.

다음은 귀곡사의 다른 형태들이다. 붉은 동그라미는 백이 돌을 놓으면 귀곡사궁이 되는 자리를 의미한다.

----



아래 그림에서 흑은 얼핏 보면 완생처럼 보이나, 백이 a에 돌을 놓으면 흑돌은 귀곡사로 죽는다.

왜냐하면, 수순이 다음과 같이 되기 때문이다.

b는 흑에게 착수 금지 구역이므로 흑돌을 놓을 수 없다. 그러므로 이 모양은 곧 맨 앞의 그림과 같게 되어 흑이 귀곡사로 죽는다.

위 그림은 귀의 꺾여 있는 네 눈의 한 예시이다. 언뜻 보면 세키처럼 보이지만, 백이 a에 4 눈으로 만들어 버리는 수가 있어, 이것이 귀의 꺾여 있는 네 눈이라는 이름의 유래이다. 백 a에 대해 흑이 b에 따내면 다음 그림과 같아진다.

이어서 백이 c에 두면 흑은 d에 호리카(捨石, 버리고 버리는 돌)을 할 수 밖에 없고, 백은 e에 따내어 곤(코우)이 된다(다음 그림). 다음에 백이 f에 두면 흑 8점을 잡을 수 있다.

첫 번째 그림으로 돌아가서 생각해보면, 백은 언제든지 곤을 걸 수 있지만, 흑은 타개할 방법이 없다. 즉, 백은 먼저 흑의 곤수를 모두 없애고, 앞서 언급한 순서로 곤을 걸면 흑을 잡을 수 있다.

일본 규칙에서는 실전적으로는 죽는다고 단정할 수는 없더라도("판의 다른 부분에 양곤세키가 있다" 등), 백에게 일방적으로 곤을 걸 권리가 있다는 것을 중시하여, 이 부분을 단독으로 죽은 것으로 처리한다. 또한 1989년에 제정된 일본 바둑 규약에서는 "「대국의 정지」후의 사활 확인 시 동일한 곤에서의 되잡기는, 행할 수 없다"(제7조의 2), 즉 사활 판정은 곤의 되잡기는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서로 돌을 놓았다고 하여 살 수 있는지 여부로 판단한다고 정하고 있기 때문에, 역시 죽은 것으로 된다. 즉, 백은 여기에 돌을 추가로 놓아 자기 땅을 손해볼 필요는 없다.

중국 규칙에서는 자기 땅에 손을 넣어도 손해가 없기 때문에, 실전적으로 백 측이 흑돌을 아게하마로 쳐서 해결한다. 일본 규칙에서도, 귀의 꺾여 있는 네 눈을 둘러싼 외부의 돌에 눈이 없는 경우에는, 곤을 실제로 걸거나 하는 것으로 해결하게 된다.

그림 1:
--
그림 2:
--



이러한 형태에서도 백은 X의 점에 잔수를 메운 뒤, 위의 예와 마찬가지로 싸움을 걸 수 있다. 따라서 이 역시 흑의 사활은 흑사이다.

그림 1:
--
그림 2:
--



때때로 오해를 받기도 하지만, 위 그림과 같은 형태는 백이 수를 메워도 코의 형태가 되지 않으므로 (이 경우 흑이 살 수 있다) 隅のマガリ四目(모서리의 굽은 네 수)가 아니다. 이대로 세키로 간주된다.


  • 그림 1은 백 a・흑 b에 대해 백 △로 둔 경우 흑 □로 흑이 살게 된다 (코가 되지 않음). 흑이 먼저 a 또는 b에 두면 백에게 잡힌다.
  • 그림 2는 백 a・백 b・흑 c에 대해 백 △로 둔 경우 흑 □로 흑이 살게 된다. 백 a・백 c・흑 b도 비슷한 수순으로 흑이 살 수 있다. 흑이 먼저 b 또는 c에 두면 백이 다른 쪽에 수를 메워 흑이 잡힌다.

3. 귀곡사의 규칙

귀곡사는 나라마다 규칙이 조금씩 다르다. 대한민국에서는 귀곡사가 발생하면 해당 돌을 '죽은 돌'로 간주한다. 일본 규칙도 한국과 비슷하게 귀곡사를 '죽은 돌'로 처리한다. 중국 규칙은 실전 해결을 원칙으로 하여, 귀곡사가 발생하면 실제로 돌을 놓아 사활을 확인한다.

위 그림처럼 언뜻 보면 으로 보이지만, 귀곡사라는 특수 규칙 때문에 흑이 죽은 것으로 인정된다. 흑은 백 세 점을 잡으러 들어갈 수 없지만, 백은 특수한 경우에 귀곡사 형태를 만들 수 있다.

위 그림에서 흑은 완생처럼 보이나, 백이 a에 돌을 놓으면 흑돌은 귀곡사로 죽는다. 흑은 b에 착수 금지 구역이므로 돌을 놓을 수 없다.

귀곡사로 죽은 말을 포위하고 있는 쪽이 미생이면 실전 해결이 원칙이다.

위 그림에서는 귀의 흑△를 둘러싸고 있는 두 백 대마 중 백▲가 오궁도화 형태로 죽는 궁도다. 이 형태에서는 흑△가 사석으로 처리되지 않는다.

1981년 조치훈 9단(흑)과 가토 마사오 9단(백)의 혼인보 리그 대국에서 귀곡사가 실제로 나타난 적이 있다.

3. 1. 규칙 적용의 차이

귀곡사 규칙의 차이는 주로 '죽은 돌'로 간주하는 시점과 방법에 있다. 한국과 일본 규칙은 귀곡사 형태를 자체로 '죽은 돌'로 보지만, 중국 규칙은 실제로 돌을 놓아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

일본 규칙에서는 실전에서 죽는다고 단정할 수 없더라도, 백에게 일방적으로 곤을 걸 권리가 있다는 점을 중시하여 귀곡사를 죽은 것으로 처리한다. 1989년 제정된 일본 바둑 규약 제7조의 2항에서는 "대국의 정지 후의 사활 확인 시 동일한 곤에서의 되잡기는 행할 수 없다"고 명시하여, 사활 판정 시 곤의 되잡기 없이 서로 돌을 놓았다고 가정하여 생사를 판단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귀곡사는 죽은 것으로 간주되며, 백은 추가로 돌을 놓아 자신의 땅을 손해 볼 필요가 없다.

반면, 중국 규칙에서는 자신의 땅에 돌을 놓아도 손해가 없으므로, 실전에서 백이 흑돌을 들어내어 해결한다. 일본 규칙에서도 귀곡사를 둘러싼 외부의 돌에 눈이 없는 경우에는 곤을 실제로 거는 등의 방법으로 해결한다.

4. 실전 사례

귀곡사는 실전 대국에서도 종종 나타나는 형태이다. 귀곡사로 죽은 말을 포위하고 있는 쪽이 미생이면, 실전 해결이 원칙이다.

위 그림에서는 귀의 흑△를 둘러싸고 있는 두 백 대마 중 백▲가 오궁도화 형태로 죽는 궁도이다. 이 형태에서는 흑△가 사석으로 처리되지 않으며, 백을 살리기 위해서는 백1로 두어 패를 내어 흑△를 잡아야 한다. (백3 = 2의 1, 흑4 = 1의 1, 백5 = 2의 2)

귀곡사를 다루는 규칙은 약간씩 다른 점이 있는데, 중국식 규칙은 실전 해결이 원칙이고, 일본식 규칙은 한국식과 비슷하다.

위 그림은 귀의 꺾여 있는 네 눈의 한 예시이다. 언뜻 보면 세키처럼 보이지만, 백이 a에 4눈으로 만들어 버리는 수가 있어 귀의 꺾여 있는 네 눈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백 a에 대해 흑이 b에 따내면 다음 그림과 같아진다.

이어서 백이 c에 두면 흑은 d에 호리카(버리는 돌)를 할 수밖에 없고, 백은 e에 따내어 곤(코우)이 된다(다음 그림). 다음에 백이 f에 두면 흑 8점을 잡을 수 있다.

첫 번째 그림으로 돌아가서 생각해보면, 백은 언제든지 곤을 걸 수 있지만, 흑은 타개할 방법이 없다. 즉, 백은 먼저 흑의 곤수를 모두 없앤 후, 앞서 언급한 순서로 곤을 걸면 흑을 잡을 수 있다.

일본 규칙에서는 백에게 일방적으로 곤을 걸 권리가 있다는 것을 중시하여 이 부분을 단독으로 죽은 것으로 처리한다. 1989년에 제정된 일본 바둑 규약에서는 "「대국의 정지」후의 사활 확인 시 동일한 곤에서의 되잡기는, 행할 수 없다"(제7조의 2)라고 명시되어 있다. 즉, 사활 판정은 곤의 되잡기 없이 서로 돌을 놓았다고 가정하여 판단하므로, 역시 죽은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백은 추가로 돌을 놓아 자기 땅을 손해 볼 필요가 없다.

중국 규칙에서는 자기 땅에 손을 넣어도 손해가 없으므로, 실전에서 백 측이 흑돌을 아게하마로 쳐서 해결한다. 일본 규칙에서도 귀의 꺾여 있는 네 눈을 둘러싼 외부 돌에 눈이 없는 경우에는 곤을 실제로 걸어 해결한다.

4. 1. 조치훈-가토 마사오 대국 (1981)

1981년 혼인보 리그에서 조치훈 9단(흑)과 가토 마사오 9단(백)의 대국에서 귀곡사가 나타났다. 이 대국은 귀곡사 규칙이 적용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위 그림은 당시 대국 중 마지막 국면으로, 상변에서 중앙으로 뻗어나온 흑 대마(△)가 두 집을 내지 못해 잡히기 직전이었다. 조치훈 9단은 이 흑 대마를 살리기 위해 우상귀의 귀곡사를 활용했다. 흑 1부터 흑 17까지는 귀곡사를 잡기 전 팻감을 모두 없애는 수순이었다. (흑 9 = 백 14)

5. 귀곡사 논란



귀곡사는 바둑 규칙의 복잡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로, 규칙은 명확하지만 실제 적용 과정에서 논란이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귀곡사를 둘러싼 돌의 상태에 따라 사활 판단이 달라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위 그림은 귀의 꺾여 있는 네 눈의 예시이다. 언뜻 보면 세키처럼 보이지만, 백이 a에 4눈으로 만들면 흑이 b에 따내더라도 백이 c에 두어 흑은 d에 호리카(捨石)할 수밖에 없고, 백은 e에 따내어 곤(코우)이 된다. 이후 백이 f에 두면 흑 8점을 잡을 수 있다. (위 그림 참조)

백은 언제든지 곤을 걸 수 있지만, 흑은 타개할 방법이 없다. 백은 먼저 흑의 곤수를 모두 없앤 후 곤을 걸면 흑을 잡을 수 있다.

일본 규칙에서는 백에게 일방적으로 곤을 걸 권리가 있다는 점을 중시하여 이 부분을 단독으로 죽은 것으로 처리한다. 1989년 제정된 일본 바둑 규약에서도 사활 판정 시 곤의 되잡기는 없는 것으로 간주하므로 역시 죽은 것으로 된다. 백은 추가로 돌을 놓아 자기 땅을 손해 볼 필요가 없다.

중국 규칙에서는 자기 땅에 손을 넣어도 손해가 없으므로, 실전에서 백이 흑돌을 아게하마로 쳐서 해결한다. 일본 규칙에서도 귀의 꺾여 있는 네 눈을 둘러싼 외부 돌에 눈이 없으면 곤을 실제로 거는 것으로 해결한다.

5. 1. 귀곡사 해결

귀곡사로 죽은 말을 포위하고 있는 쪽이 미생이면 실전 해결이 원칙이다. 이는 귀곡사 규칙의 예외적인 상황으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위 그림에서는 귀의 흑△를 둘러싸고 있는 두 백 대마 중 백▲가 오궁도화의 형태로 죽는 궁도다. 이 형태에서는 흑△가 사석으로 처리되지 않는다. 이 백을 살리기 위해서는 백1로 두어 를 내어 흑△를 잡자고 하는 수밖에 없다(백3 = 2의 1, 흑4 = 1의 1, 백5 = 2의 2).

귀곡사를 다루는 규칙은 약간씩 다른 점이 있다. 중국식 규칙은 실전 해결이 원칙이고, 일본식 규칙은 한국식과 비슷하다.

위 그림은 1981년 혼인보 리그에서 조치훈 9단(흑)과 가토 마사오 9단(백)의 대국 중 마지막 국면이다. 상변으로부터 중앙으로 뻗은 흑 대마(△)가 두 을 내지 못해서 잡히기 직전으로, 이 흑을 살리기 위해서는 백이 흑 대마의 활로를 모두 차단하기 전에 a에 두어 패를 내고 잡는 수밖에 없다. 흑 1부터 흑 17까지가 우상귀의 귀곡사를 잡으러 들어가기에 앞서서 팻감을 모두 제거하는 수이다. (흑 9 = 백 14)

위 그림은 귀의 꺾여 있는 네 눈의 한 예시이다. 언뜻 보면 세키처럼 보이지만, 백이 a에 4눈으로 만들어 버리는 수가 있어, 이것이 귀의 꺾여 있는 네 눈이라는 이름의 유래이다. 백 a에 대해 흑이 b에 따내면 다음 그림과 같아진다.

이어서 백이 c에 두면 흑은 d에 호리카(捨石, 버리고 버리는 돌)을 할 수 밖에 없고, 백은 e에 따내어 곤(코우)이 된다(다음 그림). 다음에 백이 f에 두면 흑 8점을 잡을 수 있다.

첫 번째 그림으로 돌아가서 생각해보면, 백은 언제든지 곤을 걸 수 있지만, 흑은 타개할 방법이 없다. 즉, 백은 먼저 흑의 곤수를 모두 없애고, 앞서 언급한 순서로 곤을 걸면 흑을 잡을 수 있다.

일본 규칙에서는, 실전적으로는 죽는다고 단정할 수는 없더라도("판의 다른 부분에 양곤세키가 있다" 등), 백에게 일방적으로 곤을 걸 권리가 있다는 것을 중시하여, 이 부분을 단독으로 죽은 것으로 처리한다. 또한 1989년에 제정된 일본 바둑 규약에서는, "「대국의 정지」후의 사활 확인 시 동일한 곤에서의 되잡기는, 행할 수 없다"(제7조의 2), 즉 사활 판정은 곤의 되잡기는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서로 돌을 놓았다고 하여 살 수 있는지 여부로 판단한다고 정하고 있기 때문에, 역시 죽은 것으로 된다. 즉, 백은 여기에 돌을 추가로 놓아 자기 땅을 손해볼 필요는 없다.

중국 규칙에서는 자기 땅에 손을 넣어도 손해가 없기 때문에, 실전적으로 백 측이 흑돌을 아게하마로 쳐서 해결한다. 일본 규칙에서도, 귀의 꺾여 있는 네 눈을 둘러싼 외부의 돌에 눈이 없는 경우에는, 곤을 실제로 걸거나 하는 것으로 해결하게 된다.

6. 귀곡사와 관련된 바둑 용어

귀곡사는 , , 미생, 오궁도화, 세키, 곤 등 다른 바둑 용어들과 연관되어 이해해야 한다. 특히 귀곡사로 죽은 말을 포위하고 있는 쪽이 미생이면 실전 해결이 원칙이며, 귀곡사를 다루는 규칙은 나라마다 약간씩 다르다. 또한, '귀의 꺾여 있는 네 눈'과 같이 특수한 형태는 추가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6. 1. 관련 용어


  • 귀곡사(鬼谷死): 귀에서 특수한 형태로 몰려 죽는 모양.


언뜻 보면 으로 보이나, 귀곡사라는 특수한 규칙이 적용되어 흑이 죽은 것으로 인정된다. 흑은 백 세 점을 잡으러 들어갈 수 없지만, 백은 특수한 경우에 들어갈 수 있다. 그러면 가 나게 되는데, 바깥쪽 돌은 안쪽 돌을 잡으러 가는 시도조차 할 수 없으나, 안쪽 돌은 팻감을 전부 없애버린 후 바깥쪽 돌을 잡으러 가서 패를 낼 수 있는 모양이기 때문에, 그대로 둘 경우 계가 시 바깥쪽 돌이 죽은 것으로 인정된다.

귀곡사로 죽은 말을 포위하고 있는 쪽이 미생이면, 실전 해결이 원칙이다. 귀의 흑△를 둘러싸고 있는 두 백 대마 중 백▲가 오궁도화 형태로 죽는 궁도인 형태에서는 흑△가 사석으로 처리되지 않는다. 이 백을 살리기 위해서는 백1로 두어 패를 내 실로 흑△를 잡자고 하는 수밖에 없다.

귀곡사를 다루는 규칙은 약간씩 다른 점이 있다. 중국식 규칙은 실전 해결이 원칙이고, 일본식 규칙은 한국식과 비슷하다.

  • 귀의 꺾여 있는 네 눈: 귀에서 꺾여 있는 네 눈 형태.


언뜻 보면 세키처럼 보이지만, 백이 특정한 곳에 두어 4눈으로 만들어 버리는 수가 있어, 이것이 귀의 꺾여 있는 네 눈이라는 이름의 유래이다. 백은 언제든지 곤을 걸 수 있지만, 흑은 타개할 방법이 없다. 즉, 백은 먼저 흑의 곤수를 모두 없애고, 앞서 언급한 순서로 곤을 걸면 흑을 잡을 수 있다.

일본 규칙에서는 백에게 일방적으로 곤을 걸 권리가 있다는 것을 중시하여, 이 부분을 단독으로 죽은 것으로 처리한다. 1989년에 제정된 일본 바둑 규약에서는 사활 판정은 곤의 되잡기는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서로 돌을 놓았다고 하여 살 수 있는지 여부로 판단한다고 정하고 있기 때문에, 역시 죽은 것으로 된다.

중국 규칙에서는 자기 땅에 손을 넣어도 손해가 없기 때문에, 실전적으로 백 측이 흑돌을 아게하마로 쳐서 해결한다. 일본 규칙에서도, 귀의 꺾여 있는 네 눈을 둘러싼 외부의 돌에 눈이 없는 경우에는, 곤을 실제로 걸거나 하는 것으로 해결하게 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