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리제 86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리제 86은 K형 주계열성인 글리제 86 A와 백색 왜성인 글리제 86 B로 구성된 쌍성계이다. 글리제 86 A는 태양보다 작고 어두우며, 슈퍼목성인 글리제 86 b를 거느리고 있다. 글리제 86 B는 글리제 86 A로부터 멀리 떨어져 공전하며, 이 시스템은 외계 행성을 가진 가장 좁은 쌍성계 중 하나이다. 글리제 86 b는 1998년에 발견되었으며, 시선 속도법을 통해 그 존재가 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1년 발견한 천체 - 리누스 (위성)
리누스는 2001년 장 뤽 마고와 마이클 브라운에 의해 발견된 칼리오페의 위성이며, 2006년 항성 엄폐 현상 관측을 통해 정확한 크기와 위치가 밝혀진 최초의 사례이다. - 2001년 발견한 천체 - 로물루스 (위성)
소행성 87 실비아의 위성인 로물루스는 낮은 밀도를 가지며, 이는 실비아와 로물루스가 소행성 충돌로 인해 생긴 파편들이 재결합하여 형성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에리다누스자리 - 아케르나르
아케르나르는 에리다누스자리에서 가장 밝고 지구에서 아홉 번째로 밝게 보이는 청색 항성으로, 빠른 자전으로 편구체 모양을 하고 있으며 적도면에 가스 원반을 가지고 있고 동반성을 거느리고 있다. - 에리다누스자리 -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란)은 태양과 유사한 K형 주계열성으로, 행성 b와 두 개의 소행성대, 먼지 원반을 거느리고 있어 외계 행성 탐색의 주요 대상이다. - 백색왜성 - 시리우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8.6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이며,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 강 범람 예측에 중요했고,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중심이 되었으며, 색깔에 대한 역사적 논쟁과 에드먼드 핼리의 고유 운동 관측으로 알려져 과학과 대중문화에 널리 사용된다. - 백색왜성 - 프로키온
프로키온은 작은개자리에 있는 밝은 쌍성계로, F형 주계열성 단계를 거의 마친 주성 프로키온 A와 백색 왜성인 프로키온 B로 이루어져 밤하늘에서 여덟 번째로 밝게 보이며 여러 문화권에서 숭배받고 과학적으로 연구되는 별이다.
글리제 86 | |
---|---|
개요 | |
별자리 | 에리다누스자리 |
기타 명칭 | LHS 13 CD-51 532 GJ 86 HIP 10138 HR 637 SAO 232658 |
관측 정보 | |
적경 (J2000.0) | 02h 10m 25.9191s |
적위 (J2000.0) | -50° 49′ 25.4672″ |
시선 속도 | 56.7 km/s |
고유 운동 | 적경: 2124.853 ± 0.075 밀리초/년, 적위: 638.092 ± 0.063 밀리초/년 |
시차 | 92.7042 |
절대 등급 | 5.95 |
특징 | |
분광형 | K1V + DQ6 |
R-I | 0.40 |
V-R | 0.45 |
B-V | 0.812 |
U-B | 0.45 |
물리적 특성 | |
질량 | 글리제 86 A: 0.83 ± 0.05 M☉, 글리제 86 B: 0.5425 M☉ |
반지름 | 글리제 86 A: 0.79 ± 0.03 R☉, 글리제 86 B: 0.01245 R☉ |
표면 중력 | 글리제 86 A: 4.56 ± 0.10, 글리제 86 B: 8.02 |
표면 온도 | 글리제 86 A: 5180 ± 80 K, 글리제 86 B: 8180 ± 120 K |
금속 함량 | -0.27 ± 0.07 |
자전 속도 | 2.0 ± 1.0 km/s |
나이 | 10 ± 1 Gy |
궤도 요소 (글리제 86 B 기준) | |
공전 주기 | 약 100년 |
궤도 긴반지름 | 23.7 au |
궤도 이심률 | 0.429 |
궤도 경사 | 126.44° |
승교점 경도 | 234.2° |
식별 정보 | |
글리제 86 A | CD=−51°532 HD=13445 HIP=10138 HR=637 SAO=232658 WDS=J02104-5049A |
글리제 86 B | GJ=86 B HD=13445B WD=0208-510 WDS=J02104-5049B |
외부 링크 | |
SIMBAD | HD 13445 |
ARICNS | 00185 |
NStED | HD 13445 |
EPE | Gl 86 |
2. 항성계
글리제 86 항성계는 주성인 글리제 86 A와 반성인 백색 왜성 글리제 86 B로 구성되어 있다. 글리제 86 B는 주성에서 약 21 AU 떨어져 있으며, 이 발견으로 글리제 86 항성계는 외계 행성을 가진 가장 좁은 쌍성계 중 하나가 되었다.
초기 히파르코스 우주 탐사선으로 수행된 천체 측정은 행성 b의 궤도 경사가 164.0°이고 질량이 목성의 15배로, 이 천체가 갈색 왜성임을 시사했다.[6] 하지만 추가 분석 결과 히파르코스 측정은 항성 이하 동반체의 천체 측정 궤도를 신뢰성 있게 결정할 만큼 정확하지 않으며, 따라서 후보 행성의 궤도 경사 및 실질 질량은 여전히 알려지지 않았다.[7] 이 행성은 제네바 천문대가 운영하는 스위스 1.2m 레온하르트 오일러 망원경에 의해 발견되었다.[8] 이러한 천체는 모항성으로부터 2 AU 지점에서 잘린 원시 행성 원반에서 형성되었다.[2]
글리제 86의 시선 속도 측정 결과 이 행성의 운동을 제거하면 선형 경향이 나타난다. 이는 백색 왜성 동반체의 궤도 운동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글리제 86계의 연령은 관측량에 근거한 추정에서는 복수의 보고에서 수십억 년으로 구해지고 있지만, 한편으로 글리제 86의 공간 속도는 매우 오래된 별의 종족임을 나타내며, 그것을 토대로 이론에서 구한 값은 100억 년이 된다.
2. 1. 글리제 86 A
'''글리제 86 A'''는 분광형 K1V의 K형 주계열성이다. 태양과 비교했을 때 질량은 태양 질량의 83%, 반지름은 태양 반지름의 79%, 광도는 태양 광도의 50%이다. 가까운 궤도를 도는 거대한 목성형 행성이 발견되었다.특성 | 글리제 86 A | 태양 |
---|---|---|
질량 | 태양 질량의 83% | 100% |
반지름 | 태양 반지름의 79% | 100% |
광도 | 태양 광도의 50% | 100% |
2. 2. 글리제 86 B
글리제 86 B는 주성에서 21 AU 떨어져 있는 백색 왜성이다. 이 발견으로 글리제 86 항성계는 행성을 지니고 있는 항성계들 중 주성과 반성 사이 거리가 가장 짧은 존재가 되었다.[22] 2001년에 발견되었으며 처음에는 갈색 왜성으로 인식되었으나,[23] 2005년 관측으로 이 천체는 백색 왜성일 가능성이 커졌다. 이는 해당 천체의 스펙트럼이 평범한 갈색 왜성에서 나오는 분자 흡수선을 보여주지 않는 것으로 알 수 있다.[24] 백색 왜성의 질량이 태양의 절반 정도라고 가정한다면 시선속도 관측을 통해 B와 주성 사이 거리는 18.42 AU에 이심률은 0.3974임을 알 수 있다.[25]두 별이 모두 주계열성에 있었을 때, 두 별 사이의 거리는 약 9 AU로 더 가까웠다.[2] 백색 왜성에 대한 더 정확한 측정 결과, 질량은 태양 질량의 55%이며[2] 온도는 약 8200 K이다.
2001년, 글리제 86 A의 동쪽, 약 2 초 떨어진 위치에 어두운 천체 글리제 86 B가 발견되었고, 고유 운동이 글리제 86 A와 같기 때문에 쌍성인 것으로 밝혀졌다. 발견 초기에는 색으로부터 추정되는 스펙트럼형이 갈색 왜성의 것이었기 때문에 갈색 왜성으로 예상되었지만, 글리제 86 A에서 관측되는 시선 속도의 변화로부터 요구되는 글리제 86 B의 질량은 갈색 왜성의 상한보다 상당히 큰 것이며, 스펙트럼에도 갈색 왜성에서 특징적인 성분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글리제 86 B는 백색 왜성으로 결론지어졌다. 행성을 가진 성계에서 백색 왜성의 반성이 발견된 것은 이것이 처음이다.
글리제 86 A와 글리제 86 B는 발견 후 12년간의 위치 관계 변화로부터 궤도를 예측하면, 120 년에서 460년의 주기로 공전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3. 행성계
글리제 86 항성계는 주성 글리제 86 A와 백색왜성 글리제 86 B, 그리고 외계 행성 글리제 86 b로 구성되어 있다.
글리제 86 b는 글리제 86 A 주위를 공전하는 슈퍼목성으로, 목성 질량의 4배 이상이다. 이 행성은 어머니 항성으로부터 약 0.11 AU 떨어진 거리에서 15.77일 주기로 공전한다.[20]
1998년 제네바 천문대 연구진은 라 실라 천문대의 망원경을 이용한 시선 속도법으로 글리제 86의 시선 속도 변화를 감지하여 행성의 존재를 확인했다.
히파르코스 위성의 초기 관측은 글리제 86 b가 갈색 왜성일 가능성을 제시했으나, 추가 분석 결과 데이터의 신뢰도가 낮아 실제 질량은 미지수이다.[21]
3. 1. 글리제 86 b
글리제 86 b는 어머니 항성 글리제 86 A를 돌고 있는 외계 행성이다. 질량으로 보아 슈퍼목성으로 분류되며, 항성으로부터 0.11AU 떨어져 있다. 1회 공전 주기는 15.77일이다.[20]히파르코스 위성이 측정천문학적 방법으로 측정한 글리제 86 b의 궤도경사각은 164도였으며, 이를 통해 유추한 글리제 86 b의 질량은 목성의 15배로 갈색 왜성 수준이었다.[6] 그러나 추가 분석 결과 히파르코스 위성의 측정 수치는 신뢰할 만큼 정확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이 행성의 실제 질량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다.[7]
이 행성은 제네바 천문대가 운영하는 스위스 1.2m 레온하르트 오일러 망원경으로 발견되었다.[8] 이러한 천체는 모항성으로부터 2AU 지점에서 잘린 원시 행성 원반에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2]
글리제 86의 시선 속도 측정 결과, 이 행성의 운동을 제거하면 선형 경향이 나타난다. 이는 백색 왜성 동반체의 궤도 운동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1998년, 제네바 천문대 등의 그룹은 라 실라 천문대의 1.2m 망원경을 사용한 시선 속도법으로 행성 탐색을 시작했고, 글리제 86에서 행성에 의한 것으로 보이는 시선 속도 변화를 검출했다. 다음 해, 이 행성의 존재가 확정되었으며, 목성의 4배 이상 질량을 가진 거대 가스 행성이 15.8일 주기로 공전하고 있다고 추정되었다. 이와 함께, 발견된 행성과는 별개의 동반 천체에 의한 것으로 보이는 장기적인 시선 속도 변화도 검출되었고, 이는 동반성 글리제 86 B의 발견으로 이어졌다.
요소 | 값 |
---|---|
질량 | |
긴반지름 (AU) | |
공전 주기 (일) | |
이심률 |
참조
[1]
웹사이트
Open Exoplanet Catalogue, Gliese 86
http://www.openexopl[...]
2020-07-13
[2]
논문
The Gliese 86 Binary System: A Warm Jupiter Formed in a Disk Truncated at ≈2 au
[3]
논문
A second substellar companion in the Gliese 86 system. A brown dwarf in an extrasolar planetary system
http://www.aanda.org[...]
2009-12-19
[4]
논문
Gl86B: a white dwarf orbits an exoplanet host star
2005
[5]
논문
New constrains on Gliese 86 B. VLT near infrared coronographic imaging survey of planetary hosts
2006
[6]
논문
Preliminary astrometric masses for proposed extrasolar planetary companions
http://www.iop.org/E[...]
2009-03-09
[7]
논문
Screening the Hipparcos-based astrometric orbits of sub-stellar objects
http://www.aanda.org[...]
2009-12-27
[8]
웹사이트
Southern Sky extrasolar Planet search Programme
http://obswww.unige.[...]
2009-02-18
[9]
웹사이트
HD 13445 -- High proper-motion Star
https://simbad.u-str[...]
CDS
2019-04-28
[10]
간행물
The HIPPARCOS and TYCHO catalogues. Astrometric and photometric star catalogues derived from the ESA HIPPARCOS Space Astrometry Mission
ESA Publications Division
1997
[11]
간행물
Accurate Empirical Radii and Masses of Planets and Their Host Stars with Gaia Parallaxes
2017-03
[12]
간행물
The CORALIE survey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I. A planet orbiting the star Gliese 86
2000-02
[13]
웹사이트
Extrasolar Planet in Double Star System Discovered from La Silla
https://www.eso.org/[...]
ESO
2019-04-29
[14]
간행물
Orbital and evolutionary constraints on the planet hosting binary GJ 86 from the Hubble Space Telescope
2013-03
[15]
간행물
A second substellar companion in the Gliese 86 system. A brown dwarf in an extrasolar planetary system
2001-04
[16]
간행물
Gl86B: a white dwarf orbits an exoplanet host star
2005-07
[17]
간행물
On the Age of Gliese 86
2014-04
[18]
간행물
Preliminary astrometric masses for proposed extrasolar planetary companions
2001-02
[19]
간행물
Screening the Hipparcos-based astrometric orbits of sub-stellar objects
2001-06
[20]
논문
Preliminary astrometric masses for proposed extrasolar planetary companions
http://www.journals.[...]
2008-07-22
[21]
논문
Screening the Hipparcos-based astrometric orbits of sub-stellar objects
http://adsabs.harvar[...]
[22]
논문
Two Suns in The Sky: Stellar Multiplicity in Exoplanet Systems
http://cdsads.u-stra[...]
2008-07-22
[23]
논문
A second substellar companion in the 글리제 86 system. A brown dwarf in an extrasolar planetary system
http://cdsads.u-stra[...]
[24]
논문
Gl86B: a white dwarf orbits an exoplanet host star
http://cdsads.u-stra[...]
[25]
논문
New constrains on Gliese 86 B. VLT near infrared coronographic imaging survey of planetary hosts
http://cdsads.u-str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