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금개구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금개구리는 몸길이 약 6cm의 한국 고유종으로, 밝은 녹색의 등과 연한 갈색의 융기선, 누런빛을 띤 붉은색 배를 가진 개구리이다.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장남들판에서 대규모 서식지가 발견되었으며, 서해안 도서 지역 등에서도 소규모로 발견된다. 과거에는 논이나 웅덩이에서 흔히 발견되었으나, 도시 개발, 농약 사용, 참개구리와의 경쟁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감하여 현재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1년 기재된 양서류 - 물두꺼비
  • 참개구리속 - 유럽식용개구리
    유럽식용개구리는 유럽 중부와 동부 원산으로 식용을 위해 유럽 각지에 퍼졌으며 여러 물가에 서식하고 곤충류를 먹으며 늪개구리, 풀개구리의 잡종으로 L-E 시스템이라는 독특한 생식 방식으로 번식하는 클렙톤이다.
  • 참개구리속 - 웃는개구리
    웃는개구리는 유럽과 아시아에 걸쳐 서식하며 절지동물, 물고기, 양서류 등을 먹는 대형 개구리로, 서식지 파괴와 외래종으로 인한 유전적 위협에 직면해 있다.
  • 한국의 양서류 - 계곡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는 대한민국 산간 계곡에 서식하며 흑색 반점이 있는 연한 갈색 또는 황갈색의 몸, 2월에서 4월 사이 둥근 알 덩어리 번식, 서식지 파괴 및 환경 오염으로 인한 개체수 감소, 야생 개체 포획 및 식용 금지 등의 특징을 가진다.
  • 한국의 양서류 - 물두꺼비
금개구리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금개구리
금개구리
학명Pelophylax chosenicus
명명자Okada, 1931
한국어 이름금개구리
영어 이름Korean golden frog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양서강
개구리목
개구리과
참개구리속(Pelophylax)
분포
금개구리 분포도
분포
보존 상태
IUCNVU (취약종)
대한민국 환경부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이명
학명 이명Rana chosenica
학명 이명 명명자Okada, 1931
학명 이명 2Rana plancyi chosenica
학명 이명 2 명명자Shannon, 1956

2. 특징과 생태

몸길이는 약 6cm이다. 몸의 등쪽은 밝은 녹색이고, 고막과 등의 옆줄에 있는 융기선은 연한 갈색이며, 배쪽은 누런빛을 띤 붉은색이다. 주둥이는 앞끝이 둥글고, 콧구멍은 타원형이다. 눈꺼풀이 잘 발달되어 있고, 동공은 검은색이다. 홍채/Iris영어는 대개 황금색 가루를 뿌린 것 같으며, 각막은 누런빛이 도는 푸른색을 띠고 있다. 고막은 검은빛을 띤 갈색이고 타원형이며, 둘레에 가는 융기가 있다. 몸통은 팽대되어 있고, 등쪽에 둥근 융기가 촘촘히 있다. 앞다리가 뒷다리보다 발달되어 있다. 암수 모두에게 울음주머니가 없다. 산란 시기는 5월 중순부터 6월까지 이어진다.[7]

개체의 이동성은 크지 않으나, 하루 평균 10m 내외를 이동하며 한 해 동안 700m2정도의 영역에서 활동한다.[8]

2. 1. 신체 특징

몸길이는 약 6cm이다. 몸의 등쪽은 밝은 녹색이고, 고막과 등의 옆줄에 있는 융기선은 연한 갈색이며, 배쪽은 누런빛을 띤 붉은색이다. 주둥이는 앞끝이 둥글고, 콧구멍은 타원형이다. 눈꺼풀이 잘 발달되어 있고, 동공은 검은색이다. 홍채/Iris영어는 대개 황금색 가루를 뿌린 것 같으며, 각막은 누런빛이 도는 푸른색을 띠고 있다. 고막은 검은빛을 띤 갈색이고 타원형이며, 둘레에 가는 융기가 있다. 몸통은 팽대되어 있고, 등쪽에 둥근 융기가 촘촘히 있다. 앞다리가 뒷다리보다 발달되어 있다. 암수 모두에게 울음주머니가 없다. 산란 시기는 5월 중순부터 6월까지 이어진다.[7] 개체의 이동성은 크지 않으나, 하루 평균 10m 내외를 이동하며 한 해 동안 700m2정도의 영역에서 활동한다.[8]

2. 2. 생태

몸길이는 약 6cm이다. 몸의 등쪽은 밝은 녹색이고, 고막과 등의 옆줄에 있는 융기선은 연한 갈색이며, 배쪽은 누런빛을 띤 붉은색이다. 주둥이는 앞끝이 둥글고, 콧구멍은 타원형이다. 눈꺼풀이 잘 발달되어 있고, 동공은 검은색이다. 홍채는 대개 황금색 가루를 뿌린 것 같으며, 각막은 누런빛이 도는 푸른색을 띠고 있다. 고막은 검은빛을 띤 갈색이고 타원형이며, 둘레에 가는 융기가 있다. 몸통은 팽대되어 있고, 등쪽에 둥근 융기가 촘촘히 있다. 앞다리가 뒷다리보다 발달되어 있다. 암수 모두에게 울음주머니가 없다. 산란 시기는 5월 중순부터 6월까지 이어진다.[7]

개체의 이동성은 크지 않으나, 하루 평균 10m 내외를 이동하며 한 해 동안 700m2정도의 영역에서 활동한다.[8]

3. 분포

금개구리는 한국 고유종으로,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장남들판에서 대규모 서식지가 발견되었다.[9] 이 지역은 이전에 논이 조사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발견이 늦어졌지만, 금개구리는 이전부터 계속 서식했던 것으로 보인다.[9] 서해안 도서 지역 등 작은 규모의 서식지도 여러 곳에서 발견되고 있다.[9]

과거에는 논이나 웅덩이에서 흔히 볼 수 있었지만, 도시 개발, 농약 사용, 참개구리와의 경쟁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감하여 현재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9]

금개구리는 과거 한국, 몽골, 중국 등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현재는 한국 고유종으로 중국과는 다른 아종으로 분류되었다.[9] 2012년 충남 비오톱 조사에서 세종특별자치시(당시 충남 연기군 남면) 장남들판에 대규모 서식지가 발견되었으며, 서해안 도서지역 및 여러 곳에서도 작은 규모로 발견되고 있다.[9] 장남들판의 경우, 2012년 비오톱 조사에서 발견된 것은 이전에 논이 조사 대상지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이며, 이전에도 동일 장소에 계속 서식했던 것으로 보인다.[9]

과거에는 논이나 웅덩이에서 흔히 볼 수 있었지만, 도시 개발, 농약 사용, 그리고 참개구리와의 경쟁에서 밀려나면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9]

3. 1. 한국 내 분포

금개구리는 한국 고유종으로,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장남들판에서 대규모 서식지가 발견되었다.[9] 이 지역은 이전에 논이 조사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발견이 늦어졌지만, 금개구리는 이전부터 계속 서식했던 것으로 보인다.[9] 서해안 도서 지역 등 작은 규모의 서식지도 여러 곳에서 발견되고 있다.[9]

과거에는 논이나 웅덩이에서 흔히 볼 수 있었지만, 도시 개발, 농약 사용, 참개구리와의 경쟁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감하여 현재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9]

3. 2. 과거 분포

금개구리는 과거 한국, 몽골, 중국 등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현재는 한국 고유종으로 중국과는 다른 아종으로 분류되었다.[9] 2012년 충남 비오톱 조사에서 세종특별자치시(당시 충남 연기군 남면) 장남들판에 대규모 서식지가 발견되었으며, 서해안 도서지역 및 여러 곳에서도 작은 규모로 발견되고 있다.[9] 장남들판의 경우, 2012년 비오톱 조사에서 발견된 것은 이전에 논이 조사 대상지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이며, 이전에도 동일 장소에 계속 서식했던 것으로 보인다.[9]

과거에는 논이나 웅덩이에서 흔히 볼 수 있었지만, 도시 개발, 농약 사용, 그리고 참개구리와의 경쟁에서 밀려나면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9]

4. 멸종 위기

4. 1. 개체 수 감소 원인

4. 2. 보전 노력

참조

[1] 간행물 "''Pelophylax chosenicus''" 2004
[2] 웹사이트 Pelophylax chosenicus (Okada, 1931) {{!}} Amphibian Species of the World https://amphibiansof[...] 2022-12-11
[3] 백과사전 금개구리 http://100.naver.com[...] 2007-06-12
[4] 저널 Korea regional update http://www.amphibian[...]
[5] 간행물 "''Pelophylax chosenicus''" 2004
[6] 문서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7] 문서 두피디아
[8] 저널 금개구리(Pelophylax chosenicus) 최대 이동거리에 관한 보고 http://www.krsh.co.k[...] 2018
[9] 웹인용 도 농기원, 귀하신 몸 금개구리 인공증식 성공 https://gnews.gg.go.[...] 2020-06-3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