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국보 제78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국보 제78호)은 석가가 태자였을 때 인생의 고뇌를 표현한 태자사유상에서 유래한 반가사유상으로, 미륵보살의 고뇌하는 모습을 조형화한 것이다. 6세기 후반 삼국 시대에 유행하여 금동 또는 석조로 제작되었으며, 일본 야츄지 반가사유상에 '미륵상'이라는 명문이 있는 것에서 '미륵보살'로 불리게 되었다. 이 불상은 머리에 일월식 삼면보관을 쓰고, 날씬한 신체와 부드러운 곡선미, 중국 동위 및 서위 불상 양식을 반영한 특징을 보인다. 제작지는 신라로 추정되지만, 고구려 불상이라는 견해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가사유상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국보 제83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국보 제83호)은 7세기 신라 시대에 제작된 높이 약 93cm의 금동 반가사유상으로, 삼산관을 쓰고 사실적이고 생동감 있는 조각 기법과 깊은 사색에 잠긴 얼굴 표현이 특징이다. - 반가사유상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 금동불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국보 제83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국보 제83호)은 7세기 신라 시대에 제작된 높이 약 93cm의 금동 반가사유상으로, 삼산관을 쓰고 사실적이고 생동감 있는 조각 기법과 깊은 사색에 잠긴 얼굴 표현이 특징이다. - 금동불 -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은 통일신라 시대의 금동불상으로, 신체의 비례와 조형 기법이 뛰어나 통일신라 3대 금동불상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미륵보살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국보 제83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국보 제83호)은 7세기 신라 시대에 제작된 높이 약 93cm의 금동 반가사유상으로, 삼산관을 쓰고 사실적이고 생동감 있는 조각 기법과 깊은 사색에 잠긴 얼굴 표현이 특징이다. - 미륵보살 -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고려 시대에 조성된 국보 제323호의 거대한 석불로, 은진미륵이라고도 불리며 토속 신앙과 불교가 혼합된 독자적인 양식을 보여준다.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국보 제78호) | |
---|---|
기본 정보 | |
![]() | |
문화재 지정 | 대한민국의 국보 제78호 |
명칭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
한자 표기 |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 |
로마자 표기 | Geumdong Mireuk Bosal ban-gasang |
영문 명칭 | Gilt-bronze Pensive Maitreya Bodhisattva |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
시대 | 삼국시대 |
수량 | 1구 |
소유 | 국유 |
재질 | 금-동 |
종류 | 불상 |
높이 | 83.2cm |
소장처 | 국립중앙박물관 |
위치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
제작 정보 | |
작가 | 미상 |
제작 년도 | 6세기 |
상세 정보 | |
특징 | 미륵보살의 반가상 |
참고 자료 | 문화재청 |
박물관 웹사이트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정보 |
문화재청 웹사이트 | 문화재청 국가유산 정보 |
기타 | |
관련 기사 | 국보 ‘반가사유상’, 우주를 담은 방에 나란히 좌정하다 |
2. 반가사유상의 기원과 의미
반가사유상은 석가가 태자 시절 인생의 무상함을 느끼고 중생 구제의 길을 찾기 위해 고뇌하는 모습에서 유래했다.[1]
2. 1. 명칭과 도상
반가사유상은 불교 경전의 내용에서 유래한다. 석가가 태자였을 때 부귀영화를 누리다가 인생의 무상함을 깨닫고 중생을 구제할 방법을 찾기 위해 고뇌하는 모습, 즉 태자사유상(太子思惟像)에서 비롯된 것이다. '반가(半跏)'는 한쪽 다리를 다른 쪽 무릎 위에 얹은 자세를, '사유(思惟)'는 생각에 잠긴 모습을 의미한다.[1]이러한 반가사유상을 '미륵보살(彌勒菩薩)'이라고 부르게 된 것은 일본 야츄지(野中寺)에 있는 666년에 조성된 반가사유상에 '미륵상'이라는 명문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대부분 '태자사유상'으로 기록되어 있고, 간혹 '용화수사유상(龍華樹思惟像)'이라는 명문도 발견된다. 용화수는 미륵불이 미래에 이 세상에 나타나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세 번의 설법을 펼치는 장소를 상징한다.[1]
한국에서는 경주 근교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 중 반가사유상에 '미륵석상'이라는 명문이 있다. 또한 신라에서는 청년 귀족 집단인 화랑 제도와 미륵신앙을 연결시켜 '미륵보살반가상'이라고 불렀다. 특히 삼국 시대 6세기 후반부터 유행하여 신라 중기까지 금동 또는 석조로 많은 반가사유상이 만들어졌다.[1]
2. 2. 한국의 미륵신앙과 반가사유상
반가사유상은 불전(佛典)의 내용 중에서 석가가 태자였을 때 궁궐에서 부귀영화를 누리며 안락하게 살아가다가 어느 날 궁궐 밖에는 생로병사(生老病死)라고 하는 고통의 삶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어 인생의 무상함을 느끼고 이러한 고통으로부터 중생들을 구제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고뇌하는 태자사유상(太子思惟像)에서 유래된 도상이다.이러한 반가사유상을 '미륵보살(彌勒菩薩)'로 부르게 된 것은 일본 야츄지(野中寺)에 있는 666년에 조성되었다고 하는 반가사유상에 '미륵상'이라는 명문이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의 경우는 반가사유상이 대부분 '태자사유상'으로 기록되어 있고 간혹 '용화수사유상(龍華樹思惟像)'이라는 명문도 발견되고 있다. 이 용화수란 석가불(釋迦佛)의 제자로서 미래에 성불(成佛)하리라는 언약을 받고 도솔천(兜率天)에 올라가 있는 미륵불이 석가 입멸 후 56억 7천만 년이 지난 뒤에 이 세상에 나타나서 남아 있는 모든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용화수 밑에서 세 번의 설법을 한다고 하는 미륵불의 하생(下生)을 상징하는 것이다.
한국에서는 경주 근교에 있는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 중 반가사유상에 '미륵석상'이라는 명문이 있으며, 또 신라에서는 청년 귀족 집단인 화랑 제도와 미륵신앙을 연결시켜 흔히 '미륵보살반가상'이라고 불렀다. 특히 삼국 시대인 6세기 후반부터 유행하기 시작하여 신라 중기까지 많은 반가사유상이 금동 또는 석조로 만들어졌다.
3. 국보 제78호 금동반가사유상
국보 제78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은 한국 반가사유상의 대표작 중 하나로, 섬세하고 아름다운 조형미를 자랑한다. 머리에 쓴 삼면보관(三面寶冠)은 이란의 사산조 왕관에서 유래한 일월식(日月飾) 장식이 특징이며, '일월식삼산관사유상(日月飾三山冠思惟像)'이라고도 불린다.
뒷모습까지도 완벽하게 조각되어 있는데, 특히 천의가 U자형으로 길게 늘어지게 표현된 점이나 의자에 보이는 투각 장식은 매우 보기 드문 예이다.
이 반가사유상은 출토지를 알 수 없어 제작지에 대한 여러 설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신라 시대의 불상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둥근 맛이 적고 평면성이 강조된 직선 위주의 조형감 때문에 고구려 불상으로 보는 새로운 견해도 있다.
3. 1. 세부 묘사
머리에는 특이한 형태의 삼면보관(三面寶冠)을 쓰고 있는데, 보관 위에 초승달과 둥근 해를 얹어놓은 일월식(日月飾) 장식이 표현되어 있어 '일월식삼산관사유상(日月飾三山冠思惟像)'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일월식 보관은 이란의 사산조 왕관에서 유래된 것으로 중국, 한국, 일본에 이르기까지 나타난다. 보관 밑으로는 관대(冠帶)가 양쪽 끝에 있는 둥근 고리를 통해 두 가닥으로 나뉘어 어깨 위에까지 내려와 있으며, 목에는 가운데 끝이 뾰족한 굵은 목걸이가 장식되어 있다.얼굴은 약간 네모난 편으로 눈을 가늘게 떴으며, 코는 유난히 오똑하게 표현되어 있고, 입가의 미묘한 미소 등에서 사색적이면서도 신비로운 느낌을 준다. 머리에 비해 신체는 매우 날씬하게 표현되었는데, 좁은 어깨와 가는 허리, 팔 등에서 부드러운 곡선미가 잘 드러나 있다. 얇은 천의(天衣)는 양쪽 어깨에서 넓게 펴져서 양끝이 뻗어 있고, 몸 앞쪽으로 내려온 천의자락은 무릎 부분에서 교차하여 다시 양 팔에 걸쳐 내려오다가 대좌 양쪽에서 리본으로 묶여져 있다. 이와 같이 날개처럼 뻗어있는 옷깃은 중국에서는 피건(被巾)이라 하며 북제 후기에서 동위 초기의 불상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천의 형식이다. 허리에 걸친 군의(裙衣)는 띠 매듭으로 묶여 있는데, 두 다리 위에 표현된 층단식 주름이나 대좌를 덮고 있는 Ω형의 옷 주름은 입체감이 없고 형식적이면서도 예리한 선으로 표현되어 있어 강인한 인상을 준다. 이 불상은 뒷모습까지도 완벽하게 조각되어 있는데, 특히 천의가 U자형으로 길게 늘어지게 표현된 점이나 의자에 보이는 투각 장식은 매우 보기 드문 예에 속한다.
이 금동반가사유상에 보이는 날씬하면서도 탄력감 있는 신체 표현과 날개와 같은 옷깃, X자형의 천의, 형식적인 옷 주름 표현 등은 대체로 중국 동위 및 서위의 불상 양식이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국보 제83호 금동미륵반가상과 함께 6세기 후반경의 삼국 시대의 대표적인 불상이라고 할 수 있다.
3. 2. 양식과 제작 시기
국보 제78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은 날씬한 신체 표현, 날개와 같은 옷깃, X자형 천의, 형식적인 옷 주름 등 중국 동위 및 서위의 불상 양식이 반영된 것이 특징이다. 국보 제83호 금동미륵보살반가상과 함께 6세기 후반 삼국 시대의 대표적인 불상으로 평가된다. 출토지가 불분명하여 제작지에 대한 여러 설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신라 시대의 불상으로 보고 있다. 다만, 최근에는 둥근 맛이 적고 평면성이 강조된 직선 위주의 조형감으로 인해 고구려 불상으로 보는 견해도 제기되고 있다.
4. 사진
참조
[1]
서적
Arts of Korea
1998
[2]
웹사이트
Heritage Search - National Treasure 78
http://english.cha.g[...]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8-01-22
[3]
웹사이트
Collection Database - Pensive Bodhisattva
http://www.museum.go[...]
National Museum of Korea
2018-01-22
[4]
간행물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문화재청장
2010-06-28
[5]
뉴스
국보 ‘반가사유상’, 우주를 담은 방에 나란히 좌정하다
https://www.hani.co.[...]
한겨레
2021-11-15
[6]
웹사이트
http://m.new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