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위는 535년 북위 효무제가 고환의 제거에 실패하고 우문태에게 의탁하면서 건국된 남북조 시대의 국가이다. 우문태가 실권을 장악하고 황제는 허수아비였으며, 동위보다 국력은 약했지만 사원 전투에서 승리하는 등 군사적으로 우위를 점했다. 남조의 혼란을 틈타 영토를 확장했으며, 후경의 난을 틈타 투항한 소찰을 이용해 강릉을 함락시키고 후량을 세우기도 했다. 556년 우문태 사후 그의 아들 우문각이 북주를 건국하면서 멸망했다. 서위 시대에는 불교와 불교 미술이 번성했으며, 둔황 석굴과 마이지산 석굴에서 관련 유물을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주 - 서위 공제
서위 공제 원곽은 서위 문제의 아들로, 폐제 폐위 후 우문태에 의해 옹립되었으나 실권 없이 우문씨의 영향력 아래 있다가 우문각에게 제위를 선양하고 살해되어 서위는 멸망했으며, 재위 기간 동안 연호는 사용되지 않았다. - 북주 - 당 고조
당 고조 이연은 566년에 태어나 635년에 사망한 당나라의 초대 황제로, 수나라의 혼란을 틈타 반란을 일으켜 당나라를 건국하고 재위 기간 동안 수나라 제도를 복원하며 반란 세력을 진압하다가 아들 이세민에게 황위를 물려주고 물러났다. - 서위 - 서위 공제
서위 공제 원곽은 서위 문제의 아들로, 폐제 폐위 후 우문태에 의해 옹립되었으나 실권 없이 우문씨의 영향력 아래 있다가 우문각에게 제위를 선양하고 살해되어 서위는 멸망했으며, 재위 기간 동안 연호는 사용되지 않았다. - 서위 - 서위 폐제
서위 폐제 원흠은 북위 효문제의 손자이자 서위 문제의 장남으로, 우문태와의 갈등으로 폐위 및 살해된 서위의 제2대 황제이다. - 북조 (중국) - 북제
북제는 고환의 아들 고양이 동위 효정제로부터 선양받아 건국되었으며, 경제력을 바탕으로 돌궐과 연합하여 북주와 대립했으나, 후주 시기의 실정과 내부 갈등으로 쇠퇴하여 577년 북주에 의해 멸망한 남북조 시대의 북조 국가이다. - 북조 (중국) - 동위
동위는 534년부터 550년까지 중국 남북조 시대에 존재한 왕조로, 고환이 효정제를 옹립하여 건국되었으나 그의 영향력 아래 허수아비 황제가 통치하다가 고환의 아들 고양에 의해 멸망했으며, 불교 미술에서 간다라 및 중앙아시아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서위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국호 | 서위 (西魏) |
로마자 표기 | Xī Wèi |
다른 표기 | 魏 |
공식 명칭 | 위 (魏) |
건국 시기 | 535년 |
멸망 시기 | 557년 |
존속 기간 시작 | 535년 2월 18일 |
존속 기간 종료 | 557년 2월 14일 |
이전 국가 | 북위 |
이후 국가 | 북주 |
시대 | 남북조 시대 |
정치 체제 | 군주제 |
수도 | 장안 |
통화 | 중국 동전 중국 엽전 |
역대 황제 | |
황제 1 | 문황제 |
황제 1 재위 기간 | 535년–551년 |
황제 2 | 폐제 |
황제 2 재위 기간 | 552년–554년 |
황제 3 | 공제 |
황제 3 재위 기간 | 554년–557년 |
역사적 사건 | |
건국 사건 | 문황제 즉위, 종종 건국으로 간주됨 |
이전 사건 | 동위 건국, 북위 분열 시작 |
이전 사건 날짜 | 534년 11월 8일 |
후속 사건 | 북주 건국 |
후속 사건 날짜 | 557년 2월 14일 |
언어 | |
공용어 | 선비어 중국어 |
주변 국가 | |
주변 국가 1 | 양나라 |
2. 역사
534년 북위가 동위와 서위로 분열된 후, 선비족 장군 우문태가 문제를 옹립하여 서위가 건국되었다. 서위는 동위보다 영토와 인구가 작았지만, 537년 사원전투에서 동위의 공격을 막아내는 등 군사적으로 여러 차례 동위를 압도했다. 또한, 남조 양나라의 혼란을 틈타 서쪽 영토를 정복하고 사천 지역을 점령하기도 했다.[4]
556년 우문태 사후, 그의 아들 우문각은 557년 공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북주를 건국하고 천왕에 즉위했다. 이로써 서위는 멸망하였다.[6]
2. 1. 건국 배경
534년 북위 효무제는 대승상 고환을 제거하려는 음모를 꾸몄으나 실패하고 낙양에서 관중으로 도망쳐 우문태의 보호를 받았다. 황제가 없어진 고환은 곧이어 업에서 효정제를 옹립하여 동위를 건국하였다. 한편 효무제를 보호하던 우문태는 효무제와 사이가 나빠져 그를 독살하고 문제를 옹립하여 서위를 건국하였다.[6]2. 2. 우문태의 집권과 대외 확장
534년 효무제가 대승상 고환을 제거하려다 실패하고 낙양에서 관중으로 도망쳐 우문태에게 의탁했다. 고환은 업에서 효정제를 옹립하여 동위가 건국되었다. 우문태는 효무제와 사이가 나빠져 그를 독살하고 문제를 옹립하여 서위가 건국되었다.[6]서위는 우문태가 실권을 장악하여 황제는 꼭두각시였다. 국력은 동위보다 약했지만, 군사적으로 동위를 여러 차례 압도했다.[6]
남조 양나라가 후경의 난으로 혼란에 빠진 틈을 타 양나라를 공격하여 익주 일대를 빼앗아 남쪽으로 영토를 넓혔다. 공제 때는 후경의 난으로 항복해 온 양나라 옹주자사 소찰을 이용하여 양나라 도읍 강릉을 공격, 함락시키고 원제를 죽인 뒤 소찰을 후량 황제로 세웠다.[6]
2. 3. 북주 건국과 멸망
534년 효무제가 고환을 제거하려는 음모가 실패로 돌아가자, 효무제는 낙양에서 관중으로 도망쳐 우문태의 보호를 받았다. 고환은 효무제 대신 효정제를 옹립하여 동위를 건국했다. 한편, 우문태는 효무제를 독살하고 문제를 옹립하여 서위를 건국했다.서위는 우문태가 실권을 장악하여 황제는 꼭두각시에 불과했다. 국력은 동위보다 약했지만, 군사적으로는 동위를 여러 차례 압도했다.
남조의 양나라가 후경의 난으로 혼란에 빠진 틈을 타 양나라를 공격하여 익주 일대를 빼앗아 영토를 확장했다. 공제 때에는 후경의 난을 틈타 항복해 온 양나라 옹주자사 소찰을 이용하여 양나라 도읍 강릉을 공격하여 함락시키고 원제를 죽인 뒤, 소찰을 후량의 황제로 세웠다.
556년 우문태가 사망한 후, 뒤를 이은 우문각은 사촌 동생 우문호의 도움을 받아 공제로부터 선양을 받고 제위에 올라 북주를 건국하여 서위는 멸망했다.[4]
3. 정치 및 군사 제도
서위는 535년 우문태가 효무제를 독살하고 문제(文帝)를 옹립하면서 건국되었다. 우문태는 실질적인 최고 권력자로서 서위의 정치 및 군사 제도를 개혁하였다.
서위의 주요 군사 제도로는 팔주국과 십이대장군이 있었다.
3. 1. 팔주국(八柱國)
순위 | 관직 | 이름 | 비고 |
---|---|---|---|
1 | 사지절·총백규·주국대장군·도독중외제군사·록상서사·대행대·안정군개국공 | 우문태 | |
2 | 사지절·태위·주국대장군·대도독·상서좌복사·롱우행대·소사·롱서군개국공 | 이호 | |
3 | 사지절·태부·주국대장군·대종백·대사도 | 원흔 | 광릉왕 |
4 | 사지절·태보·주국대장군·대도독·대종백·조군개국공 | 이필 | |
5 | 사지절·주국대장군·대도독·대사마·하내군개국공 | 독고신 | |
6 | 사지절·주국대장군·대도독·대사구·남양군개국공 | 조귀 | |
7 | 사지절·주국대장군·대도독·대사공·상산군개국공 | 우근 | |
8 | 사지절·주국대장군·대도독·소부·팽성군개국공 | 후막진숭 |
『주서』 권16 및 『대당육전』 권2(상서이부·사훈랑중조)에 따르면 위와 같다. 다른 사료에서도 이호를 제외한 순위는 모두 일치하지만, 이호의 위치는 『통전』 권34(직관일육·훈관조)·『문헌통고』 권64(직관일팔·훈관조)에서는 원흔 아래(제3위), 『자치통감』 권163(량·간문제 대보원년조)에서는 이필 아래(제4위)에 있다. 전도마가요의 연구에 따르면, 당나라 시대에 편찬된 『주서』 단계에서 이호, 즉 당나라 추존황제 태조를 황조로 위치시켜 다른 신하들 아래에 두지 않도록 사료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한다(북주 건국자인 우문태의 제1위는 바꿀 수 없었다). 전도마가는 팔주국 중 이호·후막진숭을 제외한 6명(우문태 포함)이 모두 주국대장군과 함께 도입된 육경에 임명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소사였던 이호는 소부였던 후막진숭보다 상위이지만, 육경보다는 하위, 즉 제7위가 정확한 순위였다고 추정한다.[7]
3. 2. 십이대장군(十二大將軍)
직책 | 이름 | 비고 |
---|---|---|
使持節・大将軍・大都督・少保・広平王 | 원찬(元賛) | |
使持節・大将軍・大都督・淮安王 | 원육(元育) | |
使持節・大将軍・大都督・斉王 | 원곽(元廓) | 후의 서위 공제(恭帝) |
使持節・大将軍・大都督・秦南秦等十五州諸軍事・秦州刺史・章武郡開国公 | 우문도(宇文導) | |
使持節・大将軍・大都督・平原郡開国公 | 후막진순(侯莫陳順) | |
使持節・大将軍・大都督・雍北雍等七州諸軍事・雍州刺史・高陽郡開国公 | 달혜무(達奚武) | |
使持節・大将軍・大都督・陽平郡公 | 이원(李遠) | |
使持節・大将軍・大都督・范陽郡開国公 | 두루녕(豆盧寧) | |
使持節・大将軍・大都督・化政郡開国公 | 우문귀(宇文貴) | |
使持節・大将軍・大都督・荊州諸軍事・荊州刺史・博陵郡開国公 | 하란상(賀蘭祥) | |
使持節・大将軍・大都督・陳留郡開国公 | 양충(楊忠) | |
使持節・大将軍・大都督・岐州諸軍事・岐州刺史・武威郡開国公 | 왕웅(王雄) |
4. 외교 관계
서위는 동위보다 영토와 인구가 작았지만, 537년 사원전투(沙苑之戰)에서 동위의 공격을 막아냈다.[4] 경제적으로 유리했던 서위는 남쪽의 양나라(梁)의 서쪽 영역 전체를 정복하고 오늘날의 사천 지역을 점령하기도 했다.[4]
549년, 남조 양이 후경의 난(侯景の乱)으로 혼란에 빠지자, 후경(侯景) 타도를 꾀하는 남조 양의 황족들과 손을 잡고, 북위 분열 시 남조 양으로부터 빼앗겼던 한중(漢中) 지방을 되찾았다. 553년에는 사천 지방을 빼앗아 영토를 확장했다.[6] 554년에는 강릉(江陵)을 함락시켜 남조 양의 원제를 죽이고, 옹주(雍州)자사(刺史) 소숙(蕭詧) (선제)를 강릉으로 보내 양의 황제로 즉위시켜 서위의 괴뢰 정권인 후량(서량)을 세웠다.[6] 다만, 왕승변(王僧弁)과 진패선(陳霸先) (후의 남조 진의 무제)에 의해 양이 존속되었기 때문에(후에 진패선이 찬탈하여 진을 건국함), 후량의 지배 지역은 강릉 주변 800리 정도로 한정되었다.[6]
동위와의 전투는 일진일퇴를 거듭했고, 550년 고환(高歓)의 아들 고양(高洋)이 동위로부터 선양(禅譲)을 받아 북제(北齊)를 세우자, 우문태(宇文泰)는 즉시 동벌을 감행했다.[6] 그러나 큰비가 내려 서위 군대가 철군하자, 서위에 기울었던 구 동위 사람들도 북제에 따르게 되었다.[6]
한편, 신흥 투르크 제국과의 혼인 동맹도 이루어졌는데, 투르크 제국의 초대 카간인 부민 가한(재위 552년)은 551년 6월 루란 제국(柔然)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키고 552년 제1 투르크 카가네이트를 세우기 전에 서위의 장락공주와 결혼했다.[4]
5. 문화
불교와 불교 미술은 서위 시대에 번영했는데, 서위는 22년간 지속된 짧은 왕조였다. 서위 시대의 석굴 사원은 둔황과 마이지산에서 발견된다.[5]
5. 1. 대표적인 문화 유물
불교와 불교 미술은 서위 시대에 번영했는데, 서위는 겨우 22년간 지속된 왕조였다. 서위 시대의 석굴 사원은 둔황과 마이지산에서 발견된다.[5]
6. 역대 황제
참조
[1]
서적
Zizhi Tongjian
:zh:s:資治通鑑/卷157
[2]
서적
Zizhi Tongjian
:zh:s:資治通鑑/卷166
[3]
서적
Zizhi Tongjian
:zh:s:資治通鑑/卷156
[4]
서적
A Compendium of Medieval World Sovereign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3-06-30
[5]
서적
Buddhist Sculpture from China: Selections from the Xi'an Beilin Museum : Fifth Through Nin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China Institute Gallery
2007
[6]
간행물
東魏・北斉等の情勢と西魏の南進戦略総括
汲古書院
2013
[7]
간행물
西魏八柱国の序列について
汲古書院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