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가치 이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대-가치 이론은 개인의 행동이 성공에 대한 기대와 과업의 가치에 의해 결정된다는 이론으로, 교육, 심리학, 건강, 커뮤니케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존 윌리엄 앳킨슨이 개인의 성취 동기를 설명하기 위해 개발했으며, 재클린 에클스는 이 이론을 교육 분야에 적용했다. 이 이론은 기대와 가치가 상호 작용하여 학업 성취도와 같은 결과를 예측하며, 기대는 성공에 대한 믿음, 과업 가치는 중요성, 유용성, 즐거움으로 구성된다. 이 이론은 1970년대 마틴 피시바인에 의해 합리적 행동 이론으로 확장되었고, 현재까지도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신 이론 -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는 정서적, 유형적, 정보적, 교우적 지지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개인의 심리적, 신체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스트레스 완화, 질병 예방 및 회복에 기여하는 개념이다. - 통신 이론 - 배양 이론
배양 이론은 텔레비전 시청과 같은 미디어 노출이 시청자의 현실 인식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을 설명하며, 시청 시간이 많을수록 미디어에서 묘사되는 현실과 일치하는 사회 현실을 믿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가정한다. - 동기 이론 - 목표설정이론
목표설정이론은 에드윈 A. 로크가 체계화한 이론으로, 인간의 행동이 의식적인 목표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고, 구체적이고 어려운 목표 설정이 성과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밝혀 경영,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동기 이론 - 인지부조화
인지 부조화는 상반된 믿음이나 정보 간의 충돌로 발생하는 정신적 불편함이며, 사람들은 이를 해소하기 위해 인지를 변화시켜 조화를 추구한다는 이론이다.
기대-가치 이론 | |
---|---|
개요 | |
이름 | 기대-가치 이론 |
원어 | Expectancy-value theory |
분야 | 심리학, 교육학, 동기 부여 |
주요 개념 | 기대, 가치, 성취 동기 |
관련 이론 | 자기 결정 이론, 귀인 이론 |
이론 배경 | |
초기 연구 | 에드워드 톨먼의 목적 행동주의, 커트 레빈의 장 이론 |
주요 학자 | 존 kinson, 빅터 브룸, 제크 바이버 |
이론의 핵심 | |
기대 (Expectancy) | 특정 행동이 특정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개인의 주관적인 믿음 또는 확률. 성공에 대한 기대, 노력에 대한 믿음 등을 포함. |
가치 (Value) | 개인이 특정 결과에 부여하는 중요성 또는 매력도. 성취 가치, 내재적 가치, 효용 가치, 비용 등을 포함. |
동기 (Motivation) | 기대와 가치의 곱으로 결정됨. 기대가 높고 가치가 클수록 동기가 강해짐. |
기대-가치 구성 요소 | |
성취 가치 (Achievement Value) |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서 얻는 만족감 또는 중요성. |
내재적 가치 (Intrinsic Value) | 과제 자체에 대한 흥미 또는 즐거움. |
효용 가치 (Utility Value) | 과제가 현재 또는 미래의 목표 달성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인식. |
비용 (Cost) | 과제를 수행하는 데 드는 노력, 시간, 감정적 부담 등 부정적인 측면. |
적용 분야 | |
교육 | 학생들의 학습 동기, 과목 선택, 학업 성취도 예측 및 설명. |
직업 | 직무 만족도, 직무 성과, 직업 선택 동기 분석. |
건강 | 건강 행동 실천 (예: 운동, 금연) 동기 부여. |
스포츠 | 운동 참여 동기, 스포츠 성과 예측. |
강점 및 한계점 | |
강점 | 동기 부여의 다양한 측면을 포괄적으로 설명, 실증적 연구를 통해 검증됨. |
한계점 | 개인의 주관적인 인식에 초점, 사회적, 문화적 요인 간과 가능성, 복잡한 동기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음. |
비판 | |
비판점 | 기대와 가치의 곱으로 동기를 설명하는 방식이 지나치게 단순화되었다는 비판 존재. |
2. 교육 모델
존 윌리엄 앳킨슨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개인의 성취 동기를 이해하기 위해 기대-가치 이론을 개발했고,[1] 1980년대에 재클린 에클스는 이 연구를 교육 분야로 확장했다.[1] 기대-가치 이론은 교육 분야에서 학생들의 학업 동기와 성취를 설명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모델 중 하나이다.[1]
기대-가치 이론에 따르면, 학생들의 성취와 성취 관련 선택은 크게 성공에 대한 기대와 주관적 과제 가치라는 두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1] 성공에 대한 기대는 특정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개인의 믿음을 의미하며, 주관적 과제 가치는 과제를 얼마나 중요하고, 유용하며, 즐겁게 인식하는지를 나타낸다.[1]
연구에 따르면 기대와 가치는 상호 작용하여 학생들의 몰입, 지속적인 관심, 학업 성취와 같은 중요한 결과들을 예측한다.[1][2][3] 또한, 인구 통계학적 특성, 고정관념, 이전 경험, 타인의 믿음과 행동에 대한 인식 등 다른 요인들은 기대와 가치를 통해 간접적으로 성취 관련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
2. 1. 역사와 모델 개요
존 윌리엄 앳킨슨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걸쳐 개인의 성취 동기를 설명하기 위해 기대-가치 이론을 개발하였다.[22] 1980년대 재클린 에클스는 이 이론을 교육 분야에 적용하였다.[22]기대-가치 이론에 따르면, 학생들의 성취와 성취 관련 선택은 대부분 두 가지 요인, 즉 성공에 대한 기대와 주관적 과업 가치에 의해 결정된다.[22] 성공에 대한 기대는 개인이 과업에서 성공하기 위해 자신의 능력에 얼마나 자신감을 갖고 있느냐를 의미하며, 과업 가치는 개인이 그 과업을 얼마나 중요하고, 유용하며, 즐겁게 인식하는지를 의미한다. 이론[22]과 실험[23][24]을 통해, 기대와 가치는 몰입, 지속적인 흥미, 그리고 학업 성취도와 같은 중요한 결과를 예측하기 위해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인구 통계학적 특성, 고정관념, 이전의 경험, 타인의 믿음과 행동에 대한 인식과 같은 다른 요인들은 기대와 가치를 통해 간접적으로 성취 관련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이 모델은 교육 분야에서 가장 널리 적용되고 연구되고 있다.
2. 2. 기대
기대는 개인이 단기적 또는 장기적인 미래에 수행할 과제에 대한 성공 가능성에 대한 믿음이다.[25] 개인이 가지고 있는 믿음은 그들이 하는 선택뿐만 아니라 그들의 행동도 형성한다. 예를 들어, 고등학생들은 학력고사 때문에 정말로 애쓰고 있다고 믿을 수 있다. 이는 그들이 스스로 SAT에서 좋지 못한 성적을 거둘 것으로 예상하게 한다. 이러한 믿음은 그들의 SAT에서의 실제 성과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기대는 자아 개념과 자기 효능감과 같은 개념과 관련이 있다. 자아 개념은 목표 달성을 위한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포함하는 폭넓은 개념이다.[26] 자기 효능감은 능력과 역량에 대한 자신의 믿음을 포함하기 때문에 학문적 맥락에서 자아 개념과 비슷하지만, 수학이나 역사와 같은 특정 분야에만 한정된다.[26]개인의 기대는 행동과 선택과 관련이 있다. 기대는 자아 개념과 자기 효능감과 같은 능력-믿음과 관련이 있다. 자아 개념은 특정 영역에서의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포함하는, 영역별로 특정한 개념이다.[5] 자기 효능감은 개인이 미래의 특정 과제 또는 관련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믿는 것이다.[6][7]
2. 3. 주관적 과업 가치
존 윌리엄 앳킨슨이 제시하고 재클린 에클스가 발전시킨 기대-가치 이론에서, 주관적 과업 가치는 개인이 특정 과업에 대해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고, 얼마나 흥미를 느끼며, 얼마나 유용하다고 생각하는지, 그리고 그 과업을 수행하는 데 드는 비용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나타낸다.[22] 이는 "내가 이 활동을 하고 싶은가? 왜?"라는 질문에 대한 개인의 응답을 통해 나타나는 동기 부여로 이해할 수 있다.[27]주관적 과업 가치는 네 가지 하위 요소로 구성된다.[22]
전통적으로 성취 가치와 본질적 가치는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28] 이 두 가치는 내재적 동기, 흥미, 과제 지속성과 관련되는 경향이 있다.[28] 실용 가치는 내재적 요소와 외재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며,[29] 과제 수행과 흥미와 같은 다양한 결과와 관련되어 있다.[30] 또한, 실용 가치는 시간에 따라 그 중요성이 달라질 수 있다.[31] 비용은 과거 연구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지만,[27] 최근 들어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32]
한편, 페더(Feather)는 주관적 과업 가치를 보다 보편적인 인간 가치와 연결하여, 과업 가치가 행동을 유발하는 일반적인 동기 중 하나라고 제안했다.[33]
2. 4. 적용
기대-가치 이론은 학생들의 학업 동기를 높이고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된다. 실제로 기대-가치 이론은 동기부여적 믿음을 바꾸고자 하는 조정 프로그램에 적용되어 왔다.[22] 이러한 조정은 기대와 가치를 증진시키고,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37][38] 이는 학생들의 동기 부여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성취도를 높이고 전통적으로 문제시되어 온 학업 격차를 줄이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37][39]예를 들어, 가치 중심 조정은 교사들이 학생들이 수업에서 배우는 내용과 자신의 실제 삶 사이의 관련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데 도움을 준다.[30] 이 교육과정은 고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관심과 성과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37] 특히, 이러한 조정은 초기 기대가 낮은 학생들에게 더 효과적이었다.[30] 기대-가치 이론에 따르면, 이러한 조정은 수업 자료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기 때문에 효과적이다.[30]
2. 4. 1. 발전 궤도
연구에 따르면, 기대와 가치는 이미 6세 무렵에 동기 부여의 서로 다른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34] 마찬가지로, 성과 가치와 효용 가치와 같이 서로 다른 가치의 유형도 초등학교 고학년(5학년) 때 하나의 학업 영역 내에서 구별될 수 있다.[37]일반적으로, 에클스(Eccles)와 동료들[22]은 개인의 기대와 가치를 결정하는 다양한 요인들을 아래와 같이 제시했다.
요인 |
---|
문화적 환경 |
사회화 주체의 신념과 행동 |
개인의 차별적 적성 |
이전의 성취 관련 경험 |
사회적 신념에 대한 개인의 인식 |
경험에 대한 개인의 해석 |
정서적 기억 |
일반적인 목표 |
자아 개념 |
전문가들은 학생들의 동기 부여가 학교에 다니는 동안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는 데 동의한다.[25] 종단 연구는 이러한 일반적인 동기 감소 추세가 사실이며, 동기가 영역별로 다르다는 것을 입증했다.[35] 또한, 연구자들은 동기에 성별 차이가 있다는 것도 증명하였다.[22]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수학 성취도에서의 동기 부여 감소 정도가 특히 심했고, 읽기나 스포츠 영역에서는 그 정도가 덜했다.[35]
연구자들은 이러한 동기 부여 감소에 대해 두 가지 종합적인 설명을 제시했다.[33] 첫째, 다양한 영역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이 더 복잡하고 미묘해지기 때문이다. 학생들은 하위 영역을 구분하며, 이는 평균 수준의 감소로 나타난다. 실제로, 11세 정도의 어린아이들도 학문적 영역을 구별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34] 둘째, 학생들이 나이가 들면서 주변 환경을 보는 초점이 변하기 때문이다. 즉,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교에서의 초점이 학습에서 성취로 바뀌는데, 이러한 변화가 학생들의 동기 부여에 해롭다는 사실이 여러 연구를 통해 드러났다.[36]
2. 4. 2. 조정
기대-가치 이론은 동기 부여적 믿음을 바꾸고자 하는 조정 프로그램에 적용될 수 있고 실제로 그렇게 해오고 있다. 이러한 조정은 기대,[37] 가치를 증진시키고,[37]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38] 이러한 조정은 동기 부여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일반 학생의 성취를 증가시키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전통적으로 문제가 되는 성과 격차를 줄이는 데에 도움을 준다.[37][39] 예를 들어, 가치 중심 조정은 선생님들이 커리큘럼을 짜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개발되어 왔다. 이 커리큘럼은 학생들에게 수업에서 배우는 것과 자신의 실제 삶이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끔 하는 교육과정이다.[30] 이 커리큘럼은 고등학교에서 과학 수업에 대한 관심과 수업 성과를 촉진시켰다.[37] 게다가 이러한 조정은 학생들의 성과와 흥미를 북돋았으며 특히 낮은 초기 기대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에게 더 효과적이었다.[30] 기대-가치 이론에 따르면, 이 조정은 수업 자료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를 이끌어 올리는 데에 효과적이다.3. 심리학, 건강, 커뮤니케이션, 마케팅, 경제학 모델
기대-가치 이론은 본래 사물과 행동에 대한 개인의 태도를 예측하고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심리학자 마틴 피시바인의 연구에 따르면, 이 이론에서 태도는 믿음, 가치에 대한 평가에 의해 발달하고 변화한다. 이 이론은 주로 태도 발달에서 일어나는 정신적인 계산 방식을 밝히려고 노력한다. 기대-가치 이론은 다른 이론들을 개발하는 데 사용되었고, 지금도 여전히 수많은 분야의 연구에 사용되고 있다.
3. 1. 역사
마틴 피시바인은 1970년대 초 기대-가치 이론을 발전시켜, 개인의 태도가 신념과 가치에 대한 평가에 의해 형성되고 변화한다고 주장했다. 피시바인과 이작 아이젠은 1975년 《신념, 태도, 의도 및 행동: 이론과 연구 소개》를 통해 기대-가치 이론을 체계화했다. 이 이론의 기원은 피시바인의 박사 학위 논문(1961, UCLA)과 1962년 및 1963년 《인간 관계》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에서 찾을 수 있다. 피시바인의 연구는 워드 에드워드, 밀턴 J. 로젠버그, 에드워드 톨먼, 존 B. 왓슨과 같은 연구자들의 영향을 받았다. 존 윌리엄 앳킨슨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개인의 성취 동기를 이해하기 위해 기대-가치 이론을 개발했으며,[1] 1980년대에 재클린 에클스는 이 연구를 교육 분야로 확장했다.[1]3. 2. 개념
기대-가치 이론은 개인의 태도가 신념과 가치에 대한 평가에 의해 발달하고 변화한다고 본다. 심리학자 마틴 피시바인의 연구에 따르면, 이 이론은 태도 발달에서 일어나는 정신적인 계산 방식을 밝히려고 노력한다. 기대-가치 이론은 다음 세 가지 기본 요소로 구성된다.[1]1. 개인은 새로운 정보를 접할 때 대상에 대한 믿음을 형성하고, 기존의 믿음은 새로운 정보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2. 개인은 믿음의 근거가 되는 각 속성에 가치를 부여한다.
3. 믿음과 가치를 근거로 한 계산 결과에 따라 기대가 형성되거나 수정된다.
예를 들어, 어떤 학생이 한 교수가 유머러스하다는 평판을 듣고 그 강의에 대해 긍정적 가치를 부여한다면, 그 교수와의 강의가 긍정적인 경험이 되리라는 기대를 갖게 된다. 이후 학생이 강의에서 교수가 실제로 유머러스하다는 것을 확인하면, 이 강의를 의미있다고 계산할 것이다.
피시바인과 아이젠(1975)은 이 이론을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설명한다.
: 태도(a) = Σ (믿음(b) × 가치(v))
이 이론은 합리적 행동 이론으로 확장된다. 합리적 행동 이론은 행동 의도(BI)가 행동에 대한 태도(AB)와 주관적 규범(SN)에 의해 결정된다고 설명한다.
: BI = (AB)W₁ + (SN)W₂
- BI: 행동 의도
- AB: 행동에 대한 태도
- W: 경험적으로 도출된 가중치
- SN: 주관적 규범
3. 3. 현재 사용
기대-가치 이론은 합리적 행위 이론(TRA)과 계획된 행동이론(TPB)으로 발전하였다. 이 이론들은 기대-가치 이론이 가진 예측 및 설명의 약점을 보완하며, 건강 커뮤니케이션 연구, 마케팅,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여전히 중요한 이론으로 활용되고 있다.[1] 1980년대 초반 이후로는 사용 빈도가 줄었지만, 기대-가치 이론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서 여전히 활용되고 있다.4. 강점과 약점
기대-가치 이론은 개인의 대상 및 행동에 대한 태도를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마틴 피시바인의 연구에서 비롯된 이 이론은 태도가 신념과 가치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개발되고 수정된다고 말한다. 기본적으로 이 이론은 태도 발달 과정에서 일어나는 정신적 계산을 파악하려고 시도한다. 기대-가치 이론은 다른 이론들을 개발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수많은 연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 이론은 개인이 기대와 가치에 기반을 두고 어떻게 결정을 하는지에 대한 틀을 제시한다. 또한, 어떤 것을 성취하는 데에 필요한 노력의 실제 양과 상관없이 사람들 사이에서 선택의 차이를 설명하며, 일반적으로 최근의 연구를 통해 지지받고 있다. 그러나 개인의 감정적 상태 등 다양한 요인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인지적 과정을 지나치게 강조하며, 집단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성이 제한적일 수 있다는 약점을 지닌다.
4. 1. 강점
기대-가치 이론은 개인이 기대와 가치에 기반을 두고 어떻게 결정을 하는지에 대한 틀을 제시한다. 또한, 어떤 것을 성취하는 데에 필요한 노력의 실제 양과 상관없이 사람들 사이에서 선택의 차이를 설명하며, 일반적으로 최근의 연구를 통해 지지받고 있다.4. 2. 약점
기대-가치 이론은 다음과 같은 약점을 지닌다.- 개인의 감정적 상태, 성격, 능력, 지식, 기술, 과거 경험 등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다.
- 인지적 과정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무의식적인 요인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 집단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성이 제한적일 수 있다.
5. 관련 학자
마틴 피시바인(Martin Fishbein)은 1970년대 초 기대-가치 이론(Expectancy-Value Theory, EVT)을 개발하여 널리 알려졌다. 이 이론은 피시바인의 기대-가치 이론 또는 간단히 기대-가치 모형이라고도 불린다. 학자들은 주로 마틴 피시바인과 이첵 아이젠(Icek Ajzen)이 1975년에 쓴 "신념, 태도, 의도 및 행동: 이론 및 연구 소개"(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를 바탕으로 기대가치 이론에 대한 논문을 작성한다. 기대가치 이론의 기원이 되는 연구는 피시바인의 박사 학위 논문인 "대상에 대한 신념과 그 대상에 대한 태도 간의 상호 관계에 대한 이론적 및 경험적 조사"(A Theoretical and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Interrelation between Belief about an Object and the Attitude toward that Object, 1961, UCLA)와 그 후 1962년과 1963년에 각각 쓰인 Human Relations 학술지의 글이다. 피시바인의 연구는 워드 에드워즈, 밀턴 J. 로젠버그, 에드워드 톨먼, 존 B. 왓슨과 같은 연구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5. 1. 쿠르트 레빈(Kurt Lewin, 1890-1947)
쿠르트 레빈은 '요구 수준'이라는 개념을 만들었다. 요구 수준은 미래의 성취를 이루는 데 필요한 개인의 기대나 목표를 말한다. 레빈은 목표 설정이 그 일에 대한 개인의 친숙함과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고 생각했다. 그는 여러 아이들에게 고리 전해주기 게임을 하게 하여 요구 수준을 평가했는데, 이는 아이들이 고리를 전해주는 일을 완성하기 위한 동기 부여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그의 실험과 연구 결과는 기대-가치 이론 발전에 기초가 되었다.5. 2. 존 앳킨슨(John Atkinson, 1923-2003)
존 윌리엄 앳킨슨은 1960년대에 동기부여와 성취 심리학을 연구하면서 성취 동기 이론을 창시했다. 이 이론은 개인의 욕구, 기대, 가치를 모두 포함하며, 행동은 동기, 성공 가능성, 유인 가치의 함수라고 보았다. 앳킨슨의 연구는 특정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과 그 과제의 중요성, 가치, 열망을 구별함으로써 동기부여 분야를 발전시켰다.[22] 그의 성취 동기 이론은 기대-가치 이론의 기초가 되었다.참조
[1]
서적
Expectancies, values, and academic behaviors
W. H. Freeman
1983
[2]
논문
Who took the "×" out of expectancy–value theory? A psychological mystery, a substantive-methodological synergy, and a cross-national generalization
2011
[3]
논문
Probing for the multiplicative term in modern expectancy–value theory: A latent interaction modeling study
2012
[4]
논문
Motivational beliefs, values, and goals
2002
[5]
논문
Academic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How different are they really?
2003
[6]
문서
Bandura, 1993
1993
[7]
문서
Bandura, (2012)
2012
[8]
논문
Student's achievement values, goal orientations, and interest: Definitions, development, and relations to achievement outcomes
2010
[9]
논문
Task values, achievement goals, and interest: An integrative analysis
2008
[10]
논문
The role of different types of instrumentality in motivation, study strategies, and performance: know why you learn, so you’ll know what you learn!
2004
[11]
논문
Promoting interest and performance in high school science classes
2009
[12]
논문
The role of the future in student motivation
1999
[13]
논문
The mathematics value inventory for general education students: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2010
[14]
서적
Expectancy–value theory in cross-cultural perspective
Information Age Publishing
2004
[15]
웹사이트
Expectancy-value Theory
https://educationlib[...]
2023-11-21
[16]
논문
Expectancy–value theory: Retrospective and prospective
2010
[17]
논문
Changes in children's self-competence and values: Gender and domain differences across grades one through twelve
2002
[18]
논문
A meta-analytic review of achievement goal measures: Different labels for the same constructs or different constructs with similar labels?
2010
[19]
논문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predict achievement across an adolescent transition: A longitudinal study and an intervention
2007
[20]
논문
Writing about testing worries boosts exam performance in the classroom
2011
[21]
논문
Improving Adolescents' Standardized Test Performance: An Intervention to Reduce the Effects of Stereotype Threat
2003
[22]
서적
Expectancies, values, and academic behaviors
W. H. Freeman
1983
[23]
논문
Who took the “×” out of expectancy-value theory? A psychological mystery, a substantive-methodological synergy, and a cross-national generalization
2011
[24]
논문
Probing for the multiplicative term in modern expectancy–value theory: A latent interaction modeling study
2012
[25]
논문
Motivational beliefs, values, and goals
2002
[26]
논문
Academic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How different are they really?
2003
[27]
논문
Student's achievement values, goal orientations, and interest: Definitions, development, and relations to achievement outcomes
2010
[28]
논문
Task values, achievement goals, and interest: An integrative analysis
2008
[29]
논문
The role of different types of instrumentality in motivation, study strategies, and performance: know why you learn, so you’ll know what you learn!
2004
[30]
논문
Promoting interest and performance in high school science classes
2009
[31]
논문
The role of the future in student motivation
1999
[32]
논문
The mathematics value inventory for general education students: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2010
[33]
서적
Expectancy-value theory in cross-cultural perspective
Information Age Publishing
2004
[34]
논문
Expectancy-value theory: Retrospective and prospective
2010
[35]
논문
Changes in children’s self‐competence and values: Gender and domain differences across grades one through twelve
2002
[36]
논문
A meta-analytic review of achievement goal measures: Different labels for the same constructs or different constructs with similar labels?
2010
[37]
논문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predict achievement across an adolescent transition: A longitudinal study and an intervention.
2007
[38]
논문
Writing about testing worries boosts exam performance in the classroom.
2011
[39]
논문
Improving Adolescents’ Standardized Test Performance: An Intervention to Reduce the Effects of Stereotype Threat.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