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론은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유래한 용어로, 관찰, 명상, 추론을 통해 자연 현상을 이해하려는 시도를 의미한다. 이론은 현실의 복잡성을 단순화하여 설명, 예측, 이해를 돕는 분석 도구이며, 구조, 요건, 실천과의 관계를 갖는다. 과학, 사회 과학, 인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현대 사회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념 체계 - 단위계
    단위계는 물리량의 값을 나타내기 위한 계량 단위의 체계이며, 국제 단위계(SI)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대한민국은 1961년 SI를 법정 계량 단위로 채택했다.
  • 개념 체계 - 결정 구조
    결정 구조는 원자 또는 분자의 규칙적인 배열을 의미하며, 단위 격자와 결정 격자로 분류되고, 다양한 대칭성을 가지며, 재료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결함 등의 요소들을 포함한다.
  • 귀납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귀납 - 밀의 방법
    밀의 방법은 존 스튜어트 밀이 제시한 인과 관계 추론 방법으로, 일치법, 차이법, 일치 차이 병용법, 잉여법, 공변법을 통해 다양한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특정 현상의 원인을 찾는다.
  • 이론 - 철학
    철학은 지혜를 사랑한다는 의미의 그리스어 '필로소피아'에서 유래한 학문으로, 지식과 지혜를 추구하는 삶의 태도를 의미하며, 형이상학, 인식론, 윤리학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며, 19세기 일본에서 '철학'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다.
  • 이론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이론
이론
정의어떤 현상을 설명하거나 예측하기 위해 제안된 체계적인 생각 또는 아이디어의 집합체이다.
특징체계적이고 논리적 구조를 갖는다.
경험적 증거와 논리적 추론을 바탕으로 한다.
다양한 현상을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는 일반성을 가진다.
새로운 사실이나 발견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
어원
그리스어θεωρία (theōría), "관찰, 고찰, 사색"에서 유래했다.
의미"보는 것" 또는 "보는 관점"을 의미한다.
분야별 이론
과학과학적 이론은 자연 현상을 설명하는 검증 가능한 아이디어이다.
의학의학 이론은 질병의 원인, 증상, 치료법을 설명한다.
교육교육 이론은 교육의 목적, 방법, 내용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한다.
철학철학 이론은 존재, 지식, 가치, 이성, 마음 등에 대한 체계적인 사고이다.
학문 분야에서의 이론의 역할
지식 체계화학문 분야에서 이론은 연구 결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연구 방향 제시이론은 연구자들이 새로운 연구 주제를 발견하고 연구 방법을 선택하는 데 지침을 제공한다.
현상 설명 및 예측이론은 관찰된 현상을 설명하고 미래의 사건을 예측하는 데 활용된다.
비판적 사고 촉진이론은 기존의 지식과 아이디어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유도하고 새로운 지식 창출에 기여한다.
이론의 발전 과정
관찰 및 자료 수집특정 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관찰과 관련된 자료 수집을 통해 시작한다.
가설 설정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현상을 설명하는 가설을 세운다.
가설 검증실험, 관찰, 통계 분석 등을 통해 가설을 검증한다.
이론 수립가설 검증 결과와 논리적 추론을 토대로 이론을 수립한다.
이론 수정새로운 발견이나 증거에 따라 이론은 수정되거나 폐기될 수 있다.
과학 이론의 특징
증거 기반과학 이론은 관찰과 실험을 통해 얻어진 증거를 기반으로 한다.
검증 가능성과학 이론은 실험이나 관찰을 통해 검증될 수 있어야 한다.
반증 가능성과학 이론은 반박될 가능성이 있어야 한다.
설명력과학 이론은 관찰된 현상을 명확하고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예측력과학 이론은 새로운 현상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간결성과학 이론은 가능한 한 간결하게 표현되어야 한다.
이론과 실제의 관계
이론의 한계이론은 현실의 복잡성을 완벽하게 반영할 수 없다.
이론의 유용성이론은 복잡한 현실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중요한 도구이다.
실용적 응용이론은 새로운 기술과 정책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참고 문헌
참고자료디지털 대사전
Hippocrates Praeceptiones, Part 1

2. 역사적 기원 및 발전

"이론(theory)"이라는 단어는 "관찰", "주시", "명상" 등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테오리아(θεωρία)'에서 유래했다.[7] 영어 단어 "theory"는 고대 그리스 철학의 전문 용어에서 유래했는데, θεωρία|theoriagrc는 일상적인 단어로는 "관찰, 관람, 주시"를 의미했지만, 더 전문적인 맥락에서는 명상적인 또는 추론적인 자연적인 것에 대한 이해를 가리켰다.[7]

프랜시스 콘포드는 오르페우스교가 "열정적인 공감적 명상"을 의미하는 "theoria"라는 단어를 사용했다고 제안했고,[8] 피타고라스는 이 단어를 "수학적 지식의 합리적이고 불변하는 진리에 대한 열정 없는 명상"을 의미하도록 바꾸었다.[9]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론과 ''praxis''(실천)을 대조했는데, 이러한 대조는 오늘날까지도 존재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 실천과 이론은 모두 사고를 포함하지만, 목표는 다르다. 이론적 명상은 인간이 움직이거나 변화시키지 않는 것들(예: 자연)을 고려하는 반면, ''praxis''는 사고를 포함하지만, 항상 원하는 행동을 목표로 한다.[10]

2. 1. 고대 그리스 철학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테오리아'(θεωρία|theoriagrc)는 원래 '관찰, 관람, 주시'를 의미하는 일상적인 단어였다. 그러나, 명상적인 또는 추론적인 자연적인 것에 대한 이해를 가리키는 전문 용어로 사용되기도 했는데, 이는 실용적인 방법으로 사물을 아는 것과 대조된다.[7]

오르페우스교는 "열정적인 공감적 명상"을 의미하는 "theoria"라는 단어를 사용했다.[8] 피타고라스는 이 단어를 "수학적 지식의 합리적이고 불변하는 진리에 대한 열정 없는 명상"을 의미하도록 바꾸었다.[9] 그는 이러한 지적 추구가 존재의 최고 단계에 도달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피타고라스는 지성이 더 높은 이론의 단계에서 기능하도록 감정과 육체적 욕망을 억제하는 것을 강조했다. 이것은 "theory"라는 단어에 이론(비관여적이고 중립적인 사고)과 실천의 구분을 이끄는 특정 의미를 부여했다.[10]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론과 ''praxis''(실천)를 대조했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실천과 이론은 모두 사고를 포함하지만, 목표는 다르다. 이론적 명상은 인간이 움직이거나 변화시키지 않는 것들, 예를 들어 자연을 고려한다. 반면에 ''praxis''는 사고를 포함하지만, 항상 원하는 행동을 목표로 하며, 그에 따라 인간은 자신의 목적을 위해 스스로 변화나 움직임을 일으킨다.

2. 2. 근대 이후

새로운 이론이 기존 이론보다 현상을 더 잘 설명하고 예측할 경우(즉, 더 큰 설명력을 가질 경우), 새로운 이론이 현실을 더 정확하게 묘사한다고 믿는 것이 정당화된다. 이것을 '이론 간 환원'이라고 하는데, 이는 기존 이론의 용어들을 새로운 이론의 용어들로 환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과거 '소리', '빛', '열'에 대한 이해는 각각 '파동의 압축과 희박', '전자기파', '분자 운동 에너지'로 환원되었다. 서로 식별되는 이러한 용어들을 '이론 간 동일성'이라고 한다. 기존 이론과 새로운 이론이 이러한 방식으로 평행을 이룰 때, 새로운 이론이 현실을 더 완벽하게 묘사한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새로운 이론이 기존 이론의 용어로 환원되지 않고, 오히려 현실을 잘못 나타낸다는 이유로 기존 용어를 대체하는 새로운 용어를 사용할 경우, 이를 '이론 간 제거'라고 한다. 예를 들어, 낡은 과학 이론 중 칼로릭 유체의 움직임으로 열전달을 이해하려는 이론은 에너지로서의 열에 대한 이론이 등장하면서 제거되었다. 또한, 플로지스톤이 연소 및 부식 물질에서 방출되는 물질이라는 이론은 산소의 반응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함께 제거되었다.

3. 이론의 구조 및 요건

이론은 주어진 주제에 대한 이해, 설명, 예측을 위한 분석적 도구이다. 예술과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론이 존재하며, 수리 논리학형식 언어로 표현될 수 있다. 이론은 일반적으로 이성 또는 논리의 원리를 따른다.

이론은 현실을 단순화하고, 지식을 축적하며, 균형 잡힌 시야를 제공하고, 논리적인 설명을 가능하게 한다. 학문의 세계에서 이론은 필수적인 존재이며, 초심자도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돕는다.

두 이론이 동일한 설명력을 가지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구분할 수 없거나 관측적으로 동치라고 한다. 이 경우 편의성이나 철학적 선호도에 따라 선택한다.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에 따르면, 자연수 개념을 표현할 수 있는 일관성 있고 재귀적으로 열거 가능한 이론은 모든 참된 진술을 포함할 수 없다. 따라서 지식의 일부 영역은 수학적 이론으로 완벽하게 형식화될 수 없다. 그러나 이는 과학적 지식의 상당 부분을 형식화하는 수학적 이론 구성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이론은 정리와 구분된다. 정리는 공리로부터 연역적으로 유도되어 (증명된다) 증명되는 반면, 이론은 추상적이고 개념적이며 관찰에 의해 뒷받침되거나 도전받는다. 이론은 '엄격하게 잠정적'인데, 즉 참으로 제안되고 잘못된 추론이나 관찰 오류의 가능성을 고려하기 위해 신중한 검토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때때로 이론은 잘못될 수 있는데, 이는 명확한 관찰 집합이 이론의 기본적인 반론이나 적용과 모순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더 자주 이론은 이론이 적용되는 현상의 종류를 제한하거나 주장을 변경하여 새로운 관찰에 맞게 수정된다.

3. 1. 구조

이론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들로 구성된다.

  • 문장: 참된 진술로 여겨지는 문장들의 집합이다. 이 문장들의 참됨은 항상 전체 이론에 상대적이다. 따라서 동일한 문장이 한 이론에 대해서는 참일 수 있지만, 다른 이론에 대해서는 참이 아닐 수 있다.[11]
  • 목적: 인과성과 현실성이 설득력 있어야 하고, 현실의 사건과 비교하여 간결해야 하며, 기존 지식이나 상식과는 반하는 자명하지 않은 결론을 도출해야 한다.
  • : 원인이 되는 독립 변수와 결과인 종속 변수를 연결하는 틀이 명확해야 한다.
  • 반증 가능성: 이론은 그 참과 거짓을 판별할 수 있는 성질을 가져야 한다.
  • 논증: 논리학적인 논증은 전제와 결론이라는 선언적인 서술로 구성되며, 전제에서 시작하여 추론 과정을 거쳐 결론이 참이라고 주장한다.
  • 개념: 논증을 구성하는 전제와 결론은 각각 불확실한 의미를 갖지 않는 객관적인 언어적 기술인 명제이며, 그 정의에 따라 개념이 확립되어야 한다.
  • 공리원리: 정의된 개념을 사용하여 추론함으로써 공리나 원리를 도출한다.


유클리드 기하학을 확립한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유클리드(Euclides)는 『원론』에서 점과 선에 대한 정의를 먼저 제시하고, 이러한 개념을 사용하여 자명하다고 여겨지는 다섯 가지 공리 체계를 제시한 뒤, 500개의 가설증명하여 정리를 도출했다.[11] 연역적인 방법론 외에 귀납적인 방법론에 의해 도출된 것이라도 그 논리성이 인정되면 타당하다. 정치학, 사회학, 생물학이나 실험물리학 등 귀납적 또는 통계학적인 방법에 기반한 자연과학적 또는 사회과학적인 이론은 매우 많다.

3. 2. 요건

좋은 이론은 다음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 설득력: 인과성과 현실성이 설득력 있어야 한다.
  • 간결성: 현실의 사건과 비교하여 간결해야 한다.
  • 자명하지 않음: 기존 지식이나 상식과는 반하는 자명하지 않은 결론을 도출해야 한다.
  • 명확한 틀: 원인이 되는 독립 변수와 결과인 종속 변수를 연결하는 틀이 명확해야 한다.
  • 반증 가능성: 참과 거짓을 판별할 수 있어야 한다.
  • (선택 사항) 중요성 및 실용성: 이론의 대상이 되는 사건의 중요성이나 실무적인 실용성을 추가할 수 있다.


이론의 기본적인 구조는 여러 과학철학논리학의 원리에 기반한다. 이론은 논증의 형태를 띠는데, 논증은 전제와 결론으로 구성되며 전제에서 시작하여 추론 과정을 거쳐 결론이 참이라고 주장한다. 이 논증을 구성하는 전제와 결론은 객관적인 명제여야 하며, 그 정의에 따라 개념이 확립되어야 한다. 즉, 정의된 개념을 사용하여 추론함으로써 공리원리를 도출한다.

유클리드(Euclides)는 유클리드 기하학을 확립하기위해 『원론』에서 점과 선에 대한 정의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명하다고 여겨지는 다섯 가지 공리 체계를 제시했다. 그리고 그 공리 체계에 따라 500개의 가설증명하여 정리를 도출했다.

4. 이론과 실천의 관계

이론은 정리와 구분된다. ''정리''는 공리(기본적인 가정)로부터 공리 체계의 규칙에 따라 연역적으로 증명된다. 정리는 그 자체로 목표가 되기도 하고, 구체적인 상황에서 검증되거나 적용되는 첫 단계가 되기도 한다. 정리는 결론이 공리의 논리적 귀결이라는 의미에서 참이다. ''이론''은 추상적이고 개념적이며, 세계에서의 관찰에 의해 뒷받침되거나 도전받는다. 이론은 '엄격하게 잠정적'인데, 이는 참으로 제안되고 잘못된 추론이나 관찰 오류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신중한 검토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때때로 이론은 명확한 관찰 집합이 이론의 기본적인 반론이나 적용과 모순되기 때문에 잘못될 수 있다. 그러나 더 자주 이론은 적용되는 현상의 종류를 제한하거나 주장을 변경하여 새로운 관찰에 맞게 수정된다. 전자의 예로는 고전역학이 거시적인 길이 눈금과 빛의 속도보다 훨씬 느린 입자 속도를 포함하는 현상으로 제한되는 것을 들 수 있다.

4. 1. 이론과 실천의 통합

이론은 종종 실제, 즉 프락시스와 구분된다. 작업에 대한 이론적 모델이 작업 자체와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은 의학, 공학, 법률 및 경영과 같은 직업 연구자들에게 흥미로운 주제이다.[13]

이론과 실제의 격차는 연구 지식을 실제 응용으로 전환하고 실무자들이 이를 인식하도록 하는 작업이 있는 지식 전이로 규정되어 왔다. 학자들은 자신들이 생산한 지식을 실무자에게 전달하려고 시도하지 않는 것에 대해 비판을 받아왔다.[13][14] 또 다른 틀은 이론과 지식이 서로 다른 문제를 이해하고 서로 다른 단어로 세상을 모델링하려고 시도한다고 가정한다(서로 다른 온톨로지에피스테몰로지 사용). 다른 틀은 연구가 실제와 관련된 이론을 생성하지 않는다고 말한다.[13]

경영의 맥락에서 Van de Ven과 Johnson은 학자들이 실제로 발생하는 문제를 학제 간 방식으로 조사하여 새로운 실제 결과와 새로운 이론적 모델을 모두 생성하지만 학문적인 방식으로 공유되는 이론적 결과를 목표로 하는 참여형 학문의 형태를 제안한다.[13] 그들은 학문 간의 아이디어 "차익거래"라는 은유를 사용하여 협업과 구분한다.[13]

5. 다양한 분야의 이론

현대에는 대부분의 이론서가 비교적 보편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다룬다. 이는 보편적이지 않은 내용이 많을 경우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분야의 이론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과학 이론: 과학 이론은 관찰과 실험을 통해 반복적으로 확인된 사실을 바탕으로 자연 세계의 어떤 측면을 설명한다.
  • 사회 과학 이론: 사회 과학 이론은 인간 사회의 현상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 인문학 및 예술 이론: 인문학 및 예술 이론은 인간의 문화, 예술, 사상 등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사용된다.


각 분야별 이론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학문 분야이론
인류학카르네이로의 둘러싸임 이론
천문학알퍼-베테-가모프 이론, B2FH 이론, 코페르니쿠스 이론, 뉴턴의 만유인력 이론, 허블 법칙,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 프톨레마이오스 이론
생물학세포 이론, 화학삼투 이론, 진화, 세균 이론, 공생 기원설
화학분자 이론, 기체 운동론, 분자 궤도 함수 이론, 원자가 결합 이론, 전이 상태 이론, RRKM 이론, 화학 그래프 이론, 플로리-휴긴스 용액 이론, 마커스 이론, 루이스 이론 (브뢴스테드-로우리 산-염기 이론의 후속 이론), HSAB 이론, 데바이-휘켈 이론, 고분자 탄성의 열역학 이론, 사행 이론, 고분자 장 이론, 몰러-플레셋 섭동 이론, 밀도 함수 이론, 최전선 분자 궤도 함수 이론, 다면체 골격 전자쌍 이론, 바이어 긴장 이론, 분자 내 원자의 양자 이론, 충돌 이론, 리간드장 이론 (결정장 이론의 후속 이론), 변분 전이 상태 이론, 벤슨 그룹 증분 이론, 특정 이온 상호 작용 이론
기후학기후 변화 이론 (기후 변화에 대한 일반적인 연구), 인위적 기후 변화 (ACC)/인위적 지구 온난화 (AGW) 이론 (인간 활동으로 인한)
컴퓨터 과학오토마타 이론, 대기 행렬 이론
우주론빅뱅 이론, 우주 팽창, 루프 양자 중력, 초끈 이론, 초중력, 초대칭 이론, 다중 우주 이론, 홀로그래피 원리, 양자 중력, M-이론
경제학거시경제 이론, 미시경제 이론, 수요와 공급 법칙
교육학구성주의 이론, 비판적 교육학 이론, 교육 이론, 다중 지능 이론, 진보적 교육 이론
공학회로 이론, 제어 이론, 신호 이론, 시스템 이론, 정보 이론
영화영화 이론
지질학판 구조론
인문학비판 이론
법철학자연법, 법 실증주의, 법적 현실주의, 비판적 법 연구
법철학 참조; 또한 사례 이론
언어학X-바 이론, 정부-구문 이론, 원리와 매개변수, 보편 문법
문학문학 이론
수학근사 이론, 아라켈로프 이론, 점근 이론, 분기 이론, 재난 이론, 범주 이론, 카오스 이론, 쇼케 이론, 부호 이론, 조합 게임 이론, 계산 가능성 이론, 계산 복잡도 이론, 변형 이론, 차원 이론, 에르고딕 이론, 체 이론, 갈루아 이론, 게임 이론, 게이지 이론, 그래프 이론, 군론, 호지 이론, 호몰로지 이론, 호모토피 이론, 이상 이론, 교차 이론, 불변식 이론, 이와사와 이론, K-이론, KK-이론, 매듭 이론, L-이론, 리 이론, 리틀우드-팔레이 이론, 행렬 이론, 측도 이론, 모델 이론, 가군 이론, 모스 이론, 네반린나 이론, 정수론, 장애 이론, 작용소 이론, 순서 이론, PCF 이론, 섭동 이론, 퍼텐셜 이론, 확률론, 람지 이론, 합리적 선택 이론, 표현 이론, 환론, 집합론, 형태 이론, 소규모 소거 이론, 스펙트럼 이론, 안정성 이론, 안정 이론, 슈툼-리우빌 이론, 수술 이론, 트위스터 이론, 양-밀스 이론
음악음악 이론
철학증명론, 추측 이성, 진리 이론, 유형 이론, 가치 이론, 덕 이론
물리학음향 이론, 안테나 이론, 원자 이론, BCS 이론, 등각장 이론, 디랙 홀 이론, 다이나모 이론, 란다우 이론, M-이론, 섭동 이론, 상대성 이론 (고전 역학의 후속 이론), 게이지 이론, 양자장 이론, 산란 이론, 끈 이론, 양자 정보 이론
심리학마음 이론, 인지 부조화 이론, 애착 이론, 대상 영속성, 자극의 빈곤, 귀인 이론, 자기 충족적 예언, 스톡홀름 증후군
공공 예산점증주의, 영기준 예산
공공 행정조직 이론
기호학이론 간 상호 작용, [https://www.degruyter.com/view/j/hssr.2015.4.issue-2/hssr-2015-0014/hssr-2015-0014.xml 전이 발생]
사회학비판 이론, 참여 이론, 사회 이론, 사회학 이론, 사회 자본 이론
통계학극값 이론
연극공연 이론
시각 예술미학, 예술 교육 이론, 건축학, 구도, 해부학, 색채 이론, 투시도, 시각 지각, 기하학, 다양체
기타폐기된 과학 이론


5. 1. 과학 이론

과학에서 "이론"이라는 용어는 관찰과 실험을 통해 반복적으로 확인된 사실을 바탕으로 자연 세계의 어떤 측면을 설명하는 것을 의미한다.[15][16] 과학 이론은 넓은 범위의 과학적 조사 영역에서 일관되고 정확하게 반증 가능한 예측을 할 수 있어야 하며, 여러 독립적인 출처로부터 이론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증거(상응성)를 제시해야 한다.

과학 이론의 강점은 설명할 수 있는 현상의 다양성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그 현상들에 대해 반증 가능한 예측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측정된다. 이론은 더 많은 증거가 수집됨에 따라 개선되거나 더 나은 이론으로 대체되기도 하며, 예측의 정확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향상되기도 한다. 이러한 정확성 향상은 과학적 지식의 증가를 의미한다. 과학자들은 이론을 바탕으로 더 많은 과학적 지식을 얻을 뿐만 아니라, 기술 발명이나 질병 치료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도 이론을 활용한다.

미국 국립과학원은 과학 이론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과학에서 "이론"의 공식적인 정의는 일상적인 의미와는 상당히 다르다. 과학 이론은 방대한 증거로 뒷받침되는 자연의 어떤 측면에 대한 포괄적인 설명이다. 많은 과학 이론들은 매우 잘 확립되어 있어서 새로운 증거가 나와도 바뀔 가능성이 거의 없다. 예를 들어, 새로운 증거가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지 않는다거나( 태양중심설 ), 생물이 세포로 이루어져 있지 않다거나( 세포설 ), 물질이 원자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거나( 원자론 ), 지구 표면이 지질학적 시간 규모에 걸쳐 이동해 온 고체 판으로 나뉘어져 있지 않다는 것( 판 구조론 )을 보여주지는 않을 것이다. 과학 이론의 가장 유용한 속성 중 하나는 아직 관찰되지 않은 자연 현상이나 현상에 대한 예측을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17]

미국 과학 발전 협회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 과학 이론은 관찰과 실험을 통해 반복적으로 확인된 사실을 기반으로 자연 세계의 어떤 측면을 설명하는 것이다. 그러한 사실에 기반한 이론은 "추측"이 아니라 실제 세계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설명이다. 생물학적 진화 이론은 단순한 "이론" 이상이다. 그것은 물질의 원자 이론이나 질병의 세균 이론만큼이나 우주의 사실적인 설명이다. 우리의 중력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진행 중이지만, 진화와 마찬가지로 중력 현상은 받아들여지는 사실이다.[16]

"이론"이라는 용어는 과학적 모델링이나 검증되지 않았지만 복잡한 가설을 설명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다.

5. 1. 1. 예시

다음은 여러 학문 분야의 이론들을 나열한 것이다.

학문 분야이론
인류학카르네이로의 둘러싸임 이론
천문학알퍼-베테-가모프 이론, B2FH 이론, 코페르니쿠스 이론, 뉴턴의 만유인력 이론, 허블 법칙,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 프톨레마이오스 이론
생물학세포 이론, 화학삼투 이론, 진화, 세균 이론, 공생 기원설
화학분자 이론, 기체 운동론, 분자 궤도 함수 이론, 원자가 결합 이론, 전이 상태 이론, RRKM 이론, 화학 그래프 이론, 플로리-휴긴스 용액 이론, 마커스 이론, 루이스 이론 (브뢴스테드-로우리 산-염기 이론의 후속 이론), HSAB 이론, 데바이-휘켈 이론, 고분자 탄성의 열역학 이론, 사행 이론, 고분자 장 이론, 몰러-플레셋 섭동 이론, 밀도 함수 이론, 최전선 분자 궤도 함수 이론, 다면체 골격 전자쌍 이론, 바이어 긴장 이론, 분자 내 원자의 양자 이론, 충돌 이론, 리간드장 이론 (결정장 이론의 후속 이론), 변분 전이 상태 이론, 벤슨 그룹 증분 이론, 특정 이온 상호 작용 이론
기후학기후 변화 이론 (기후 변화에 대한 일반적인 연구), 인위적 기후 변화 (ACC)/인위적 지구 온난화 (AGW) 이론 (인간 활동으로 인한)
컴퓨터 과학오토마타 이론, 대기 행렬 이론
우주론빅뱅 이론, 우주 팽창, 루프 양자 중력, 초끈 이론, 초중력, 초대칭 이론, 다중 우주 이론, 홀로그래피 원리, 양자 중력, M-이론
경제학거시경제 이론, 미시경제 이론, 수요와 공급 법칙
교육학구성주의 이론, 비판적 교육학 이론, 교육 이론, 다중 지능 이론, 진보적 교육 이론
공학회로 이론, 제어 이론, 신호 이론, 시스템 이론, 정보 이론
영화영화 이론
지질학판 구조론
인문학비판 이론
법철학자연법, 법 실증주의, 법적 현실주의, 비판적 법 연구
법철학 참조; 또한 사례 이론
언어학X-바 이론, 정부-구문 이론, 원리와 매개변수, 보편 문법
문학문학 이론
수학근사 이론, 아라켈로프 이론, 점근 이론, 분기 이론, 재난 이론, 범주 이론, 카오스 이론, 쇼케 이론, 부호 이론, 조합 게임 이론, 계산 가능성 이론, 계산 복잡도 이론, 변형 이론, 차원 이론, 에르고딕 이론, 체 이론, 갈루아 이론, 게임 이론, 게이지 이론, 그래프 이론, 군론, 호지 이론, 호몰로지 이론, 호모토피 이론, 이상 이론, 교차 이론, 불변식 이론, 이와사와 이론, K-이론, KK-이론, 매듭 이론, L-이론, 리 이론, 리틀우드-팔레이 이론, 행렬 이론, 측도 이론, 모델 이론, 가군 이론, 모스 이론, 네반린나 이론, 정수론, 장애 이론, 작용소 이론, 순서 이론, PCF 이론, 섭동 이론, 퍼텐셜 이론, 확률론, 람지 이론, 합리적 선택 이론, 표현 이론, 환론, 집합론, 형태 이론, 소규모 소거 이론, 스펙트럼 이론, 안정성 이론, 안정 이론, 슈툼-리우빌 이론, 수술 이론, 트위스터 이론, 양-밀스 이론
음악음악 이론
철학증명론, 추측 이성, 진리 이론, 유형 이론, 가치 이론, 덕 이론
물리학음향 이론, 안테나 이론, 원자 이론, BCS 이론, 등각장 이론, 디랙 홀 이론, 다이나모 이론, 란다우 이론, M-이론, 섭동 이론, 상대성 이론 (고전 역학의 후속 이론), 게이지 이론, 양자장 이론, 산란 이론, 끈 이론, 양자 정보 이론
심리학마음 이론, 인지 부조화 이론, 애착 이론, 대상 영속성, 자극의 빈곤, 귀인 이론, 자기 충족적 예언, 스톡홀름 증후군
공공 예산점증주의, 영기준 예산
공공 행정조직 이론
기호학이론 간 상호 작용, [https://www.degruyter.com/view/j/hssr.2015.4.issue-2/hssr-2015-0014/hssr-2015-0014.xml 전이 발생]
사회학비판 이론, 참여 이론, 사회 이론, 사회학 이론, 사회 자본 이론
통계학극값 이론
연극공연 이론
시각 예술미학, 예술 교육 이론, 건축학, 구도, 해부학, 색채 이론, 투시도, 시각 지각, 기하학, 다양체
기타폐기된 과학 이론


5. 2. 사회 과학 이론

사회 과학 이론은 인간 사회의 현상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사회 과학 이론은 자연 과학 이론만큼 엄격하게 검증되기 어려울 수 있지만, 여전히 체계적인 관찰과 분석을 통해 구축된다.[1]

이론은 현실을 단순화하여 복잡한 사회 현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이론은 연구에 필요한 균형 잡힌 시각을 제공하고, 논리적인 설명을 가능하게 하여 직관이나 감각에 의존하는 결론을 피하게 한다.[1] 사회 과학 이론은 정치학,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귀납적 또는 통계학적인 방법을 통해 도출될 수 있다.[1]

사회 과학 이론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학문 분야이론 예시
사회학비판 이론, 참여 이론, 사회 이론, 사회학 이론, 사회 자본 이론
인류학카르네이로의 둘러싸임 이론
경제학거시경제 이론, 미시경제 이론, 수요와 공급 법칙
심리학마음 이론, 인지 부조화 이론, 애착 이론, 대상 영속성, 자극의 빈곤, 귀인 이론, 자기 충족적 예언, 스톡홀름 증후군
공공 예산점증주의, 영기준 예산
공공 행정조직 이론


5. 2. 1. 예시

다음은 여러 학문 분야의 이론 목록이다.

5. 3. 인문학 및 예술 이론

인문학 및 예술 이론은 인간의 문화, 예술, 사상 등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사용된다. 이론은 현실을 단순화하여 이해하기 쉽게 만들고, 연구에 균형 잡힌 시각을 제공하며, 논리적인 설명을 가능하게 한다.[21] 문학 이론, 비판 이론, 음악 이론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론은 학문의 영역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현실 세계를 단순화하여 이해하기 쉽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또한, 연구에서 균형 잡힌 시각을 제공하고 논리적인 설명을 가능하게 하여 연구 조사의 지침이 된다. 현대 학술 연구는 대부분 특정 이론에 기초하고 있으며, 이론은 학문의 세계에서 필수적인 존재이다.

5. 3. 1. 예시

다음은 대부분 과학 이론이다. 일부는 과학 이론이 아니라 음악 이론이나 시각 예술 이론과 같이 지식이나 예술 영역을 포함한다.

분야이론
인류학카르네이로의 둘러싸임 이론
천문학알퍼-베테-가모프 이론, B2FH 이론, 코페르니쿠스 이론, 뉴턴의 만유인력 이론, 허블 법칙,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 프톨레마이오스 이론
생물학세포 이론, 화학삼투 이론, 진화, 세균 이론, 공생 기원설
화학분자 이론, 기체 운동론, 분자 궤도 함수 이론, 원자가 결합 이론, 전이 상태 이론, RRKM 이론, 화학 그래프 이론, 플로리-휴긴스 용액 이론, 마커스 이론, 루이스 이론 (브뢴스테드-로우리 산-염기 이론의 후속 이론), HSAB 이론, 데바이-휘켈 이론, 고분자 탄성의 열역학 이론, 사행 이론, 고분자 장 이론, 몰러-플레셋 섭동 이론, 밀도 함수 이론, 최전선 분자 궤도 함수 이론, 다면체 골격 전자쌍 이론, 바이어 긴장 이론, 분자 내 원자의 양자 이론, 충돌 이론, 리간드장 이론 (결정장 이론의 후속 이론), 변분 전이 상태 이론, 벤슨 그룹 증분 이론, 특정 이온 상호 작용 이론
기후학기후 변화 이론 (기후 변화에 대한 일반적인 연구), 인위적 기후 변화 (ACC)/인위적 지구 온난화 (AGW) 이론 (인간 활동으로 인한)
컴퓨터 과학오토마타 이론, 대기 행렬 이론
우주론빅뱅 이론, 우주 팽창, 루프 양자 중력, 초끈 이론, 초중력, 초대칭 이론, 다중 우주 이론, 홀로그래피 원리, 양자 중력, M-이론
경제학거시경제 이론, 미시경제 이론, 수요와 공급 법칙
교육학구성주의 이론, 비판적 교육학 이론, 교육 이론, 다중 지능 이론, 진보적 교육 이론
공학회로 이론, 제어 이론, 신호 이론, 시스템 이론, 정보 이론
영화영화 이론
지질학판 구조론
인문학비판 이론
법철학 또는 '법 이론'자연법, 법 실증주의, 법적 현실주의, 비판적 법 연구
법철학 참조; 또한 사례 이론
언어학X-바 이론, 정부-구문 이론, 원리와 매개변수, 보편 문법
문학문학 이론
수학근사 이론, 아라켈로프 이론, 점근 이론, 분기 이론, 재난 이론, 범주 이론, 카오스 이론, 쇼케 이론, 부호 이론, 조합 게임 이론, 계산 가능성 이론, 계산 복잡도 이론, 변형 이론, 차원 이론, 에르고딕 이론, 체 이론, 갈루아 이론, 게임 이론, 게이지 이론, 그래프 이론, 군론, 호지 이론, 호몰로지 이론, 호모토피 이론, 이상 이론, 교차 이론, 불변식 이론, 이와사와 이론, K-이론, KK-이론, 매듭 이론, L-이론, 리 이론, 리틀우드-팔레이 이론, 행렬 이론, 측도 이론, 모델 이론, 가군 이론, 모스 이론, 네반린나 이론, 정수론, 장애 이론, 작용소 이론, 순서 이론, PCF 이론, 섭동 이론, 퍼텐셜 이론, 확률론, 람지 이론, 합리적 선택 이론, 표현 이론, 환론, 집합론, 형태 이론, 소규모 소거 이론, 스펙트럼 이론, 안정성 이론, 안정 이론, 슈툼-리우빌 이론, 수술 이론, 트위스터 이론, 양-밀스 이론
음악음악 이론
철학증명론, 추측 이성, 진리 이론, 유형 이론, 가치 이론, 덕 이론
물리학음향 이론, 안테나 이론, 원자 이론, BCS 이론, 등각장 이론, 디랙 홀 이론, 다이나모 이론, 란다우 이론, M-이론, 섭동 이론, 상대성 이론 (고전 역학의 후속 이론), 게이지 이론, 양자장 이론, 산란 이론, 끈 이론, 양자 정보 이론
심리학마음 이론, 인지 부조화 이론, 애착 이론, 대상 영속성, 자극의 빈곤, 귀인 이론, 자기 충족적 예언, 스톡홀름 증후군
공공 예산점증주의, 영기준 예산
공공 행정조직 이론
기호학이론 간 상호 작용, [https://www.degruyter.com/view/j/hssr.2015.4.issue-2/hssr-2015-0014/hssr-2015-0014.xml 전이 발생]
사회학비판 이론, 참여 이론, 사회 이론, 사회학 이론, 사회 자본 이론
통계학극값 이론
연극공연 이론
시각 예술미학, 예술 교육 이론, 건축학, 구도, 해부학, 색채 이론, 투시도, 시각 지각, 기하학, 다양체
기타폐기된 과학 이론


6. 현대 사회와 이론

현대에 들어 대부분의 이론서는 비교적 보편적인 항목을 위주로 다룬다. 일반적으로 보편적이지 않은 내용이 너무 많을 경우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1]

이론은 사건을 합리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논술이며, 특히 학문의 영역에서 결정적인 의미를 지닌다. 이론은 고도로 복잡한 현실 세계를 단순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세계의 모든 현상에는 인간의 인지능력을 훨씬 초월하는 방대한 요인과 관계가 있으며, 그것들을 모두 재현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따라서 현실을 단순화할 필요성이 인정되며, 그 역할을 이론이라는 사고의 도구에 맡기게 된다. 즉, 현실을 완전히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설득력을 유지하면서 이해하기 쉽게 현실을 원리법칙 등으로 단순화하는 것이 이론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론은 자연 현상의 실험이나 정책 제안을 위한 조사 등을 통해 얻어진 지식을 축적하는 데 유효한 사고의 틀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이론은 연구에서 균형 잡힌 종합적인 시야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직관적 또는 감각적인 결론을 피하여 논리적인 설명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연구 조사를 수행하는 데 있어 큰 지침이 된다.

덧붙여 현재의 학술 연구는 거의 대부분 어떤 기본적인 이론에 기초한 것이며, 선진적인 연구를 이해하는 데 있어 이론은 학문의 세계에서 이미 필수적인 존재이다. 또한 초심자에게도 이론이 확립되어 있으면 학습하기 쉽다는 점도 지적할 수 있다.

7. 비판적 고찰

이론은 현실 세계의 복잡성을 단순화하여 이해하기 쉽게 만들지만, 현실을 완벽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론은 특정한 관점이나 가치관을 반영할 수 있으며, 특히 사회 과학 이론은 이념적 편향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관점에서 이론을 비교하고 평가하는 비판적 검토가 필요하다.[21]

예를 들어, 정치학, 사회학 등의 사회 과학 이론은 귀납적 또는 통계학적 방법에 기반하여 도출되지만, 특정 이념이나 가치관에 따라 현실을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더불어민주당의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이론들도 이러한 비판적 검토에서 예외일 수 없다. 이론의 한계와 문제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여 건설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8. 결론

이론은 현실 세계를 단순화하여 이해하기 쉽게 만들고, 지식 축적을 위한 틀을 제공하며, 학문 연구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이론은 복잡한 현실을 원리법칙으로 단순화하고, 연구에 균형 잡힌 시야를 제공하며, 논리적 설명을 가능하게 한다. 현대 학술 연구는 대부분 이론에 기초하며, 이론은 학문 세계에서 필수적인 존재이다.

참조

[1]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Science http://www.geo.sunys[...]
[2] 서적 Science, evolution, and creationism https://archive.org/[...] National Academies Press 2015-09-26
[3] 학술지 Preface to an Autonomous Discipline of Education 1955-07
[4] 서적 Education and theory : strangers in paradigms Open Univ. Press
[5] 웹사이트 What is a Theory? https://www.amnh.org[...]
[6] 웹사이트 Scientific Theory vs Law https://medium.com/s[...] 2017-01-30
[7] 웹사이트 theory 2008-07-18
[8] 서적 From religion to philosophy: a study in the origins of western speculation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1-11-08
[9] 서적 From Religion to Philosophy: a study in the origins of western specul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 서적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11] 서적 Foundations of Mathematical Logic
[12] 웹사이트 This is the Difference Between a Hypothesis and a Theory https://www.merriam-[...] 2024-04-08
[13] 학술지 Knowledge for Theory and Practice https://journals.aom[...] 2006-10-01
[14] 학술지 Why Management Research Findings Are Unimplementable: An Action Science Perspective http://www.catchword[...] 2001-03-01
[15] 웹사이트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http://www.nap.edu/o[...] 1999
[16] 웹사이트 AAAS Evolution Resources http://www.aaas.org/[...]
[17] 서적 Science, Evolution, and Creationism http://www.nap.edu/o[...]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8] 학술지 Understanding Scientific Theories: An Assessment of Developments, 1969–1998 https://www.princeto[...] 2013-02-14
[19] 학술지 What Scientific Theories Could Not Be https://www.princeto[...] 2013-02-14
[20] 뉴스 What Is a Law in Science? http://www.livescien[...] 2015-03-25
[21] 서적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 https://books.google[...] J. Wiley 1964
[22] 웹사이트 理論とは https://kotobank.jp/[...] 2020-1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