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요하라노 후카야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요하라노 후카야부는 헤이안 시대 중기의 귀족이자 가인이다. 내장 소윤, 내장 대윤 등을 역임했으며, 종5위 하에 서임되었다. 후지와라노 가네스케, 기노 쓰라유키 등과 교류하며, 『고금와카집』을 비롯한 칙선와카집에 41수가 수록되었다. 거문고의 명수로도 알려져 있으며, 오구라 백인일수에 그의 와카가 실려 있다. 생전에는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후지와라노 킨토의 『36인선』에는 포함되지 못했으나, 이후 재평가를 받아 36가선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요하라씨 - 세이 쇼나곤
    세이 쇼나곤은 헤이안 시대 궁중 여성으로 후지와라노 데이시를 섬기며 뛰어난 재치와 학식으로 이름을 알렸고, 궁정 생활을 배경으로 한 수필 『마쿠라노소시』를 남겨 일본 고전 문학의 중요한 작가로 평가받는다.
  • 기요하라씨 - 가이슈
    가이슈는 헤이안 시대의 승려이자 와카 작가로, 비에이 산과 엔랴쿠지에서 승려 생활을 했으며 가잔 천황의 총애를 받아 덴조호시가 되었고, 칙찬 가인으로서 여러 가집에 와카가 수록되어 있다.
  • 10세기 사망 - 최치원
    최치원은 857년에 태어나 당나라 유학 후 빈공과에 장원 급제하고 황소의 난을 평정하는 데 기여했으며, 신라 개혁 실패 후 해인사에서 은거하다가 고려 시대에 문창후로 추증된 신라 말기의 학자이자 문장가이다.
  • 10세기 사망 - 아흐마드 이븐 파들란
    아흐마드 이븐 파들란은 10세기 초 압바스 왕조의 사절단 서기관으로서 볼가 불가르로 파견되어 이슬람 율법을 전파하고 다양한 민족에 대한 기록을 남겼으며, 바이킹 장례식에 대한 상세한 묘사를 포함한 그의 기록은 당시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사료이다.
  • 헤이안 시대 중기의 귀족 - 미나모토노 요리미쓰
    미나모토노 요리미쓰는 헤이안 시대 후기 귀족이자 무장으로 후지와라 섭관가의 가신으로 활동하며 여러 국의 수령을 역임하고 '조정의 수호자'로 불렸으며 '슈텐도지 퇴치' 설화의 주인공이자 가인으로도 활동한 인물이다.
  • 헤이안 시대 중기의 귀족 - 후지와라노 요리미치
    후지와라노 요리미치는 헤이안 시대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아들로, 섭관정치를 이끌며 고이치조 천황, 고스자쿠 천황, 고레이제이 천황 시대에 막강한 권세를 누리고 뵤도인 호오도 건립과 와카에 능통한 문화적 영향을 미쳤으나, 고산조 천황 즉위 후 정치적 입지가 축소되고 섭관 자리를 두고 갈등을 겪은 공경이다.
기요하라노 후카야부
기본 정보
씨족청원 씨
아버지기요하라노 후사노리
자녀하루미쓰
시게후미
시대헤이안 시대 중기
관위종5위하, 내장대윤
주군다이고 천황
상세 정보
생년월일불명
사망일불명
활동 시기헤이안 시대 중기 (엔기 시대 ~ 엔초 시대)
주요 활동와카 작가, 관인
다른 이름후카야부
묘소이와쿠라

2. 경력

엔기 8년(908년) 내장 소윤, 엔초 원년(923년) 내장 대윤 등을 역임했으며, 엔초 8년(930년) 종5위 하에 서임되었다. 만년에는 락호쿠·세이하라에 보타락사를 건립하고 은거했다고 한다.[3][4][5]

후지와라노 가네스케, 기노 쓰라유키, 오시코치노 미츠네 등과 교류한 가인이었다. 거문고의 명수로, 『고센와카집』에는 기요하라노 후카야부가 거문고를 타는 것을 들으며 후지와라노 가네스케와 기노 쓰라유키가 읊었다는 노래가 수록되어 있다.

생전에는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후지와라노 킨토의 『36인선』(36가선)에 이름을 올리지 못해 헤이안 말기까지 수려한 노래 취급을 받지 못했다. 이후 후지와라노 도시나리나 후지와라노 키요스케 등에 의해 재평가되어 36가선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

아래는 『고금 가선 36인전』에 따른 경력이다.

연도날짜내용
엔기 8년(908년)정월 12일내탁 소윤
엔초 원년(923년)6월 22일내장 대윤
엔초 8년(930년)11월 21일종5위하 (제사 노고 20년)


3. 가인으로서의 활동

기요하라노 후카야부는 칙선와카집에 작품이 실린 가인으로, 후지와라노 가네스케, 기노 쓰라유키, 오시코치노 미츠네 등과 교류하였다. 가집으로 『후카야부집』이 있으며, 거문고의 명인이었다.[3][4][5]

3. 1. 작품 세계

기요하라노 후카야부는 칙선 가인으로, 고금와카집(17수)을 비롯한 칙선와카집에 총 41수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3][4][5] 후지와라노 가네스케, 기노 쓰라유키, 오시코치노 미츠네 등 당대 가인들과 교류하였으며, 개인 가집 『후카야부집』이 전해진다. 거문고 명인이기도 했던 그의 연주를 듣고 후지와라노 가네스케와 기노 쓰라유키가 노래를 읊었다는 내용이 고센와카집에 실려 있다.

오구라 백인일수에는 그의 작품 36번이 수록되어 있다.

  • 여름 밤은 아직 초저녁인데 밝아오는 것을. 구름의 어느 곳에 달이 머물러 있을까(『고금와카집』 여름 166)


이 노래는 헤이안 시대 말기까지는 훌륭한 노래로 평가받지 못했으나, 후지와라노 도시나리, 후지와라노 키요스케 등에 의해 재평가되어 36가선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

3. 2. 후대의 평가

기요하라노 후카야부는 생전에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후지와라노 긴토의 『36인선』에는 포함되지 못했다.[3][4][5] 이 때문에 그의 노래는 헤이안 말기까지 뛰어난 노래로 취급받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후 후지와라노 도시나리후지와라노 기요스케 등에 의해 재평가되어, 결국 36가선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

4. 음악적 재능

기요하라노 후카야부는 거문고의 명수였다. 『고센와카집』에는 기요하라노 후카야부가 거문고를 타는 것을 들으며 후지와라노 가네스케기노 쓰라유키가 노래를 읊었다는 기록이 있다.[3][4][5]

5. 계보


  • 아버지: 기요하라노 후사노리 (후사노리의 아버지 해웅[6], 또는 할아버지 미치오(도웅)로 하는 계보도 있다.)
  • 어머니: 불명
  • 처: 불명
  • 장남: 기요하라노 하루미쓰 - 모토스케의 아버지, 세이 쇼나곤의 증조부 또는 조부. 모토스케를 후카야부의 아들로 하는 계보도 있다.
  • 차남: 기요하라노 시게후미 - 자손에 도호쿠 지방호족 데와 기요하라 씨를 잇는 계보도 있다[6]

참조

[1] 웹사이트 Kiyohara no Fukayabu • . A History . . of Japan . 日本歴史 https://historyofjap[...] 2023-02-25
[2] 웹사이트 百人一首の36首目の歌人、清原深養父にゆかりのエピソードや、史跡、場所などあればお教えいただけないで... https://crd.ndl.go.j[...] 2023-08-29
[3] 서적 勅撰作者部類
[4] 문서 五味(2014)p.50
[5] 문서 孫(一説に子)の清原元輔も歌人として名高い。
[6] 문서 清原系図 続群書類従
[7] 서적 勅撰作者部類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