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지와라노 긴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지와라노 긴토는 헤이안 시대의 시인이자 학자로, 980년에 원복한 후 정4위까지 올랐다. 그는 36가선을 정립하고, 칙찬 와카집인 『습유화가집』을 편찬했으며, 『와칸로에이슈』를 엮어 한시와 와카의 조화를 추구했다. 또한, 은퇴 후에는 『호쿠잔쇼』를 저술하여 섭관 정치 시대의 조정 의식에 대한 자료를 남겼다. 그는 "삼주(三舟)의 재능" 일화로 유명하며, 무라사키 시키부와의 일화, 울릉도(우루마 섬) 관련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노노미야류 - 후지와라노 사네스케
    후지와라노 사네스케는 일본 헤이안 시대의 귀족으로, 90세까지 장수하며 50년 동안 일기 《쇼유키》를 작성했고, 우다이진에 임명되어 종1위에 서임되었다.
  • 오노노미야류 - 후지와라노 사다요리
    후지와라노 사다요리는 헤이안 시대 중기의 공경이자 시인, 서예가로 후지와라노 킨토의 장남이며 종2위까지 올랐고 36가선 중 한 명으로 꼽히며 와카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 966년 출생 - 후지와라노 미치나가
    후지와라노 미치나가는 헤이안 시대 후지와라 북가의 전성기를 이끌며 셋칸 정치의 중심인물로서, 딸들을 천황의 후궁으로 들여 막강한 외척 권력을 누리고 세 천황의 치세에 걸쳐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이다.
  • 966년 출생 - 키나드 3세 막 두브
    키나드 3세 막 두브는 10세기 스코틀랜드 왕위 계승 분쟁에서 말콤 2세와 경쟁한 두브의 후손으로, 말콤 2세에게 살해당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그의 혈통은 맥베스 왕비 그루오흐와 룰라크 왕을 통해 이어졌고, 맥윌리엄 칭전자, 매케이 씨족, 맥더프 씨족 등이 그의 후손을 주장한다.
  • 1041년 사망 - 미하일 4세
    미하일 4세는 11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로, 황후 조에와의 불륜을 통해 황제가 되었으며, 군사적 성공과 불가리아 반란 진압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질병과 과도한 세금 부과로 짧은 통치를 마쳤다.
  • 1041년 사망 - 최사위
    최사위는 고려 시대의 문신으로, 목종, 현종, 덕종 때 벼슬을 지내 거란 침입을 막는 데 기여하고 흥료국 문제에 신중한 입장을 보였으며, 내사시랑평장사 등을 역임하고 추충좌리동덕공신호를 받았으며 현종 묘정에 배향되었다.
후지와라노 긴토
기본 정보
기쿠치 요사이의 전현고실 삽화
이름후지와라노 긴토
다른 이름시조 대납언
출생고호 3년 (966년)
사망조큐 2년 1월 1일 (1041년2월 4일)
관위정2위, 권대납언
주군엔유 천황가잔 천황이치조 천황 → 산조 천황 → 고이치조 천황
씨족후지와라 북가오노미야류
부모아버지: 후지와라노 요리타다 어머니: 겐시 여왕 (다이묘 친왕의 딸)
형제미나모토노 시게노부의 아내, 준시, 긴토, 시시, 요리토, 사이엔
배우자정실: 쇼헤이 친왕의 딸 (후지와라노 미치카네의 양녀)
자녀사다요리, 료카이, 닌뉴, 후지와라노 노리미치의 정실, 후지와라노 준시의 양녀
인물 정보
시대헤이안 시대 중기
가명미치마사 (道正), 사네히라 (実平)
관직 경력
덴겐 5년 (982년)종4위하
덴겐 6년 (983년)종4위상
에이엔 2년 (988년)구로도노토
쇼랴쿠 원년 (990년)게비이시벳토
쇼랴쿠 4년 (993년)가게유노 나가칸
조토 4년 (998년)종3위
조호 2년 (1000년)다이코타이고구노 다이부
간닌 4년 (1020년)아제치
기타 정보
관련 인물미나모토노 시타고우
평가후지와라노 데이시를 섬김
저서삼십육인선

2. 경력

덴겐 3년(980년) 원복을 행하고 정5위하에 서임된 후, 시종을 역임하였다.[5] 이후 에이칸 2년(984년) 오와리 곤노카미를 겸임하고, 칸와 원년(985년) 정4위하로 승진하는 등 순조롭게 경력을 쌓았다.

에이엔 3년(989년) 쿠로도노토에 임명되고, 쇼랴쿠 3년(992년) 산기에 올라 공경 반열에 올랐다. 초토쿠 원년(995년) 좌병위독을 겸임하고, 이후 황후궁 대부, 우에몬독, 케비이시 벳토 등을 역임하며 후지와라 노 준코 황후를 섬겼다.

초호 3년 (1001년) 주나곤으로 승진하고, 칸코 6년 (1009년) 곤다이나곤에 올랐다. 칸닌 5년 (1021년) 무츠 데와 안사츠시를 겸임하였으나, 만쥬 원년 (1024년) 곤다이나곤과 무츠 데와 안사츠시를 모두 사임하였다.

다음은 후지와라노 긴토의 주요 관직 역임 시기를 정리한 표이다.

시기관직
980년정5위하, 시종
981년종4위하
982년종4위상
983년좌근위권중장
984년오와리 곤노카미 겸임
985년정4위하
986년이요 곤노카미 겸임
989년쿠로도노토
990년비젠 수호 겸임
992년산기
993년오미 수호 겸임
995년좌병위독, 황후궁 대부 겸임
996년우에몬독, 케비이시 벳토 겸임
998년칸게유 장관 겸임
999년종3위
1001년주나곤, 정3위
1005년종2위
1009년곤다이나곤
1012년정2위
1021년무츠 데와 안사츠시 겸임
1024년곤다이나곤, 무츠 데와 안사츠시 사임


2. 1. 가계 및 초기 생애

후지와라노 사네요리를 할아버지로, 후지와라노 요리타다를 아버지로 둔 명문가 출신이다. 어머니와 아내 모두 천황가의 핏줄을 이어받은 왕족이었다. 사촌으로는 구헤이 친왕, 후지와라노 사네스케, 후지와라노 스케사다 등이 있었다.

덴겐 3년(980년) 2월 25일 세이료덴에서 엔유 천황이 참석한 가운데 겐푸쿠 의식을 치르고 정5위하에 임명되었다[5]. 같은 날 밤에는 동모 여동생 시시의 모기가 요리타다 저택에서 열렸다[5]. 같은 해 7월 지주에 임명되었다.

덴겐 4년(981년) 종4위하, 덴겐 5년(982년) 종4위상으로 승진했으며, 같은 해 누나 준시가 엔유 천황의 황후로 책봉되었다. 준시가 황후가 된 후 처음 궁궐에 들어간 긴토는 후지와라노 가네이에의 저택 (도산조덴) 앞을 지나갈 때 뇨고였던 가네이에의 딸 센시에 대해 "이 뇨고는 언제쯤 황후가 되려나"라는 실언을 했다[7]. 그 후에도 에이칸 원년(983년) 사콘노곤노츄조, 간와 원년(985년) 정4위하에 임명되는 등 엔유 천황과 카잔 천황 치세에 걸쳐 계속 승진했다.

2. 2. 정치 관료로서의 활동

986년 이치조 천황이 즉위하고 후지와라노 요리타다가 관백에서 물러나면서 후지와라노 가네이에가 섭정이 되어, 정치 권력이 구조류로 넘어갔다. 이로 인해 긴토는 승진이 정체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7]

992년 산기(参議)에 올라 공경 반열에 올랐으나, 고노에추조 직책을 면직당하는 등 불만을 품었다.[9] 993년에는 관백 후지와라노 미치타카를 비롯한 후지와라 씨 공경들이 대거 참여한 이치조 천황의 오하라노 신사 행행(行幸)에 불참하고, 일시적으로 간진(勘甚) 처분을 받아 참내(参内)를 중단하는 사건을 일으켰다.[9]

995년 이후 집정 자리가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에게 넘어가자, 긴토는 미치나가에게 접근하여 관계 개선을 꾀했다.[11] 1001년에는 상석 산기 3명을 제치고 중납언에 임명되었고, 같은 해 정3위에 서임되었다.

1005년, 친한 친구였던 후지와라노 사이노부에게 위계상 추월당하자, 이에 자극받아 출사를 멈추고 사직서를 제출했다가 7개월 만에 종2위에 서임된 후 복귀했다.[14] 1009년에는 사이노부와 함께 곤다이나곤으로 승진했지만, 이후에도 위계 면에서 계속 뒤처졌다.

1021년, 좌대신 후지와라노 아키미쓰가 사망하면서 대신(大臣) 자리가 두 자리나 비었지만, 긴토는 다이나곤으로 승진하지 못하고 사실상 승진의 한계에 다다랐다. 1024년 곤다이나곤 관직을 사임하고,[32] 1026년 출가했다.

2. 3. 시인 및 학자로서의 업적

긴토는 와카한시, 관현(管絃) 등 다방면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당대 최고의 시인 및 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21] 996년에서 999년 사이, 가잔 천황의 명을 받아 칙찬 와카집(勅撰和歌集)인 『습유화가집』의 초고인 『수이쇼(拾遺抄)』를 편찬했다. 『습유화가집』에는 긴토의 와카가 현존하는 가인 중 가장 많은 15수가 수록되었다.

1009년에서 1011년 사이, 36명의 뛰어난 시인을 선정하여 "36가선"을 정립하고, 그들의 시가를 모은 『36인선(三十六人撰)』을 편찬했다. 이는 훗날 후지와라노 데이카가 시인 지망생들에게 연구를 권할 정도로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긴토는 『화간랑영집』을 편찬하여 한시와 와카를 함께 수록함으로써, 두 장르의 조화를 추구했다.

3. 일화

무라사키 시키부가 쓴 겐지이야기의 열렬한 신봉자였던 후지와라노 긴토는 1008년 쓰치미카도도노(土御門殿) 저택에서 열린 아쓰히라 친왕의 탄생 50일 축하연에서 그녀를 애타게 찾았다고 한다.[37]

출가 후에는 해탈사 근처에 '랑영곡'이라 불리는 산장을 짓고 거주했다.[22][23] 출가 소식은 곧바로 도성에 알려져 큰 반향을 일으켰고, 미치나가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방문했다. 특히 나리노부는 딸을 잃은 슬픔을 공임과 나누며 위로를 받았다고 한다.[24]

1027년에는 미나모토노 도시카타, 후지와라노 미치나가, 후지와라노 유키나리가 사망하면서,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정권을 지탱했던 사납언은 공임과 나리노부 두 사람만 남게 되었다. 공임은 속세를 떠났지만, 미나모토노 쓰네요리의 의뢰를 받아 유소쿠고실을 가르치기도 했다.[25] 또한 후지와라노 노리에나가가 읊은 와카를 절찬하여, 노리에나가가 그 영초를 가보로 삼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26] 1035년 후지와라노 나리노부도 사망하면서, 사납언 중에서는 공임이 마지막까지 살아남았다.

1040년 연말부터 병을 앓아 1041년 1월 1일에 훙거했다.[27] 향년 76세였다.

3. 1. 삼주(三舟)의 재능

와카, 한시, 관현에서 모두 뛰어난 재능을 보였던 긴토미치나가에게 자신의 재능을 과시한 '''삼주(三舟)의 재능''' 일화로 유명하다. 대경(大鏡)에 따르면, 미치나가가 오이가와 강(大堰川)에 한시, 관현악, 와카 세 척의 배를 띄우고 각 분야의 명인을 태웠을 때, 긴토는 와카의 배를 선택하여 "코구라야마 아라시의 바람이 추우니 단풍의 비단을 입는 사람은 없네"라고 읊어 칭찬을 받았다.[29] 그러나 긴토는 한시의 배를 선택했으면 더 명성이 높아졌을 것이라며 후회했고, 이는 미치나가에게 자신의 재능을 과시하려 한 자만심 때문이었다고 회고했다.

3. 2. 무라사키 시키부와의 일화

1008년 음력 11월 1일, 쓰치미카도도노(土御門殿)에서 열린 아쓰히라 친왕의 탄생 축하 연회에서, 술에 취한 후지와라노 긴토가 무라사키 시키부에게 "이 근처에 와카무라사키는 안 계십니까?"라고 말을 걸었다. 시키부는 (히카루 겐지와 같은 사람은 없는데, 어째서 무라사키노 우에가 있을까)라고 생각하며 그 말을 흘려들었다고 『무라사키 시키부 일기』에 기록되어 있다.[37] 이 일화는 본문 외에 『겐지 이야기』가 언급된 최초의 기록으로 여겨진다.

3. 3. 우루마 섬 관련 기록

『권기』, 『본조려조』 등에는 간코 원년(1004년) 신라(고려) 우릉도인이 이와미에 표착하여 송환된 내용이 기록되어 있으며, 말이 통하지 않는 이방인의 방문은 당시의 화제가 되었다. 이 섬은 현재의 울릉도이다. 이 시기에 긴토가 지은 노래가 센자이 와카슈에 수록되어 있다.[29]

섬의 이름은 『사고로모 이야기』에도 사용되었다. 『대납언공임집』에는 "신라의 우루마노 섬 사람"이라고 되어 있던 것이, 센자이 와카슈에서는 국명이 생략되어 어딘지 모르는 이방의 섬 이름으로 널리 퍼졌다.

4. 평가

후지와라노 긴토는 당대 최고의 시인이자 학자로 평가받으며, 일본 문학사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의 작품과 저술은 후대에까지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와칸로에이슈』와 『호쿠잔쇼』는 일본 문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28] 긴토는 명문 귀족 출신으로 정치 관료로도 활동했지만, 권력 투쟁 속에서 좌절을 겪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자신의 재능을 발휘하여 문화예술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긴토는 36가선을 정립하여 당대 주요 시인들의 목록을 제공했다. 36가선에는 히토마로, 쓰라유키, 미츠네, 이세, 가네모리 등의 시가 각각 10수, 야카모치, 아카히토, 나리히라, 헨조, 소세이, 도모노리, 사루마루, 고마치, 가네스케 등의 시가 각각 3수씩 수록되었다. 이는 현대 한국의 여러 분야에서 주요 인물이나 작품을 선정하는 관행과도 유사성을 보인다.

긴토는 미나모토노 쓰네노부, 미나모토노 도시카타, 후지와라노 유키나리와 함께 헤이안 조정에서 나곤의 지위에 있었고, 이들은 "시 나곤"(4명의 나곤)으로 불렸다. 그는 가잔 천황의 『습유화가집』(자신의 시 15수가 수록) 편찬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이며, 996년에서 999년 사이에 그 초고인 『수이쇼』를 엮었다.

긴토는 와카, 한시, 관현 등 다방면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에게 자신의 재능을 과시한 ''''삼주(三舟)의 재능'''' 일화는 오노미야 류의 적자로서 예술적인 면에서 그의 고집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미치나가에게는 영합했지만, 자신의 문벌에 대한 자부심이 높아 후지와라노 사이노부에게 위계를 추월당했을 때는 반년 동안 출사를 멈추고, 오에노 마사히라에게 사직서를 제출하기도 했다.

5. 대표 와카

폭포 소리가 끊어진 지는 오래되었지만, 그 이름은 흐르면서 여전히 들려오네.[1]

滝の音は たえて久しく なりぬれど 名こそ流れて なほ聞こえけれ|타키노 오토와 타에테 히사시쿠 나리누레도 나코소 나가레테 나오 키코에케레일본어 (고금와카집, 55번)

참조

[1] 서적 Seeds in the Heart
[2] 서적 Seeds in the Heart
[3] 서적 Seeds in the Heart
[4] 서적 Seeds in the Heart
[5] 서적 日本紀略
[6] 서적 扶桑略記
[7] 서적 大鏡
[8] 서적 楽記 春日大社蔵
[9] 서적 本朝世紀 1008-01-04 #正暦4年12月4日
[10] 서적 栄花物語
[11] 서적 御堂関白記 996-06-24 #長保元年5月6日条
[12] 서적 権記 996-10-29 #長保元年9月12日条
[13] 서적 小右記 996-12-14 #長保元年10月28日条
[14] 서적 御堂関白記 1001-01-25 #寛弘元年12月15日条
[15] 서적 袋草子
[16] 서적 御堂関白記
[17] 서적 三代集之聞事
[18] 서적 小右記 1012-05-29 #寛弘9年4月28日条
[19] 서적 栄花物語
[20] 서적 小右記 1012-06-02 #寛弘9年5月1日条
[21] 서적 小右記 1016-10-25 #治安3年9月17日条
[22] 서적 山城名勝志
[23] 서적 朝日日本歴史人物事典
[24] 서적 栄花物語
[25] 서적 左経記 1038-06 #長元5年5月
[26] 서적 袋草子
[27] 서적 春記 1025-03-28 #長久2年2月19日条
[28] 서적 勅撰作者部類
[29] 서적 中世の天皇と音楽 吉川弘文館 2006
[30] 기타
[31] 기타
[32] 기타
[33] 서적 栄花物語
[34] 서적 小右記 1004-05-29 #長和元年4月28日条
[35] 서적 小右記 1016-06-23 #治安3年5月16日条
[36] 서적 『勅撰作者部類』
[37] 서적 『紫式部日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