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구현 (프로게이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구현은 은퇴한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이다. 2006년 SouL(현 STX SouL)에 입단하여 프로게이머 생활을 시작, 그 해 프로리그 신인상을 수상했다. 셔틀리버를 활용한 공격적인 플레이 스타일로 '붉은 셔틀의 곡예사'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2008년에는 '육룡'의 일원으로 활약했다. 2011년 공군 ACE에 입대하여 군 복무를 마쳤으며, 제대 후 프라임에 입단했으나 2014년 은퇴했다. 주요 기록으로는 2008년 곰TV MSL 시즌4 준우승, 2010년 WCG 그랜드 파이널 스타크래프트 부문 준우승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구 (대구광역시) 출신 - 봉준호
    봉준호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로, 《플란다스의 개》로 데뷔하여 《살인의 추억》, 《괴물》, 《기생충》 등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작품을 연출하며 세계적인 거장으로 인정받았다.
  • 남구 (대구광역시) 출신 - 이성민 (야구 선수)
    이성민은 NC 다이노스, KT 위즈, 롯데 자이언츠에서 투수로 활동했던 전 야구 선수로, 2016년 승부 조작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고 임의 탈퇴되었다.
  • 프라임 (e스포츠)의 선수 - 조지현
    조지현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 프리미어 개인리그에서 우승 1회, 준우승 1회를 기록했고, DreamHack Open, IEM, GSL 등 여러 국내외 대회에 참가했다.
  • 프라임 (e스포츠)의 선수 - 김기용 (프로게이머)
    김기용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며, 2016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등에서 활동했다.
  • 공군 ACE의 선수 - 한동욱
    한동욱은 2003년 스파키즈에 입단하여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데뷔, 아마추어 신분으로 스타리그에 진출한 마지막 선수이자 2006년 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1 우승, 프로리그 프로토스전 17연패 기록을 가진 선수이다.
  • 공군 ACE의 선수 - 이주영 (프로게이머)
    이주영은 드론 활용 전략으로 "드론의 아버지"라는 별명을 얻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이자 GSL 해설가로, 공군 ACE 소속으로 활동하며 대 프로토스와 대 저그전에서 강점을 보였다.
김구현 (프로게이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김구현
한자 표기金久鉉
출생지대구광역시 남구
종족프로토스
아이디GooJila
별명(붉은 셔틀의) 곡예사
김구
구질라
김구열
프로게이머 경력
소속 팀STX SOUL(2006 ~ 2011년 9월 11일)
공군 ACE(2011년 10월 24일 ~ 2013년 10월 23일)
프라임 (2013년 10월 31일 ~ 2014년 4월 10일)

2. 생애

김구현은 2006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SouL(현 STX SouL)에 3차 지명으로 입단하여 프로게이머 생활을 시작했다. 프로리그 신인상을 받고, 곰TV MSL 시즌4에서 결승에 진출하며 '붉은 셔틀의 곡예사'라는 별명을 얻는 등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2008년에는 '육룡'의 일원으로 불리며 전성기를 누렸으나, 이후 부진과 팀의 어려움, MBC게임 폐국 등으로 힘든 시기를 겪었다.

2011년 공군 ACE에 입대하여 활동했으나, 팀 해체로 프로리그에 출전하지 못했다. 2013년 제대 후 프라임에 입단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2014년 은퇴했다.[1]

2. 1. 프로게이머 데뷔 및 SouL 시절 (2006년 ~ 2011년)

2006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SouL(현 STX SouL)의 3차 지명으로 입단하여 그 해 프로리그에서 신인상을 수상했다.[1]

처음으로 진출한 개인리그인 곰TV MSL 시즌4에서 결승까지 파죽지세로 올라가며 선보인 아찔한 셔틀리버 플레이로 스타덤에 올랐다.[1] 김구현의 특유의 긴장감 넘치는 셔틀곡예 플레이는 그에게 '붉은 셔틀의 곡예사'라는 별명을 얻어주었다.[1] 붉은 셔틀이란 체력이 빨간색으로 매우 낮은 상태인, 곧 터져버릴 것 같아 보는 이들의 긴장감을 조성하는 셔틀을 의미한다.[1] 김구현은 세 종족전에서 고른 승률을 보이는 만능 플레이어이나 뛰어난 셔틀리버 플레이로 각인된 이미지 때문에 특히 저그전에 특화된 선수로 평가된다.[1]

현존하는 프로토스 유저들 중 전략적인 플레이를 가장 잘 구사하는 선수들 중 한 명이다.[1] 2008년 최고의 활약을 펼쳤던 여섯 명의 프로토스 선수들을 가리키는 '육룡'의 일원이다 (김구현, 송병구, 김택용, 도재욱, 허영무, 윤용태).[1] 2009년 후반기에 저그의 강세로 인한 육룡의 총체적인 부진 때문에 그 의미가 퇴색된 면도 없지 않아 있지만 MSL에서는 김구현, 도재욱, 스타리그에서는 송병구 등이 활약하며 반전을 꾀하고 있다.[1] 리쌍에게는 매우 약하나 택뱅을 상대로는 강한 면을 보이고 있다.[1]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4,5R에서 연패를 하며 부진에 빠져있다가 6R에서 김구현 자신만의 플레이로 차명환을 잡아내고 환상적인 셔틀리버 플레이로 상대전적에서 0:6으로 밀리는 김명운을 잡아내며 부진을 털어내는듯 했으나 그 후 연패는 계속되었고, 김구현은 6강 PO에서까지 부진을 털어내지 못하며 STX Soul의 준PO 진출은 다시 좌절되었다.[1]

2011년 4월 ABC마트 MSL 2011에서 박상우, 김기현에게 연이어 패하며 32강에서 탈락하였고, 온게임넷에서도 24강에서 테란 선수들인 강정우염보성에게만 각각 1경기와 패자전에서 패하며 2연패로 탈락한 이후 스타리그에서 모습을 감추었으며, 동년 7월까지 서바이버 토너먼트에서만 모습을 보였다.[1]

2011년 7월 서바이버 토너먼트에서 김준호, 이경민에게 연이어 패하며 2연패로 탈락했다.[1] MBC게임의 폐국으로 인해 이것이 김구현의 MSL 연속 진출 횟수를 10회에서 접어야만 했다.[1]

2. 2. 공군 ACE 복무 및 제대 (2011년 ~ 2013년)

2011년 9월 22일, 단 한 명만을 모집하는 2011년 8회차 공군 e스포츠병 전형에 최종 합격했다.[1]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1라운드 중반부터 공군 ACE 유니폼을 입고 활동했다.[1]

그러나 SK플래닛 프로리그 12-13부터 공군 ACE가 해체되면서 프로리그에 참가하지 못하게 되었다.[1] 이후 다른 부대로 옮겨져 남은 군 생활을 하다가 2013년 10월 23일 제대했다.[1]

2. 3. 프라임 입단 및 은퇴 (2013년 ~ 2014년)

2013년 10월 23일 제대한 김구현은 10월 31일 프라임에 입단했다.[1] 그러나 경기에 거의 출전하지 않았고, 2014년 4월 10일에 은퇴했다.[1]

3. 주요 기록

김구현은 메이저 개인리그에서 준우승 1회를 기록했다.[1] 2012년 8월 6일 기준, 스타크래프트 II 전적을 포함한 통산 전적은 425전 228승 197패(53.6%)이다.

3. 1. 통산 전적

통산 전적 (2012년 8월 6일 기준, 스타2 전적 포함)
종족전경기승-패승률
테란13678-5857.4%
대 저그전15682-7452.6%
대 프로토스전13368-6551.1%
총합425228-19753.6%


3. 2. 대 저그전 성적

연도전적승률
2006년3전1승2패33.3%
2007년14전10승4패71.4%
2008년21전14승7패66.7%
2009년32전16승16패50.0%
2010년49전24승25패49.0%
2011년32전16승16패50.0%
2012년6전1승5패16.6%


3. 3. 개인 리그 수상 경력

'''메이저 개인리그 준우승 1회'''[1]

연도대회명 및 결과
2005년제16회 커리지 매치 입상
2006년스카이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 신인왕
2007년2007 서울 국제 e스포츠 페스티벌 스타크래프트 256강전 32강
2008년곰TV MSL 시즌4 준우승 (1:3 이제동)
2008년아레나 MSL 2008 8강
2008년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1 32강
2008년블리자드 월드와이드 인비테이셔널 2008 스타크래프트 부문 4위
2008년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36강
2008년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 3위
2008년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2 16강
2008년BATOO 스타리그 08-09 16강
2009년로스트사가 MSL 2009 32강
2009년박카스 스타리그 2009 36강
2009년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3 16강
2009년아발론 MSL 2009 16강
2010년NATE MSL 2009 4위
2010년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 3위
2010년하나대투증권 MSL 2010 32강
2010년빅파일 MSL 2010 16강
2010년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16강
2010년WCG 2010 그랜드 파이널 스타크래프트 부문 준우승 (은메달) (0:2 이영호)
2010년박카스 스타리그 2010 8강
2010년2010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프로토스 최우수 선수상
2011년피디팝 MSL 2010 8강
2011년ABC마트 MSL 2011 32강
2011년진에어 스타리그 2011 24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