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규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규원은 대한민국의 생화학자이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석사 학위를, 미네소타 대학교에서 생화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다나-파버 암 연구소와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경력을 시작했으며, 부산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혈관 신생, 혈액-뇌 장벽, 혈액-망막 장벽 형성, 암세포 전이 관련 분자 기전을 연구했으며, 다수의 학술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암 의학상 수상자 - 김정룡
    김정룡은 B형 간염 백신 '헤파박스-B' 개발과 세계 최초 C형 간염 바이러스 혈청 분리 성공으로 국내 간 질환 연구에 크게 기여한 대한민국 의학자이다.
  • 호암 의학상 수상자 - 정재웅 (미생물학자)
    정재웅은 서울대학교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를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를 지낸 대한민국의 미생물학자로, RIG-I, TRIM25, 자가포식 등에 대한 연구로 2012년 호암상 의학상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과학자 - 민병주
    민병주는 물리학자, 원자력공학자, 정치인으로,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장,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울산과학기술원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원장이다.
  • 대한민국의 과학자 - 문미옥
    문미옥은 물리학 박사 출신 과학기술인으로, 연구교수, 과학기술 정책 분야 실장, 제20대 국회의원, 문재인 정부 과학기술보좌관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을 역임하고 조국혁신당에 합류한 정치인이다.
  • 미네소타 대학교 동문 - 닉 클레그
    1967년 영국에서 태어나 자유민주당 대표와 영국 부총리를 역임한 닉 클레그는 유럽 의회 의원과 영국 하원 의원을 거쳐 연립정부를 통해 부총리직에 올랐으며, 정치 개혁을 추진한 후 페이스북(현 메타)에서 활동하며 자유주의적 정치 이념과 활동으로 주목받고 있다.
  • 미네소타 대학교 동문 - 권오규 (1952년)
    권오규는 1952년 강원도 강릉 출신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공직에 입문하여 대통령비서실 정책수석비서관, 경제정책 수석비서관, 정책실장을 거쳐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을 역임했다.
김규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김규원
출생1952년
출생지대구
국적대한민국
학력
학력미국 미네소타대학교 생화학과
박사 지도교수로버트 J. 룬
경력
소속부산대학교 분자생물학과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정년퇴임)
연구 분야
분야생명과학
주요 연구 분야혈관신생 혈관 생물학
뇌혈관 장벽
수상
수상 내역과학기술부 과학기술 우수논문상 (2003년)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2003년)
한국과학재단 이달의 과학자상 (2003년)
한국과학재단 롤모델 과학자상 (2005년)
호암상 의학 부문 (2005년)
정산상,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12년)

2. 학력 및 경력

김규원은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석사, 미네소타 대학교에서 생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다나-파버 암 연구소와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경력을 시작했으며,[2][3][4][5][6][7][8] 부산대학교 분자생물학과 교수, 부산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소장,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대한혈관생물학회 회장,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대한암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다.

2. 1. 학력

연도학력
1976년서울대학교 졸업
1978년한국과학기술원(KAIST) 석사
1985년미국 미네소타 대학교 생화학 박사


2. 2. 경력

김규원은 1985년부터 1987년까지 다나-파버 암 연구소, 하버드 의과대학 암 유전학과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경력을 시작했다.[2][3][4][5][6][7][8]

연도내용
1987년 ~ 2000년부산대학교 분자생물학과 조교수, 부교수, 교수
1994년 ~ 1998년부산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소장
2000년 ~ 현재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2001년 ~ 2003년대한혈관생물학회 회장
2001년 ~ 현재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2011년 ~ 2012년대한암학회 부회장


3. 주요 연구 업적

김규원 교수는 혈관 신생, 혈액-뇌 장벽(BBB) 및 혈액-망막 장벽(BRB) 형성, 그리고 암세포 전이와 관련된 분자 기전을 규명하는 데 주력해 왔다. 주요 연구 업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학술지명연구 제목 (번역)연구 내용 (요약)
2001Nature Medicine종양 억제 유전자의 음성 조절을 통해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가 혈관 신생을 유도한다[1]종양 억제 유전자의 음성 조절을 통해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가 혈관 신생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2002CellARD1 매개 아세틸화가 저산소 유도 인자(HIF-1alpha)를 조절하고 불안정화시킨다[2]ARD1 매개 아세틸화가 저산소 유도 인자(HIF-1alpha)를 조절하고 불안정화시킨다는 기전을 규명하였다.
2003Nature MedicineSSeCKS 단백질이 혈액-뇌 장벽에서 혈관 신생과 밀착 연접 형성을 조절한다[3]SSeCKS 단백질이 혈액-뇌 장벽에서 혈관 신생과 밀착 연접 형성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2007Journal of NeuroscienceAKAP12 단백질이 HIF-1alpha의 하향 조절을 통해 인간 혈액-망막 장벽 형성을 조절한다[4]AKAP12 단백질이 HIF-1alpha의 하향 조절을 통해 인간 혈액-망막 장벽 형성을 조절한다는 것을 밝혔다.
2009Cell Death and DifferentiationNinjurin1이 초기 안구 발생 과정에서 대식세포 유도 프로그램 세포 사멸을 매개한다[5]Ninjurin1이 초기 안구 발생 과정에서 대식세포 유도 프로그램 세포 사멸을 매개한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4. 학술 활동 및 발표

김규원은 여러 국제 학술회의에서 초청 강연 및 의장, 조직자 등으로 활동했다.[1] 2008년 일본에서 열린 제8회 뇌혈관 생물학 국제 컨퍼런스, 2009년 영국에서 열린 제12회 국제 심포지엄 혈액-뇌 장벽 및 혈액-망막 장벽에서의 신호 전달, 2011년 스페인에서 열린 제25회 국제 심포지엄 뇌 혈류, 대사 및 기능 등에서 초청 강연을 했다.[1] 2011년에는 제2회 태평양 혈관 생물학 심포지엄에서 초청 연사로, 제70회 일본 암 학회 연례 회의에서는 의장 겸 조직자로 참여했다.[1] 2012년에는 서울 뇌 장벽 심포지엄을 조직했다.[1]

4. 1. 국제 학술회의 발표

연도국가학술회의명역할
2008日本|일본일본어제8회 뇌혈관 생물학 국제 컨퍼런스초청 강연자
2009United Kingdom|영국영어제12회 국제 심포지엄 혈액-뇌 장벽 및 혈액-망막 장벽에서의 신호 전달초청 강연자
2011대한민국제2회 태평양 혈관 생물학 심포지엄초청 연사
2011日本|일본일본어제70회 일본 암 학회 연례 회의(JCA2011)의장/조직자
2011España|스페인es제25회 국제 심포지엄 뇌 혈류, 대사 및 기능초청 강연자
2012대한민국서울 뇌 장벽 심포지엄조직자


5. 수상 내역

연도수상 내역주최
1996년목암생명과학상 (장려상)한국분자생물학회
2001년제11회 과학기술 우수논문상한국과총
2002년올해의 생명과학자상과학기술부
2003년제1회 대한민국 최고 과학기술인상 (대통령상)대한민국 대통령
2003년이달의 과학기술자상한국과학재단
2005년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상동아사이언스
2005년제15회 호암상 (의학 부문)호암재단


참조

[1] 웹사이트 김규원 교수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 http://www.bosa.co.k[...] 2023-11-16
[2] 논문 Histone deacetylases induce angiogenesis by negative regulation of tumor suppressor genes
[3] 논문 Regulation and destabilization of HIF-1alpha by ARD1-mediated acetylation
[4] 논문 SSeCKS regulates angiogenesis and tight junction formation in blood-brain barrier
[5] 논문 AKAP12 regulates human blood-retinal barrier formation by downregulation of HIF-1a
[6] 논문 Ninjurin1 mediates macrophage-induced programmed cell death during early ocular development
[7] 논문 Roles of arrest-defective protein 1(225) and hypoxia-inducible factor 1 alpha in tumor growth and metastasis
[8] 논문 ROS-induced ATF3 causes susceptibility to secondary infections during sepsis-associated immunosuppression
[9] 논문 ROS-induced ATF3 causes susceptibility to secondary infections during sepsis-associated immunosuppress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