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모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모임은 대한민국의 간호학자이자 정치인이다.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학장, 보건대학원 원장을 역임하며 간호학을 전문 분야로 발전시켰고, 한국 최초로 간호학 대학원 과정을 개설했다. 11대 국회의원, 보건복지부 장관, 국제간호협의회장 등을 역임하며 보건 의료 정책, 여성 정치 참여 확대, 국제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1985년 국민훈장 모란장, 2015년 유일한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동문 - 구성애
구성애는 한국의 성교육가이자 사회 운동가로, 방송 활동과 '아우성' 성교육 이론을 통해 대중적 인지도를 얻었으며, 생명, 사랑, 쾌락을 성의 3대 요소로 강조한다. - 비추미여성대상 수상자 - 신혜수 (인권운동가)
신혜수(1948~)는 대한민국의 인권운동가로, 여성 인권 향상에 기여하며 유엔 여성 차별 철폐 위원회 위원과 유엔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 비추미여성대상 수상자 - 즐거운 수학 EBS MATH
즐거운 수학 EBS MATH는 2013년부터 EBS 2TV에서 방송 중인 30분 교육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수상 경력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인정받았으며 관련 서적 출판 및 교과서 수록으로도 이어진다.
김모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모임 |
한자 표기 | 金慕妊 |
국가 | 대한민국 |
직책 | 보건복지부 장관 |
대수 | 36 |
임기 | 1998년 5월 1일 ~ 1999년 5월 23일 |
전임 | 주양자 |
출생일 | 1935년 5월 23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경기도 경성부 |
본관 | 안동(安東) |
사망일 | 2024년 2월 28일 |
학력 | 연세대학교 간호학 학사 하와이주립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 석사 존스 홉킨스 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 박사 |
경력 | |
주요 경력 | 대한간호협회 회장 대한가족계획협회 부회장 국제간호협의회 회장 대한가족계획협회 회장 대한적십자사 부총재 자민련 부총재 제36대 보건복지부 장관 |
가족 관계 | |
남동생 | 김욱년(金郁年) |
오빠 | 김창년(金昌年) |
아버지 | 김도현(金道顯) |
할아버지 | 김기동(金箕東) |
증조할아버지 | 김조한(金祚漢) |
웹사이트 |
2. 학력
- 이화여자고등학교 졸업
- 연세대학교 간호학 학사
- 하와이주립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 석사
- 존스 홉킨스 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 박사
3. 경력
연도 | 경력 |
---|---|
1969년 |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
1978년 | 대한간호협회 회장 |
1979년 | 한국여성단체협의회 부회장 |
1981년 ~ 1985년 | 제11대 국회의원 |
1982년 | 대한가족계획협회 부회장 |
1989년 | 국제간호협의회(ICN) 제21대 회장 |
1991년 |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학장, 한국여성정치연맹 부총재 |
1995년 | 대한가족계획협회 회장 |
1996년 | 대한적십자사 부총재 |
1998년 | 자민련 부총재, 보건복지부 장관 |
2000년 | 한국여성정치연맹 총재 |
2004년 | 적십자간호대학 학장 |
4. 생애 및 업적
김모임은 1959년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을 졸업하고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 보건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간호학, 보건의료, 여성,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사회적 리더였다.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학장과 보건대학원 원장을 역임하며 간호학을 전문직 학문분과로 발전시키고, 보건 의료 정책 수립에 기여했다. 국회의원과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하며 한국 보건복지의 비전과 방향을 설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세계보건기구(WHO) 간호정책 고문, 국제간호협의회장 등을 역임하며 국제단체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여성의 정치 참여 확대와 여성 지도자 양성에 힘썼으며, UN 세계여성대회 한국대표로도 활약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여성단체협의회 제1회 김활란 여성지도자상, 제15회 여성지도자부문 춘강상, 삼성공익재단 제5회 비추미 여성대상 등을 수상했다.
존스홉킨스대 보건대학원 ‘Heroes of Public Health’와 ‘Johns Hopkins Society of Scholar’에 선정되었다. 연세대학교 간호학연구소는 ‘김모임간호학연구소’로 명칭을 변경하여 운영 중이며, ICN에서는 ‘Kim Mo-Im Nursing Innovation and Policy Impact Award’를 창설하여 세계적인 지도자 발굴 및 양성을 진행하고 있다.
재산의 10%인 26억원을 모교인 연세대학교에 기부하고, 남을 위한 봉사의 삶을 살며 인류 보건 발전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5년 1월에 제11회 유일한상을 수상하였다.
4. 1. 간호학 교육 혁신
1959년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을 졸업하고,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 보건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학장과 보건대학원 원장을 역임하면서 간호학을 전문직 학문분과로 발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다. 한국에서 처음으로 간호 분야의 대학원 과정을 개설해 전국 간호학 교수의 훈련을 주도했으며, 질병 중심에서 인간 중심으로 간호 교육을 혁신시켰고, RN-BSN(간호학과 편입) 제도를 도입하여 간호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을 실천했다.4. 2. 보건 의료 정책 기여
1959년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을 졸업하고, 하와이주립대학교에서 보건학 석사, 1973년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 보건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학장과 보건대학원 원장을 역임하면서 간호학을 전문직 학문분과로 발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다. 한국에서 처음으로 간호 분야의 대학원 과정을 개설해 전국 간호학 교수의 훈련을 주도했으며, 질병중심에서 인간중심으로 간호교육을 혁신시켰고, RN-BSN(간호학과 편입)제도를 도입하여 간호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을 실천했다.[1]한국 최초로 보건대학원에 국제보건학과와 의료법‧윤리 협력과정을 신설해 전문가 양성과 함께 생명윤리를 위한 철학‧법학‧의학의 융합적 연구의 토대를 마련했다. 또한 보건통계학의 온라인 과정과 ‘보건행정정책 고위자 과정’을 신설하여, 현장 인력과 정책가들에게 전문성을 담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했다. 간호학 및 보건학에 포괄적 건강이라는 혁신적 개념을 도입하고, 지역사회 간호학 및 근거중심의 지역사회 보건사업의 기틀을 마련했다.[1] 7편의 학술저서와 100여 편이 넘는 연구논문과 정책 보고서는 한국 간호학 및 보건학의 학문적 발전과 정책 추진의 밑거름이 되었다.[1]
1981년 11대 국회의원이 된 뒤 보건복지와 여성정책에 관한 많은 입법과 정책결정과정에 참여했으며, 제 36대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하며 한국보건복지의 비전과 방향을 설정하는 정책가로 활약했다. 가족계획사업을 추진했으며, 소외된 농어촌주민을 위한 보건진료원제도, 가정간호사업, 건강증진사업의 개발에도 참여했다. 장관 재임시에는 기초생활보호 제도를 마련하고, 의료보험을 전국민 건강보험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사회복지제도의 획기적 개선을 이끌었다. 이외에도 의약분업의 시행과 전국민 연금제도의 확대 시행으로 현행 연금제도의 기틀을 마련했다.[1]
세계 보건 기구(WHO) 간호정책 고문, 국제간호협의회장 등을 지냈다.[1]
4. 3. 여성 정치 참여 확대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된 후 보건복지 및 여성 정책에 관한 다양한 입법 및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했다. 여성의 정치 참여와 정치 인력 양성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했으며, 여성 지도자 양성에도 힘썼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여성단체협의회 제1회 김활란 여성지도자상, 제15회 여성지도자부문 춘강상, 삼성공익재단 제5회 비추미 여성대상 등을 수상했다.4. 4. 국제 활동
김모임은 UN 세계여성대회 한국대표로 오랫동안 활약했으며, 세계보건기구(WHO), IPPF(국제가족계획협의회), ICN(국제간호협의회) 등 국제단체에서 주도적인 활동을 했다. 1991년에는 존스홉킨스대 보건대학원 ‘Heroes of Public Health’에 선정되었고, 1996년에는 ‘Johns Hopkins Society of Scholar’에도 선정되었다. 연세대학교 간호학연구소는 학문적 업적과 리더십을 기리기 위해 ‘김모임간호학연구소’로 명칭을 변경해 운영 중이며, ICN에서는 ‘Kim Mo-Im Nursing Innovation and Policy Impact Award’를 창설하여 세계적인 지도자 발굴 및 양성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 텍사스여자대학교 간호학 박사학위논문에서 한국간호학계의 발전과 함께 살아온 김모임의 삶을 조명하는 연구가 발표되었는데, 세계 간호학의 주류인 미국에서 동양의 간호사를 연구주제로 택한 것은 처음이었다.세계 보건 기구(WHO) 간호정책 고문, 국제간호협의회장 등을 역임했다.
5. 상훈
6. 저서
제목 | 출판사 | 출판연도 | 비고 |
---|---|---|---|
최신 간호관리 실습지침서 | 현문사 | 2001년 | 김모임 외 |
간호행정학 입문 | 현문사 | 2001년 | 김모임 외 |
대상자 중심의 지역사회간호학 | 현문사 | 2002년 | 김모임 외, 네이버 책 정보 |
7.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981년 | 총선 | 민주정의당 | 5,776,624표 (35.6%) | 전국구 44번 | 당선 | 초선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