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숙 (192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문숙은 1927년 대구 출생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약학과를 졸업했다. 1986년부터 부산 여성의 전화 운영위원장, 정신대 대책 부산협의회 회장 등을 역임하며 여성 인권 운동에 헌신했다. 또한 아리랑관광여행사 대표이사, 부산여성단체총연합회 회장 등 사회 활동을 펼쳤으며, 부산일보 칼럼니스트, 한국문인협회 감사 등으로 활동했다. 저서로는 《조선인 군대 위안부 한국 여성으로부터의 고발》이 있으며, 교통부 장관상, 부산 시장상, 한국수필상, 비추미여성대상, 유관순상, 대한민국 인권상 국민포장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인권 운동가 - 박래군
박래군은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생 박래전의 죽음을 계기로 인권 운동에 참여하여 전국민주화운동유가족협의회 사무국장, 인권운동사랑방 사무국장 및 정책실장,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조사3국 국장, 다산인권재단 상임이사, 인권재단 사람 상임이사 및 소장, 서울특별시 인권위원회 전문위원 및 부위원장, 2014년 세월호참사 국민대책회의 공동운영위원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인권 운동가이다. - 대한민국의 인권 운동가 - 전태일
전태일은 1948년 대구 출생으로, 열악한 노동 환경 속에서 노동 운동을 펼치다 1970년 분신 자살하며 노동 운동의 상징이 되었다. - 경북대학교 동문 - 이진숙 (언론인)
이진숙은 문화방송의 기자 및 간부로 활동하다가 대전문화방송 사장을 역임했고, 걸프 전쟁 등 다양한 보도 활동을 펼쳤으며, 자유한국당에 입당하여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2024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으나 직무가 정지되었다. - 경북대학교 동문 - 김윤환 (1932년)
김윤환은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인으로 5선 국회의원, 대통령비서실장, 정무장관을 역임하며 정권 창출에 기여하여 "킹 메이커"라는 별명을 얻었으나, 민주국민당 대표최고위원을 지내기도 했으며 신장암으로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수필가 - 김웅 (정치인)
법조인 출신 김웅은 검사로 활동하다 검경 수사권 조정에 반대하며 사직 후 새로운보수당에 입당하여 정계에 입문, 제21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 현재는 법무법인 남당 변호사로 활동하고 《검사내전》을 저술했다. - 대한민국의 수필가 - 신영복
신영복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사회운동가, 대학교수, 저술가로서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수감 생활 중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집필하여 반향을 일으켰고, 출소 후 관계론을 중심으로 사상을 발전시키며 독특한 서체로 민중과 소통했으며,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김문숙 (1927년) | |
---|---|
기본 정보 | |
씨명 | 김문숙 |
한자 표기 | 金文淑 |
로마자 표기 | Gim Mun-suk |
인물 정보 | |
출생일 | 1927년 1월 12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대한민국(대구) |
사망일 | 2021년 10월 29일 (94세) |
국적 | 대한민국 |
거주지 | 부산광역시 |
직업 | 인권 운동가, 사회 운동가 |
학력 | 이화여자대학교 |
종교 | 천주교 |
경력 | |
주요 경력 | 민족과 여성의 역사관 관장 정신대문제대책 부산협의회 회장 |
활동 | |
주요 활동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 및 권익 보호 일본 정부의 사죄 및 배상 요구 허스토리 사건 지원 |
수상 | |
수상 내역 | 국가 배상 승소 기여 |
2. 학력
이화여자대학 약학과를 졸업했다.
3. 약력
3. 1. 여성 인권 운동
연도 | 내용 |
---|---|
1986년 | 부산대학교 경영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 부산 여성의 전화 운영위원장 |
1990년 | 한국여성문학회 회원, 정신대 대책 부산협의회 회장 |
1992년 | 공명선거실천시민운동 부산협의회 상임고문, 대한적십자사 부산지사 부녀봉사특별자문위원 |
1998년 | 부산여성연대회의 회장, 성폭력피해상담소 소장, 가정폭력상담소 소장 |
2000년 | 여성특별위원회 성희롱 위촉 강사, 부산시 여성사회교육 강사 |
3. 2. 사회 활동
1947년 경북 중등교원 양성소 지리과를 수료하였다. 1948년 진주여자고등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였다. 1965년 아리랑관광여행사 대표이사를 역임하였다. 1976년 부산 관광협회 부회장을 역임하였다. 1985년 부산여성단체총연합회 8대 회장 및 부산시정 자문위원을 역임하였다. 1986년 부산대학교 경영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을 수료하고, 부산 '''여성의 전화''' 운영위원장을 맡았다.1990년 한국여성문학회 회원이 되었고, 정신대 대책 부산협의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1992년 공명선거실천시민운동 부산협의회 상임고문, 대한적십자 부산지사 부녀봉사특별자문위원을 역임하였다. 1998년 부산여성연대회의 회장, 성폭력피해상담소 및 가정폭력상담소 소장을 역임하였다.
2000년 여성특위 성희롱 위촉강사, 부산시 여성 사회교육 강사로 활동하였다. 부산일보 칼럼니스트로도 활동하였으며, 한국문인협회 감사, 한국수필가협회, 부산문인협회, 이화동창문인회 이사, 〈부산수필〉 동인, 부산여성경제인연합회, 부산불교문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4. 저술 활동
朝鮮人 軍隊 慰安婦 韓国 女性からの 告発|조선인 군대 위안부 한국 여성으로부터의 고발일본어 (明石書店|아카시 서점일본어, 1992년)
5. 상훈
연도 | 상 이름 |
---|---|
1976년 | 교통부 장관상 |
1986년 | 부산 시장상 |
1990년 | 부산 시장상 |
1993년 | 부산 부녀장학회 공로상 |
1994년 | 보사부장관상 |
1995년 | 제10회 한국수필상 |
2000년 | 부산여성상 |
2000년 | 여성특위위원장표창 (여성주간 유공자) |
2006년 | 삼성공익재단 제6회 비추미여성대상 해리상 |
2007년 | 제11회 이화문학상 |
2010년 | 제9회 유관순상 |
2013년 | 국가인권위원회 대한민국 인권상 국민포장 |
참조
[1]
웹사이트
慰安婦問題の韓国重鎮女性「少女像で騒ぐだけの団体は大嫌い」
https://www.news-pos[...]
小学館
2019-08-22
[2]
웹사이트
김문숙 이사장 별세…한평생 위안부 피해자와 함께 한 삶
https://news.kbs.co.[...]
2021-11-01
[3]
웹사이트
끝나지 않은 이야기 일본군 위안부! 민족과 여성 역사관
http://www.busan.go.[...]
釜山広域市
[4]
웹사이트
'아이 캔 스피크'와는 또 다른 매력 보여준 '허스토리'
https://entertain.na[...]
오마이뉴스
2018-07-16
[5]
웹사이트
영화 ‘허스토리’ 여성연대로 되살아나다
https://entertain.na[...]
한국일보
2018-07-19
[6]
웹인용
한 인권운동가
https://youthassembl[...]
2015-03-28
[7]
뉴스
'군위안부 국가 배상' 승소 이끌어
http://news.chosun.c[...]
2010-03-31
[8]
뉴스
김문숙 정신대문제대책 부산협의회장(8)
http://www.womennews[...]
2005-05-12
[9]
뉴스
세계 각지에 세워지는 ‘위안부’ 박물관
https://www.sisain.c[...]
2017-04-20
[10]
뉴스
[광복70년] 부산 정대협 김문숙 이사장 "진심어린 사죄를 바란다"
http://sports.chosun[...]
2015-07-17
[11]
웹인용
여성 인권을 찾아서 떠난 여행지 ‘민족과 여성 역사관’
http://news.busan.go[...]
2017-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