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광역시로,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온 유서 깊은 곳이다. 1세기 경에는 거칠산국이 존재했으며, 고려 시대에는 동래 정씨가 정치적으로 두각을 나타내고 왜구의 침입에 대비해 동래읍성이 축조되었다. 1876년 강화도 조약으로 한국 최초의 국제항이 되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일본과의 무역항으로 발전했다. 한국 전쟁 중에는 임시 수도 역할을 하기도 했다. 현재는 대한민국 제2의 도시이자, 세계적인 항만을 갖춘 해양 물류 중심지로서, 15개의 구와 1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산항은 세계 6위 규모의 컨테이너 처리량을 자랑하며, 다양한 문화 시설과 관광 명소, 스포츠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옛 임시 수도 -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는 대한민국 중부에 위치한 광역시로, 철도 개통과 충남도청 이전으로 교통 및 행정의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대덕연구개발특구 조성과 대전 엑스포 개최를 통해 과학기술 중심 도시로 성장하여 현재는 정부대전청사 등 주요 기관이 위치하고 KTX 개통으로 접근성이 향상된 높은 삶의 질을 자랑하는 도시이다. - 대한민국의 옛 임시 수도 -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는 한반도 남동부 내륙에 위치한 광역시로, 신라 시대부터 도시가 형성되었으며, 섬유, 금속, 기계 산업을 중심으로 미래형 자동차, 의료 등 다양한 산업을 육성하고, 삼성 라이온즈 등 프로 스포츠 구단을 보유하고 있다. - 창의도시 - 전주시
전주시는 전라북도에 위치하며 백제 시대부터 유서 깊은 역사를 지닌 도시로, 후백제의 도읍이었고 조선 시대에는 전라도의 감영 소재지였으며, 현재는 완산구와 덕진구로 나뉘어 역사와 전통, 맛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 - 창의도시 - 통영시
통영시는 경상남도 남단에 위치하며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역사 깊은 도시로, 삼도수군통제영 설치 이후 군사 도시이자 남해안 해운 중심지로 발전했고, 충무시와 통영군 통합을 거쳐 유네스코 음악창의도시로 지정되었으며, 다도해의 아름다운 경관과 풍부한 수산자원을 바탕으로 관광 및 수산업이 발달하고 통영국제음악제 등 문화 행사가 개최된다. - 아시안 게임 개최 도시 - 뉴델리
뉴델리는 인도의 수도이자 델리 수도권에 위치한 도시로,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에 건설되어 인도 독립 후에도 수도 기능을 유지하며 주요 정부 기관과 외교 공관이 위치해 있지만, 대기 오염 및 교통 혼잡, 재개발 관련 사회적 논쟁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아시안 게임 개최 도시 - 자카르타
자카르타는 인도네시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아시안 게임을 개최하고 다양한 민족과 종교가 공존하며, 동남아시아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시이다.
부산광역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부산광역시 |
원어 명칭 | lang: ko text: 부산 (釜山) |
행정 구역 종류 | 광역시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영남 |
하위 행정 구역 | 16개 구 |
행정 구역 | 15개 구, 1개 군 |
방언 | 경상도 방언 |
인구 | 3,343,903명 |
인구 기준 시점 | 2024년 4월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면적 | 770.04 km² |
광역 인구 | 4,000,000명 |
시간대 | UTC+09:00 |
ISO 3166-2 | KR-410 |
지역 번호 | (+82) 051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영어) |
꽃 | 동백나무 |
물고기 | 고등어 |
새 | 갈매기 |
마스코트 | 부기 |
정부 | |
정치 체제 | 시장-의회 |
시장 | 박형준 (국민의힘) |
시의회 | 부산광역시의회 |
국가 대표 | 국회 |
국회의원 | '전재수 (더불어민주당)': 북구 / 강서구 갑 '김도읍 (국민의힘)': 북구 / 강서구 을 '서병수 (국민의힘)': 부산진구 갑 '이헌승 (국민의힘)': 부산진구 을 '김희곤 (국민의힘)': 동래구 '백종헌 (국민의힘)': 금정구 '하태경 (국민의힘)': 해운대구 갑 '김미애 (국민의힘)': 해운대구 을 '황보승희 (국민의힘)': 중구 / 영도구 '박수영 (국민의힘)': 남구 갑 '박재호 (더불어민주당)': 남구 을 '최인호 (더불어민주당)': 사하구 갑 '조경태 (국민의힘)': 사하구 을 '장제원 (국민의힘)': 사상구 '안병길 (국민의힘)': 서구 / 동구 '전봉민 (국민의힘)': 수영구 '정동만 (국민의힘)': 기장군 '이주환 (국민의힘)': 연제구 |
경제 | |
GDP | 104조 원 (2022년) |
GDP (미국 달러) | 830억 달러 (2022년) |
주요 산업 | 항만 물류 |
언어 | |
사용 언어 | 한국어 |
지역어 | 동남 방언 |
한국어 표기 | |
한글 | 부산광역시 |
한자 | 釜山廣域市 |
로마자 표기 | Busan-gwangyeoksi |
매큔-라이샤워 표기 | Pusan-gwangyŏksi |
기타 | |
항만 순위 | 세계 9위 |
종교 | |
무종교 | 53.2% |
불교 | 28.5% |
개신교 | 12.1% |
가톨릭 | 5.4% |
기타 | 0.8% |
2. 역사
부산 지역은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다. 해안가 근처에서는 돌도구, 토기, 조개껍데기, 동물 뼈 등의 유물이 발견되었는데, 당시 사람들의 주요 식량원은 어업이었다. 내륙 지방에서는 청동기 시대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이 시대에는 농업이 행해졌다.[17]
1세기경에는 현재 동래구 지역에 거칠산국(거칠산국/居漆山國한국어)이라는 족장국이 존재했다.[17] 이 국가는 신라에 병합되어 거칠산군(거칠산군/居漆山郡한국어)이라는 행정구역이 되었다가, 757년에는 동래군(동래군/東萊郡한국어)으로 개칭되었다. 835년에는 이 지역에 범어사가 창건되었다.[17]
고려 시대(918~1392)에는 지역 가 한국 정치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동래의 온천이 유명해져 당시 기록에도 등장한다.[17] 고려 말엽에는 왜구의 침략이 심해졌고, 1396년에도 왜구의 침입이 있었다. 이에 대비하여 동래읍성이 축조되었다.[17]
1423년에는 부산포(부산포/釜山浦한국어)와 왜관(일본인 거류지)이 설치되었다.[17] 세종대왕(재위 1418~1450) 때 동래현의 인구는 290호 2,416명, 동평현은 108호 627명으로 기록되어 있다. 왜관은 1510년 폐쇄되었다가 1512년에 다시 열렸다.[17]
1592년~1598년 임진왜란 기간 동안 부산 지역의 부산진성, , 동래읍성 등이 왜군의 침략에 맞서 싸웠다. 백성들은 의병(자발적 민병)을 조직하여 항전에 참여했다.[17] 1592년 부산진성 함락 이후 부산진의 한국인 포로와 민간인 대부분이 학살당했다.[18] 전쟁 후 1607년 일본의 새로운 막부와 외교 관계가 수립되었고, 부산의 재건이 허용되었다.
1605년 임진왜란 때 희생된 사람들을 기리기 위해 송공사가 건립되었고, 1624년 충렬사로 개칭되었다. 1607년 두모포(두모포/豆毛浦한국어)에 왜관이 재설치되었고, 1678년에는 초량(초량/草梁한국어; 현재 용두산 부근)으로 옮겨졌다.[17] 1763년에는 일본 쓰시마섬에서 건너온 고구마가 부산에 처음으로 전래되었다. 1759년 인구는 6,657호 25,753명으로 기록되어 있다.[17]
1876년 강화도 조약에 따라 부산은 한국 최초의 국제항이 되었다.[17] 1877년 부산에 조계가 설치되었고, 일본, 청나라, 영국의 영사관이 설치되었다. 1883년 부산항이 개항되었고, 부산해관(부산해관/釜山海關한국어)이 설치되었다.[17] 1895년 동래부는 경상남도의 일부가 되었다. 1903년 군으로 강등되었다가 1906년 다시 부가 되었다. 1910년~1945년 일제 강점기가 시작된 후 1914년 다시 군이 되었다. 1908년 부산은 경부선과 부산역을 통해 연결되었다. 1909년 부산과 일본 시모노세키 간의 연락선 운항이 개시되었다. 1914년 동래부는 부산부로 개편되었다. 1915년 부산진과 사이에 전차가 개통되었고, 이듬해에는 시내 전차가 개통되었다.[17]
일제 강점기 동안 부산은 일본과의 무역항으로 발전했다. 부산은 1924년 전기화가 도입되기 전까지 한국에서 유일하게 증기 전차를 도입한 도시였다.[19]
한국 전쟁 당시 부산은 전쟁 초기 3개월 동안 북한군에 함락되지 않은 남한의 두 도시 중 하나였으며(다른 하나는 대구), 한국 전쟁 중 피난민 수용소가 되었다. ''코리아 타임스''에 따르면 1951년 초 부산에는 약 50만 명의 피난민이 있었다.[20]
부산은 한국 전쟁 중 한국 정부의 통제 하에 있던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였기 때문에 한때 한국의 사실상 수도 역할을 했다. 1950년 여름과 가을에 유엔군은 부산 주변 방어선으로 알려진 방어선을 구축했다. 이후 부산은 자치 대도시로 성장하여 강한 도시적 특징을 구축했다.
1963년 부산은 경상남도에서 분리되어 한국 최초의 가 되었다. 1983년 경상남도 도청이 부산에서 창원으로 이전되었다.
2. 1. 성읍국가 시기에 거칠산국과 가야국
부산 지역에는 구석기시대부터 사람이 무리지어 살았다.[17] 삼한시대에는 동래, 남구 등지에 거칠산국(居漆山國)이, 기장, 해운대 등지에는 장산국, 내산국이, 서면, 남포동 등지에는 가락국 등의 부족국가가 있었다.[17] 신라는 1세기 후반 탈해 이사금 때 기장의 장산국과 거칠산국을 점령했다.부산포 일대에는 가야의 종발성이 세워져 신라와 가야의 각축장이 되었다.[17] 400년경 가야가 백제, 왜와 연합하여 신라를 침공했다가 광개토대왕의 고구려군에게 대패하여 패망하자 부산 전역이 신라 영역에 편입되었다. 옛 거칠산국은 거칠산군이 되고 종발성은 대증현(大甑縣)이 되었다.[17] 남북국 시대인 757년 경덕왕 때 행정개편으로 거칠산군은 양주(현재 양산시) 소속의 동래군으로 개칭되었다. 대증현은 동평현(東平縣)으로 개명되어 기장현(機張縣)과 함께 동래군의 관할현이 되었다.[17]
2. 2. 고려국 울주와 조선국의 동래현
고려 시대인 1018년 동래군이 동래현으로 격하되고 울주의 속현이 되었으며, 동평현은 양주(梁州)의 속현이 되었다.[17] 1397년 동래군에 진이 설치되었다.[17] 고려 말엽에는 왜구의 침략이 심해졌고, 1396년에도 왜구의 침입이 있었다. 이에 대비하여 동래읍성이 축조되었다.[17]조선 시대인 1405년 울주의 속현이었던 동래현이 독립현이 되고 양주의 속현이었던 동평현이 동래의 속현이 되었다.[17] 15세기 전반까지 부산은 ‘부산포’로 불렸다. 세종대왕(재위 1418~1450) 때 동래현의 인구는 290호 2,416명, 동평현은 108호 627명으로 기록되어 있다.[17] 동래는 1547년 동래도호부로 승격되었다.[17]
1592년 울산 개운포에 있던 경상좌수영을 동래부 남촌면(현재 수영동)으로 옮겼다.[17] 9월 1일 이순신이 부산포 해전(부산 해전)으로 승리하였다.[17] 임진왜란 전후에는 부산진이 조선 통신사의 출항지로 활용되었다. 임진왜란 기간 동안 부산진성, , 동래읍성 등이 왜군의 침략에 맞서 싸웠고, 백성들은 의병(자발적 민병)을 조직하여 항전에 참여했다.[17] 1592년 부산진성 함락 이후 부산진의 한국인 포로와 민간인 대부분이 학살당했다.[18]
1605년 임진왜란 때 조국을 위해 희생된 사람들을 기리기 위해 송공사가 건립되었고, 1624년 충렬사로 개칭되었다.[17]
2. 3. 개항과 일제강점기
1876년 강화도 조약(조일수호조약)에 따라 부산은 인천, 원산과 함께 한국 최초의 국제항이 되었다.[17] 개항 이후, 왜관은 일본인 거류지가 되었고, 부산항은 무역항으로 정비되면서 부산은 항구도시로 발전하게 되었다. 1905년에는 경부선이 개통되고 부산역이 개업하였다.[17] 1909년 부산과 일본 시모노세키 간의 연락선 운항이 개시되었다.[17]일제강점기 동안 부산은 일본과의 무역항으로 발전했다. 부산은 1924년 전기화가 도입되기 전까지 한국에서 유일하게 증기 전차를 도입한 도시였다.[19] 1915년 부산진과 사이에 전차가 개통되었고, 이듬해에는 시내 전차가 개통되었다.[17]
행정구역 상으로, 1895년에 동래부(23부제)가 설치되었으나, 다음 해에 경상남도가 되고 도청이 부산에 설치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10년 10월 1일 경상남도 동래부가 '''부산부'''로 개칭되었다.[113] 1914년 4월 1일, 부산부는 부산부와 동래군으로 분할되었고, 외곽의 기장군이 동래군으로 편입되었다. 이때, 구 부산부의 일본인 거류지 일대(부산항 주변)를 새로운 로 편성하였고, 교외 지역에서는 구 부산부의 농촌 지역과 기장군을 동래군으로 개편하였다.[113] 1940년1월 6일, 부산시 앞바다에서 밀항선이 전복되어 밀항자 114명이 실종되었다.[113]
1925년 4월 1일에는 경상남도청이 진주에서 부산 아미동으로 이전되었다.[17] 이후 일제 강점기하에서는 1936년과 1942년 두 차례에 걸쳐 부산부는 시역 확장을 하였다. 1936년에는 서면 등(현 부산진구 등 일대)이,[17] 1942년에는 동래읍 등(현 동래구 등 일대)이 동래군에서 부산부로 편입되었다.[17]
2. 4. 광복 이후
1949년 8월 15일 부(府)를 시(市)로 개칭하면서 부산시로 개칭되었다.[130]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고 서울이 함락되면서, 부산은 1950년부터 1953년까지 대한민국 임시 수도가 되었다.[130] 전쟁을 피해 많은 피란민이 유입되어 인구가 급증했다.[130] 1963년 1월 1일 경상남도 관할에서 직할시로 승격되었다.[130]1978년 2월 15일 낙동강 서쪽의 김해군 대저읍, 명지면이 부산시에 편입되었다.[131] 1981년 4월 4일 지방행정에 관한 임시조치법 개정으로 법령상 공식적으로 '부산직할시'의 명칭을 얻게 되었다.[131] 1989년 1월 1일 김해군 녹산면, 가락면이 부산직할시 강서구에 편입되었다.[132] 1995년 양산군 기장읍, 장안읍, 일광면, 정관면, 철마면이 부산으로 편입되어 기장군이 신설되었다.[132] 1996년부터 부산국제영화제를 개최하였다. 1999년에 시청사가 중구에서 연제구로 이전하였고, 시청 주변으로 법원·검찰청 등의 관공서도 이전하였다. 2002년 FIFA 월드컵, 2002년 아시안 게임이 열렸고, 2005년 11월 18일에는 APEC 정상회담을 개최하였다.
2021년, 2030년 세계박람회 유치를 위해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부산항 북측 주변을 박람회장으로 하는 계획을 세우고 각국에 적극적으로 활동했으며[114] 일본 등의 지지를 얻었으나,[115] 2023년 11월 28일, 개최지를 결정하는 투표에 임했지만 사우디아라비아의 리야드에 큰 차이로 패배했다.[116]
3. 지명
《태종실록》(1431년)에 '''富山'''이라는 이름이 처음 보이며[133] 《경상도지리지》(1425년), 《세종실록》 〈지리지〉(1454년), 경상도 속찬 지리지(1469년) 따위에 “동래부산포”라 하였고, 1471년 편찬된 신숙주의 해동제국기에도 “동래지부산포”라 하고, 같은 책 삼포왜관도에도 “동래현 부산포”라는 기록이 있으며, 이때 부산포는 “부자 富”를 썼다. 1470년(성종 1년) 12월 15일의 성종실록에 '''釜山'''이 처음 나타나는데, 1474년 4월 남제가 그린 부산포지도에는 여전히 富山이라 쓰고 있어 이 시기는 두가지 표기가 같이 쓰였다. 그러나 이후 기록은 '''부산포'''(釜山浦)로 기록하고 있다.
동국여지승람(1481년)이 완성된 15세기 말엽부터 釜山이라는 지명이 일반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동국여지승람 산천조에 따르면, “釜山은 동평현(오늘날 당감동 지역이 중심지였음)에 있으며 산이 가마꼴과 같으므로 이같이 일렀는데, 그 밑이 곧 부산포이다. 항거왜호가 있는데 북쪽 현에서 거리가 21리다.”라고 하여 산 모양이 가마꼴과 같아 부산(釜山)이라고 하였다. 그 후 기록들은 이를 그대로 인용하여 釜山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1643년(인조 21년) 통신사 종사관으로 일본에 건너간 신유의 해사록에 실려 있는 “등부산시”(登釜山詩)에 “산 모양이 도톰하여 가마와 같고 성문이 바다에 임하여”라는 구절이 나온다. 이때 부산진성은 오늘날 동구 좌천동 북쪽의 증산을 둘러싸고 있는 정공단 자리에 성문이 있어 성문 바로 아래가 바다와 접해 있었으므로, 이 시문에 나오는 산은 좌천동의 증산(甑山)을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134]
부산(Busan)이라는 이름은 15세기 후반부터 사용된 도시의 한국어 이름을 현대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표기한 것이다.[11] 이는 2000년에 이전의 맥큐-라이쇼어 표기법 표기인 ''Pusan''을 공식적으로 대체했다.[12]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식 발음으로 "부산"을 "후산"(Fuzan)으로 표기했다. 釜山한국어 (현재는 한글로 부산한국어으로 표기)는 "솥산"을 의미하는 한자어로, 도시 중심부 서쪽에 있는 황령산(황령산/荒嶺山한국어)의 옛 이름으로 여겨진다. 이 지역의 고대 국가인 거칠산국(, "거친 산의 나라")도 같은 산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 산은 수영만의 항구를 내려다보고 있다. (후대 신라의 거칠산군은 757년에 동래로 개칭되었다.)[16]
3. 1. 유래
《태종실록》(1431년)에 '''富山'''이라는 이름이 처음 보이며[133] 《경상도지리지》(1425년), 《세종실록》 〈지리지〉(1454년), 경상도 속찬 지리지(1469년) 따위에 “동래부산포”라 하였고, 1471년 편찬된 신숙주의 해동제국기에도 “동래지부산포”라 하고, 같은 책 삼포왜관도에도 “동래현 부산포”라는 기록이 있으며, 이때 부산포는 “부자 富”를 썼다. 1470년(성종 1년) 12월 15일의 성종실록에 '''釜山'''이 처음 나타나는데, 1474년 4월 남제가 그린 부산포지도에는 여전히 富山이라 쓰고 있어 이 시기는 두가지 표기가 같이 쓰였다. 그러나 이후 기록은 '''부산포'''(釜山浦)로 기록하고 있다.동국여지승람(1481년)이 완성된 15세기 말엽부터 釜山이라는 지명이 일반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동국여지승람 산천조에 따르면, “釜山은 동평현(오늘날 당감동 지역이 중심지였음)에 있으며 산이 가마꼴과 같으므로 이같이 일렀는데, 그 밑이 곧 부산포이다. 항거왜호가 있는데 북쪽 현에서 거리가 21리다.”라고 하여 산 모양이 가마꼴과 같아 부산(釜山)이라고 하였다. 그 후 기록들은 이를 그대로 인용하여 釜山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1643년(인조 21년) 통신사 종사관으로 일본에 건너간 신유의 해사록에 실려 있는 “등부산시”(登釜山詩)에 “산 모양이 도톰하여 가마와 같고 성문이 바다에 임하여”라는 구절이 나온다. 이때 부산진성은 오늘날 동구 좌천동 북쪽의 증산을 둘러싸고 있는 정공단 자리에 성문이 있어 성문 바로 아래가 바다와 접해 있었으므로, 이 시문에 나오는 산은 좌천동의 증산(甑山)을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134]
부산(Busan)이라는 이름은 15세기 후반부터 사용된 도시의 한국어 이름을 현대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표기한 것이다.[11] 이는 2000년에 이전의 맥큐-라이쇼어 표기법 표기인 ''Pusan''을 공식적으로 대체했다.[12]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식 발음으로 "부산"을 "후산"(Fuzan)으로 표기했다. 釜山한국어 (현재는 한글로 부산한국어으로 표기)는 "솥산"을 의미하는 한자어로, 도시 중심부 서쪽에 있는 황령산(황령산/荒嶺山한국어)의 옛 이름으로 여겨진다.
3. 2. 영문 표기 변경과 논란
부산의 영문 표기는 Pusan으로 쓰였으나 2000년 7월 7일 문화관광부의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고시에 따라 Busan으로 바뀌었고, 이후 P와 B가 혼재돼 쓰이는 상황이 발생하였다.[135] 부산(Busan)이라는 이름은 15세기 후반부터 사용된 도시의 한국어 이름을 현대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표기한 것이다.[11] 이는 2000년에 이전의 맥큐-라이쇼어 표기법 표기인 ''Pusan''을 공식적으로 대체했다.[12] 일제 강점기에는 일본식 발음으로 "부산"을 "후산"(Fuzan)으로 표기했다. 釜山한국어 (현재는 한글로 부산한국어으로 표기)는 "솥산"을 의미하는 한자어로, 도시 중심부 서쪽에 있는 황령산(Hwangnyeongsan/황령산한국어)의 옛 이름으로 여겨진다.[16]4. 지리
부산이라는 이름은 가마솥을 닮은 산이 많아 지어졌을 정도로 도심 안에 산이 많다. 산을 경계로 여러 생활권으로 도시가 분리되어 있다. 해운대, 서면, 남포동을 잇는 중앙대로 일대가 도심이 되며, 동래, 사상, 구포, 하단 등이 부도심이 된다.
부산은 한국반도의 남동쪽 끝에 위치해 있다. 해안에 위치해 있어 도시 전체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부산에서 서울까지의 거리는 약 314km이다. 부산은 북쪽과 서쪽은 낮은 산들에, 남쪽과 동쪽은 바다에 접해 있다. 낙동강 삼각주는 도시의 서쪽에 위치하고, 도시에서 가장 높은 산인 금정산은 북쪽에 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강인 낙동강은 서쪽을 흐르며 대한해협으로 흘러든다.
부산에서 가장 가까운 해외 지역은 일본 쓰시마이며, 거리는 약 49.5km이다. 부산에서 가장 가까운 일본 본토 지역은 후쿠오카이며, 부산에서 후쿠오카까지의 거리는 약 180km이다. 부산과 후쿠오카는 자매 도시이다.
대한해협(조선해협, 한국에서는 부산해협)을 사이에 두고 쓰시마가 보이며(해운대구 동백섬 등에서 육안으로 보이는 날이 연간 약 60일 정도 된다), 시모노세키시·후쿠오카시까지는 약 200km 거리이다. 이 때문에 일본과의 관계가 매우 밀접하며, 특히 시모노세키시·후쿠오카시 등의 큐슈 북부와 야마구치현과의 관계가 깊다.
현재는 광역시로 지정되어 도에 속하지 않지만, 1962년까지는 경상남도에 속해 있었다. 1983년 6월까지 경상남도청의 소재지였다. 조선의 지방 구분으로 보면 경상도 지방(동남 지방, 영남 지방)의 중심 도시이다.
4. 1. 위치
부산광역시는 한반도 동남부에 위치하며 대한해협을 사이로 일본과 마주하고 있다. 시청을 기준으로 일본과의 직선거리는 쓰시마섬까지는 49.5km, 일본 본토의 후쿠오카까지는 약 180km이며, 이는 서울까지의 직선거리인 325km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가까운 거리이다. 서쪽으로 낙동강 하류의 선상지인 김해평야, 북쪽으로 금정산, 동쪽으로는 동해, 남쪽으로는 남해가 위치한다. 행정구역상으로는 서쪽으로 경상남도 김해시·창원시 진해구, 북쪽으로는 양산시, 동북쪽으로는 울산광역시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부산은 한국반도의 남동쪽 끝에 위치해 있으며 해안에 위치해 있어 도시 전체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부산에서 서울까지의 거리는 약 314km이다. 부산은 북쪽과 서쪽은 낮은 산들에, 남쪽과 동쪽은 바다에 접해 있다. 낙동강은 서쪽을 흐르며 대한해협으로 흘러든다.
대한해협(조선해협)을 사이에 두고 쓰시마가 보이며, 시모노세키시·후쿠오카시까지는 약 200km 거리이다. 이 때문에 일본과의 관계가 매우 밀접하며, 특히 큐슈 북부와 야마구치현과의 관계가 깊다.
4. 2. 지형
부산의 지형은 크게 동부의 구릉성 지대와 서부의 평야 지대로 나뉜다. 동부는 대부분 해발 300~700m의 구릉으로 부산항을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다. 해안은 리아스식 해안으로 해안선이 복잡하며, 해안 평야가 발달하지 않아 평탄면이 좁다. 김해평야는 낙동강 하구에 발달한 삼각주로, 오랫동안 낙동강 상류에서 운반되어 퇴적된 평균 60m 이상의 충적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작지로서 생산성이 매우 높은 충적 평야이다. 지금도 낙동강류와 연안류에 의해 사주(砂州)가 해안선을 따라 발달하고 있다.부산은 한국반도의 남동쪽 끝, 경상도 지방(동남 지방, 영남 지방)에 위치하며, 해안에 있어 도시 전체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북쪽과 서쪽은 낮은 산들에, 남쪽과 동쪽은 바다에 접해 있다. 대한해협(조선해협)을 사이에 두고 일본 쓰시마가 보이며, 시모노세키시·후쿠오카시 등 큐슈 북부와 야마구치현과의 관계가 깊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강인 낙동강은 서쪽을 흘러 대한해협으로 흘러든다.
4. 3. 기후
부산은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온대 하우 기후(''Cwa'')와 온난 습윤 기후(''Cfa'')가 혼재되어 있는 기후를 가지고 있다.[21] 최한월(1월) 평균 기온은 3.6°C, 최난월(8월) 평균 기온은 26.1°C이다. 연평균 기온은 15.0°C, 연평균 강수량은 1,576.7mm이다.[136][137][138] 제주도를 제외한 한반도 본토에서는 가장 따뜻한 기후라고 할 수 있으며, 동백나무와 같은 조엽수림(照葉樹林)이 잘 자란다.[136]상대적으로 겨울이 건조하고 여름은 다습하여 수자원 관리가 어려운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이로 인해 낙동강의 하상계수는 상당히 크게 나타난다. 한반도 남쪽에 위치해 있어, 주로 비가 오고 겨울에도 눈이 잘 내리지 않는다. 연평균 강설일수는 약 4일 정도이다.[22]
늦봄과 초여름인 5월부터 7월까지는 해양 효과로 내륙 지역보다 기온이 상대적으로 서늘하다. 늦여름과 초가을인 8월과 9월은 일반적으로 덥고 습하며, 이 시기에 태풍을 경험하고 비가 많이 내릴 수 있다. 1959년 9월 15일에는 사라 태풍이 부산 연안을 지나면서 엄청난 피해를 입혔다. 2003년 9월 12일에는 매미 태풍이 선박과 건물에 피해를 입히고 48명 이상의 사망자를 냈다. 2022년 9월 6일에는 힌남노 태풍이 부산에 상륙하여 높은 파도, 파괴적인 바람, 홍수를 일으키며 피해를 입혔다. 10월과 11월은 일반적으로 맑은 하늘과 쾌적한 기온으로 가장 쾌적한 시기이다.
1915년 1월 13일 기록된 최저 기온은 -14.0℃이며, 2016년 8월 14일 기록된 최고 기온은 37.3℃이다.[22] 2005년 3월의 폭설은 그 이전까지의 최심 적설 기록(1945년 2월 25일)인 22.5cm를 60년 만에 크게 경신하는 기록적인 폭설이었다.[108][109]
5. 지질
부산광역시에는 대한민국에서 인증한 국가지질공원이 있다.
동래 단층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동래 단층 문서를 참고하라.
일광 단층에 대해서는 일광 단층 문서를 참고하라.
5. 1. 부산국가지질공원
부산광역시에는 대한민국에서 인증한 국가지질공원이 있다.5. 2. 동래 단층
동래 단층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동래 단층 문서를 참고하라.5. 3. 일광 단층
일광 단층에 대해서는 일광 단층 문서를 참고하라.6. 행정 구역
부산광역시의 면적은 769.82km2이며, 산하에 15개 구와 1개 군이 있다. 그 아래로 253개 동·리와 3개 읍, 2개 면이 있다.
6. 1. 부산울산권
대도시권 특별관리법에 의거하여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하는 대도시권이다. 부산광역시, 창원시, 밀양시, 김해시, 양산시, 거제시, 울산광역시, 경주시를 '''부산울산권'''으로 규정하고 있다.6. 2. 자치단체장
시장(巿長)은 1910년 10월 1일 동래부가 부산부로 개칭되면서 부산부윤이었으며, 광복 후 1949년 8월 15일 부산부에서 부산시로 개칭되면서 경상남도 부산시장이 되었다.[117] 1963년 1월 1일에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정부 직할) 부산시장이 되었고, 1981년 4월 4일 직함명이 부산직할시장으로 개칭되었으며, 1995년 1월 1일 부산광역시로 개칭되면서 지금의 부산광역시장이 되었다.[117]
광복 전에는 조선총독부가, 광복 직후부터 정부 수립 직전까지는 미 군정청이 임명하는 방식이었다.[117] 정부 수립 이후 경상남도 산하 시절에는 관선과 민선이 혼재했으며, 직할시 시절과 광역시로 개칭한 1995년 1월 1일부터 지방자치제도 전면 실시 직전인 6월 30일까지는 내무부 장관의 제청을 받은 자가 대통령의 승인을 득하여 임명되었다.[117] 1995년 7월 1일 지방자치제도 전면 실시에 따라 제30대 문정수 전 시장부터는 다시 민선으로 선출되고 있다.[117]
2021년 재보궐 선거로 박형준 시장이 취임하여 임기중에 있다.[117]
7. 인구
1949년 8월 부산부에서 부산시로 개칭한 후, 1950년 6월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전국 각지에서 피난민이 몰려들고 임시수도가 되면서 1951년 844,134명으로 이듬해인 1952년 85만 명으로 인구가 급증하여 서울을 넘어선 최대 도시가 되었다.[143] 1955년 1,049,363명으로 100만명을 돌파하였다. 이후 1963년 1월 정부 직할시(直轄市) 승격과 행정구역 확장으로 1963년의 인구는 1,360,630명으로 증가하였다.[143]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의 추진으로 경제 발전과 도시화가 촉진되면서 인구가 급증하기 시작해 1970년에는 1,842,259명으로 불어났고, 1978년 행정구역 확장으로 김해 일부 지역이 편입되면서 2,879,570명으로 급격히 늘어났다. 1980년에는 인구 3,159,766명으로 300만명이 넘는 대도시로 성장하였다.[143]
1990년에 3,798,113명(1990년까지는 상주 인구 조사 기준)으로 인구 증가는 둔화되면서, 1992년 3,887,278명(1991년 이후는 주민등록인구 통계 기준)으로 전년도 보다 0.1%가 감소하였다. 2011년 상반기, 부산시는 그동안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던 부산 인구가 16년 만에 감소율이 "0'에 근접했다고 밝혔다. 이는 녹산 공단과 센텀시티와 같은 산업 단지의 지속적인 조성, 첨단 기업 유치, 북항 재개발, 낙동강 살리기 사업, 부산시민공원 조성 같은 대규모 사업(SOC)을 통한 지역 경기 부양과 일자리 증가, 부산울산고속도로와 거가대교, KTX 2단계 구간, 부산-김해경전철 개통, 동해선 부전-일광-태화강 구간 개통 등으로 대표되는 광역교통망 확충, 영화·관광·컨벤션·원자력 산업의 육성, 해운대 백병원,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 롯데백화점 광복점 등 근린 편의시설의 유치, 주거환경 개선, 자연환경 보전 등 시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추진된 일련의 사업들의 결과로 추정된다.
2015년 6월말 부산의 주민등록인구는 1,430,441세대, 3,517,491명이다. 등록 외국인은 35,943명이다. 연령별 인구 분포는 55-59세 인구가 314,050명(8.9%)으로 가장 많다. 65세 이상 노령 인구는 14.4%으로 노령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다.[141] 부산의 총 인구는 2014년말에 비해 1,910명 감소하였으며, 매년 감소하는 추세이다. 인구가 가장 많은 자치구는 해운대구로 423,428명이다. 가장 인구가 적은 자치구는 중구로 46,519명에 불과하여 도심 공동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141]
노령화 문제로 인해 광역자치단체 별로 따지면 서울 다음으로 여초 현상이 심각한 곳이다.[141] 2017년 통계청 인구 전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부산의 전체 인구는 341만 6,918명이었는데 이 중 남자가 168만 933명이었고 여자가 173만 5,985명으로 성비가 96.8 : 100인 여초 상태임이 확인되었다. 가장 여초 현상이 심각한 곳은 수영구였는데 수영구의 성비는 90.5 : 100에 불과했다. 반면, 강서구의 경우는 112.7 : 100까지 올라가는 극단적인 남초 현상을 보여주는데 이는 강서구에 위치한 녹산공단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이 원인으로 보인다. 사상구 역시 공단지대이기 때문에 부산에서는 이례적으로 남성이 더 많은 지역 중 하나이다.
2024년 10월 31일 기준 총인구수는 3,271,062명, 남자 인구수는 1,592,440명, 여자 인구수는 1,678,622명, 세대수는 1,570,658세대, 세대당 인구는 2.08명, 남여 비율은 0.95이다.[142]
부산광역시의 인구[144][145] | ||||||
---|---|---|---|---|---|---|
연도 | 인구(명) | 그래프 | 가구 (세대) | 그래프 | 인구밀도 (명/km2) | 세대당 인구 (명) |
1963년 | 1,320,630 | align="left"| | 245,364 | align="left"| | 3,777 | 5.5 |
1970년 | 1,842,259 | align="left"| | 371,228 | align="left"| | 4,936 | 5.0 |
1980년 | 3,159,766 | align="left"| | 689,371 | align="left"| | 7,302 | 4.6 |
1990년 | 3,798,113 | align="left"| | 994,033 | align="left"| | 7,175 | 3.8 |
1995년 | 3,892,972 | align="left"| | 1,132,360 | align="left"| | 5,198 | 3.4 |
2000년 | 3,812,392 | align="left"| | 1,199,804 | align="left"| | 5,017 | 3.2 |
2005년 | 3,657,840 | align="left"| | 1,270,612 | align="left"| | 4,785 | 2.9 |
2008년 | 3,564,577 | align="left"| | 1,311,724 | align="left"| | 4,695 | 2.7 |
2015년 | 3,517,491 | align="left"| | 1,430,441 | align="left"| | 4,569 | 2.6 |
8. 경제
부산은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세계적인 대규모 항만을 갖춘 동북아시아 해양 물류 중심지이며 유라시아 대륙으로 향하는 관문이다.[28] 2017년 부산의 지역내총생산(GRDP)은 7,584억 달러였으며, 1인당 GRDP는 2만2,000달러였다. 부산 경제는 서비스업(70.3%), 제조업(19.8%), 건설업(5.9%), 농림어업(0.8%), 기타(3.2%)로 구성되어 있다.
세계 6위 규모의 항만인 부산항은 2020년에 2,181만 TEU(20피트 컨테이너 단위)의 컨테이너 물동량을 처리했다.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에는 43개의 부두가 있으며, 북항에 20개, 부산신항에 23개(다목적 부두 2개 포함)의 부두가 있다. 부산항은 중국 연안에서 싱가포르를 거쳐 인도 남단, 몸바사를 지나 홍해를 통과하여 수에즈 운하를 거쳐 지중해로, 다시 아드리아해 상부 지역과 트리에스테 북부 이탈리아 중심지를 거쳐 중앙유럽과 북해로 이어지는 21세기 해상 실크로드의 일부이다.[29][30][31][32]
부산은 해양과학 및 연구개발의 중심지이며,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KHOA), 국립해양박물관 등 여러 관련 기관의 본거지이다. 이 기관들은 영도구 동삼혁신지구에 위치해 있다. 또한 2020년에는 부산에서 국제화주운송업협회(FIATA) 세계대회가 개최되었다.[33]
부산은 세계적인 MICE(회의, 인센티브 관광, 컨벤션, 전시) 산업으로도 유명하다. 부산의 컨벤션 및 전시장은 센텀시티의 벡스코(BEXCO), 누리마루 APEC 하우스, 자연 환경에 인접한 호텔 등 대규모 국제 행사를 개최할 수 있는 훌륭한 조건과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부산에서 개최된 주요 국제 회의로는 2005년 APEC 정상회의, 2014년 아세안-대한민국 기념정상회의, 2018년 아프리카개발은행 연차총회가 있다.
부산은 금융 중심지이기도 하다. 한국 유일의 증권거래소 운영자인 한국거래소(KRX)의 본사가 부산에 있다. 부산에는 한국산업은행,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한국주택보증공사, 한국예탁결제원, 한국해양보증보험, 해양금융센터, 대한해운, 한국자산관리공사, BNK금융그룹 등 다수의 금융기관이 있다.
상업 지역은 번화한 교차로 근처와 대학 캠퍼스 인근에 분포되어 있지만, 부산의 두 개의 가장 큰 중심 상업 지구는 서면과 광복동/남포동이다. 또한 서면, 광복동, 장전동 부산대학교 앞, 해운대구 센텀시티 등 4개의 상당한 규모의 상업 지역이 있다.
서면역은 한국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은 지하철역 중 하나이며,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 2호선을 연결하는 환승역이다. 서면역에는 의류와 신발을 중심으로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많은 지하 상가가 있다. 이들은 주로 지역에서 생산된 제품을 판매하는 소규모 상점들이다. 한국과 외국계 은행들의 지역 본사가 서면에 위치해 있다. 서면은 떠오르는 쇼핑과 엔터테인먼트 지역으로 인정받고 있다. 또한 서면 롯데백화점과 부암역을 중심으로 반경 1km 지역에 걸쳐 있는 "서면 의료 거리"가 있다. 이 거리에는 성형외과, 피부과, 안과, 치과 등 총 160개의 화장품 및 기타 의료 클리닉이 있다.[34][35] 서면 바로 옆에는 부산에서 가장 큰 전통시장인 부전시장이 있다.
광복동, 남포동, 중앙동 지역은 구 중심 상업 지구를 형성한다. 이 지역의 일부 음식점은 여러 세대에 걸쳐 전해 내려온 가족 레시피를 사용한다. 대규모 수산시장인 자갈치시장이 이 지역에 위치해 있다. 국제시장도 근처에 있다. 중앙동에는 많은 국제 법률 사무소, 구 이민국, 일본 노선을 운항하는 국제 페리 터미널이 있다. 롯데월드 II는 현재 중앙동 7가와 8가 사이의 해안가에 건설 중이다.[36]
산업 단지인 센텀시티에는 고급 백화점이 있다. 부산에는 롯데백화점(서면, 센텀시티, 광복동, 동래 소재), 롯데 프리미엄 아울렛(김해, 기장 소재), 신세계 프리미엄 아울렛(기장 소재)을 포함한 많은 대형 백화점과 홈플러스, 이마트, 코스트코 등 대형 마트 체인이 시내 곳곳에 있다.
부산의 주요 호텔로는 웨스틴 조선 부산, 파라다이스 부산, 파크 하얏트 부산이 있다. 2017년 기장읍 지역에 아난티 힐튼 부산이 개장했다.[37]
8. 1. 개요
8. 2. 서비스업
8. 2. 1. 금융 기관
한국의 유가 증권 통합 거래소인 한국거래소, 기술보증기금,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예탁결제원, 한국해양보증, 해양금융종합센터, 한국선박해양, 캠코선박운용, 지방은행인 부산은행 등이 있다.8. 2. 2. 백화점
주요 백화점으로 서면 중심가에 있는 롯데백화점 부산본점과 중구 중앙동에 있으며 세계 최대의 실내 음악 분수인 23m 높이의 물줄기와 대형 비디오 프로젝터, 무대조명, 음향장비를 갖춘 '아쿠아틱 쇼(Aquatique Show)'가 특색인[146] 롯데백화점 광복점 그리고 신흥 중심가인 센텀시티에 있는 롯데백화점 센텀시티점 및 2009년 6월 기네스북에서 공인한 세계 최대 규모 백화점인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가 있다.8. 2. 3. 언론 기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전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민영 방송사인 KNN 부산경남방송을 비롯한, 공영 방송사인 KBS부산방송총국[147], 대한민국 최초의 민영 방송사인 부산문화방송이 주요 방송사이다. 그 밖에 부산CBS, febc부산극동방송, CPBC부산가톨릭평화방송, TBN부산교통방송, BBS부산불교방송, wbs부산원음방송 및 부산영어방송 등이 있다.주요 신문사로는 전국 최대의 지방지인[148] 부산일보와 그 경쟁 신문사인 국제신문이 있다.
방송사 또는 신문사 | 종류 |
---|---|
부산 KBS | TV, 라디오 |
부산 MBC | TV, 라디오 |
KNN | TV, 라디오 |
부산 CBS | 라디오 |
부산 BBS | 라디오 |
부산 eFM | 라디오 (영어, 중국어) |
부산 PBC | 라디오 |
부산일보 | 일간 신문 |
국제신문 (The Kookje Daily News) | 일간 신문 |
- KBS 부산방송총국
- MBC 부산문화방송 - 큐슈아사히방송(KBC, TV 아사히 계열)과 자매방송 제휴
- KNN(구: 부산방송(PSB), SBS 계열국) - TV세이니치혼(TNC, 후지TV 계열)과 자매방송 제휴
- * 과거 KBS 부산 제1라디오에서는 라디오 한국의 일본향 일본어 방송 서비스를 한국 표준시(일본 시간과 같음) 0시부터 1시까지 방송했던 시기가 있었다.
8. 2. 4. 의료 기관
아미동에 있는 1,300병상 규모의 부산대학교병원, 암남동에 있는 957병상의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장안읍에 있는 298병상 규모의 암치료 전문병원인 동남권원자력의학원, 999병상 규모의 동대신동에 위치한 동아대학교병원, 부산진구 부암동에 있는 온종합병원, 온요양병원 , 온재활병원, 온 암병원, 양정동에 있는 468병상의 양한방협진병원인 동의의료원, 837병상 규모의 개금동에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896병상 규모의 좌동의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555병상 규모의 사직동 부산의료원, 사상구 주례동에 있는 부산보훈병원 등이 있다.8. 2. 5. 전통시장

국제시장, 부전시장, 부평깡통시장, 수산물 시장인 자갈치시장, 의류시장 부산진시장(남문시장), 자유시장, 구포시장, 동래시장 평화시장, 중앙시장, 남천해변시장, 장림시장, 개금시장 등이 있다.
5일장으로는 좌천재래시장(4,9), 송정장 (5,10), 월내장 (2,7), 오시게장 (2,7), 구포장 (3,8), 하단장 (2,7), 녹산장 (1,6), 사덕장 (1,6), 덕두장 (4,9) 등이 있다.
8. 2. 6. 호텔
부산은 무역항이자 관광지답게 호텔이 많다.특1급 호텔로는 번화가 서면에 있는 760객실 규모의 롯데호텔 부산, 관광지인 해운대의 290객실 규모로 동백섬에 있는 웨스틴조선호텔부산, 521객실 규모의 본관 및 신관이 있는 파라다이스 호텔 카지노 부산, 356객실 규모의 노브텔부산 과 마린시티에 있는 일반 객실 269개와 스위트룸 69개를 갖춘 6성급 최고급 호텔인 파크하얏트부산이 있다.
8. 3. 어항
부산광역시에는 국가어항으로 다대포항, 천성항, 대변항이 있다. 지방어항에는 송정항, 민락항, 학리항, 월내항, 동백항, 이동항, 두호항, 남천항, 우동항, 청사포항, 칠암항, 대항항, 신암항, 눌차항이 있다.9. 문화
부산은 다양한 골동품 및 기념품 상점뿐만 아니라 독특한 레스토랑, 관광 명소 및 숙박 시설도 갖추고 있다.
- 동남 방언의 일종인 부산말()이 사용되며, 「친구야 친구」 등 부산을 배경으로 한 작품에서도 들을 수 있다.
- 어항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해산물 요리가 명물인 외에, 곱창구이, 돼지뼈 국물을 사용한 돼지국밥, 한국 전쟁 당시 북쪽에서 피난 온 사람들이 가져온 평양냉면을 기원으로 하는 밀면, 족발을 샐러드처럼 담는 냉채족발, 동래 지역의 파전(파전)[123] 등이 부산의 향토 음식으로 꼽힌다[124].
부산광역시를 상징하는 꽃은 동백꽃(1970년 3월 1일 지정), 나무는 동백나무(1970년 7월 1일 지정), 새는 갈매기(1978년 7월 1일 지정), 물고기는 고등어(2011년 7월 6일 지정)이다. 부산광역시의 시가(市歌)는 《부산찬가》(釜山讚歌, 작사: 윤평원, 작곡: 이범희, 노래: 윤시내)이다.
부산시민공원에 건립될 국제 아트 센터와 근처에 있는 국립부산국악원(



부산은 한국에서 가장 큰 온천 시설과 휴양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부산의 온천은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온천이다. 허심청, 녹천탕, 벽초온천, 금정산온천, 금정산부곡온천, 천일온천, 대성탕, 현대온천, 중앙온천, 금천파크온천, 센텀스파랜드, 대영온천, 덕구온천 등이 있다. 주요 온천 휴양타운으로는 스파랜드, 허심청 온천 휴양타운, 해운대 온천 휴양타운, 동래 온천 휴양타운, 광안리 온천타운 등이 있다.
온천천, 대천천, 학장천, 좌광천, 동삼해수천, 괴정천, 지사천, 평강천, 대연천, 수영강, 운수천, 확장천, 초량천 등이 있다.
부산광역시에는 다양한 공원이 있다. 부산시민공원(부산진구 시민공원로 73)을 비롯하여, 평화공원 (남구 대연동 677 일원), 이기대 도시자연공원 (남구 이기대공원로 105-20), 연포하늘공원 (남구 진남로 142-2), 달맞이동산 (해운대구 달맞이길 184), 민락수변공원 (수영구 민락수변로 129 수변공원), 수영사적공원 (수영구 수영동), 암남공원 (서구 암남동 산 193-4), 자성대공원 (동구 자성로 99 ), 민주공원 (중구 민주공원길 19), 장림생태공원 (사하구 신평동 1143), 대저생태공원 (강서구 대저1동 1-5), 삼락생태공원 (사상구 삼락동 29-46), 맥도생태공원 (강서구 대저2동), 화명생태공원 (북구 화명동 1718-17), 용소웰빙공원 (기장군 기장읍 서부리 산7-2), APEC나루공원 (해운대구 수영강변대로 85), 암남공원 (서구 암남동 산193), 을숙도생태공원 (사하구 하단동 120), 신평소공원 (신평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기장군 일광읍 신평리 11-1)이 있다.
부산시민공원은 과거 일제 군사기지이자 미군 캠프였던 곳이다. 용두산공원은 69,000㎡ 면적에 부산타워, 용두산미술관, 부산아쿠아리움 등이 있으며,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리는 관광 명소이다.[43] 태종대는 영도 섬에 있는 자연 공원으로, 깎아지른 절벽이 바다를 향해 펼쳐져 있다. 동백섬은 해운대해수욕장 남쪽 끝에 위치하며, 울창한 동백나무와 소나무 숲, 그리고 2005년 APEC 정상회의를 위해 건설된 누리마루 APEC 하우스가 있다.
흰여울문화마을은 한국 전쟁 당시 피난민들이 모여 형성된 마을로, 변호인(2013),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2012) 등의 영화 촬영지로 알려져 있다. 밀락수변공원은 한국 최초의 수변공원으로, 해운대해수욕장과 광안리해수욕장 사이에 위치하며, 다채로운 블록으로 장식된 바닥과 꽃 정원, 정자, 벤치 등이 있어 휴식을 취하기에 좋다.
대저생태공원은 7.62km의 길이와 2.66km2의 면적으로 천연기념물 제179호로 지정되었으며, 낙동강 하구에 서식하는 철새들의 서식지이다. 공원 안 정원에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가시연꽃의 대규모 서식지가 있으며, 낙동강변 벚꽃축제, 부산 낙동강 유채꽃 축제, 대저 토마토 축제 등 다양한 축제가 매년 열린다.

영도구 동삼동에는 종합 해양박물관인 국립해양박물관이 있다.[149] 남구 대연동에는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150]과 부산시립박물관이,[152] 동래구 복천동에는 복천박물관이 있다.[151] 도시철도 4호선 수안역 내부에는 임진왜란 역사 박물관인 동래읍성 임진왜란 역사관이, 동래구 온천동에는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이 있다.[156] 그 외에도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으로 사용되던 건물이며 미문화원으로 널리 알려진 중구 대청동의 부산근대역사관,[154] 해운대구 벡스코 옆의 부산시립미술관[153] 등이 있다.
공공과학관으로 초읍 어린이대공원에 있는 어린이 회관, 기장군에 있는 국립부산과학관과 국립수산과학관 그리고 부산진구 연지동에 있는 LG사이언스홀,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부산광역시과학교육원 등이 있다.
부산광역시는 국내 최고의 관광지 가운데 한 곳으로, 관광·영상·MICE 산업이 중심인 지역이다.[42] 인구수 기준 부산 최대 자치구인 해운대, 부산 최대 번화가인 서면, 부산의 구도심으로 롯데백화점 광복점 개점과 영도대교 도개교의 신개통으로 다시 옛날의 명성을 찾고 있는 남포동, 수영강 변에 있는 첨단 산업 단지로 벡스코, 영화의전당, 부산시립미술관,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 등이 있는 센텀시티, 광안대교·횟집·카페 등 다양한 문화·오락시설이 있는 광안리 등이 있다. 남구에는 세계 유일의 6·25 해외참전군인들의 UN기념공원이 있다.[162] 2014년에는 부산어린이대공원 내에 부산 유일의 동물원인 삼정더파크가 개원하였으며 그 해 5월 1일에는 부산시민공원이, 6월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도심 광장인 송상현광장을 개장하였다. 2019년 말 국내에서 두 번째로 높은 해운대 엘시티 더샵이 완공되었다.
부산국가지질공원은 낙동강 하구, 몰운대, 두송반도 및 송도반도, 오륙도, 태종대, 이기대 등이 지질명소로 지정되어 있다.[43]


부산은 6개의 해수욕장을 자랑하며 한국의 여름 수도라 불린다.[44] 해운대 해변에는 고급 호텔과 놀이시설이 즐비하며, 광안리해수욕장에는 해변을 따라 카페, 술집, 음식점이 있으며, 광안대교도 있다.
서쪽의 금정산은 부산 시민들이 주말에 등산하는 곳이며, 가까운 곳에는 부산의 주요 불교 사찰인 범어사가 있다.

용두산공원은 부산타워, 용두산미술관이 있는 관광 명소이다.
동래구는 동래온천이 있는 곳으로, 온천이 많은 곳으로, 많은 목욕탕, 관광 호텔, 음식점, 클럽, 상점가가 있다. 충렬사는 16세기 동래성 전투에서 일본군과 싸우다 전사한 장병들을 위한 충신의 사당이다.
태종대는 영도 섬에 있는 자연 공원으로, 깎아지른 절벽이 바다를 향해 펼쳐져 있다.
해동 용궁사는 관세음보살과 관련된 세 곳의 성지 중 한 곳으로, 바다 바로 옆에 위치한다.
감천문화마을은 1950년대 산비탈에 조성된 주택단지로, "한국 마추픽추"라고 불리며 많은 관광객을 끌어들이고 있다.
동백섬은 해운대해수욕장 남쪽 끝에 위치해 있으며, 2005년 APEC 정상회의를 위해 건설된 누리마루 APEC 하우스가 있다.

흰여울문화마을은 한국 전쟁 당시 피난민들이 모여들면서 형성된 마을로, 2013년 영화 ''변호인''의 주요 배경이 되었다.
밀락수변공원은 한국 최초의 수변공원으로, 해운대해수욕장과 광안리해수욕장 사이에 위치해 있다.
7.62km영어의 길이와 2.66km2영어의 면적으로 천연기념물 제179호로 지정된 대저생태공원은 낙동강 하구에 서식하는 철새들의 서식지이다.
기스와이어 박물관은 와이어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2014년 부산 건축상을 수상했다.
서면의 전포카페거리는 다양한 오락 시설, 음식점, 상점이 밀집한 부산에서 가장 번화한 지역 중 하나이다.
부산은 세계 최초의 해상도시 건설을 계획하고 있으며, 2025년까지 완공되어 거주가 가능할 예정이다.[45]




부산에는 천연기념물인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 부산의 상징인 오륙도, 기암괴석이 장관인 태종대, 아름다운 해안인 이기대, 육계도로 동백꽃이 유명한 동백섬, 대한팔경의 하나인 해운대 달맞이언덕 등이 있다.[42] 태종대는 영도 섬에 있는 자연 공원으로, 깎아지른 절벽이 바다를 향해 펼쳐져 있다.[44] 동백섬은 해운대해수욕장 남쪽 끝에 위치해 있으며, 울창한 동백나무와 소나무 숲과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한다. 동백섬의 관광 명소로는 산책로와 2005년 APEC 정상회의를 위해 건설된 누리마루 APEC 하우스가 있다.[42]
7. 62km의 길이와 2.66km2의 면적으로 천연기념물 제179호로 지정된 대저생태공원은 낙동강 하구에 서식하는 철새들의 서식지이다.[42] 이 하구는 4대강 사업의 시범 사업으로 선정되었다. 공원 상하부 일부에만 체육시설이 조성되었고, 나머지 부분은 습지와 자연 초지가 복원되었다. 공원 안 정원에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가시연꽃의 대규모 서식지가 있다. 낙동강변 벚꽃축제, 부산 낙동강 유채꽃 축제, 대저 토마토 축제 등 다양한 축제가 매년 이 공원 주변에서 열린다.
부산광역시에는 범어사, 장안사, 삼광사, 해동용궁사 등 여러 사찰이 있다.

수영로교회, 부전교회, 대연성결교회, 산성교회, 부산중앙교회, 포도원교회, 모자이크 교회, 호산나교회 등 많은 교단의 교회가 부산광역시에 있다.

대한민국 최고의 해수욕장인 해운대해수욕장은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해수욕장 중 하나로, 고급 호텔과 놀이 시설이 즐비하며, 2009년 영화 ''해운대''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42]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광안리해수욕장은 해변을 따라 카페, 술집, 음식점이 있으며, 광안대교 야경으로 유명하고 매년 부산세계불꽃축제가 열린다.[42] 다대포해수욕장에는 다대포 꿈의 낙조분수(원형지름 60m, 최대 물높이 55m, 물 분사 노즐수 1046개, 조명 511개, 소분수 24개 등을 갖춘 세계 최고 수준의 바닥음악분수)가 있다.[163] 해운대 해수욕장에 가깝고 비교적 한적한 송정해수욕장, 최초의 공설 해수욕장인 송도해수욕장[164], 임랑해수욕장, 일광해수욕장이 있다. 특히 일광해수욕장은 약 1.8km에 달하는 긴 백사장을 자랑하며, 물이 얕아 어린 자녀를 둔 가족들에게 인기 있는 휴양지이며, 매년 여름 갯마을 야외극 페스티벌이 열린다.

수영만 요트경기장, 롯데 자이언츠의 홈 구장인 사직 야구장, 2002년 FIFA 월드컵과 2002년 아시안 게임이 개최된 곳인 부산 아시아드 주경기장, 구덕운동장, 2002년 아시안 게임 승마 종목이 열렸던 경기장인 부산경남경마공원, 2002년 아시안 게임 사이클 종목이 열렸던 금정경륜장, 2002년 아시안 게임 양궁 경기가 열렸던 강서체육공원 등이 있다.[68] 부산은 한국에서 야구의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매우 열정적인 야구 팬들로 유명하다. 롯데 자이언츠는 처음 몇 년 동안 구덕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다가 1980년대 중반 사직야구장으로 이전했다.[68] 부산경남경마공원은 1997년에 착공하여 2005년에 개장하였으며 연간 800여 경주가 열린다. 경마 장외발매소는 동구 범일지점, 연제구 연제지점이 운영되고 있다. 부산 KT 소닉붐은 사직실내체육관에서 경기를 치렀으며, 부산 BNK 썸은 현재 사직실내체육관에서 경기를 하고 있다.
부산광역시에는 금정산성, 동래읍성, 동삼동 패총, 복천동 고분군, 금곡동 율리 바위그늘유적(율리 패총) 등 다양한 사적이 있다.[46] 범어사(Beomeosa), 부산진지성(Busanjinjiseong) (자성대), 천성진성(Cheonseongjinseong), 충렬사(부산)(Chungnyeolsa (Busan)), 동래 향교, 동래부 동헌, 좌수영성지(Fortress site of Jwasuyeong), 해동 용궁사(Haedong Yonggungsa), 장관청, 궁관청, 송공단, 정공단, 삼광사, 유엔기념공원(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죽성리 왜성(Waeseong in Jukseong-ri, Gijang), 영도대교(Yeongdo Bridge), 영가대, 융공단 등이 있다.
부산을 대표하는 먹거리로 밀면, 돼지국밥, 씨앗호떡, 어묵, 비빔당면, 유부전골, 찹쌀호떡, 파전, 냉채족발, 곰장어 구이, 회(초장), 구포국수 등이 있다.
부산은 한때 한반도 남부 지역의 군사 중심지였으며, 일본과의 외교 관계에서 중요한 지역이었다. 궁궐의 고위 장교와 관리들이 자주 부산을 방문했으며, 이들을 위해 특별한 음식이 준비되었는데, 그중 하나는 쪽파, 썬 고추, 다양한 해산물을 밀가루, 찹쌀가루, 달걀, 소금, 물로 만든 두꺼운 반죽에 섞어 만든 동래파전이다.[52]
한국 전쟁 당시 부산은 한반도에서 가장 큰 피난민 수용 지역이었다. 한국 전역에서 사람들이 부산으로 피난했으며, 이들 피난민 중 일부는 부산에 정착하여 자신이 살던 고향의 향토 음식 레시피를 부산에 맞게 변형하고 적응시켰다. 그중 하나가 냉면의 변형으로 밀가루를 사용하는 밀면이다. (냉면은 원래 함흥과 평양(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특산물이다.)[53][54] 돼지국밥 또한 한국 전쟁의 결과물이며, 푸짐한 돼지고기 수프로 전국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55] 오이, 양파, 겨자 소스와 함께 제공되는 족발인 낭채-족발 또한 인기이다.[56]


부산에서는 일 년 내내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5월에는 조선통신사축제(201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75])와 부산항축제[73]가 열리고, 8월에는 해운대해수욕장에서 부산바다축제[79]와 부산국제록페스티벌[80]이 열린다. 10월에는 아시아 최대 영화제인 부산국제영화제와 부산불꽃축제, K팝 음악 축제인 원아시아페스티벌 등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11월에는 게임 전시회인 지스타와 e스포츠 월드 챔피언십이 개최되고, 12월에는 부산크리스마스트리축제가 열린다.[69]
주요 공연 시설로는 부산문화회관(2,389석), 부산시민회관(1,941석), 벡스코 오디토리움(2,644석), 부산국립국악원(974석), 부산영화체험박물관 하늘연극장(841석), 국립해양박물관(311석) 등이 있다.
월 | 연례 축제 및 행사 |
---|---|
1월 | 부산 일출제,[69] 북극곰 수영 대회[70] |
4월 | 광안리 어방축제, 부산 낙동강 유채꽃 축제[71] |
5월 | 부산모터쇼,[72] 부산항 축제,[73] 부산 콘텐츠 마켓, 부산국제단편영화제,[74] 조선통신사 한일교류축제,[75] 부산국제공연예술제[76] |
6월 | 해운대 모래 축제, 부산국제무용제, 아트 부산[77] |
7월 | 부산국제어린이청소년영화제,[78] |
8월 | 부산바다축제,[79] 부산국제록페스티벌,[80] 부산국제마술축제, 부산국제광고제,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
9월 | 부산비엔날레, 부산바다미술제, 부산마루국제음악제, 부산퀴어페스티벌 |
10월 | 부산국제영화제, 부산국제불꽃축제, 부산 자갈치 축제, 아시아송 페스티벌,[81] 부산 원아시아 페스티벌, 동래읍성 역사축제 |
11월 | 지스타-글로벌 게임 전시회, 부산합창제 & 경연대회 |
12월 | 부산 크리스마스트리 축제 |
9. 1. 상징
부산광역시를 상징하는 꽃은 동백꽃(1970년 3월 1일 지정), 나무는 동백나무(1970년 7월 1일 지정), 새는 갈매기(1978년 7월 1일 지정), 물고기는 고등어(2011년 7월 6일 지정)이다. 부산광역시의 시가(市歌)는 《부산찬가》(釜山讚歌, 작사: 윤평원, 작곡: 이범희, 노래: 윤시내)이다.9. 2. 공연 시설
부산시민공원에 건립될 국제 아트 센터와 근처에 있는 국립부산국악원(), 범일동에 있는 부산시민회관, 부산시립박물관 부근에 있는 부산문화회관, 부산국제영화제 전용관인 영화의전당() 그리고 4000여 석의 관람석을 갖춘 벡스코 오디토리움() 등이 있다.[47][48] 부산에는 부산문화회관, 부산시민회관, 부산 영화의 전당, 부산국악원 등 30개의 공공시설을 포함하여 80개의 공연 시설이 있다. KBS 부산홀, 소향 아트센터, MBC 삼주아트홀, 경성대학교 콘서트홀, 신세계백화점 문화홀 등 40개의 민간 시설도 있다.9. 3. 문화재
9. 4. 온천
부산은 한국에서 가장 큰 온천 시설과 휴양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부산의 온천은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온천이다. 허심청, 녹천탕, 벽초온천, 금정산온천, 금정산부곡온천, 천일온천, 대성탕, 현대온천, 중앙온천, 금천파크온천, 센텀스파랜드, 대영온천, 덕구온천 등이 있다. 주요 온천 휴양타운으로는 스파랜드, 허심청 온천 휴양타운, 해운대 온천 휴양타운, 동래 온천 휴양타운, 광안리 온천타운 등이 있다.9. 5. 하천
온천천, 대천천, 학장천, 좌광천, 동삼해수천, 괴정천, 지사천, 평강천, 대연천, 수영강, 운수천, 확장천, 초량천 등이 있다.9. 6. 공원
부산광역시에는 다양한 공원이 있다. 부산시민공원(부산진구 시민공원로 73)을 비롯하여, 평화공원 (남구 대연동 677 일원), 이기대 도시자연공원 (남구 이기대공원로 105-20), 연포하늘공원 (남구 진남로 142-2), 달맞이동산 (해운대구 달맞이길 184), 민락수변공원 (수영구 민락수변로 129 수변공원), 수영사적공원 (수영구 수영동), 암남공원 (서구 암남동 산 193-4), 자성대공원 (동구 자성로 99 ), 민주공원 (중구 민주공원길 19), 장림생태공원 (사하구 신평동 1143), 대저생태공원 (강서구 대저1동 1-5), 삼락생태공원 (사상구 삼락동 29-46), 맥도생태공원 (강서구 대저2동), 화명생태공원 (북구 화명동 1718-17), 용소웰빙공원 (기장군 기장읍 서부리 산7-2), APEC나루공원 (해운대구 수영강변대로 85), 암남공원 (서구 암남동 산193), 을숙도생태공원 (사하구 하단동 120), 신평소공원 (신평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기장군 일광읍 신평리 11-1)이 있다.부산시민공원은 과거 일제 군사기지이자 미군 캠프였던 곳이다. 용두산공원은 69,000㎡ 면적에 부산타워, 용두산미술관, 부산아쿠아리움 등이 있으며,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리는 관광 명소이다.[43] 태종대는 영도 섬에 있는 자연 공원으로, 깎아지른 절벽이 바다를 향해 펼쳐져 있다. 동백섬은 해운대해수욕장 남쪽 끝에 위치하며, 울창한 동백나무와 소나무 숲, 그리고 2005년 APEC 정상회의를 위해 건설된 누리마루 APEC 하우스가 있다.
흰여울문화마을은 한국 전쟁 당시 피난민들이 모여 형성된 마을로, 변호인(2013),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2012) 등의 영화 촬영지로 알려져 있다. 밀락수변공원은 한국 최초의 수변공원으로, 해운대해수욕장과 광안리해수욕장 사이에 위치하며, 다채로운 블록으로 장식된 바닥과 꽃 정원, 정자, 벤치 등이 있어 휴식을 취하기에 좋다.
대저생태공원은 7.62km의 길이와 2.66km2의 면적으로 천연기념물 제179호로 지정되었으며, 낙동강 하구에 서식하는 철새들의 서식지이다. 공원 안 정원에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가시연꽃의 대규모 서식지가 있으며, 낙동강변 벚꽃축제, 부산 낙동강 유채꽃 축제, 대저 토마토 축제 등 다양한 축제가 매년 열린다.
9. 7. 박물관·미술관
영도구 동삼동에는 종합 해양박물관인 국립해양박물관이 있다.[149] 남구 대연동에는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150]과 부산시립박물관이,[152] 동래구 복천동에는 복천박물관이 있다.[151] 도시철도 4호선 수안역 내부에는 임진왜란 역사 박물관인 동래읍성 임진왜란 역사관이, 동래구 온천동에는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이 있다.[156] 그 외에도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으로 사용되던 건물이며 미문화원으로 널리 알려진 중구 대청동의 부산근대역사관,[154] 해운대구 벡스코 옆의 부산시립미술관[153] 등이 있다.9. 8. 과학관
공공과학관으로 초읍 어린이대공원에 있는 어린이 회관, 기장군에 있는 국립부산과학관과 국립수산과학관 그리고 부산진구 연지동에 있는 LG사이언스홀,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부산광역시과학교육원 등이 있다.9. 9. 관광지
부산광역시는 국내 최고의 관광지 가운데 한 곳으로, 관광·영상·MICE 산업이 중심인 지역이다.[42] 인구수 기준 부산 최대 자치구인 해운대, 부산 최대 번화가인 서면, 부산의 구도심으로 롯데백화점 광복점 개점과 영도대교 도개교의 신개통으로 다시 옛날의 명성을 찾고 있는 남포동, 수영강 변에 있는 첨단 산업 단지로 벡스코, 영화의전당, 부산시립미술관,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 등이 있는 센텀시티, 광안대교·횟집·카페 등 다양한 문화·오락시설이 있는 광안리 등이 있다. 남구에는 세계 유일의 6·25 해외참전군인들의 UN기념공원이 있다.[162] 2014년에는 부산어린이대공원 내에 부산 유일의 동물원인 삼정더파크가 개원하였으며 그 해 5월 1일에는 부산시민공원이, 6월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도심 광장인 송상현광장을 개장하였다. 2019년 말 국내에서 두 번째로 높은 해운대 엘시티 더샵이 완공되었다.부산국가지질공원은 낙동강 하구, 몰운대, 두송반도 및 송도반도, 오륙도, 태종대, 이기대 등이 지질명소로 지정되어 있다.[43]
부산은 6개의 해수욕장을 자랑하며 한국의 여름 수도라 불린다.[44] 해운대 해변에는 고급 호텔과 놀이시설이 즐비하며, 광안리해수욕장에는 해변을 따라 카페, 술집, 음식점이 있으며, 광안대교도 있다.
서쪽의 금정산은 부산 시민들이 주말에 등산하는 곳이며, 가까운 곳에는 부산의 주요 불교 사찰인 범어사가 있다.
용두산공원은 부산타워, 용두산미술관이 있는 관광 명소이다.
동래구는 동래온천이 있는 곳으로, 온천이 많은 곳으로, 많은 목욕탕, 관광 호텔, 음식점, 클럽, 상점가가 있다. 충렬사는 16세기 동래성 전투에서 일본군과 싸우다 전사한 장병들을 위한 충신의 사당이다.
태종대는 영도 섬에 있는 자연 공원으로, 깎아지른 절벽이 바다를 향해 펼쳐져 있다.
해동 용궁사는 관세음보살과 관련된 세 곳의 성지 중 한 곳으로, 바다 바로 옆에 위치한다.
감천문화마을은 1950년대 산비탈에 조성된 주택단지로, "한국 마추픽추"라고 불리며 많은 관광객을 끌어들이고 있다.
동백섬은 해운대해수욕장 남쪽 끝에 위치해 있으며, 2005년 APEC 정상회의를 위해 건설된 누리마루 APEC 하우스가 있다.
흰여울문화마을은 한국 전쟁 당시 피난민들이 모여들면서 형성된 마을로, 2013년 영화 ''변호인''의 주요 배경이 되었다.
밀락수변공원은 한국 최초의 수변공원으로, 해운대해수욕장과 광안리해수욕장 사이에 위치해 있다.
7.62km영어의 길이와 2.66km2영어의 면적으로 천연기념물 제179호로 지정된 대저생태공원은 낙동강 하구에 서식하는 철새들의 서식지이다.
기스와이어 박물관은 와이어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2014년 부산 건축상을 수상했다.
서면의 전포카페거리는 다양한 오락 시설, 음식점, 상점이 밀집한 부산에서 가장 번화한 지역 중 하나이다.
부산은 세계 최초의 해상도시 건설을 계획하고 있으며, 2025년까지 완공되어 거주가 가능할 예정이다.[45]
9. 10. 생태 친화 공원
부산에는 천연기념물인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 부산의 상징인 오륙도, 기암괴석이 장관인 태종대, 아름다운 해안인 이기대, 육계도로 동백꽃이 유명한 동백섬, 대한팔경의 하나인 해운대 달맞이언덕 등이 있다.[42] 태종대는 영도 섬에 있는 자연 공원으로, 깎아지른 절벽이 바다를 향해 펼쳐져 있다.[44] 동백섬은 해운대해수욕장 남쪽 끝에 위치해 있으며, 울창한 동백나무와 소나무 숲과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한다. 동백섬의 관광 명소로는 산책로와 2005년 APEC 정상회의를 위해 건설된 누리마루 APEC 하우스가 있다.[42]7.62km의 길이와 2.66km2의 면적으로 천연기념물 제179호로 지정된 대저생태공원은 낙동강 하구에 서식하는 철새들의 서식지이다.[42] 이 하구는 4대강 사업의 시범 사업으로 선정되었다. 공원 상하부 일부에만 체육시설이 조성되었고, 나머지 부분은 습지와 자연 초지가 복원되었다. 공원 안 정원에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가시연꽃의 대규모 서식지가 있다. 낙동강변 벚꽃축제, 부산 낙동강 유채꽃 축제, 대저 토마토 축제 등 다양한 축제가 매년 이 공원 주변에서 열린다.
9. 11. 사찰
부산광역시에는 범어사, 장안사, 삼광사, 해동용궁사 등 여러 사찰이 있다.9. 12. 교회
수영로교회, 부전교회, 대연성결교회, 산성교회, 부산중앙교회, 포도원교회, 모자이크 교회, 호산나교회 등 많은 교단의 교회가 부산광역시에 있다.9. 13. 해수욕장
대한민국 최고의 해수욕장인 해운대해수욕장은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해수욕장 중 하나로, 고급 호텔과 놀이 시설이 즐비하며, 2009년 영화 ''해운대''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42]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광안리해수욕장은 해변을 따라 카페, 술집, 음식점이 있으며, 광안대교 야경으로 유명하고 매년 부산세계불꽃축제가 열린다.[42] 다대포해수욕장에는 다대포 꿈의 낙조분수(원형지름 60m, 최대 물높이 55m, 물 분사 노즐수 1046개, 조명 511개, 소분수 24개 등을 갖춘 세계 최고 수준의 바닥음악분수)가 있다.[163] 해운대 해수욕장에 가깝고 비교적 한적한 송정해수욕장, 최초의 공설 해수욕장인 송도해수욕장[164], 임랑해수욕장, 일광해수욕장이 있다. 특히 일광해수욕장은 약 1.8km에 달하는 긴 백사장을 자랑하며, 물이 얕아 어린 자녀를 둔 가족들에게 인기 있는 휴양지이며, 매년 여름 갯마을 야외극 페스티벌이 열린다.
9. 14. 체육 시설
수영만 요트경기장, 롯데 자이언츠의 홈 구장인 사직 야구장, 2002년 FIFA 월드컵과 2002년 아시안 게임이 개최된 곳인 부산 아시아드 주경기장, 구덕운동장, 2002년 아시안 게임 승마 종목이 열렸던 경기장인 부산경남경마공원, 2002년 아시안 게임 사이클 종목이 열렸던 금정경륜장, 2002년 아시안 게임 양궁 경기가 열렸던 강서체육공원 등이 있다.[68] 부산은 한국에서 야구의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매우 열정적인 야구 팬들로 유명하다. 롯데 자이언츠는 처음 몇 년 동안 구덕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다가 1980년대 중반 사직야구장으로 이전했다.[68] 부산경남경마공원은 1997년에 착공하여 2005년에 개장하였으며 연간 800여 경주가 열린다. 경마 장외발매소는 동구 범일지점, 연제구 연제지점이 운영되고 있다. 부산 KT 소닉붐은 사직실내체육관에서 경기를 치렀으며, 부산 BNK 썸은 현재 사직실내체육관에서 경기를 하고 있다.9. 15. 사적
부산광역시에는 금정산성, 동래읍성, 동삼동 패총, 복천동 고분군, 금곡동 율리 바위그늘유적(율리 패총) 등 다양한 사적이 있다.[46] 범어사(Beomeosa), 부산진지성(Busanjinjiseong) (자성대), 천성진성(Cheonseongjinseong), 충렬사(부산)(Chungnyeolsa (Busan)), 동래 향교, 동래부 동헌, 좌수영성지(Fortress site of Jwasuyeong), 해동 용궁사(Haedong Yonggungsa), 장관청, 궁관청, 송공단, 정공단, 삼광사, 유엔기념공원(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죽성리 왜성(Waeseong in Jukseong-ri, Gijang), 영도대교(Yeongdo Bridge), 영가대, 융공단 등이 있다.9. 16. 먹거리
부산을 대표하는 먹거리로 밀면, 돼지국밥, 씨앗호떡, 어묵, 비빔당면, 유부전골, 찹쌀호떡, 파전, 냉채족발, 곰장어 구이, 회(초장), 구포국수 등이 있다.부산은 한때 한반도 남부 지역의 군사 중심지였으며, 일본과의 외교 관계에서 중요한 지역이었다. 궁궐의 고위 장교와 관리들이 자주 부산을 방문했으며, 이들을 위해 특별한 음식이 준비되었는데, 그중 하나는 쪽파, 썬 고추, 다양한 해산물을 밀가루, 찹쌀가루, 달걀, 소금, 물로 만든 두꺼운 반죽에 섞어 만든 동래파전이다.[52]
한국 전쟁 당시 부산은 한반도에서 가장 큰 피난민 수용 지역이었다. 한국 전역에서 사람들이 부산으로 피난했으며, 이들 피난민 중 일부는 부산에 정착하여 자신이 살던 고향의 향토 음식 레시피를 부산에 맞게 변형하고 적응시켰다. 그중 하나가 냉면의 변형으로 밀가루를 사용하는 밀면이다. (냉면은 원래 함흥과 평양(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특산물이다.)[53][54] 돼지국밥 또한 한국 전쟁의 결과물이며, 푸짐한 돼지고기 수프로 전국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55] 오이, 양파, 겨자 소스와 함께 제공되는 족발인 낭채-족발 또한 인기이다.[56]
9. 17. 축제
부산에서는 일 년 내내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5월에는 조선통신사축제(201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75])와 부산항축제[73]가 열리고, 8월에는 해운대해수욕장에서 부산바다축제[79]와 부산국제록페스티벌[80]이 열린다. 10월에는 아시아 최대 영화제인 부산국제영화제와 부산불꽃축제, K팝 음악 축제인 원아시아페스티벌 등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11월에는 게임 전시회인 지스타와 e스포츠 월드 챔피언십이 개최되고, 12월에는 부산크리스마스트리축제가 열린다.[69]주요 공연 시설로는 부산문화회관(2,389석), 부산시민회관(1,941석), 벡스코 오디토리움(2,644석), 부산국립국악원(974석), 부산영화체험박물관 하늘연극장(841석), 국립해양박물관(311석) 등이 있다.
월 | 연례 축제 및 행사 |
---|---|
1월 | 부산 일출제,[69] 북극곰 수영 대회[70] |
4월 | 광안리 어방축제, 부산 낙동강 유채꽃 축제[71] |
5월 | 부산모터쇼,[72] 부산항 축제,[73] 부산 콘텐츠 마켓, 부산국제단편영화제,[74] 조선통신사 한일교류축제,[75] 부산국제공연예술제[76] |
6월 | 해운대 모래 축제, 부산국제무용제, 아트 부산[77] |
7월 | 부산국제어린이청소년영화제,[78] |
8월 | 부산바다축제,[79] 부산국제록페스티벌,[80] 부산국제마술축제, 부산국제광고제,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
9월 | 부산비엔날레, 부산바다미술제, 부산마루국제음악제, 부산퀴어페스티벌 |
10월 | 부산국제영화제, 부산국제불꽃축제, 부산 자갈치 축제, 아시아송 페스티벌,[81] 부산 원아시아 페스티벌, 동래읍성 역사축제 |
11월 | 지스타-글로벌 게임 전시회, 부산합창제 & 경연대회 |
12월 | 부산 크리스마스트리 축제 |
10. 스포츠
다음의 구단들이 부산을 연고지로 하고 있다.
리그명 | 팀명 | 창단연도 | 홈 경기장 | |
K리그2 | 부산 아이파크 | 1979년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 |
K3리그 | 부산교통공사 | 2006년 | 부산종합운동장 보조경기장 | |
KBO 리그 | 롯데 자이언츠 | 1975년 | 사직야구장 | |
KBL | 부산 KCC 이지스 | 1977년 | 사직실내체육관 | |
WKBL | 부산 BNK 썸 | 2000년 |
- 롯데 자이언츠 (KBO 리그): 관중 수 기준으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기있는 프로야구팀이다. 한국시리즈에서 1984년과 1992년 두 번 우승하였고, 2008년 시즌부터 2012년 시즌까지 5년 연속으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였고, 2011년에는 패넌트레이스 2위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2013년 이후에는 이전보다 부진한 성적을 내고 있다 (2013년 5위, 2014년 6위, 2015년 8위, 2016년 8위). 하지만 2017년, 4년간의 암흑기를 끝내고 정규시즌 3위를 기록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신생팀 NC 다이노스와 kt 위즈를 제외하면 대한민국의 프로야구팀들 중 삼성 라이온즈와 더불어 유일하게 이름이 바뀌지 않은 팀이기도 하다.
- 부산 아이파크 (K리그): K리그 원년 멤버로 부산 대우 로얄즈 시절 4회 우승을 달성한 전통의 명문구단이다.
- 부산 BNK 썸 여자농구단 (WKBL): 2000년 인천 금호생명 팰컨스로 창단한 여자프로농구단이다. 2004년 겨울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2018년 KDB 생명 해체 이후 OK저축은행으로 네이밍 스폰서를 받은 이후,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 부산 KCC 이지스 (KBL): 2001년~2023년 전주시로 연고지 이전했다. 전주시가 당초 약속한 신축 구장 건설 계획을 백지화 시킨데다 구장 소유권을 가진 전북대학교에서 25년까지 구장을 나가라는 요구를 하면서, 23-24시즌부터 부산으로 이전하여 새 연고지인 부산에서 첫 경기를 가질 예정이다.
부산광역시와 관련된 이스포츠 구단은 2개 구단이다. 또한 이스포츠 문화 활성화를 위해 전용 경기장인 부산 이스포츠 경기장(브레나)를 개관하였다.
- 리브 샌드박스 (LOL, 카트라이더, 피파 온라인 4): 부산광역시를 연고로 하는 이스포츠 프로게임단이다.[165]
- GC Busan
- *GC Busan 담원 게임 아카데미 (LOL / 3군)
- *GC Busan 샌드박스 (LOL / 3군)
- *GC Busan 팀 다이아몬드 (오버워치 / CK)
부산은 2020년 하계 올림픽 유치를 계획했으나, 같은 대한민국에 있는 평창이 2018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된 후 유치 계획을 철회했다. 2020년 하계 올림픽은 결국 도쿄에서 개최되었다.[66] 부산은 2032년 하계 올림픽 유치를 고려하기도 했다.[67]
10. 1. 2002년 FIFA 월드컵
2002년 FIFA 월드컵은 17번째 FIFA 월드컵 대회로, 2002년 5월 31일에서 6월 30일까지 대한민국과 일본에서 열렸다. 경기 중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에서 프랑스 對 우루과이 경기와 대한민국 對 폴란드 경기의 승부가 가려졌다.
10. 2. 2002년 아시안 게임
2002년 아시안 게임은 2002년 9월 29일부터 10월 14일까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서 열렸다. 44개국 약 9900명의 선수가 38개 종목에 참가해 기량을 겨뤘다.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을 비롯한 여러 경기 시설과 시립 체육 공원, 부산 시내에 소재한 대학교의 체육관 등을 이용하여 치러졌다. 공식 마스코트는 부산광역시의 시조(市鳥)인 갈매기를 디자인한 '두리아'였다. 동티모르가 처음으로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였으며, 북한이 대한민국에서 개최되는 국제대회에 처음으로 참가하였다.11. 교육
부산광역시에는 여러 대학교,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및 도서관이 있다.
; 대학교
부산광역시에는 국립 대학교와 사립 대학교가 여럿 있다. 국립 대학교로는 부경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부산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가 있다.[38] 사립 대학교로는 경성대학교, 고신대학교, 동명대학교, 동서대학교, 동아대학교, 동의대학교, 부산가톨릭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신라대학교, 영산대학교(해운대 캠퍼스), 인제대학교(부산캠퍼스), 경남정보대학교, 대동대학교, 동의과학대학교, 부산경상대학교, 부산과학기술대학교, 부산보건대학교, 부산여자대학교, 부산예술대학교, 한국폴리텍대학(부산캠퍼스, 동부산캠퍼스)이 있다.[38]
;고등학교
부산광역시의 고등학교 목록 문서를 참고하라.
금정고등학교는 1986년에 설립되었다. 경원고등학교는 1986년에 설립되었다.
;중학교
부산광역시의 중학교 목록 문서를 참고하라.
;초등학교
부산광역시의 초등학교 목록 문서를 참고하라.
;도서관
강서도서관, 부산광역시립서동도서관, 금정도서관, 금정온천천 작은도서관, 기장도서관, 대라다목적도서관, 정관도서관, 정관어린이도서관, 남구도서관, 분포도서관, 행복한도서관, 동구도서관, 부산광역시립명장도서관, 동래읍성도서관, 안락누리도서관,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 부산광역시립부전도서관, 부산광역시립중앙도서관 분관 부산영어도서관, 맨발동무도서관, 부산광역시립구포도서관, 디지털도서관, 화명도서관, 금곡도서관, 사상도서관, 부산광역시립사하도서관, 다대도서관, 부산광역시립구덕도서관, 수영구도서관, 수영구도서관 망미분관, 부산광역시립연산도서관, 연제도서관, 영도도서관, 영도어린이영어도서관, 부산광역시립중앙도서관, 부산광역시립반송도서관, 부산광역시립해운대도서관, 해운대도서관 우동분관, 느티나무도서관, 반여도서관, 재송어린이도서관이 있다.
11. 1. 대학교
부산광역시에는 국립 대학교와 사립 대학교가 여럿 있다. 국립 대학교로는 부경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부산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가 있다.[38] 사립 대학교로는 경성대학교, 고신대학교, 동명대학교, 동서대학교, 동아대학교, 동의대학교, 부산가톨릭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신라대학교, 영산대학교(해운대 캠퍼스), 인제대학교(부산캠퍼스), 경남정보대학교, 대동대학교, 동의과학대학교, 부산경상대학교, 부산과학기술대학교, 부산보건대학교, 부산여자대학교, 부산예술대학교, 한국폴리텍대학(부산캠퍼스, 동부산캠퍼스)이 있다.[38]11. 2. 고등학교
금정고등학교는 1986년에 설립되었다. 경원고등학교는 1986년에 설립되었다.
11. 3. 중학교
부산광역시의 중학교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11. 4. 초등학교
11. 5. 도서관
강서도서관, 부산광역시립서동도서관, 금정도서관, 금정온천천 작은도서관, 기장도서관, 대라다목적도서관, 정관도서관, 정관어린이도서관, 남구도서관, 분포도서관, 행복한도서관, 동구도서관, 부산광역시립명장도서관, 동래읍성도서관, 안락누리도서관,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 부산광역시립부전도서관, 부산광역시립중앙도서관 분관 부산영어도서관, 맨발동무도서관, 부산광역시립구포도서관, 디지털도서관, 화명도서관, 금곡도서관, 사상도서관, 부산광역시립사하도서관, 다대도서관, 부산광역시립구덕도서관, 수영구도서관, 수영구도서관 망미분관, 부산광역시립연산도서관, 연제도서관, 영도도서관, 영도어린이영어도서관, 부산광역시립중앙도서관, 부산광역시립반송도서관, 부산광역시립해운대도서관, 해운대도서관 우동분관, 느티나무도서관, 반여도서관, 재송어린이도서관이 있다.12. 교통
부산의 두 주요 버스터미널인 노포동 버스터미널(1호선 북쪽 종점)과 사상역(2호선)에 위치한 부산서부버스터미널을 통해 한국의 다른 도시들과 주요 고속버스 노선이 연결되어 있다.[93] 시내버스 134개 노선이 부산 전역에 운행된다.
부산의 시내버스에는 총 160개의 노선이 있다. 각 정류장을 정차하는 완행버스 형태인 일반버스, 일반버스 비하여 정차하는 정류장 수가 적어 일반버스보다 주요 지역을 더 빨리 연결하는 급행버스와 좌석버스가 있다. 그리고 김해국제공항과 부산 도심을 잇는 공항 좌석버스도 있다.[93] 또한 부산 인접 지역의 시내버스인 양산 시내버스, 창원 시내버스, 김해 시내버스 및 울산 시내버스 가운데 부산까지 오는 노선이 있다.
김해공항 리무진버스는 김해국제공항과 부산 도심을 연결하는 가장 빠른 버스 중 하나이다. 2012년 기준으로 태영리무진에서 3개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 남포동 노선: 김해국제공항 ↔ 서면, 부산진역, 부산역, 남포동 ↔ 충무동(서구청)
- 해운대 1번 노선: 김해국제공항 ↔ 남천동, 벡스코, 동백섬(웨스틴 조선 부산), 해운대 ↔ 신도시(장산역)
- 해운대 2번 노선: 김해국제공항 ↔ 남천동, 광안대교, 해운대 ↔ 신도시(장산역) 직행버스
버스운송사업조합 및 마을버스운송사업조합 산하 사업자들이 다수의 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요금 및 기능 체계는 일반 버스, 입석 버스, 마을버스, 심야 버스로 나뉜다. 요금 지불에는 하나로카드도 이용할 수 있으며, 카드 이용 할인, 지하철 환승 할인 등의 제도가 적용된다.
일부 노선은 울산광역시와 양산시까지 운행하며, 울산광역시와 양산시의 시내버스도 부산시내로 운행하는 노선이 있다.




1968년까지는 시내전차(노면전차)도 시가지에서 운행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부산시내전차 참조.
2017년 1월 기준, 총 6개의 노선이 있다. 환승역은 서면역(1, 2호선), 연산역(1, 3호선), 수영역(2, 3호선), 덕천역(2, 3호선), 미남역(3, 4호선), 동래역(1, 4호선), 사상역(2호선과 부산-김해경전철), 대저역(3호선과 부산-김해경전철), 교대역(1호선, 동해선 광역전철), 벡스코역(2호선, 동해선 광역전철), 거제역(3호선, 동해선 광역전철)이다.
-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사하구 다대동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출발하여 장림동, 신평동, 하단동, 괴정동, 서대신동, 동대신동, 부산대학교병원, 자갈치시장, 남포동, 부산역, 부산진역, 범일동, 부산교통공사, 서면, 부전동, 부산광역시청, 연산동, 부산교육대학교, 동래, 온천장, 부산대학교, 장전동, 구서동, 남산동, 범어사를 경유한 뒤에 금정구 노포동 노포역을 연결한다. 2017년 4월 20일에 신평역 ~ 다대포해수욕장역 연장 구간이 개통되었다. 노포역 ~ 북정동 구간은 1호선의 연장, 또는 별도의 경전철 노선으로 건설 계획중이며 2024년 개통 예정이다.
-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은 해운대구 좌동 장산역을 출발하여 중동, 해운대해수욕장, 부산시립미술관, 벡스코, 수영, 광안리해수욕장, 부경대학교, 문현동, 전포동, 서면, 부암동, 동의대학교, 주례동, 감전동, 서부터미널, 덕포동, 모라동, 덕천동, 화명동, 호포,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를 경유한 뒤 경상남도 양산시 양산역을 연결한다.
-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수영구 광안동 수영역을 출발하여 망미동(병무청), 배산, 연산동, 거제리 법조타운,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사직야구장, 미남교차로, 만덕동, 덕천동, 구포역, 강서구청, 강서체육공원을 경유한 뒤 강서구 대저동 대저역을 연결한다.
-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은 동래구 온천동 미남역을 출발하여 동래, 수안동, 낙민동, 충렬사, 명장동, 서동, 금사동, 반여농산물도매시장, 반송동, 고촌마을을 경유한 뒤 기장군 철마면 안평역을 연결하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무차륜식 무인경전철이다.
- 부산-김해경전철은 사상구 괘법동 사상역을 출발하여 김해국제공항, 부산 3호선과 환승이 가능한 대저역, 대사리, 불암동, 인제대학교, 김해시청, 봉황동, 김해여객터미널, 국립김해박물관, 연지공원, 부산장신대학교를 경유한 뒤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 가야대역까지 운행한다. 부산 4호선과 같이 무인으로 운행한다. 2011년 9월 9일 개업하였다.(개통식은 9월 16일).
- 동해선 광역전철은 부산진구 부전동 부전역을 출발하여 부산 3호선과 환승이 가능한 거제역, 부산 1호선과 환승이 가능한 교대역을 거쳐 안락동, 재송동, 그리고 부산 2호선과 환승이 가능한 벡스코역을 경유하여 송정역과 기장역을 거쳐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동 태화강역까지 운행한다. 2016년 12월 29일 개업하였다.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에서 관리 및 운영하는 비수도권 최초의 광역전철이다. 일광역~태화강역 구간은 동해선의 연장 구간으로, 2021년 12월 28일에 개통하였다.
12. 1. 시내교통
부산의 두 주요 버스터미널인 노포동 버스터미널(지하철 1호선 북쪽 종점)과 사상역(지하철 2호선)에 위치한 부산서부버스터미널을 통해 한국의 다른 도시들과 주요 고속버스 노선이 연결되어 있다.[93] 시내버스 134개 노선이 부산 전역에 운행된다.
- 하위 레벨 제목(sub-sectionTitle): 시내버스
- 하위 레벨 본문(sub-content):
```content
부산의 시내버스에는 총 160개의 노선이 있다. 각 정류장을 정차하는 완행버스 형태인 일반버스, 일반버스 비하여 정차하는 정류장 수가 적어 일반버스보다 주요 지역을 더 빨리 연결하는 급행버스와 좌석버스가 있다. 그리고 김해국제공항과 부산 도심을 잇는 공항 좌석버스도 있다.[93] 또한 부산 인접 지역의 시내버스인 양산 시내버스, 창원 시내버스, 김해 시내버스 및 울산 시내버스 가운데 부산까지 오는 노선이 있다.
김해공항 리무진버스는 김해국제공항과 부산 도심을 연결하는 가장 빠른 버스 중 하나이다. 2012년 기준으로 태영리무진에서 3개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 남포동 노선: 김해국제공항 ↔ 서면, 부산진역, 부산역, 남포동 ↔ 충무동(서구청)
- 해운대 1번 노선: 김해국제공항 ↔ 남천동, 벡스코, 동백섬(웨스틴 조선 부산), 해운대 ↔ 신도시(장산역)
- 해운대 2번 노선: 김해국제공항 ↔ 남천동, 광안대교, 해운대 ↔ 신도시(장산역) 직행버스
버스운송사업조합 및 마을버스운송사업조합 산하 사업자들이 다수의 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요금 및 기능 체계는 일반 버스, 입석 버스, 마을버스, 심야 버스로 나뉜다. 요금 지불에는 하나로카드도 이용할 수 있으며, 카드 이용 할인, 지하철 환승 할인 등의 제도가 적용된다.
일부 노선은 울산광역시와 양산시까지 운행하며, 울산광역시와 양산시의 시내버스도 부산시내로 운행하는 노선이 있다.
```
- 하위 레벨 제목(sub-sectionTitle): 도시철도
- 하위 레벨 본문(sub-content):
```content
2017년 1월 기준, 총 6개의 노선이 있다. 환승역은 서면역(1, 2호선), 연산역(1, 3호선), 수영역(2, 3호선), 덕천역(2, 3호선), 미남역(3, 4호선), 동래역(1, 4호선), 사상역(2호선과 부산-김해경전철), 대저역(3호선과 부산-김해경전철), 교대역(1호선, 동해선 광역전철), 벡스코역(2호선, 동해선 광역전철), 거제역(3호선, 동해선 광역전철)이다.
-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사하구 다대동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출발하여 장림동, 신평동, 하단동, 괴정동, 서대신동, 동대신동, 부산대학교병원, 자갈치시장, 남포동, 부산역, 부산진역, 범일동, 부산교통공사, 서면, 부전동, 부산광역시청, 연산동, 부산교육대학교, 동래, 온천장, 부산대학교, 장전동, 구서동, 남산동, 범어사를 경유한 뒤에 금정구 노포동 노포역을 연결한다. 2017년 4월 20일에 신평역 ~ 다대포해수욕장역 연장 구간이 개통되었다. 노포역 ~ 북정동 구간은 1호선의 연장, 또는 별도의 경전철 노선으로 건설 계획중이며 2024년 개통 예정이다.
-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은 해운대구 좌동 장산역을 출발하여 중동, 해운대해수욕장, 부산시립미술관, 벡스코, 수영, 광안리해수욕장, 부경대학교, 문현동, 전포동, 서면, 부암동, 동의대학교, 주례동, 감전동, 서부터미널, 덕포동, 모라동, 덕천동, 화명동, 호포,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를 경유한 뒤 경상남도 양산시 양산역을 연결한다.
-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수영구 광안동 수영역을 출발하여 망미동(병무청), 배산, 연산동, 거제리 법조타운,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사직야구장, 미남교차로, 만덕동, 덕천동, 구포역, 강서구청, 강서체육공원을 경유한 뒤 강서구 대저동 대저역을 연결한다.
-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은 동래구 온천동 미남역을 출발하여 동래, 수안동, 낙민동, 충렬사, 명장동, 서동, 금사동, 반여농산물도매시장, 반송동, 고촌마을을 경유한 뒤 기장군 철마면 안평역을 연결하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무차륜식 무인경전철이다.
- 부산-김해경전철은 사상구 괘법동 사상역을 출발하여 김해국제공항, 부산 3호선과 환승이 가능한 대저역, 대사리, 불암동, 인제대학교, 김해시청, 봉황동, 김해여객터미널, 국립김해박물관, 연지공원, 부산장신대학교를 경유한 뒤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 가야대역까지 운행한다. 부산 4호선과 같이 무인으로 운행한다. 2011년 9월 9일 개업하였다.(개통식은 9월 16일).
- 동해선 광역전철은 부산진구 부전동 부전역을 출발하여 부산 3호선과 환승이 가능한 거제역, 부산 1호선과 환승이 가능한 교대역을 거쳐 안락동, 재송동, 그리고 부산 2호선과 환승이 가능한 벡스코역을 경유하여 송정역과 기장역을 거쳐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동 태화강역까지 운행한다. 2016년 12월 29일 개업하였다.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에서 관리 및 운영하는 비수도권 최초의 광역전철이다. 일광역~태화강역 구간은 동해선의 연장 구간으로, 2021년 12월 28일에 개통하였다.
1968년까지는 시내전차(노면전차)도 시가지에서 운행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부산시내전차 참조.
12. 1. 1. 시내버스
부산의 시내버스에는 총 160개의 노선이 있다. 각 정류장을 정차하는 완행버스 형태인 일반버스, 일반버스 비하여 정차하는 정류장 수가 적어 일반버스보다 주요 지역을 더 빨리 연결하는 급행버스와 좌석버스가 있다. 그리고 김해국제공항과 부산 도심을 잇는 공항 좌석버스도 있다.[93] 또한 부산 인접 지역의 시내버스인 양산 시내버스, 창원 시내버스, 김해 시내버스 및 울산 시내버스 가운데 부산까지 오는 노선이 있다.
김해공항 리무진버스는 김해국제공항과 부산 도심을 연결하는 가장 빠른 버스 중 하나이다. 2012년 기준으로 태영리무진에서 3개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 남포동 노선: 김해국제공항 ↔ 서면, 부산진역, 부산역, 남포동 ↔ 충무동(서구청)
- 해운대 1번 노선: 김해국제공항 ↔ 남천동, 벡스코, 동백섬(웨스틴 조선 부산), 해운대 ↔ 신도시(장산역)
- 해운대 2번 노선: 김해국제공항 ↔ 남천동, 광안대교, 해운대 ↔ 신도시(장산역) 직행버스
버스운송사업조합 및 마을버스운송사업조합 산하 사업자들이 다수의 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요금 및 기능 체계는 일반 버스, 입석 버스, 마을버스, 심야 버스로 나뉜다. 요금 지불에는 하나로카드도 이용할 수 있으며, 카드 이용 할인, 지하철 환승 할인 등의 제도가 적용된다.
일부 노선은 울산광역시와 양산시까지 운행하며, 울산광역시와 양산시의 시내버스도 부산시내로 운행하는 노선이 있다.
12. 1. 2. 도시철도
2017년 1월 기준, 총 6개의 노선이 있다. 환승역은 서면역(1, 2호선), 연산역(1, 3호선), 수영역(2, 3호선), 덕천역(2, 3호선), 미남역(3, 4호선), 동래역(1, 4호선), 사상역(2호선과 부산-김해경전철), 대저역(3호선과 부산-김해경전철), 교대역(1호선, 동해선 광역전철), 벡스코역(2호선, 동해선 광역전철), 거제역(3호선, 동해선 광역전철)이다.
-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사하구 다대동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출발하여 장림동, 신평동, 하단동, 괴정동, 서대신동, 동대신동, 부산대학교병원, 자갈치시장, 남포동, 부산역, 부산진역, 범일동, 부산교통공사, 서면, 부전동, 부산광역시청, 연산동, 부산교육대학교, 동래, 온천장, 부산대학교, 장전동, 구서동, 남산동, 범어사를 경유한 뒤에 금정구 노포동 노포역을 연결한다. 2017년 4월 20일에 신평역 ~ 다대포해수욕장역 연장 구간이 개통되었다. 노포역 ~ 북정동 구간은 1호선의 연장, 또는 별도의 경전철 노선으로 건설 계획중이며 2024년 개통 예정이다.
-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은 해운대구 좌동 장산역을 출발하여 중동, 해운대해수욕장, 부산시립미술관, 벡스코, 수영, 광안리해수욕장, 부경대학교, 문현동, 전포동, 서면, 부암동, 동의대학교, 주례동, 감전동, 서부터미널, 덕포동, 모라동, 덕천동, 화명동, 호포,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를 경유한 뒤 경상남도 양산시 양산역을 연결한다.
-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수영구 광안동 수영역을 출발하여 망미동(병무청), 배산, 연산동, 거제리 법조타운,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사직야구장, 미남교차로, 만덕동, 덕천동, 구포역, 강서구청, 강서체육공원을 경유한 뒤 강서구 대저동 대저역을 연결한다.
-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은 동래구 온천동 미남역을 출발하여 동래, 수안동, 낙민동, 충렬사, 명장동, 서동, 금사동, 반여농산물도매시장, 반송동, 고촌마을을 경유한 뒤 기장군 철마면 안평역을 연결하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무차륜식 무인경전철이다.
- 부산-김해경전철은 사상구 괘법동 사상역을 출발하여 김해국제공항, 부산 3호선과 환승이 가능한 대저역, 대사리, 불암동, 인제대학교, 김해시청, 봉황동, 김해여객터미널, 국립김해박물관, 연지공원, 부산장신대학교를 경유한 뒤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 가야대역까지 운행한다. 부산 4호선과 같이 무인으로 운행한다. 2011년 9월 9일 개업하였다.(개통식은 9월 16일).
- 동해선 광역전철은 부산진구 부전동 부전역을 출발하여 부산 3호선과 환승이 가능한 거제역, 부산 1호선과 환승이 가능한 교대역을 거쳐 안락동, 재송동, 그리고 부산 2호선과 환승이 가능한 벡스코역을 경유하여 송정역과 기장역을 거쳐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동 태화강역까지 운행한다. 2016년 12월 29일 개업하였다.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에서 관리 및 운영하는 비수도권 최초의 광역전철이다. 일광역~태화강역 구간은 동해선의 연장 구간으로, 2021년 12월 28일에 개통하였다.
1968년까지는 시내전차(노면전차)도 시가지에서 운행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부산시내전차 참조.
12. 2. 시외교통
12. 2. 1. 철도
경부선 KTX 및 경부선 SRT의 시종착역은 부산역이며, 구포역에도 KTX 고속열차 노선의 일부가 정차한다. 동구에 있는 부산역에서 경부선 ITX-새마을·무궁화호를 이용할 수 있으며, 부산진구에 있는 부전역에서 동해선 일반열차와 경전선 무궁화호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북구에 있는 구포역과 화명역, 해운대구에 있는 신해운대역, 사상구에 있는 사상역 등에서도 일반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동해선은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있는 부산진역에서 경상북도 포항시의 포항역을 잇는 본선과, 7개의 지선으로 구성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이다.
부산은 여러 철도 노선이 지나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노선은 경부선으로, 서울, 대전, 대구 등 다른 주요 도시와 연결된다. 경부선에는 고속철도인 KTX를 포함한 모든 등급의 열차가 운행하며, 서울까지 약 150분 만에 자주 운행한다. 경부선은 부산역에서 종착한다. 다른 노선으로는 울산, 포항, 경주를 연결하는 동해남부선이 있다.
SRT는 2016년에 처음 운영을 시작하여 경부고속선과 호남고속선을 운행한다. SRT는 서울 강남 지역을 주요 도시와 연결하는 새로운 관문을 제공한다.
여기서는 주요 역을 기재한다.
- 부산역
- *경부선과 KTX・SRT 열차가 발착한다.
- 부전역
- * 동해선・경전선 열차가 발착한다.
- 구포역
- *경부선・경전선 열차와 KTX 일부가 정차한다.
- 신해운대역
- * 소수의 경부선 열차가 발착하고, 동해선 열차가 정차한다.
12. 2. 2. 도로
아시안 하이웨이는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과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이 있으며, 이들은 금정구에서 합류·분기한다.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은 일본에서 카페리를 통해 부산 국제여객터미널에 이른 후 충장로, 번영로(부산 제1도시고속도로) , 그리고 경부고속도로를 따라 불가리아로 이어진다. 아시아 고속도로 6호선은 중앙로의 시점과 동일한 옛시청교차로에서 시작하여 중앙로, 거제로, 금정로, 그리고 월평로를 거친 후 국도 제7호선을 따라 러시아로 향하게 된다. 경부고속도로 노포 나들목에서 직접 합류ㆍ분기하며(불가리아 방향으로만 진ㆍ출입 가능), 구서 나들목에서 1km 정도 달리면 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 (불가리아 방향, 일본 방향)에 진입할 수 있다.
고속도로는 금정구에서 경부고속도로가 시작된다. 강서구에서 남해고속도로제2지선과 남해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다. 사상구에서는 중앙고속도로(대구부산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고, 해운대구에서는 동해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금정구/기장군에서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가 이용 가능하다.
경부고속도로(1호선)
- *부산 나들목 - 구서 분기점 - 노포 나들목(서울 방면 출입만 가능)
중앙고속도로(55호선)
- *삼락 나들목 - 대저 분기점 - 구포 나들목
남해고속도로(10호선)
- *북부산 요금소 - 대저 분기점
남해고속도로 제2지선(104호선)
- *가락 나들목 - 서부산 요금소 - 서부산 나들목 - 사상 나들목
국도 제2호선
국도 제7호선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77호선
도시고속화도로는 번영로 (11), 거가대로 (17), 동서고가로 (22), 관문대로 (33), 장산로 (77), 정관산업로 (81) 등 총 6개의 도시고속화도로가 있는데 제일 먼저 개통된 것은 번영로(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의 일부)이다. 이 외에도 곳곳마다 자동차 전용도로가 있다.
12. 2. 3. 버스
금정구 노포동에 있는 부산종합버스터미널에서 전국 각 지역으로 가는 고속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사상구에 위치한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에서는 마산 진주 등 시외버스 이용할 수 있고 광주와 인천 방면 고속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93]부산종합버스터미널에서 동부 경남, 경북, 강원특별자치도, 경기도 지역으로 운행하는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에서 서부 경남과 전라도 지역으로 운행하는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해운대시외버스터미널에서 울산, 김해, 창원 등의 경남 동부 방면 버스, 오산, 수원, 안산, 부천, 동서울 등 수도권 방면 버스, 동해, 강릉 등 강원특별자치도 남부 방면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동래시외버스터미널에서 창원, 김해, 고성, 통영, 거제 등의 경남 중남부 방면 버스, 순천, 여수, 광양도 간다.[94]
12. 3. 국제 교통
12. 3. 1. 항공

- 국내선
: 김포 노선, 제주 노선에 취항한다.
- 국제선
: 내항기(대한민국(인천)), 일본(도쿄, 나고야, 오사카, 후쿠오카, 삿포로, 기타큐슈), 중국(베이징, 상하이, 항저우, 난징, 광저우, 선양, 옌지, 칭다오, 웨이하이, 옌타이), 홍콩(홍콩), 마카오(마카오), 타이완(타이베이), 몽골(울란바토르), 러시아(블라디보스토크), 핀란드(헬싱키), 베트남(하노이, 호치민, 다낭), 태국(방콕), 필리핀(마닐라, 세부, 칼리보), 싱가포르(싱가포르), 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 코타키나발루), 캄보디아(시엠립), 괌(괌) 노선 등에 취항한다.
부산은 강서구에 있는 김해국제공항을 통해 서비스된다. 김해국제공항은 부산김해경전철과 연결되어 있다.
새로운 공항이 가덕도 남쪽 끝에 김해국제공항을 대체하기 위해 건설 중이며, 이는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해상에 건설되는 공항이 될 것이다.
12. 3. 2. 해운
- 부산항
- * 국제여객터미널
: 일본 시모노세키, 후쿠오카, 오사카, 대마도(히타카쓰항과 이즈하라항 모두 해당)를 한국 국적과 일본 국적의 여객선과 쾌속선이 왕복으로 운항한다.
- * 연안여객터미널
: 제주행 여객선으로 (주) 동북아카페리의 카페리 블루 스타호가 운항했었다. 그러나 2018년 7월 7일자로 건조된지 30년이나 됨에 따라 선령이 만료되어 현재는 운항이 중단된 상태이다.
- 도선과 유람선
:중앙동을 출발하여 태종대, 오륙도, 광안대교를 거쳐 해운대 미포선착장으로 가는 유람선, 용호동과 오륙도를 잇는 유람선, 태종대와 오륙도를 왕복하는 태종대 유람선 등이 운항 중이다.

부산항 제3, 4부두의 국제여객터미널을 출발하는 여객선은 부산을 쓰시마섬의 이즈하라와 히타카쓰 항, 그리고 일본 본토의 시모노세키, 후쿠오카, 오사카와 연결한다.[95]
- 팬스타(PanStar)[96]는 부산과 오사카 사이를 운항하는 팬스타페리(PanStar Ferry)를 운영한다.
- 대아고속해운[97]이 운영하는 쓰시마행 여객선 '씨플라워 2호(Seaflower 2)'는 부산과 히타카쓰 간을 1시간 40분, 부산과 이즈하라 간을 2시간 40분 만에 운항하며 승객만 수송한다.
- 부관훼리[98]가 운영하는 '성희(Seonghee)'는 부산과 시모노세키를 연결한다.
- 후쿠오카행 여객선 중 하나는 카멜리아라인이 운영하는 '카멜리아(Camellia)'이다. 카멜리아는 야간에 7시간 30분 만에 후쿠오카에 도착하고, 오후에 5시간 30분 만에 부산으로 돌아온다.
- 또 다른 후쿠오카행 여객선 서비스는 미래제트(Miraejet)[99]가 운영하는 고속 수중익선인 비틀(Beetle)과 코비(Kobee)가 담당한다. 매일 각 도시에서 약 5회 출발이 예정되어 있다. 수중익선을 이용하면 한국 해협을 건너 후쿠오카까지 2시간 55분밖에 걸리지 않는다. 비틀은 규슈 여객철도(JR Kyushu) 소유이다.
부산항은 대한민국의 허브 항만이며, 2021년 부산항의 해상 컨테이너 취급량은 세계 7위이다.[125] 화물 증가에 따라 도시 서부에 부산신항이 조성되어 기능 분산을 도모하고 있다.
13. 기타
부산광역시는 인근의 울산광역시와 일부 경상남도와 함께 1970년대에서 1980년대 사이에 걸쳐 일본 국적의 텔레비전 방송사 채널 수신이 가능했다.[166] 당시에는 야간 통행이 금지되었던 시절이었기 때문에, 부산 지역 주민들은 한국의 지상파 TV 방송사가 정파를 하는 시간대에 일본 TV 방송 채널을 시청했다. 당시 수신이 가능했던 채널은 NHK 나가사키 방송국의 종합TV, 교육TV, 나가사키 방송(NBC), TV 나가사키(KTN) 등 3개 방송사의 4개 채널이었다. 그 시기에는 컬러 텔레비전이 한국보다 20년 먼저 일본에 선보였기 때문에, 컬러TV 시청도 가능했다. 부산에서 가장 가까운 일본 TV 중계소는 쓰시마시에 있는 쓰시마 오메가국, 이즈하라 중계국 등이며, 이즈하라 중계국에 배정된 TV 채널은 NHK 종합TV가 5번, NBC 나가사키 방송이 9번, NHK 교육TV가 11번, TV 나가사키가 22번(한국에는 23번)이었다.[166]
대한민국의 TV 방송이 낮 시간대나 심야 및 이른 새벽 시간대에 정파에 들어가면 일본 방송을 시청하는 습관이 생겼다. 다만 한국, 일본 양국의 TV 방송사가 모두 새벽 시간대에 정파에 들어가던 시절에는 AFKN으로 채널을 돌리거나, TV를 끄고 일본의 AM 라디오[167]를 청취했다. 출력이 매우 강한 야마구치, 히로시마, 오사카, 도쿄 지역의 AM 방송을 듣거나, KBS 제1라디오나 MBC-AM 라디오로 변경하는 경우도 있었다. 때로는 타이완의 AM 라디오를 청취하기도 했다.[166]
14. 대외 관계
2019년 7월 23일, 오거돈 시장은 일본의 캐치올 규제 등의 재검토를 비판하며 부산시가 주최하는 한일 교류 행사 등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할 뜻을 밝히고, 공무원의 방일도 중단했다.[120]
부산광역시에는 다수의 외국 공관이 설치되어 운영 중이다.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 주부산 중국 총영사관, 주부산 러시아 총영사관, 주부산 미국 영사관, 주부산 몽골 영사관, 주한 타이베이 대표부 부산 사무처 등이 부산광역시에 설치된 대표적인 외국 공관이다.
해운대구에는 주부산 중국 총영사관을 비롯하여 방글라데시 명예총영사관, 프랑스 명예영사관, 스웨덴 영사관이 있다. 동구에는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 주부산 몽골 영사관, 주부산 카자흐스탄 총영사관과 오스트레일리아 영사관, 불가리아 명예영사관이 설치되어 있다. 서구에는 뉴질랜드 명예영사관이, 남구에는 스페인 영사관과 과테말라 명예영사관이 있다. 북구에는 태국 총영사관과 인도네시아 영사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중구에는 주부산 러시아 총영사관, 주한 타이베이 대표부 부산 사무처와 캄보디아 영사관, 영국 명예영사관, 독일 명예영사관, 포르투갈 명예영사관, 파나마 명예영사관이 있다.
부산진구에는 주부산 미국 영사관과 베트남 총영사관, 인도 명예영사관, 엘살바도르 영사관이 있으며, 동래구에는 파키스탄 영사관과 루마니아 영사관이 있다. 사하구에는 튀르키예 명예영사관과 캐나다 명예영사관이 있고, 사상구에는 스위스 명예영사관과 핀란드 명예영사관이 설치되어 있다. 금정구에는 멕시코 영사관, 오스트리아 명예영사관, 에콰도르 명예영사관, 코트디부아르 명예영사관이 있으며, 연제구에는 덴마크 명예영사관, 수영구에는 노르웨이 명예영사관이 있다.
부산광역시는 2014년 3월 기준, 23개국 26개 도시와 활발한 인적·물적 교류를 하고 있다.[168]
지역 & 국가 | 도시 (체결 년도) |
---|---|
25px 가오슝시 (1966) | |
25px 타이베이 (2021) | |
25px 캘리포니아주 25px 로스앤젤레스(1967) | |
25px 야마구치현 25px 시모노세키시 (1976) | |
25px 바르셀로나 (1983) | |
25px 리우데자네이루 (1985) | |
25px 블라디보스토크 (1992) | |
상하이 (1993) | |
수라바야 (1994) | |
빅토리아주 (1994) | |
호찌민 (1995) | |
티후아나 (1995) | |
오클랜드 (1996)[119] | |
발파라이소 (1999) | |
몬트리올 (2000) | |
서케이프주 (2000) | |
이스탄불 (2002) | |
두바이 (2006) | |
후쿠오카 (2007) | |
시카고 (2007) | |
상트페테르부르크 (2008) | |
프놈펜 (2009) | |
뭄바이 (2009) | |
테살로니키 (2010) | |
카사블랑카 (2011) | |
세부주 (2011) | |
양곤 (2013) | |
그디냐 (2020) |
한국에서는 2003년까지 자매도시 관계는 "'''1국 1도시로 제한'''"하는 규정이 있었다. 이 때문에 부산광역시는 시모노세키시와 자매도시 관계를 맺었고, 후쿠오카시와는 당초 "행정교류도시" 관계를 맺었다. 이후 이 규제가 폐지됨에 따라 2007년 2월 2일, 후쿠오카시와의 관계를 격상하여 "자매도시" 관계를 맺었다.
2005년 12월에는 홋카이도와 우호교류협정을 체결했다.
지역 & 국가 | 도시 (체결 년도) |
---|---|
선전 (2007) | |
톈진 (2007) | |
충칭 (2010) | |
베이징시 (2013) | |
부산광역시는 6개국 11개의 도시와 우호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102]
오사카와 2008년 5월 21일 우호협력도시 협정을 체결하였다. 2006년 6월 26일에는 요코하마시와 파트너 도시 협정을, 2005년 12월에는 홋카이도와 우호교류협정을 체결하였다.
부산광역시의 자매 항구는 6곳이다.[171]
지역 & 국가 | 도시 |
---|---|
햄프셔주 사우샘프턴 항 (1978) | |
25px 오사카부 25px 오사카시 오사카 항 (1985)[172] | |
상하이 항 (1994) | |
타이중 항 |
부산항은 설립 연도 순으로 6개의 자매항을 두고 있다.[103]
- 사우스햄튼/Southampton영어 항, 영국/United Kingdom영어 (1978)
- 마이애미/Miami영어 항, 미국/United States of America영어 (1981)
- 오사카 항/大阪港일본어, 일본/日本일본어 (1985)[104]
- 로테르담/Rotterdamnl 항, 네덜란드/Nederlandnl (1985)
- 뉴욕/New York영어 - 뉴저지/New Jersey영어 항, 미국/United States of America영어 (1988)
- 상하이 항/上海港중국어, 중국/中国중국어 (1994)
14. 1. 외교 시설
부산광역시에는 다수의 외국 공관이 설치되어 운영 중이다.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 주부산 중국 총영사관, 주부산 러시아 총영사관, 주부산 미국 영사관, 주부산 몽골 영사관, 주한 타이베이 대표부 부산 사무처 등이 부산광역시에 설치된 대표적인 외국 공관이다.해운대구에는 주부산 중국 총영사관을 비롯하여 방글라데시 명예총영사관, 프랑스 명예영사관, 스웨덴 영사관이 있다. 동구에는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 주부산 몽골 영사관, 주부산 카자흐스탄 총영사관과 오스트레일리아 영사관, 불가리아 명예영사관이 설치되어 있다. 서구에는 뉴질랜드 명예영사관이, 남구에는 스페인 영사관과 과테말라 명예영사관이 있다. 북구에는 태국 총영사관과 인도네시아 영사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중구에는 주부산 러시아 총영사관, 주한 타이베이 대표부 부산 사무처와 캄보디아 영사관, 영국 명예영사관, 독일 명예영사관, 포르투갈 명예영사관, 파나마 명예영사관이 있다.
부산진구에는 주부산 미국 영사관과 베트남 총영사관, 인도 명예영사관, 엘살바도르 영사관이 있으며, 동래구에는 파키스탄 영사관과 루마니아 영사관이 있다. 사하구에는 튀르키예 명예영사관과 캐나다 명예영사관이 있고, 사상구에는 스위스 명예영사관과 핀란드 명예영사관이 설치되어 있다. 금정구에는 멕시코 영사관, 오스트리아 명예영사관, 에콰도르 명예영사관, 코트디부아르 명예영사관이 있으며, 연제구에는 덴마크 명예영사관, 수영구에는 노르웨이 명예영사관이 있다.
14. 2. 자매도시
부산광역시는 2014년 3월 기준, 23개국 26개 도시와 활발한 인적·물적 교류를 하고 있다.[168]지역 & 국가 | 도시 (체결 년도) |
---|---|
25px 가오슝시 (1966) | |
25px 타이베이 (2021) | |
25px 캘리포니아주 25px 로스앤젤레스(1967) | |
25px 야마구치현 25px 시모노세키시 (1976) | |
25px 바르셀로나 (1983) | |
25px 리우데자네이루 (1985) | |
25px 블라디보스토크 (1992) | |
상하이 (1993) | |
수라바야 (1994) | |
빅토리아주 (1994) | |
호찌민 (1995) | |
티후아나 (1995) | |
오클랜드 (1996)[119] | |
발파라이소 (1999) | |
몬트리올 (2000) | |
서케이프주 (2000) | |
이스탄불 (2002) | |
두바이 (2006) | |
후쿠오카 (2007) | |
시카고 (2007) | |
상트페테르부르크 (2008) | |
프놈펜 (2009) | |
뭄바이 (2009) | |
테살로니키 (2010) | |
카사블랑카 (2011) | |
세부주 (2011) | |
양곤 (2013) | |
그디냐 (2020) |
한국에서는 2003년까지 자매도시 관계는 "'''1국 1도시로 제한'''"하는 규정이 있었다. 이 때문에 부산광역시는 시모노세키시와 자매도시 관계를 맺었고, 후쿠오카시와는 당초 "행정교류도시" 관계를 맺었다. 이후 이 규제가 폐지됨에 따라 2007년 2월 2일, 후쿠오카시와의 관계를 격상하여 "자매도시" 관계를 맺었다.
2005년 12월에는 홋카이도와 우호교류협정을 체결했다.
14. 3. 우호협력 도시
지역 & 국가 | 도시 (체결 년도) |
---|---|
선전 (2007) | |
톈진 (2007) | |
충칭 (2010) | |
베이징시 (2013) | |
오사카부 오사카시 (2008) | |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 (2014) | |
방콕 (2011) |
부산광역시는 6개국 11개의 도시와 우호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102]
오사카와 2008년 5월 21일 우호협력도시 협정을 체결하였다. 2006년 6월 26일에는 요코하마시와 파트너 도시 협정을, 2005년 12월에는 홋카이도와 우호교류협정을 체결하였다.
14. 4. 자매 항구
부산광역시의 자매 항구는 6곳이다.[171]참조
[1]
웹사이트
2022년 지역소득(잠정)
https://kostat.go.kr[...]
2023-12-23
[2]
웹사이트
Pusan-gwangyŏksi: South Korea
http://geographic.or[...]
2011-08-15
[3]
웹사이트
Major Agglomerations of the World - Population Statistics and Maps
https://www.citypopu[...]
2023-10-12
[4]
웹사이트
공공데이터포털
https://data.busan.g[...]
2024-06-04
[5]
뉴스
Cargo processed at Busan port dips 6.5 pct in Oct.
http://english.yonha[...]
Yonhap News Agency
2016-11-24
[6]
논문
The Southampton system: A new universal standard approach for port-city classification
[7]
웹사이트
Port Logistics
https://www.busan.go[...]
2024-05-08
[8]
웹사이트
Global Metro Monitor
https://www.brooking[...]
2015-01-22
[9]
웹사이트
Largest Department Store - Guinness World Records Blog post - Home of the Longest, Shortest, Fastest, Tallest facts and feats
http://community.gui[...]
Community.guinnessworldrecords.com
2009-06-29
[10]
뉴스
Busan city on UNESCO's Creative Cities Network main page
http://english.yonha[...]
2018-10-03
[11]
웹사이트
The origin of the name Busan
https://web.archive.[...]
Busan City
2012-01-04
[12]
웹사이트
Pusan: South Korea
http://geographic.or[...]
2011-08-15
[13]
웹사이트
Pusan-si: South Korea
http://geographic.or[...]
2011-08-15
[14]
웹사이트
Pusan-jikhalsi: South Korea
http://geographic.or[...]
2011-08-15
[15]
웹사이트
Pusan-chikhalsi: South Korea
http://geographic.or[...]
2011-08-15
[16]
웹사이트
ko:부산항선 목메어 불러봐도 'Pusan'
http://www.kookje.co[...]
2019-05-31
[17]
백과사전
ko:부산광역시 (釜山廣域市)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6-26
[18]
서적
The Imjin War
The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UC Berkeley Press
[19]
서적
The History of Korean Railway by Photographs
https://books.google[...]
길잡이미디어
2014-11-19
[20]
뉴스
January 1951: Life of Korean War Refugees in Busan
https://web.archive.[...]
2010-01-31
[21]
웹사이트
Busan Climate
https://www.climates[...]
[22]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23]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24]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12-08
[25]
웹사이트
Busan, South Korea - Detailed climate information and monthly weather forecast
https://www.weather-[...]
Yu Media Group
2019-07-09
[26]
웹사이트
Area and Number of Administrative Units
http://stat.kosis.kr[...]
Statistics Korea
2017-01-10
[27]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s://web.archive.[...]
2013-03-22
[28]
웹사이트
South Korea - Largest Cities
http://www.geonames.[...]
[29]
웹사이트
Can The New Silk Road Compete With The Maritime Silk Road?
https://www.hellenic[...]
2021-03-09
[30]
웹사이트
"Iron Silk Road" across Asia set to receive green light
https://www.seatrade[...]
2021-03-09
[31]
서적
Die Renaissance der Seidenstraße
2018
[32]
웹사이트
The Maritime Silk Road in South-East Asia
https://www.southwor[...]
2019-02-00
[33]
웹사이트
FIATA World Congress Official Press Release
https://fiata.org/n/[...]
2024-12-19
[34]
웹사이트
http://investkorea.o[...]
[35]
웹사이트
부산시, 제1회 서면메디컬스트리트 축제 개최 | 뉴스와이어
http://www.newswire.[...]
Korea Newswire
2013-03-12
[36]
웹사이트
World Tourism Summit and TPO Forum 2008
http://www.worldtour[...]
Worldtourismsummit.com
2005-11-14
[37]
웹사이트
Ananti Hilton Busan
https://www.hilton.c[...]
[38]
웹사이트
Welcome to FAU Busan Campus - German University in Korea
http://www.fau-busan[...]
[39]
웹사이트
Busan Foreign School
http://www.busanfore[...]
[40]
웹사이트
· International School of Busan
http://www.bifskorea[...]
[41]
웹사이트
Homepage
http://kbces.com.ne.[...]
International School Information, Government of South Korea
null
[42]
웹사이트
Busan: Why you should visit South Korea's second city
https://www.euronews[...]
2023-06-25
[43]
웹사이트
Yongdusan Park
http://www.visitkore[...]
VisitKorea.or.kr
[44]
웹사이트
Chungnyeolsa Introduction (충렬사소개)
http://cys.busan.go.[...]
Busan Metropolitan City
[45]
웹사이트
Busan to build first floating city in the world
https://maritimefair[...]
2021-12-10
[46]
웹사이트
Welcome to the 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https://archive.toda[...]
2012-05-26
[47]
웹사이트
2nd Asia Song Festival
http://english.kofic[...]
KOFICE
2005-11-11
[48]
웹사이트
Asia's Tallest Mural by Hendrik Beikirch
http://www.yatzer.co[...]
Yatzer
2012-09-10
[49]
뉴스
Museum of Contemporary Art Busan Opens to the Public
https://hapskorea.co[...]
2018-06-20
[50]
뉴스
Korean Films Get the Spotlight at New Museum
http://www.busanddad[...]
2017-07-07
[51]
웹사이트
Kiswire Museum and Training Center
https://architizer.c[...]
2015-05-05
[52]
뉴스
[내고장 이 맛!] 부산 동래파전
http://www.seoul.co.[...]
Seoul Shinmun
2009-05-11
[53]
뉴스
동래파전·돼지국밥…음식도 관광자원으로
http://www.munhwa.co[...]
Munhwa Ilbo
2009-05-13
[54]
뉴스
부산AG 장외 음식열전
http://www.munhwa.co[...]
Munhwa Ilbo
2002-09-26
[55]
뉴스
영도다리/노주석 논설위원
http://www.seoul.co.[...]
Seoul Sinmun
2009-07-29
[56]
뉴스
서울에서 `빵 뜬` 부산 명물 먹을거리 Best 4
http://news.mk.co.kr[...]
2014-05-09
[57]
뉴스
Why visit Busan in South Korea? The freshest seafood, scenery and beaches – city has it all, says tourism insider
https://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23-07-27
[58]
뉴스
Dispatch From Busan: Highlights (and Lowlights) From 'The Cannes of Asia'
https://www.indiewir[...]
Indiewire
2012-10-18
[59]
뉴스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he history, the scandals and the winners at Korea's 'Cannes of Asia'
https://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22-09-28
[60]
웹사이트
The pleasure of visiting the Busan seen in movies
https://www.visitbus[...]
Visit Busan
[61]
웹사이트
Reply 1997 Features Fun Subtitles for Easy Pop Culture Understanding
https://archive.toda[...]
2012-08-03
[62]
간행물
'부산영화'로 보는 부산 공간의 의미- 영화에 비친 부산 모습을 중심으로
2009
[63]
웹사이트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https://web.archive.[...]
[64]
웹사이트
Population Census
https://kosis.kr/sta[...]
Statistics Korea
[65]
웹사이트
2015 Census – Religion Results
https://kosis.kr/sta[...]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66]
웹사이트
Pusan to declare bid to host 2020 Olympic Games
http://english.peopl[...]
2005-11-14
[67]
웹사이트
YTN
http://www.ytn.co.kr[...]
YTN
2011-07-07
[68]
웹사이트
사직구장 대대적 보수로 지정석만 2만1천석
http://sports.khan.c[...]
[69]
웹사이트
부산문화관광축제조직위원회
http://www.bfo.or.kr[...]
[70]
웹사이트
The 31st Polar Bear Swim Festival
https://web.archive.[...]
[71]
웹사이트
http://www.bfo.or.kr[...]
2018-08-01
[72]
웹사이트
Busan Motor Show
http://eng.bimos.co.[...]
[73]
웹사이트
http://www.bfo.or.kr[...]
2018-08-01
[74]
웹사이트
BISFF
http://www.bisff.org
[75]
웹사이트
Joseon Tongsinsa History Museum
http://www.tongsinsa[...]
2018-08-01
[76]
웹사이트
http://bipaf.org
2018-08-01
[77]
웹사이트
Art Busan
http://artbusankorea[...]
2018-08-01
[78]
웹사이트
http://www.biky.or.k[...]
2018-08-01
[79]
웹사이트
Haeundae Sand Festival (해운대 모래축제)
http://english.visit[...]
2018-08-01
[80]
웹사이트
http://www.bfo.or.kr[...]
2018-08-01
[81]
웹사이트
http://asiasongfesti[...]
2018-08-01
[82]
웹사이트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http://www1.pnuh.co.[...]
.pnuh.co.kr
2011-09-15
[83]
웹사이트
Inje University Paik Hospital
http://www.paik.ac.k[...]
Paik.ac.kr
2011-09-15
[84]
웹사이트
http://www.damc.or.k[...]
Damc.or.kr
2011-09-15
[85]
웹사이트
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http://www.kosinmed.[...]
Kosinmed.or.kr
2011-09-15
[86]
웹사이트
http://www.bsm.or.kr[...]
Bsm.or.kr
2011-09-15
[87]
웹사이트
Dong-Eui Medical Center - Busan, Korea
http://www.demc.kr/e[...]
Demc.kr
2011-09-15
[88]
웹사이트
http://www.wmbh.co.k[...]
wmbh.co.kr
2011-09-15
[89]
웹사이트
Busan Medical Center
http://eng.busanmc.o[...]
Eng.busanmc.or.kr
2011-09-15
[90]
웹사이트
http://www.maryknoll[...]
Maryknoll.co.kr
2011-09-15
[91]
웹사이트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 환자중심의 병원, 내집처럼 편안한 병원
http://www.paik.ac.k[...]
Paik.ac.kr
2011-09-15
[92]
웹사이트
Dongnam Inst. Of Radiological
http://www.dirams.re[...]
Dirams.re.kr
2013-01-29
[93]
웹사이트
Express Bus
https://www.kobus.co[...]
[94]
웹사이트
Intercity Bus
https://www.bustago.[...]
[95]
웹사이트
International Ferry Terminal
http://www.busanport[...]
2006-07-18
[96]
웹사이트
PanStar Ferry
http://www.panstarli[...]
[97]
웹사이트
Dae-a Express Shipping
http://www.daea.com
[98]
웹사이트
Pukwan Ferry
http://www.pukwan.co[...]
[99]
웹사이트
Kobee and Beetle
http://www.kobee.co.[...]
[100]
뉴스
S. Korea propels new airport project in Busan for Dec. 2029 opening - Pulse by Maeil Business News Korea
https://pulsenews.co[...]
2024-01-02
[101]
웹사이트
List of Sister Cities
https://english.busa[...]
Busan Metropolitan City
2020-02-18
[102]
웹사이트
Friendship Cities
https://english.busa[...]
Busan Metropolitan City
2020-02-18
[103]
웹사이트
Port of Busan
http://www.busanport[...]
2010-12-03
[104]
웹사이트
Port & Harbor Bureau, City of Osaka
https://web.archive.[...]
2006-09-15
[105]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106]
백과사전
釜山
https://kotobank.jp/[...]
Kotobank
2023-07-17
[107]
웹사이트
The Global Financial Centres Index - Long Finance
https://www.longfina[...]
2020-02-05
[108]
웹사이트
韓国気象庁 過去の積雪の記録
http://www.kma.go.kr[...]
[109]
웹사이트
写真で見る101年ぶりの大雪便り 釜山観光旅行ガイド プサンナビ
http://www.pusannavi[...]
[110]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부산(159)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111]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부산(159)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112]
논문
朝鮮半島出土弥生系土器から復元する日韓交渉 : 勒島遺跡・原ノ辻遺跡出土事例を中心に
東京大学大学院人文社会系研究科・文学部考古学研究室
[113]
서적
日本災害史事典 1868-2009
日外アソシエーツ
2010-09-27
[114]
웹사이트
韓国・釜山市が30年万博へ正式立候補 23年11月に開催地決定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1-06-23
[115]
웹사이트
30年万博で「釜山」誘致目指す韓国、日本政府が支持へ…関係改善で尹政権に配慮
https://www.yomiuri.[...]
読売新聞ONLINE
2023-11-26
[116]
웹사이트
韓国、釜山万博誘致に失敗「全ては私の力不足」尹錫悦大統領が陳謝
https://www.asahi.co[...]
朝日新聞DIGITAL
2023-11-29
[117]
뉴스
安相英・釜山市長が拘置所で自殺
http://japan.donga.c[...]
東亜日報
2004-02-04
[118]
웹사이트
日本政府、釜山市の戦犯企業条例に「WTO」言及し「極めて遺憾」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9-09-07
[119]
웹사이트
姉妹都市の現況
https://japanese.bus[...]
釜山広域市
2020-11-20
[120]
웹사이트
韓国・釜山市、日本との行政交流中断 関係改善まで
https://www.nikkei.c[...]
2019-07-28
[121]
뉴스
世界の経済大国のうち最も空気が汚染されている都市ワースト17
https://gigazine.net[...]
2013-01-18
[122]
뉴스
The most polluted cities of the world's largest economies
http://www.economist[...]
2013-01-16
[123]
웹사이트
東莱パジョン
http://www.pusannavi[...]
プサンナビ
2000-05-14
[124]
웹사이트
釜山ビギナーにオススメ!釜山に来たら絶対食べたいベストフード!
http://www.pusannavi[...]
プサンナビ
2018-01-12
[125]
간행물
国土交通省 世界の港湾別コンテナ取扱い数ランキング(1980年,2021年(速報値))
https://www.mlit.go.[...]
[126]
뉴스
釜山~金海のライトレール開通、金海国際空港も経由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1-09-09
[127]
방송
はぐれ刑事純情派 新春スペシャル
http://tvarc.toei.co[...]
2022-01-00 #날짜 정보 부정확
[128]
웹인용
2024년 1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29]
간행물
근대의 철도부설과 도시구조의 변화, 내륙에서 항구로
문화재청
2011-08-00 #월 정보만 있음
[130]
법률
부산시정부직할에관한법률
http://www.law.go.kr[...]
[131]
법률
지방행정에 관한 임시조치법 부칙
http://www.law.go.kr[...]
1981-04-04
[132]
법률
지방자치법
http://www.law.go.kr[...]
1994-12-20
[133]
서적
태종실록
http://sillok.histor[...]
1431
[134]
웹인용
부산유래
http://www.busan.go.[...]
부산광역시 누리집
2013-02-17
[135]
뉴스
부산항선 목메어 불러봐도 'Pusan'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12-04-24
[136]
기타
[137]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부산(159)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138]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부산(159)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139]
웹사이트
부산광역시의 각종 통계
http://www.busan.go.[...]
[140]
웹인용
Statistics Korea
http://kostat.go.kr/[...]
2020-02-20
[141]
웹인용
부산 노령화지수 전국 대도시 가운데 최고
http://www.bbsi.co.k[...]
2014-09-17
[142]
웹인용
부산광역시 인구 통계 (2024년 10월)
https://dokdokinfo.k[...]
2024-11-20
[143]
저널
한국전쟁과 부산의 인구 및 노동자 상태 변화
2016-09-27
[144]
웹사이트
부산시 통계연보
http://www.busan.go.[...]
[145]
텍스트
[146]
뉴스
부산 광복동에 세계 최대 음악분수 등장(종합)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0-08-30
[147]
텍스트
[148]
뉴스
ABC협회, 국내 신문사 신문발행부수 발표
http://www.sisaon.co[...]
시사ON
2010-11-29
[149]
웹사이트
홈페이지
http://museumbtl.mlt[...]
[150]
웹인용
홈페이지
https://museum.ilje.[...]
2018-04-24
[151]
웹인용
홈페이지
http://bcmuseum.busa[...]
2018-04-24
[152]
웹인용
홈페이지
http://www.museum.bu[...]
2007-12-13
[153]
웹인용
홈페이지
http://art.metro.bus[...]
2018-04-24
[154]
웹인용
홈페이지
http://modern.busan.[...]
2018-04-24
[155]
웹사이트
홈페이지
http://www.customs.g[...]
[156]
웹사이트
홈페이지
http://sea.busan.go.[...]
[157]
웹인용
홈페이지
http://www.rogbong.c[...]
2018-04-24
[158]
웹사이트
홈페이지
http://www.beomeomus[...]
[159]
웹사이트
홈페이지
http://www.oryundaem[...]
[160]
웹사이트
홈페이지
http://www.asiaart.c[...]
[161]
웹사이트
홈페이지
http://www.demopark.[...]
2018-04-24
[162]
웹사이트
부산시티투어, Open-Top 2층버스 운행
http://www.honestnew[...]
HNN 어니스트뉴스
2011-09-17
[163]
뉴스
"다대포에 가면 세계 최대 ´바닥음악분수´가 있다!"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2009-04-20
[164]
뉴스
<부산 송도해수욕장 개장 100주년 기념사업 '다채'>
https://web.archive.[...]
연합뉴스
2013-04-06
[165]
일반
부산 이스포츠 경기장 (부산 아레나)
[166]
뉴스
부산 일본TV 시청 많다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81-07-07
[167]
일반
규슈 아사히 방송, RKB 마이니치 방송, NHK 라디오 제1방송, NHK 라디오 제2방송 등이 대표적이다.
[168]
웹사이트
선사시대 국제교류의 중심지 부산 동삼동
http://old.kookje.co[...]
국제신문
[169]
일반
현재 단절 상태. 본 도시도 역시 리비아의 현지 정세 악화의 여론의 뭇매를 맞아 자매결연이 오래 단절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170]
일반
현재 단절된 상태, 이는 오사카시가 ‘위안부 기림비’수용으로 샌프란시스코하고의 자매결연 협정 조인이 종료된 것과 같은 이치로 보면 됨.
[171]
웹사이트
Port of Busan, Sister Ports, Busan
http://www.busanport[...]
[17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city.osak[...]
2006-09-15
[173]
웹사이트
부산시민의 날
http://www.busan.go.[...]
[174]
저널
부산시, 입체도로(고가.지하도로)에 도로명주소 부여
http://bgtknews.com/[...]
주식회사 코리아문화기획사
2023-09-29
[175]
웹사이트
부산신항 진입도로 건설공사 대안설계요약보고서 /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 〔편〕
https://policy.nl.go[...]
[176]
웹사이트
부산광역시_도시공간정보시스템 터널 현황
https://data.go.kr/d[...]
[177]
웹사이트
의곡교차로~부산과학산업단지간 도로개설공사 T/K 수행하면서
http://www.yooshin.c[...]
[178]
웹사이트
부산광역시 교통정보서비스센터
http://its.busan.go.[...]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거가대교 8∼11일 양방향 야간 교통 통제…정기 점검
국내 유일 공립 야구박물관 오는 16일 첫 삽 뜬다
“관사 100가구 직접 임대·특별공급”…부산시, 해수부 직원 정주여건 지원 대책 발표
다시 상승폭 키우는 마·용·성
부산 이전 해양수산부에 관사 100호 지원, 아파트 특공…부산시 주거 지원책 발표
부산불꽃축제 앞두고 하루 숙박비 183만원…또 바가지요금 기승
“서울 아파트 31주 동안 한번도 꺾이지 않았다”…다시 상승폭 키우는 마·용·성
1박 180만 원, 티켓에도 웃돈…부산불꽃축제 또 바가지 조짐
11년 방치 부산 ‘해수담수화시설’ 공업용수 생산시설로 부활
“해수부 진짜 오나봐”…부산 부동산 부산 ‘들썩’ 중개업소 특별 점검
김해·양산·부산, 광역환승요금 ‘무료’
부산 원도심 4개 구 세컨드 홈 특례지역 2년 연속 탈락 반발
부산시, ‘연락두절’ 자립준비 청년 43명 전수조사한다
부산, 오늘부터 택시 승차장서 담배 못 피운다…12월부터는 과태료
‘동일 생활권’ 부산·김해·양산 대중교통 환승요금 무료
부산 고교 2곳에 “폭발물 설치” 팩스…학생 1천명 대피 소동
앞으로 2년 공동주택 물량 계속 줄어…전국 다해도 43만가구
코람코, 데이터센터 투자 정조준…서울·안산 이어 부산에 초대형 IDC 개발
녹색불 건널목 건너던 70대, 우회전 레미콘 차에 치여 숨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