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성호 (화학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성호는 일제강점기 한국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미국 피츠버그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서 알렉산더 리치와 함께 연구했으며, 듀크 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를 거쳐 현재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70년대 초 tRNA의 3차원 구조 규명 경쟁에서 MIT의 리치 연구팀과 논쟁을 겪었으며, 2001년에는 플렉시콘을 공동 설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생물리학자 - 토머스 골드
    토머스 골드는 천체물리학, 지구물리학, 청각 생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이론들을 제시한 오스트리아 태생의 미국 과학자로, 펄서 이론, "골드 먼지" 가설, 석유의 무기 기원설 등을 주장하며 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고, 코넬 대학교에서 센터 소장을 역임하며 과학 연구 발전에 헌신했다.
  • 미국의 생물리학자 - 조시아 제이너
    조시아 제이너는 바이오해커이자 예술가로, CRISPR 키트를 판매하는 The ODIN 프로젝트를 운영하며, 유전자 편집 실험을 대중화하려 시도하고, 자신의 신체에 직접 유전자 편집을 시도하는 등 논란을 일으켰다.
  • 결정학자 - 제니퍼 다우드나
    제니퍼 다우드나는 1964년생 미국의 생화학자로, CRISPR-Cas9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에 기여하여 2020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윤리적 문제 논의와 기술 상용화에도 기여한다.
  • 결정학자 - 윌리엄 헨리 브래그
    윌리엄 헨리 브래그는 X선 분광기를 발명하고 X선 결정학을 창시하여 1915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과학 발전과 교육에 기여한 영국의 물리학자이다.
  • 호암 과학상 수상자 - 임지순
    대한민국의 물리학자 임지순은 전산재료물리학 분야를 개척하고 "Momentum-space formalism" 논문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울대학교 교수 및 이론물리센터 소장 역임, 다수의 수상 경력과 함께 현재 포항공과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 호암 과학상 수상자 - 천진우
    천진우는 나노 입자와 자기장을 이용한 생체 제어 기술, MRI 조영제 개발 등 나노 기술과 의학 융합 연구를 통해 질병 진단 및 치료에 기여하는 대한민국의 화학자이자 연세대학교 교수 및 IBS 나노의학연구단 단장이다.
김성호 (화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김성호
한글김성호
한자金聖浩
로마자 표기Gim Seongho
문화관광부 표기Kim Sŏngho
출생 연도1937년
출생지한국, 일본 제국
국적미국
직업구조 생물학자 및 생물 물리학자
학력
학사서울대학교 (1960년)
석사서울대학교 (1962년)
박사피츠버그 대학교 (1966년)
수상
수상 내역풀브라이트 장학 프로그램 (1962년)
구겐하임 펠로십 (1985년)
어니스트 올란도 로렌스상 (1987년)
다카마쓰노미야 기념상 (1989년)
호암상 (1994년)
주요 논문
논문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yeast phenylalanine transfer RNA: folding of the polynucleotide chain
학술지Science
179
4070
페이지285–8
발표 연도1973년
PMID4566654
DOI10.1126/science.179.4070.285
bibcode1973Sci...179..285K
논문Structure of Ras Protein
학술지Science
245
244
페이지244
발표 연도1989년
bibcode1989Sci...245..244T
DOI10.1126/science.2665078

2. 약력

김성호는 1937년 일제강점기 한국에서 태어났다.[1][2]

2. 1. 학력

학위학교전공취득 연도
학사서울대학교화학과1960년
석사서울대학교화학과1962년
박사피츠버그 대학교화학1966년


2. 2. 경력

김성호는 1937년 일제강점기 한국에서 태어났다. 그는 서울대학교에서 화학 학사(1960년) 및 석사(1962년) 학위를 받았고, 1966년 피츠버그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1966년부터 1972년까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서 알렉산더 리치의 지도 아래 연구원 및 선임 연구원으로 경력을 쌓았다. 1972년부터 1978년까지 듀크 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과에서 조교수 및 부교수를 지냈으며, 1978년부터 현재까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학력
기간학위학교학과
1960년학사서울대학교화학과
1962년석사서울대학교화학과
1966년박사피츠버그 대학교 | 화학과



경력
기간직책소속비고
1966년 ~ 1970년연구원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MIT)알렉산더 리치 지도
1970년 ~ 1972년선임 연구원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MIT)알렉산더 리치 지도
1972년 ~ 1978년조교수, 부교수듀크 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과
1978년 ~ 현재교수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화학과


3. tRNA의 3차원 구조 규명 논쟁

1960년대와 1970년대 초, tRNA의 3차원 구조를 규명하기 위한 경쟁이 전 세계 여러 연구 그룹 사이에서 치열하게 벌어졌다. 특히 MIT의 리치 연구팀과 영국 케임브리지 MRC에런 클루그 연구팀이 주도적인 경쟁을 펼쳤다. 당시 MIT에 소속되어 있던 김성호는 1973년 《사이언스》에 4Å 해상도의 tRNA 골격 구조를 최초로 발표하며 중요한 기여를 했다.[1] 이듬해 리치 연구팀은 3Å 구조를 발표했다.[3]

1974년, 리치 연구팀과 클루그 연구팀이 각각 3Å 구조 연구 결과를 발표하면서 우선권 논쟁이 불거졌다. 클루그 연구팀은 리치 연구팀이 학회 발표 내용을 참고하여 자신들의 초기 결과와 다른 내용을 《사이언스》[4]에 먼저 발표했다고 주장하며 프랜시스 크릭에게 문제를 제기했다.[5] 리치 연구팀은 이러한 주장을 부인했다.[7]

이 논쟁의 근본적인 원인은 당시 미국 내에 두 개의 독립적인 tRNA 구조 모델, 즉 MIT의 리치 연구팀 모델과 듀크 대학교로 자리를 옮긴 김성호 연구팀의 '듀크 모델'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클루그 연구팀이 인지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1972년 김성호가 듀크 대학교로 옮긴 후, 1973년과 1974년 사이 MIT와 듀크 연구팀 간의 교류가 줄어들면서 각자 독자적인 모델을 개발했다. 논란이 된 1974년 《사이언스》 논문[4]은 실제로는 김성호의 듀크 모델에 기반한 것으로, 이는 김성호의 1973년 초기 골격 구조[1]를 재확인하고 MIT 모델[3] 및 케임브리지 모델[5]과 세부적인 차이를 보이는 결과였다. 듀크 모델의 존재와 중요성은 나중에 프랜시스 크릭에 의해서도 인정받았으며,[8] 이 사실이 미리 알려졌다면 논쟁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3. 1. 연구 경쟁 배경

1960년대와 1970년대 초반, 운반 RNA(tRNA)의 3차원 구조를 규명하기 위해 전 세계 여러 연구 그룹 간에 치열한 경쟁이 벌어졌다. 최종적으로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의 리치 연구팀과 영국 케임브리지 분자생물학 연구소(MRC)의 에런 클루그 연구팀이 가장 유력한 경쟁자로 부상했다. 김성호는 당시 MIT에 소속되어 있었으며, 1973년에 《사이언스》 저널에 4Å(옹스트롬) 해상도의 tRNA 골격 구조를 최초로 발표하며 이 경쟁에서 중요한 성과를 냈다.[1] 이듬해인 1974년, 리치 연구팀은 3Å 해상도의 구조를 발표했다.[3]

1974년 6월에 열린 한 심포지엄에서 리치 연구팀과 클루그 연구팀의 로버투스(J. E. Robertus)는 각자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지만, 세부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심포지엄이 끝난 후 약 한 달 뒤, 리치 연구팀은 《사이언스》에 논문을 게재했다.[4] 이에 클루그 연구팀은 프랜시스 크릭에게 불만을 제기했는데, 리치 연구팀의 논문이 심포지엄에서 얻은 정보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전에 발표된 리치 연구팀의 3Å 구조[3]와 세부적인 부분에서 차이가 있다고 주장했다. 클루그 연구팀 역시 2주 뒤 《네이처》에 자신들의 3Å 구조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5] 크릭은 클루그의 주장을 리치에게 편지로 전달하며 중재를 시도했으나,[6] 리치는 어떠한 과학적 부정행위도 없었다고 부인했다.[7]

이 논란의 핵심에는 클루그 연구팀이 당시 미국에 두 개의 독립적인 tRNA 구조 모델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는 점이 있었다. 하나는 MIT의 리치 연구팀이 만든 모델이었고, 다른 하나는 1972년에 듀크 대학교로 자리를 옮긴 김성호 연구팀이 만든 '듀크 모델'이었다. 1973년부터 1974년 사이에 MIT 연구팀과 듀크 연구팀 간의 교류가 잠시 중단되었고, 이 기간 동안 두 그룹은 각자 독립적으로 모델을 개발했다. 논란이 되었던 1974년 《사이언스》 논문[4]은 사실 MIT 모델이 아닌 김성호의 듀크 모델을 기반으로 작성된 것이었다. 이 듀크 모델은 김성호가 1973년에 발표했던 초기 골격 구조[1]의 정확성을 재확인하는 동시에, MIT 모델[3] 및 결과적으로 케임브리지 모델[5]과도 세부적인 원자 구조에서 차이를 보이는 독자적인 결과였다. 듀크 모델의 존재와 그 중요성은 나중에 프랜시스 크릭에 의해서도 인정받았다.[8] 만약 클루그 연구팀이 1974년 《사이언스》 논문[4]이 김성호의 듀크 대학교 연구실에서 나온 tRNA 구조 모델에 기반했다는 사실을 알았더라면, 이 과학적 논쟁은 애초에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3. 2. 김성호의 초기 연구 성과

1960년대와 1970년대 초반, tRNA의 3차원 구조를 밝히려는 연구 경쟁이 전 세계적으로 치열하게 벌어졌다. 특히 MIT의 리치 그룹과 영국 케임브리지의 에런 클루그 그룹 사이의 경쟁이 두드러졌다. 당시 MIT에 재직 중이던 김성호는 이 경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1973년 학술지 《사이언스》에 tRNA의 4Å(옹스트롬) 해상도 골격 구조를 최초로 발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1] 이듬해인 1974년에는 리치 그룹이 3Å 해상도의 구조를 제시했다.[3]

1974년 6월에 열린 한 심포지엄에서 리치와 클루그 그룹 소속의 로버투스는 각자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지만, 세부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그런데 심포지엄이 끝나고 한 달이 채 지나지 않아 리치 그룹이 《사이언스》에 3Å 구조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자[4], 클루그 그룹은 프랜시스 크릭에게 불만을 제기했다. 클루그 그룹은 리치 그룹이 심포지엄에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논문을 서둘러 발표했으며, 이 논문이 리치 그룹이 이전에 제시했던 3Å 구조[3]와 세부적으로 약간의 차이가 있다고 주장했다. 클루그 그룹 역시 2주 뒤에 《네이처》에 자신들의 3Å 구조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5] 크릭은 클루그의 주장을 리치에게 전달했지만,[6] 리치는 어떠한 과학적 부정행위도 없었다고 반박했다.[7]

이 논란은 클루그 그룹이 당시 미국에 두 개의 독립적인 tRNA 모델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했다. 하나는 MIT의 리치 그룹이 만든 모델이었고, 다른 하나는 1972년에 듀크 대학교로 자리를 옮긴 김성호 그룹이 만든 '듀크 모델'이었다. 1973년부터 1974년 사이에 MIT 그룹과 듀크 그룹 간의 교류가 잠시 중단되었고, 이 기간 동안 두 그룹은 각자 독립적으로 모델을 개발했다. 논란이 되었던 1974년 《사이언스》 논문[4]은 사실 MIT 모델이 아닌 김성호의 듀크 모델을 기반으로 한 것이었다. 이 논문은 김성호가 1973년에 발표했던 최초의 골격 구조[1]의 정확성을 재확인했을 뿐만 아니라, 기존 MIT 모델[3]과는 세부적인 원자 구조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나중에 발표된 케임브리지 모델[5]에서도 확인된 내용이었다. 듀크 모델의 존재와 그 중요성은 이후 프랜시스 크릭에 의해서도 인정받았다.[8] 만약 클루그 그룹이 1974년 《사이언스》 논문이 김성호의 듀크 대학교 연구실에서 나온 tRNA 구조 모델에 기반했다는 사실을 알았더라면, 이러한 논쟁은 애초에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3. 3. 논쟁의 전개

1960년대와 1970년대 초반, tRNA의 3차원 구조를 밝히기 위한 연구 경쟁이 전 세계적으로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특히 MIT의 리치 연구팀과 케임브리지에런 클루그 연구팀 간의 경쟁이 두드러졌다. 김성호는 당시 MIT 소속으로, 1973년 과학 저널 ''사이언스''에 4Å(옹스트롬) 해상도의 tRNA 골격 구조를 처음으로 발표했다.[1] 이듬해인 1974년, 리치 연구팀은 3Å 해상도의 구조를 제시했다.[3]

1974년 6월에 열린 한 심포지엄에서 리치 연구팀과 클루그 연구팀의 로베르투스(Robertus)는 각자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지만, 세부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후 클루그 연구팀은 프랜시스 크릭에게 문제를 제기했는데, 리치 연구팀이 심포지엄에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기존에 발표했던 3Å 구조[3]와 일부 차이가 있는 내용을 불과 한 달 만에 ''사이언스''[4]에 발표했다는 주장이었다. 클루그 연구팀 역시 2주 뒤 과학 저널 ''네이처''에 자신들의 3Å 구조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5] 크릭은 클루그 측의 주장을 리치에게 전달했으나,[6] 리치는 어떠한 과학적 부정행위도 없었다고 반박했다.[7]

이 논쟁은 클루그 연구팀이 당시 미국에 두 개의 독립적인 tRNA 모델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했다. 하나는 MIT의 리치 연구팀이 만든 모델이었고, 다른 하나는 1972년 듀크 대학교로 자리를 옮긴 김성호 연구팀이 만든 '듀크 모델'이었다. 1973년부터 1974년 사이 MIT 연구팀과 듀크 연구팀 간의 교류가 잠시 중단되었고, 이 기간 동안 각 팀은 독립적으로 모델을 발전시켰다. 논란이 된 1974년 ''사이언스'' 논문[4]은 실제로는 김성호 연구팀의 듀크 모델에 기반한 것이었다. 이 모델은 김성호가 1973년에 발표한 초기 골격 구조[1]의 정확성을 재확인하는 동시에, MIT 모델[3]과는 세부적인 원자 구조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이후 발표된 케임브리지 연구팀의 모델[5]에서도 확인되었다. 듀크 모델의 존재와 독자성은 나중에 크릭에 의해서도 인정받았다.[8] 만약 클루그 연구팀이 1974년 ''사이언스'' 논문[4]이 MIT 모델이 아닌 김성호의 듀크 대학교 연구실에서 나온 tRNA 구조 모델을 기반으로 했다는 사실을 알았다면, 이러한 논쟁은 애초에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3. 4. 논쟁의 해결

1960년대와 1970년대 초, tRNA의 3차원 구조를 규명하기 위해 전 세계 여러 연구 그룹 간에 치열한 경쟁이 벌어졌다. 최종적으로는 MIT의 리치 그룹과 케임브리지의 애런 클루그 그룹이 경쟁하게 되었다. 김성호는 MIT 소속이던 1973년, 《사이언스》에 4Å(옹스트롬) 해상도의 tRNA 골격 구조를 최초로 발표했다.[1] 이듬해인 1974년, 리치 그룹은 3Å 구조를 발표했다.[3]

1974년 6월에 열린 한 심포지엄에서 리치와 클루그 그룹의 로버투스는 상세한 내용을 공개하지 않고 결과를 발표했다. 이후 클루그 그룹은 프랜시스 크릭에게 불만을 제기했는데, 리치 그룹이 심포지엄에서 얻은 정보의 영향을 받아 심포지엄이 끝난 지 한 달도 안 되어 《사이언스》에 논문을 발표했으며, 이 논문이 리치 그룹의 이전 3Å 구조[3]와 세부적으로 약간 다르다고 주장했다.[4] 클루그 그룹은 그로부터 2주 뒤 《네이처》에 자신들의 3Å 구조 논문을 발표했다.[5] 크릭은 클루그의 주장을 리치에게 편지로 전달했으나,[6] 리치는 어떠한 과학적 부정행위도 없었다고 부인했다.[7]

이 논란은 클루그 그룹이 미국에 두 개의 독립적인 tRNA 모델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했다. 하나는 MIT 모델(리치 팀 제작)이었고, 다른 하나는 듀크 모델(김성호 팀 제작)이었다. 김성호는 1972년에 듀크 대학교로 자리를 옮겼으며, 1973년부터 1974년까지 MIT 그룹과 듀크 그룹 사이에는 교류가 거의 없었고, 각자 독립적으로 모델을 개발했다. 논란이 된 1974년 《사이언스》 논문[4]은 실제로는 김성호의 듀크 모델을 기반으로 한 것이었다. 이 모델은 김성호가 1973년에 발표한 최초의 골격 구조[1]의 정확성을 재확인했으며, MIT 모델[3] 및 케임브리지 모델[5]과는 세부적인 원자 구조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듀크 모델의 존재와 그 정확성은 나중에 프랜시스 크릭에 의해서도 인정받았다.[8] 만약 클루그 그룹이 1974년 《사이언스》 논문[4]이 MIT 모델이 아닌, 듀크 대학교에 있는 김성호 연구실의 tRNA 구조 모델을 기반으로 했다는 사실을 알았다면, 이러한 논쟁은 애초에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4. 플렉시콘

2001년에 예일 대학교의 조셉 슐레징어 교수와 함께 플렉시콘(Plexxikon)을 공동으로 설립했다. 플렉시콘은 신약 발견 및 개발을 위한 기술로 선구적인 구조생물학 기반 플랫폼을 사용한다.[18][9]

참조

[1] 논문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yeast phenylalanine transfer RNA: folding of the polynucleotide chain
[2] 논문 Structure of Ras Protein
[3] 논문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yeast phenylalanine transfer RNA at 3.0 angstroms resolution
[4] 논문 Three-dimensional tertiary structure of yeast phenylalanine transfer RNA
[5] 논문 Structure of yeast phenylalanine tRNA at 3 A resolution
[6] 문서 Crick's first letter to A. Rich on the accusation, Jul 1974 http://profiles.nlm.[...]
[7] 문서 Rich's reply to Crick's first letter, Aug 1974 http://profiles.nlm.[...]
[8] 문서 Crick's second letter to Rich, Sept 1974 http://profiles.nlm.[...]
[9] 웹사이트 Plexxikon web site http://www.plexxikon[...]
[10] 논문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yeast phenylalanine transfer RNA: folding of the polynucleotide chain
[11] 논문 Structure of Ras Protein
[12] 논문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yeast phenylalanine transfer RNA at 3.0 angstroms resolution
[13] 논문 Three-dimensional tertiary structure of yeast phenylalanine transfer RNA https://archive.org/[...]
[14] 논문 Structure of yeast phenylalanine tRNA at 3 A resolution
[15] 문서 Crick's first letter to A. Rich on the accusation, Jul 1974 http://profiles.nlm.[...]
[16] 문서 Rich's reply to Crick's first letter, Aug 1974 http://profiles.nlm.[...]
[17] 문서 Crick's second letter to Rich, Sept 1974 http://profiles.nlm.[...]
[18] 웹인용 Plexxikon web site http://www.plexxikon[...] 2021-03-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