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양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양곤은 전북대학교 수학 통계정보과학부 교수이며, 2009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그는 2004년 발표한 논문을 통해 P-NP 문제 해결을 주장했으나, 수학계에서는 부정적인 평가가 지배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수학자 - 이상설
    이상설은 대한제국 시기의 독립운동가로, 성균관 교수와 탁지부 재무관을 역임하며 헤이그 특사로 파견되어 독립을 호소하고, 국외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다 러시아에서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수학자 - 박경미
    박경미는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 졸업 후 미국에서 수학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홍익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를 역임, 교육 분야 전문성을 쌓아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국회의원, 대통령비서실 대변인, 국회의장 비서실장 등을 거쳐 현재 더불어민주당 교육특별위원회 위원장과 대변인으로 활동 중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수학교육학 박사이다.
  • 전북대학교 동문 - 한승헌
    한승헌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인권 변호사, 사회운동가, 수필가로, 군사정권 시절 시국 사건 변론을 맡아 인권 변호사로 활동했으며, 감사원장과 사법제도개혁추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 전북대학교 동문 - 최명희
    최명희는 1980년 등단하여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남원을 배경으로 한 대하소설 《혼불》로 주목받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정읍시 출신 - 고광헌
    고광헌은 한겨레신문 기자, 대표이사 사장, 서울신문 사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언론인이다.
  • 정읍시 출신 - 김형두 (법조인)
    김형두는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1993년 판사로 시작해 법원행정처 차장 등을 역임하고 2023년부터 헌법재판소 재판관으로 재직 중이며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특별검사 후보 추천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했다.
김양곤 - [인물]에 관한 문서
김양곤
원어명금양곤
로마자 표기Gim Yang-gon
출생일1949년
출생지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직업수학자

2. 생애

김양곤은 1949년 4형제 중 셋째로 태어났다.[1][2] 전북대학교를 졸업하고,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전북대학교 순수및응용수학연구소장과 전북대학교 수학 통계정보과학부 교수를 지냈다. 2009년 전주시 덕진구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예비후보로 등록했다.[1]

2. 1. 학력 및 경력


  • 전북대학교를 졸업하였다.[1]
  • 1987년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1]
  • 전북대학교 순수및응용수학연구소장을 역임하였다.
  • 전북대학교 수학 통계정보과학부 교수로 재직하였다.

2. 2. 정치 활동

2009년 4월 29일 실시된 국회의원 보궐선거전주시 덕진구 예비후보로 등록하였다.[1]

3. P-NP 문제 해결 주장 및 논란

김양곤 교수는 P-NP 문제 해결을 주장하여 국내외 수학계에서 논란이 되었다. 특히, 그의 주장은 여러 수학 관련 기관 및 학자들로부터 비판적인 평가를 받았다.

미국 수학회수학 리뷰는 김양곤 등의 2004년 논문에 대하여, 주어진 답이 올바른지 다항 시간 내에 확인 가능하다고 주장하나, 문제 풀이 과정이 다항 시간 내에 해결 불가능하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고 평가했다.[4]

They claim that the answer is checkable in polynomial time (e.g., by Cramer's rule). The crux of the example is the assertion that the problem is not solvable in polynomial time because the relevant system of equations contains expressions not just determined from the data but also random variables. The calculations are lengthy, complex, and difficult to follow, and the assertion of non-computability in polynomial time is not convincing to the reviewer.영어

첸트랄블라트 마트는 저자들이 표수 p>5 인 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B형 단순 리 대수 관련 셈 문제로부터 P≠NP를 증명했다고 주장한다고 평가했다.[5]

The authors of the paper under review purport to prove P ≠ NP by considering a certain counting problem related to the coefficients of an element in the factor space of a maximal ideal in the universal enveloping algebra of a simple Lie algebra of type B over an algebraically closed field of characteristic p>5.영어

익명을 요구한 국내 수학자는 김 교수의 주장을 믿을 수 없으며, '연구 결과 뻥튀기'라고 비판했다. 또한 논문 저자가 문제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도 의심스럽다고 말했다.[6]

3. 1. P-NP 문제 해결 주장

김양곤 교수를 포함한 3명의 저자가 2004년에 발표한 논문[3]은 표수 5 초과의 모듈러 체 위의 고전적 리 대수의 모듈러 표현론을 사용하여 정의한 셈 문제를 명제 P=NP의 반례로 제시하였다. 미국 수학회 수학 리뷰는 이를 다음과 같이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첸트랄블라트 마트는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익명을 요구한 한국 국내 수학계의 권위자는 "김 교수가 문제를 풀었다는 사실을 믿을 수 없다"고 단언했다. 그는 "'연구 결과 뻥튀기'가 이제 수학계까지 확산됐다"고 개탄한 뒤 "공개된 프리프린트(아직 게재되지 않은 상태의 논문)를 검토했지만 저자가 문제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조차 의심스럽다"고 말했다.[6]

김양곤 교수의 P-NP 문제 해결 주장은 일부 한국 국내 언론에서 소개되었다.[7][6][8][9][10][11]

3. 2. 학계의 반응

미국 수학회 수학 리뷰는 김양곤 교수를 포함한 3명의 저자의 2004년 논문[3]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 계산 과정이 길고 복잡하며 따라가기 힘들다.
  • 다항 시간 내 계산 불가능성 주장은 설득력 있어 보이지 않는다.[4]


첸트랄블라트 마트는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국 국내 수학자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김 교수가 문제를 풀었다는 사실을 믿을 수 없다"라고 단언하며, "'연구 결과 뻥튀기'가 이제 수학계까지 확산됐다"라고 비판했다. 또한 공개된 프리프린트를 검토했지만 저자가 문제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조차 의심스럽다고 말했다.[6]

3. 3. 언론 보도

김양곤 교수의 P-NP 문제 해결 주장은 일부 한국 국내 언론에 소개되었다.[7][6][8][9][10][11]

참조

[1] 뉴스 「가난속 우애」가 학문의 꽃 피웠다 4형제博士 탄생 경향신문 1992-02-23
[2] 뉴스 ‘4형제 박사’ 대물림…10명 박사 대가족 됐다 https://www.khan.co.[...] 경향신문 2011-05-15
[3] 저널 Linear algebra, Lie algebra and their applications to P versus NP 2004
[4] 저널 MR2038228 (2005e:68070) 2005
[5] 웹인용 Zbl 1049.17017
[6] 뉴스 "[플래시]'1백만달러짜리' 수학 문제 주인공 김양곤" http://weekly.khan.c[...] 뉴스메이커 2004-01-15
[7] 뉴스 20세기 수학 난제' 한국 교수가 풀었다 .. 김양곤·남기봉 교수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03-12-24
[8] 뉴스 100만 달러짜리 수학 문제 풀리나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4-12-03
[9] 뉴스 100만달러 수학문제 해결 '눈앞'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5-12-14
[10] 뉴스 수학의 에베레스트 정복, 차례로 도전! http://weekly1.chosu[...] 주간조선 2022-01-26
[11] 뉴스 전북대 김양곤교수 "리대수와 리가군 이론"에 오류 https://web.archive.[...] 새전북신문 2006-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