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주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주시는 전라북도에 위치한 도시로, 백제 시대에는 완산으로 불렸으며, 삼한 시대부터 형성된 유서 깊은 곳이다. 685년 신라가 완산주를 설치했고, 757년 전주로 개칭되었다. 892년 후백제의 도읍이 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전라도의 감영 소재지였다. 1935년 전주부가 되었고, 1949년 전주시로 개칭되었다. 현재는 완산구와 덕진구로 나뉘며, 역사와 전통, 맛의 도시로 알려져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의도시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 창의도시 - 통영시
    통영시는 경상남도 남단에 위치하며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역사 깊은 도시로, 삼도수군통제영 설치 이후 군사 도시이자 남해안 해운 중심지로 발전했고, 충무시와 통영군 통합을 거쳐 유네스코 음악창의도시로 지정되었으며, 다도해의 아름다운 경관과 풍부한 수산자원을 바탕으로 관광 및 수산업이 발달하고 통영국제음악제 등 문화 행사가 개최된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도시 - 익산시
    익산시는 전라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백제 시대 유적과 고려 시대부터 사용된 지명을 갖고 있으며, 1995년 익산시로 설치되었고, 호남선 등 철도가 지나가는 교통 요충지이며 보석 가공업과 식품 산업이 발달하였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도시 - 군산시
    군산시는 전라북도 서해안에 위치한 도시로, 선사시대부터 중요한 거점이었으며, 조운 중심지이자 수군 기지로서의 역할, 일제강점기 수탈의 중심지, 옥구군과의 통합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고, 금강 하구 평야와 고군산군도의 해안 경관, 근대 역사 유적, 새만금 간척 사업 등의 특징을 지니며, 1읍 10면 16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조선업 중심의 경제 발전과 관광 도시로서의 성장 가능성을 갖고 있다.
  • 전주시 -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국토정보공사는 국가공간정보 기본법에 따라 설립되어 공간 정보, 지적 제도 관련 연구 및 기술 개발 등을 수행하며, 지적 측량 및 지적 재조사 사업을 주요 업무로 한다.
  • 전주시 - 전북교통방송
    전북교통방송은 2002년 전주교통방송으로 개국하여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FM 102.5MHz와 FM 106.1㎒로 방송을 송출하고,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출발! 전북대행진 등이 있다.
전주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전주시 로고
로고
공식 명칭전주시
한글 표기전주시
한자 표기全州市
로마자 표기Jeonju-si
맥큔-라이샤워 표기Chŏnju-si
별칭완전한 지역
위치대한민국 호남
하위 행정 구역2 구, 40 동
면적206.22 km²
인구638,019 명 (2024년 9월 기준)
인구 밀도3,164 명/km²
방언전라 방언
시간대UTC+9
우편 번호560011-561870
지역 번호+82-63-2xx
공식 웹사이트전주시청 공식 웹사이트
시목은행나무
시화개나리
시조까치
정치 및 행정
정부 형태시 정부
시장우범기
시장 소속 정당더불어민주당
시의회전주시의회
문화 및 관광
전주 한옥마을
전주 한옥마을
전주 국립 박물관
전주 국립 박물관
풍남문
풍남문
경기전
경기전
전동 성당
전동 성당
기타 정보
ISO 3166-2KR-45
마스코트
상징 동물독수리

2. 역사

백제 시대에는 완산이라 불렸다. 삼한 시대 백제 때부터 형성된 오래된 도시이며, 역사와 전통이 많이 남아 있어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다.

또한 예부터 맛의 도시로 불리며, 전주의 음식은 한국에서 최고의 맛이라고 자랑하고 있으며, 전주 사람들의 미각 수준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그 특산품은 "전주팔미"(전주팔미한국어) 등으로 불린다.

전주시의 역사는 다음과 같다.

연도사건
685년신라완산주 설치.
757년전주로 개칭.(전국 9주 중 하나)
892년후백제의 도읍이 됨.
1597년일본군 입성.
1894년농민군 점령(갑오농민전쟁).
1914년 4월 1일고창군이 전주군에 병합.[20] 전주면 설치.
1930년 7월 1일전주군 이동면 노송리·화산리·상생리 및 검암리 일부, 초전면 석불리 일부, 상관면 대성리 일부 편입. [21]
1931년 4월 1일전주군 전주면이 전주읍으로 승격.[22]
1935년 10월 1일전주군 전주읍이 전주부로 승격. 전주군의 남은 지역은 완주군으로 개칭.[23]
1940년 11월 1일완주군 이동면 검암리·인후리·중산리·서신리, 조촌면 상가리, 우전면 석불리 일부 편입.[24]
1949년 8월 15일전주부가 전주시로 개칭.[25]
1957년 11월 6일완주군 초포면·우전면·용진면·상관면 일부 편입.[26]
1973년 7월 1일완주군 용진면 산정리 일부 우아동 편입.[27]
1983년 2월 15일완주군 상관면 대성동·색장리, 용진면 산정리 일부 편입.[28]
1987년 1월 1일완주군 조촌읍 편입.[29]
1988년 7월 1일완산출장소·덕진출장소 설치.[30]
1989년
1990년 8월 1일완주군 이서면 중리·상림리 완산구 편입.(2구)
1994년 12월 26일김제군 백구면 도덕리·강흥리·도도리, 용지면 남정리 덕진구 편입.[32](2구)
1995년 4월 20일완산구에 효자출장소 설치.
1998년 8월 1일효자출장소 폐지.
2005년 8월 1일덕진구 일부 완산구 편입.(2구)
2018년 7월 1일완산구 일부 덕진구 편입.(2구)
2021년 6월 21일시의회는 독도의 영유권을 주장하는 일본 정부 규탄 결의안 만장일치 채택.[33]


2. 1. 지명 유래

'전주'(全州)와 이전 이름 '완산'(完山)에서 '전(全)'과 '완(完)'은 '온전하다'는 뜻의 순우리말 '온'에서 비롯되었다. 마한 시대의 원산(圓山)에서 원(圓)을 '온'의 차자(借字)로 보아 이를 전주로 비정하는 견해도 있다. 백제 시대에는 '''완산'''(完山)이라고 불렀으며,[39] 전주라는 지명은 남북국 시대757년(경덕왕 16년)에 지명 한화(漢化) 정책에 따라 '완(完)'을 의역해 완산주(完山州)를 '''전주'''(全州)로 고치고 1주, 1소경, 10군, 31현을 거느리게 하면서 시작되었다.[40]

전주는 '비사벌'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이는 《삼국사기》의 지리지 백제편에서 완산의 별칭이 '비사벌'이라고 주(註)를 달았기 때문이다.[41] 그러나 같은 책 지리지 신라 양주편에는 비사벌이 화왕군(현 경상남도 창녕군)의 원래 이름이라고 쓰여 있다.[42] 이에 대해서는 비사벌에 설치됐던 하주정(下州停)과 이를 폐지하고 설치된 완산정(完山停)을 헷갈려 잘못 기록했다고 보는 것이 통설이다.

2. 2. 고대와 중세

마한의 불사분사국(不斯濆邪國)으로 추정된다. 백제 시대에는 '''완산'''(完山)이라 불렸으며, 기원전 57년경 백제 시대에 시장 마을로 건설된 것으로 추정된다.[7] 685년(신라 신문왕 5년) 신라가 '''완산주'''를 설치하였고,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전주'''(全州)로 개칭하였다.

892년 견훤후백제를 건국하고 전주를 도읍으로 삼아, 936년 후백제가 멸망할 때까지 수도였다.[7] 견훤은 전주를 완산으로 개칭하고 후백제의 수도로 삼았다. 완산에서 견훤은 신라를 공격했고, 927년에는 금성(신라의 수도)을 함락하고 경애왕을 시해하기도 했다. 신라가 쇠퇴하면서 견훤과 고려 태조(왕건)는 한반도의 지배권을 두고 싸웠으나, 왕건과 그의 군대가 934년에 후백제를 침공했고, 전주는 935년에 항복했다.[7]

고려 시대, 983년(고려 성종 2년) 십이목(十二牧)을 설치할 때 전주에 전주목(全州牧)을 두었다. 1018년(고려 현종 9년)에는 강남도(江南道)와 해양도(海陽道)를 합하여 전라도라 하고, 전주에 안남대도호부를 설치하였다. 1022년 전주목이 다시 설치되어 12목의 일원이 되었다.

1182년(무신 정권 시기) 관노비와 군인들이 합세해서 전주성을 점령하고 여러 달 동안 저항하였으나, 40일만에 진압되었다.[7] 1355년 원나라의 사신을 잡아 가둔 일로 부곡으로 강등되었다가 한 해가 흐른 뒤에 환원되었다. 1388년 풍남문 등 전주부성이 축성되었다.

2. 3. 조선시대

조선시대에 전라도감영 소재지로 전라도를 관할하였다. 1392년(조선 태조 원년) 조선 왕조의 조상이 살았던 지역이라는 이유로 완산 유수부가 설치되었고, 1403년(조선 태종 3년) 전주부로 개칭하였다. 1410년(조선 태종 10년) 이태조 어용진전을 창건하였고, 1439년(조선 세종 21년) 전주에 실록각이 설치되었다.[7]

1894년 동학농민운동에 점령당했다.[8]

2. 4. 일제강점기


일제시대의 전주부 다이쇼 정(현재의 중앙동)

2. 5. 대한민국

1949년 8월 15일 대한민국 지방자치법 실시에 따라 전주부가 '''전주시'''로 개칭되었다.[50] 1957년 11월 6일 완주군 초포면·우전면 일원, 조촌면·용진면·상관면 일부가 전주시에 편입되었다.[51] 1983년 2월 15일 완주군 상관면 대성리·색장리, 용진면 산정리 일부가 전주시에 편입되었다.[52] 1987년 1월 1일 완주군 조촌읍이 전주시에 편입되었다.[53] 1988년 7월 1일 완산출장소와 덕진출장소가 설치되었다.[54]

1989년 1월 1일 완주군 용진면 산정리, 금상리와 구이면 용복리, 중인리, 원당리, 석구리가 전주시에 편입되었다.[55] 1989년 5월 1일 완산출장소와 덕진출장소가 완산구, 덕진구로 승격하여 2개의 구가 신설되었다.[56] 1990년 8월 1일 완주군 이서면 상림리, 중리가 전주시에 편입되었다. 1994년 12월 26일 김제군 백구면 도덕리, 강흥리, 도도리와 용지면 남정리가 전주시에 편입되었다.[57] 1995년 4월 20일 완산구에 효자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98년 8월 1일 효자출장소가 폐지되었다. 2020년 5월 15일 덕진구 동산동의 법정동명을 여의동2가로 변경하였다. 2024년 1월 18일 법률 제19430호로 '''전라북도 전주시'''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로 개편되었다.

3. 지리

전주시는 동경 126°59′∼127°14′, 북위 35°43′∼35°53′에 위치하며 면적은 206km2이다.[58] 완주군이 시 경계 대부분과 맞닿아 있으며, 서쪽으로는 김제시, 북쪽으로는 익산시와 접한다.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노령산맥의 지류인 기린봉, 고덕산, 남고산, 모악산 등이 뻗어 있으며, 시 곳곳에 200m 내외의 황방산, 가련산, 건지산, 완산칠봉 등이 있어 전체적으로 산이 남쪽에서 시가지를 감싸고 있다.

만경강의 제1지류인 전주천은 시 남동쪽에 있는 관촌평야에서 시작하여 시 지역을 남동쪽에서 북서쪽으로 관통하여 흐르며, 덕진구 전미동에서 소양천과 합류해 만경강 본류를 이루어 시의 북쪽 경계를 이룬다. 전주천의 지류인 삼천은 시의 남동쪽 노령산맥 서쪽 사면에서 발원하여 완주군 구이면에서 들어와 시의 서쪽을 북쪽으로 흐르다 덕진구 팔복동(추천)에서 전주천에 합류한다. 과거 시가지를 흐르던 노송천의 복원 계획이 발표되기도 했다.

시가지 대부분은 전주천 충적토 위에 건설되어 대체로 평탄하며, 전주천변을 중심으로 남동쪽에서 북서쪽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룬다.

전주의 연평균 기온은 13.7°C이고, 연 강수량은 1299.3mm이다.[59] 겨울철 기온이 0°C 등온선을 기준으로 할 때 온대 습윤 기후(쾨펜 기후 분류 ''Dwa'')로 분류되지 않을 만큼 따뜻하여 습윤 아열대 기후(쾨펜 기후 분류 ''Cwa'')의 더 서늘한 유형을 보인다.

한국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이 뚜렷하다. 겨울에는 서늘한 날씨부터 매우 추운 날씨까지 다양하며, 시베리아에서 찬 공기를 가져오는 고기압 전선의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다. 여름에는 6월부터 9월까지 동남아시아의 습한 공기가 한반도로 유입된다. 봄(4월 말~5월)과 가을(9월 25일 이후~10월)의 기온은 20°C 중반 정도이며 습도가 낮다.

전주시 기후 데이터 (1991년~2020년 평균, 극값 1918년~현재)[60][61][34][35]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18.3°C22.9°C28.2°C31.2°C35.1°C35.8°C38.6°C38.9°C34.5°C31.5°C28°C23°C38.9°C
평균 최고 기온 (°C)4.8°C7.5°C13°C19.7°C25°C28.4°C30.6°C31.3°C27.4°C21.7°C14.4°C7.1°C19.2°C
평균 기온 (°C)0°C2°C6.8°C12.9°C18.5°C22.8°C26.2°C26.5°C21.9°C15.4°C8.8°C2.2°C13.7°C
평균 최저 기온 (°C)-4.3°C-2.8°C1.4°C6.9°C12.7°C18.2°C22.7°C22.9°C17.4°C10.1°C3.9°C-2.1°C8.9°C
최저 기온 기록 (°C)-17.1°C-16.6°C-12.2°C-3.9°C2.2°C8.2°C12.1°C12.5°C4°C-2.7°C-8.4°C-15°C-17.1°C
강수량 (mm)26.9mm36.8mm53.7mm78.4mm82.8mm159mm302.8mm289.6mm128.2mm57.3mm49.8mm34mm1299.3mm
평균 강수일 (≥ 0.1mm)8.36.99.48.78.910.316.015.09.36.68.99.0117.3
평균 강설일8.35.02.30.20.00.00.00.00.00.01.47.224.4
평균 상대 습도 (%)66.863.560.959.163.270.677.576.973.469.467.467.668.0
평균 월간 일조 시간151.2162.3191.7209.7220.5168.1133.1153.1169.6198.7158.1142.92059.0


3. 1. 지형

동경 126°59′∼127°14′, 북위 35°43′∼35°53′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206km2이다.[58] 완주군이 시 경계의 대부분과 맞닿아 있으며, 서쪽으로는 김제시와, 북쪽으로는 익산시와 접하고 있다. 북동으로부터 남서로 노령산맥의 지류인 기린봉, 고덕산, 남고산, 모악산 등이 뻗어 있으며, 시 곳곳에 200m 내외의 황방산, 가련산, 건지산, 완산칠봉 등이 자리잡고 있어 전체적으로 산이 남쪽에서 시가지를 감싸고 있는 형태이다.

만경강의 제1지류인 전주천은 시 남동쪽에 있는 관촌평야에서 기원하여 시역을 남동쪽에서 북서쪽으로 관통하여 흐르며, 덕진구 전미동에서 소양천과 합류해 만경강 본류를 이루어 시의 북쪽 경계를 이룬다. 전주천의 지류인 삼천은 시의 남동쪽을 지나는 노령산맥의 서쪽 사면에서 발원하여 완주군 구이면에서 들어와 시의 서쪽을 북쪽으로 흐르다 덕진구 팔복동(추천)에서 전주천에 합류한다. 최근에는 시가지를 흐르던 노송천의 복원계획이 발표되었다.

시가지의 대부분은 전주천 충적토상(沖積土上)에 건설되어 대체로 평탄하며 전주천변을 중심으로 남동쪽에서 북서쪽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다.

3. 2. 기후

전주의 연평균 기온은 13.7°C이고, 연 강수량은 1299.3mm이다.[59] 전주는 겨울철 기온이 0°C 등온선을 기준으로 할 때 온대 습윤 기후(쾨펜 기후 분류 ''Dwa'')로 분류되지 않을 만큼 따뜻하여 습윤 아열대 기후(쾨펜 기후 분류 ''Cwa'')의 더 서늘한 유형을 보인다.

전주는 한국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이 뚜렷하다. 겨울에는 서늘한 날씨부터 매우 추운 날씨까지 다양하게 나타나며, 시베리아에서 찬 공기를 가져오는 고기압 전선의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다.

여름에는 6월부터 9월까지 동남아시아의 습한 공기가 한반도로 유입된다. 봄(4월 말~5월)과 가을(9월 25일 이후~10월)의 기온은 20°C 중반 정도이며 습도가 낮다.

전주시 기후 데이터 (1991년~2020년 평균, 극값 1918년~현재)[60][61][34][35]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18.3°C22.9°C28.2°C31.2°C35.1°C35.8°C38.6°C38.9°C34.5°C31.5°C28°C23°C38.9°C
평균 최고 기온 (°C)4.8°C7.5°C13°C19.7°C25°C28.4°C30.6°C31.3°C27.4°C21.7°C14.4°C7.1°C19.2°C
평균 기온 (°C)0°C2°C6.8°C12.9°C18.5°C22.8°C26.2°C26.5°C21.9°C15.4°C8.8°C2.2°C13.7°C
평균 최저 기온 (°C)-4.3°C-2.8°C1.4°C6.9°C12.7°C18.2°C22.7°C22.9°C17.4°C10.1°C3.9°C-2.1°C8.9°C
최저 기온 기록 (°C)-17.1°C-16.6°C-12.2°C-3.9°C2.2°C8.2°C12.1°C12.5°C4°C-2.7°C-8.4°C-15°C-17.1°C
강수량 (mm)26.9mm36.8mm53.7mm78.4mm82.8mm159mm302.8mm289.6mm128.2mm57.3mm49.8mm34mm1299.3mm
평균 강수일 (≥ 0.1mm)8.36.99.48.78.910.316.015.09.36.68.99.0117.3
평균 강설일8.35.02.30.20.00.00.00.00.00.01.47.224.4
평균 상대 습도 (%)66.863.560.959.163.270.677.576.973.469.467.467.668.0
평균 월간 일조 시간151.2162.3191.7209.7220.5168.1133.1153.1169.6198.7158.1142.92059.0


4. 행정 구역

전주시의 행정 구역은 2구 35행정동 83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205.5 km2이고,[62] 인구는 2019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65만1091 명, 26만6541 가구이다.[63]

행정구한자면적
(km2)
인구세대
완산구完山區92.54338,839143,731
덕진구德津區112.95315,555130,022
전주시全州市205.5654,394273,753



행정구역도


전주시청


전주는 덕진구완산구 두 개의 구로 나뉜다. 전주시의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완산구는 전주천과 서산(화산공원)을 경계로 과거 전주부 시절부터 도심이었던 원도심과 도청이 있는 신도심으로 구분된다. 원도심 지역은 역사·문화 유적이 밀집되어 관광객이 많이 찾고 있으며, 신도심은 행정과 상업 기능이 밀집된 행정·주거지역으로 개발되었다.

덕진구는 원도심과 가까운 진북동, 인후동, 금암동, 덕진동 등 일대가 먼저 개발되어 1970년대부터 부도심 역할을 하였다. 2000년대 들어서는 신흥주거지인 송천동을 시작으로 전주 북부권 개발이 진행 중이다.

4. 1. 행정구역 통합 문제

1935년 전주읍이 전주부로 승격되면서 전주군이 전주시와 완주군으로 분리되었기 때문에 완주군과의 통합 논의가 있었다. 2013년 6월 26일에 실시된 완주군 주민투표에서 유효 투표 총수의 55%가 반대하여 통합이 무산된 적이 있다.[64] 2024년 6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전주시의 인구는 63만 9354명, 완주군의 인구는 9만 8878명이다. 면적이 좁은 전주시의 주민등록 인구는 2021년 65만 8천 명을 정점으로 줄어들고 있고, 면적이 넓은 완주군은 같은 해 9만 1천 명에서 산업단지 확장의 영향으로 인구가 늘고 있다.

4. 2. 공공기관

전주시에는 다음과 같은 공공기관이 있다.

전북특별자치도청, 전북특별자치도경찰청, 전북지방우정청, 전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 전북특별자치도선거관리위원회 등은 서부신시가지에, 국민연금공단, 농촌진흥청,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전기안전공사 등은 전북혁신도시에, 광주고등법원 전주부, 전주지방법원, 전주지방검찰청은 만성지구에 있다.

4. 2. 1. 도시개발사업


  • 서부신시가지

전주시 효자동 일원 2.53km2을 개발한 사업으로 전북특별자치도의 경제, 사회, 문화, 행정 등 중심 기능을 담당할 중핵 도시와 미래형 신시가지 조성을 목표로 추진되었다. 사업비로 4560억이 투입되었으며, 2008년에 준공되었다. 전북특별자치도청, 전북특별자치도경찰청, KBS전주방송총국, 전북특별자치도선거관리위원회, 전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 전북지방우정청 등의 관공서와 주요 시설이 들어서 있다.

  • 전북혁신도시

전주시 덕진구 혁신동, 완주군 이서면 갈산리·금평리·반교리 일대 9.9km22009년 착공하여 2017년까지 국민연금공단, 농촌진흥청,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전기안전공사 등 12개 이전 대상 공공기관이 모두 이전을 완료하였다. 전국 10개 혁신도시 중 최대 규모이며, LH와 전북개발공사가 총 15.229조을 투자해 인구 3만 명 대의 신도시를 세울 예정이다.[65]

  • 만성지구

혁신도시 인근의 전주시 만성동 일대 1.45km2를 개발한 사업이다. 5500억이 투입되었으며, 법원·검찰청 등이 입주한 법조타운 및 1만 7000명 정도를 수용할 수 있는 공동주택과 공원을 조성하였다. 이 사업은 2008년 한국토지공사가 맡아 2013년 부지 조성 사업이 준공될 계획이었으나 한국토지공사와 대한주택공사가 합병해 LH가 출범하면서 자금난에 부닥치자 2009년 실시설계 용역 단계에서 멈추었다가, 2013년 9월 착공해 2018년에 준공하였다.[66]

  • 전주에코시티

전주 북부권 핵심 개발 사업이다. 에코시티로 부르기도 하는데, 전주시 송천동에서 35사단을 이전하고 송천동·전미동·호성동 일대의 1.99km2를 택지 등으로 개발하는 사업이다. 송천동2가에 있던 35사단이 2013년 12월임실군 임실읍 대곡리로 이전하였고, 송천2동에 있던 206항공대대도 2018년 12월에 이전하였다.[67] 총 2.515조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인구 3만 명 정도의 신도시를 세울 예정이며, 2013년 9월 부지 개발을 착공하였다.

  • 효천지구

서부신시가지 인근의 전주시 효자동·삼천동 일대 0.67km2를 개발한 사업으로, 서부 신시가지 배후 지역으로서 직주 근접형 정주 공간을 조성하고 서남부 지역의 도시 자족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된 사업이다.[68] 2019년에 준공하였으며 주택 공급 규모는 총 4539가구이다.

5. 정치

전주시는 갑·을·병 선거구 등 총 3개의 선거구가 있다. 16대 국회까지는 2개 선거구였으나, 2004년에 완산구 선거구가 완산구 갑·을 선거구로 분리되어 3개 선거구가 되었다.

6. 인구

전주시의 연도별 인구 추이는 다음과 같다.[69]

연도총인구비고
1949년100,624명
1955년124,116명
1960년188,216명
1966년220,432명
1970년257,530명
1975년311,393명
1980년367,161명
1985년426,473명
1990년517,059명
1995년563,153명외국인: 321명
2000년616,468명외국인: 664명 (0.1%)
2005년623,298명외국인: 1,206명 (0.2%)
2010년649,728명외국인: 3,216명 (0.5%)
2015년658,172명외국인: 6,633명 (1.0%)
2019년662,086명외국인: 10,994명 (1.7%)



전주시의 인구는 1949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03년 620,374명, 2008년 635,707명, 2013년 651,043명으로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7. 관광


풍남문보물 제308호이다. 전주를 상징하는 풍남문은 원래 전주부성의 4대문 가운데 남문으로, 고려 공양왕 때 창건되었다가 조선 영조 때 소실되어 문루를 보수하면서 남문을 풍남문, 서문을 패서문으로 고쳤다. 이는 전주가 조선 왕조의 발상지라는 의미에서 풍패(豊沛)를 각각 머리 글자로 사용했던 것이다.
전주 풍패지관보물 제583호로,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조선 초 전주부성을 창건할 때 같이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1473년(성종 3년)에 전주부윤 조근이 전주사고를 창설할 때 남은 재력으로 개축했다는 기록이 있다. 객사는 빈객을 접대하고 숙박시키는 곳이지만 전패(殿牌)를 모시고 국왕에 대하여 예를 행하던 곳이며 조정의 칙사(勅使)가 오면 이곳에 유숙하면서 교지를 전하기도 하였고, 지방 고관(高官)이 부임하면 먼저 이 곳에 들러 배례(陪隷)를 올렸다.

전주 경기전

  • '''경기전'''

경기전은 대한민국의 사적 제339호로 전주시 완산구 태조로 44에 있다. 조선 태조의 영정(국보 제317호)을 봉안한 전각이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1614년(광해군 6년)에 중건되었다.

  • '''전주 한옥마을'''

전주 한옥마을은 경기전 앞을 지나는 길인 태조로를 중심으로 교동과 풍남동 일대의 도심지에 650여 채의 한옥들이 군락을 이루고 있는 곳이다. 이 곳의 전주 전통술박물관에선 한국에서 생산되는 전통주들을 접할 수 있고, 전주 전통한지원에선 닥나무로 한지를 만드는 과정을 볼 수 있다. 그 밖에 전통문화센터, 한옥생활체험관, 공예품 전시관, 기전전통 문화원, 한방문화센터, 전통찻집 등이 있다.[70]

전주 전동성당

전동성당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태조로 51(전동 경기전 맞은 편)에 있으며 1914년에 준공되었다. 건축면적 약 624m2이며, 호남지역 서양식 근대건축물로써는 가장 오래된 건축물로 사적 제228호에 지정되었다.
조경단전북특별자치도 시도기념물 제3호로 덕진에서 약 1 km 들어간 건지산에 있다. 1899년(광무 3년) 5월에 이곳에 단을 쌓고 비를 세워 전주 이씨 시조의 묘소를 정하고 ‘대한조경단’이라 하였다.

  • '''전주국제영화제'''는 매년 4월 말부터 5월까지 약 일주일 동안 열린다.[15]
  • '''국립전주박물관'''에는 백제 시대의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 광범위한 규모의 왕실 박물관, 사찰, 구릉 위의 성곽, 그리고 유명한 종이 박물관이 있으며, 매년 종이를 이용한 최신 유행과 전통 한국 의상을 선보이는 종이 패션쇼가 열린다.
  • '''전주한옥마을'''은 전주 중심부에 위치한 전통 마을로 800채가 넘는 전통 한옥이 있다. 전통 다방, 기념품 가게, 식당 등이 많이 있다.[16]
  • '''전동성당'''은 1791년과 1801년 한국 천주교 순교자들이 순교한 자리에 프랑스 신부 자비에르 보도네(Xavier Baudonet)가 1908년부터 1914년까지 건설했다. 이 비잔틴 양식과 로마네스크 양식의 성당은 대한민국 보물 제288호로 지정되어 있다.
  • '''전주국제소리축제'''는 2014년 송라인즈가 선정한 25대 최고의 국제 축제 중 하나였다.
  • '''전주국제영화제'''에는 매년 약 5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한다.
  • 전주는 국제적인 배틀 오브 더 이어(Battle of the Year) 챔피언인 브레이크댄스 크루 라스트 포 원(Last for One)의 고향이다.
  • '''경기전'''은 조선 왕조의 초대 왕인 이성계의 초상화를 봉안한 곳이다.
  • 전원 지역에 위치하여 인근의 산과 공원은 야외 레크리에이션 명소로 인기가 많다. 이 지역에는 역사 유적지가 있으며, 동물원, 공원, 그리고 전북대학교 캠퍼스에 있는 대규모 현대식 콘서트 단지인 한국소리문화의전당이 있다.
  • '''국립전주박물관''' (백제 시대 유물 중심)
  • '''전주박물관''' (갑오농민전쟁 등 근대사 소개)
  • '''동고산성''' (후백제 시대 산성)
  • '''전주객사''' (조선 시대 건축물) 중국에서 온 고관을 접대했던 게스트하우스였던 건물 정면에는 크게 "풍패의 관"이라고 적혀 있다. 이는 중국 전한의 초대 황제 유방의 출신지인 "沛縣郡豊縣(현재의 장쑤성 쉬저우시 패현)"에 빗댄 것이다.
  • '''한옥마을''' (한국 전통 가옥이 남아 있는 마을)

8. 문화

2000년부터 매년 전주국제영화제가 열리고 있다. 이 영화제에서는 아시아의 영화감독 세 명에게 각각 30분씩 시간을 주어 제작한 옴니버스 영화 세 사람 세 가지 색깔이 특히 인기가 있다.[15]


  • 전주역사박물관
  • 국립전주박물관
  • 전북대학교박물관
  • 전주대학교박물관

8. 1. 문화예술회관


  • 한국소리문화의전당
  • 전북예술회관
  • 덕진예술회관
  • 전북교육문화회관
  • 전북대학교 삼성문화회관
  • 교동아트센터

8. 2. 행사


  • 전주국제영화제는 매년 4월 말부터 5월까지 약 일주일 동안 개최된다.[15] 2000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으며, 매회 아시아에서 활동하는 세 명의 영화감독에게 한 사람당 30분의 제작 시간을 주고 제작 의뢰한 옴니버스 영화 「세 사람 세 가지 색깔(三人三色)」이 인기가 높다. 매년 약 5만 명의 관광객이 이 영화제를 방문한다.
  • 전주 약령시 제전 행사
  • 전주 종이 문화 축제
  • 전주 풍남제
  • 전주 대사습놀이 전국대회
  • 전주 세계 소리 축제는 2014년 송라인즈가 선정한 25대 최고의 국제 축제 중 하나였다.

8. 3. 음식

전주는 예로부터 자연환경이 좋아 음식문화가 발달한 지역이다. 2012년에는 유네스코에서 지정하는 음식창의도시에 국내 최초로 선정되었다.[70] 전주비빔밥, 전주한정식, 오모가리탕, 콩나물국밥 등이 유명하다. 특히 막걸리 골목이 여럿 있는데, 삼천동과 효자동 쪽은 막걸리 한 주전자에 푸짐한 '기본 안주'가 함께 나오는 것으로 유명하다.[70]

전주 비빔밥


전주 비빔밥


전주 비빔밥(전주비빔밥|전주비빔밥한국어)은 한국 전역에서 유명한 전통 향토 음식이다. 전주식 음식과 소주를 제공하는 여러 인기 있는 채식 식당이 있다.[13] 비빔밥은 전통적으로 전주, 진주, 해주에서 발달했다. 특히 전주비빔밥은 평양의 냉면, 개성의 탕반(국밥)과 함께 조선왕조 시대의 3대 명채로 여겨졌다. 현재는 한국의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전주가 위치한 호남평야에서 생산되는 재료가 특징이다.

콩나물국밥(콩나물국밥|콩나물국밥한국어)은 콩나물이 들어간 밥국으로 겨울에 많이 찾는다.[14]

육전(육전|육전한국어)은 고기와 반죽을 구운 일종의 팬케이크이다.[14]

메밀 냉면(메밀냉면|메밀냉면한국어)[14]

비빔밥

8. 4. 공공 도서관

이름위치
전주시립도서관 꽃심완산구 중화산동
완산도서관완산구 동완산동
금암도서관덕진구 금암동
인후도서관덕진구 인후동
삼천도서관완산구 삼천동
송천도서관덕진구 송천동
서신도서관완산구 서신동
평화도서관완산구 평화동
아중도서관덕진구 인후동
쪽구름도서관덕진구 반월동
건지도서관덕진구 호성동
효자도서관완산구 효자4동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전주학생교육문화관덕진구 진북동
전북시각장애인도서관완산구 남노송동
온고을노인도서관완산구 중앙동
무지개작은도서관
군지도서관
신서동도서관
온달샘작은도서관
노송작은도서관



전주시의 도서관:[9]

9. 경제

전주를 대표하는 기업으로는 현대자동차, LS엠트론, 효성첨단소재 등이 있다.[12]

9. 1. 상업

전주시에는 다음과 같은 전통시장이 있다.

  • 전주남부시장 (완산구 전동)
  • 전주모래내시장 (덕진구 인후동)
  • 전주중앙시장 (완산구 태평동)
  • 전주서부시장 (완산구 효자동)
  • 전주동부시장 (완산구 경원동)
  • 전주시농수산물도매시장 (덕진구 송천동)


전북특별자치도청이 위치한 효자동 일대는 신도심이자 전주의 도심을 대표하는 번화가이다. 객사 주변과 전북대학교 구정문 주변 대학로도 주요 상권이다. 대형 유통 시설에 대한 정보는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9. 1. 1. 주요 상권

완산구 효자동 일대는 신도심이자 전주의 도심을 대표하는 번화가이며, 전북특별자치도청이 위치한 전북특별자치도의 중심지이다.

객사 주변의 거리로 완산구 고사동에 위치해있다. 전주 영화의 거리도 객사길에 위치해 있다.

전북대학교 구정문 주변에는 대학로가 위치해 있다.

전주 남부시장 2층의 청년몰

9. 1. 2. 대형 유통 시설

상호명위치
롯데백화점 전주점완산구 서신동
세이브존 전주코아점완산구 서노송동
세이백화점 서전주점완산구 효자동
메가월드덕진구 송천동
NC WAVE 전주객사점완산구 고사동
이마트 전주점
이마트 에코시티점
롯데마트 전주점
롯데마트 전주송천점
홈플러스 전주점
홈플러스 전주완산점
홈플러스 전주효자점
농협 하나로클럽 전주점
농협 하나로클럽 효자점


9. 2. 의료기관

전주에는 2013년 기준 919개의 의료기관이 있다. 전주에 있는 주요 의료기관은 다음과 같다.

9. 3. 영화관

영화관 이름위치
CGV 전주고사점완산구 고사동
CGV 전주로마네시티점덕진구 송천동
CGV IMAX 전주효자점완산구 효자2동
CGV 서전주점완산구 효자5동
롯데시네마 전주점완산구 서신동
롯데시네마 전주평화점완산구 평화동
씨네Q 전주영화의거리점완산구 고사동
메가박스 송천점덕진구 송천동
메가박스 전주혁신점덕진구 장동
전주시네마타운완산구 고사동
전주디지털독립영화관완산구 고사동
조이앤시네마완산구 고사동


10. 교통

전주고속버스터미널


17번 국도, 21번 국도, 26번 국도 등이 시내를 통과하며, 1번 국도, 27번 국도는 시내를 우회한다.

완주군 이서면에 있는 서전주 나들목이나 여의동2가에 있는 전주 나들목에서 호남고속도로에 진입할 수 있다. 완주군 용진읍완주 나들목이나 소양면의 소양 나들목에서 새만금포항고속도로지선에, 금상동에 있는 동전주 나들목과 완주군 상관면에 있는 상관 나들목에서 순천완주고속도로에 진입할 수 있다.

덕진구 금암동에 있는 전주고속버스터미널전주시외버스터미널을 통해 전국 곳곳으로 버스가 운행된다.

전라선완주군 삼례읍에서 들어와 동산역, 송천역(폐역), 전주역, 아중역(폐역) 등을 지나 북동쪽으로 돌아 나가며, 옛 전라선의 일부가 화물전용선인 북전주선이라는 이름으로 분기하여 팔복동에서 끝난다. 과거 군산역임실역 사이에 하루 네 차례 통근열차를 운행했으나, 2008년 1월장항선과 구 군산선 일부가 연결되면서 통근열차 운행은 중단되었다.

항공 교통의 경우, 과거에 전주 비행장을 이용해 여객기가 운행되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중단되었으며, 가장 가까운 공항으로는 군산공항이 있다.

대중교통 수단으로 시내버스가 전주시, 완주군 삼례읍, 봉동읍, 용진읍, 소양면, 구이면, 김제시 금구면, 백구면, 임실군 관촌면 등을 연결한다. 전주시는 시내 경전철 사업을 추진하다가 2007년에 중단했다.[71]

전주역


전주에는 시내버스와 택시가 많이 다닌다. 하지만 많은 관광 명소가 서로 가까이 있어서 관광객들은 걸어서 다니는 것을 권장받는 경우가 많다.[10]

  • 공항버스
  • * 위 시외버스와는 별도로, 인천국제공항행 (김포국제공항 경유) 버스가 고속버스터미널에서 남쪽으로 2km, 전주역에서 남서쪽으로 3km 떨어진 전주 코아호텔 앞에서 출발 및 도착한다.

11. 교육

전주시는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매년 12월 중학교 졸업예정자, 졸업자 및 고등학교 입학 자격 획득자에 대해 내신 성적으로 일반계 고등학교 신입생을 선발한다. 특성화 고등학교 및 기타 고등학교는 학교장의 추천을 통해 내신 성적으로 입학 인원을 선발한다.[1]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전주에는 국립대학교인 전북대학교전주교육대학교가 있다.

11. 1. 대학교

11. 2. 전문대학

11. 3. 고등학교

전주시에 있는 고등학교


12. 스포츠

전북 현대 모터스


전주월드컵경기장


K리그1 소속 전북 현대 모터스전주월드컵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K4리그 소속 전북 현대 모터스 B전주월드컵경기장 보조구장을, 전주시민축구단전주종합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한다.[17]

전주는 K리그1 팀인 전북 현대 모터스와 K4리그 팀인 전주시민축구단의 연고지이다. 전북 현대 모터스의 홈구장은 전주월드컵경기장이며, 전주시민축구단의 홈구장은 전주종합경기장이다.

2001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프로농구 전주 KCC 이지스의 연고지였으나, 전주시의 새 체육관 건설 연기로 인해 부산으로 연고지를 이전했다.[18] 전북 현대 모터스는 2020 시즌까지 K리그 우승 8회, 전주 KCC 이지스는 2011년 기준 리그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종목팀명창립 연도홈 경기장
K리그1전북 현대 모터스1983년전주월드컵경기장
WK리그전북 KSPO2011년
KBL전주 KCC 이지스1997년전주실내체육관



과거 KBO 리그 상무 불곰즈(쌍방울 레이더스)가 전주를 연고지로 했으나, 2000년에 해체되었다. 이후 SSG 랜더스(SK 와이번스)가 신규 참가 형식으로 인수하며 연고지를 인천광역시로 이전했다.


  • 전주국제인라인스케이트마라톤: 매년 9월에 개최되며, 42.195km를 비롯한 여러 거리 구간에 약 3,000명이 참가한다.

13. 출신 인물


  • 한덕수, 국무총리
  • 디셈버 (유대준, 1976년생), 래퍼 및 TV 방송인
  • 이민우 (1979년생), 가수, 신화 멤버
  • 김규종 (1987년생), 가수, SS501 멤버
  • 윤균상 (1987년생), 배우
  • 태연 (김태연, 1989년생), 가수, 소녀시대 멤버
  • 김성규 (1989년생), 가수, 인피니트 멤버
  • 화사 (1995년생), 가수, 마마무 멤버
  • 휘인 (1995년생), 가수, 마마무 멤버
  • 최유진 (1996년생), 가수, CLC 및 케플러 멤버
  • 최병찬 (1997년생), 가수, 빅톤 멤버
  • 배인혁 (1998년생), 배우
  • 나재민 (2000년생), 가수, NCT 멤버
  • 소이현 (1984년생), 배우
  • 이유미 (1994년생), 배우
  • 예지 (2000년생), 가수, 있지 멤버
  • 이창호 (1975년생), 프로 바둑 기사
  • 양홍석 (1997년생), 농구 선수
  • 아시다 준, 일본 패션 디자이너
  • 윤손하, 탤런트, 배우
  • 하야카와 나미, 양궁 선수, 베이징 올림픽 양궁 일본 대표 (여자 개인 6위, 단체 8위)
  • 하야카와 렌, 하야카와 나미의 여동생, 런던 올림픽 양궁 일본 대표 (여자 단체 동메달)
  • 박경완, 프로야구 선수, SK 와이번스 소속
  • 박정권, 프로야구 선수, SK 와이번스 소속
  • 최형우, 프로야구 선수, KIA 타이거즈 소속
  • 태주, 일본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배우
  • 허진호, 영화 감독
  • 우리 (레인보우)
  • 노을 (레인보우)
  • 은지 (나인뮤지스)
  • (더보이즈)


14. 국제 교류

전주시는 국제 교류를 활발히 추진하며, 여러 나라의 도시들과 자매·우호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자매 도시로는 샌디에이고(미국), 쑤저우시(중국), 가나자와시(일본), 안탈리아(튀르키예)가 있으며, 대한민국 목포와도 자매 결연을 맺었다.


  • - -- -- -- --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14. 1. 자매 도시

국가도시체결일
United States|미국영어샌디에고1983년 5월 20일
China|중국중국어쑤저우시1996년 3월 21일
Japan|일본일본어가나자와시2002년 4월 30일
Turkey|튀르키예tr안탈리아2013년 7월 4일

[72]

14. 2. 우호 도시

국가도시체결일
United States|미국영어호놀룰루2004년 12월 20일
China|중국중국어선양시2006년 7월 17일
China|중국중국어창춘시2006년 7월 18일
Italia|이탈리아it피렌체2007년 3월 28일
China|중국중국어시닝시2012년 6월 11일

[72]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뉴스 Jeonju's Gastronomic Greatness Recognized by UNESCO http://english.chosu[...] 2012-05-16
[3] 웹사이트 Jeonju, Republic of Korea https://www.uil.unes[...] 2024-04-21
[4]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5]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6]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7] 서적 International Dictionary of Historic Places, Volume 5: Asia and Oceania Fitzroy Dearborn Publishers
[8] 서적 A Brief History of Korea, Volume 1 https://books.google[...] 2005-01
[9] 웹사이트 Public Services in Jeonju-si, North Jeolla https://southkorea-s[...] 2024-04-21
[10] 웹사이트 Travel Highlights http://english.visit[...]
[11] 웹사이트 Transportation Guide Jeonju https://creatrip.com[...] 2024-04-21
[12] 웹사이트 전주시 주요 기업 리스트 https://informative.[...] 2024-11-30
[13] 웹사이트 Jeonju bibimbap, the most popular traditional Korean dish among foreigners http://jeonjucity.kr[...]
[14] 웹사이트 9 Best Local Dishes From Jeonju https://kr.hotels.co[...] 2024-04-21
[15] 뉴스 Jeonju Int'l Film Fest to Open This Week http://english.chosu[...] 2012-04-23
[16] 웹사이트 Jeonju Hanok Village http://www.visitkore[...]
[17] 웹사이트 Jeonbuk Hyundai Motors http://www.hyundai-m[...] 2016-04-14
[18] 뉴스 KCC Egis leave Jeonju for Busan as stadium woes continue https://koreajoongan[...] 2023-08-31
[19]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20]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21] 법률 道令第12号 1930-06-26
[22]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03号 1930-12-29
[23]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2号 1935-09-28
[24] 법률 朝鮮総督府令第220号 1940-10-23
[25] 법률 法律第32号 地方自治法 1949-07-04
[26] 법률 法律第453号 시·군행정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57-11-06
[27] 법률 大統領令第6542号 1973-03-12
[28] 법률 大統領令第11027号 市・郡・区・邑・面の管轄区域変更及び面設置等に関する規定 1983-01-10
[29] 법률 大統領令第12007号 1986-12-23
[30] 법률 市条例第1541号 1988-06-30
[31] 법률 大統領令第12557号 1988-12-22
[32] 법률 大統領令第14434号
[33] 웹사이트 韓国全州市議会、日本政府糾弾決議案を採択…「領土主権は侵害、挑発」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21-06-21
[34]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전주(완산)(864) https://data.kma.go.[...] 韓国気象庁
[35]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전주(완산)(864) https://data.kma.go.[...] 韓国気象庁
[36] 행정구역
[37] 행정구역
[38] 행정구역
[39] 서적 삼국사기
[40] 서적 삼국사기
[41] 서적 삼국사기
[42] 서적 삼국사기
[43] 법령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44] 법령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45]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46] 법령 도령 제12호 1930-06-26
[47]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12-29
[48]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2호 1935-09-28
[49]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220호 1940-10-23
[50] 법령 법률 제32호 지방자치법 1949-07-04
[51] 법령 법률 제453호 시·군행정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57-11-06
[52] 법령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53] 법령 대통령령 제12007호 1986-12-23
[54] 법령 시조례 제1541호 1988-06-30
[55] 법령 대통령령 제12557호 1988-12-22
[56] 법령 시조례 제1591호 1989-03-28
[57] 법령 대통령령 제14434호
[58] 웹사이트 구글 맵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위성사진 http://maps.google.c[...]
[59] 관측소
[60]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전주(완산)(864)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61]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전주(완산)(864)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62] 웹사이트 2018년 통계연보(2017년 기준) http://www.jeonju.go[...] 전주시청 2020-07-10
[63]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27.101.213.4/[...] 행정안전부 2020-07-10
[64] 뉴스 완주·전주 통합 무산..완주 주민투표 결과 읍·면별 분석 http://www.jjan.kr/n[...] 전북일보 2013-07-23
[65] 뉴스 100개 공공기관 지방혁신도시로 이전 완료 https://news.naver.c[...] CBS노컷뉴스 2016-02-04
[66] 뉴스 전주 만성지구 사업 2016년 준공 http://www.domin.co.[...] 전북도민일보 2014-03-12
[67] 뉴스 보병부대는 임실 이전…항공대는 여전히 표류 중 http://www.sjbnews.c[...] 새전북신문 2015-02-12
[68] 뉴스 전주효천지구 도시개발사업 인가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12-12-21
[69] 웹사이트 KOSIS 국가통계포털 통계청
[70] 뉴스 한옥마을만으로 전주를 다 즐겼다 말하는 당신에게 http://travel.chosun[...] 조선일보 2008-06-26
[71] 웹인용 경량전철 건설사업 '포기' https://news.naver.c[...] 2018-11-09
[72] 웹인용 전주시청 > 전주소개 > 전주정보 > 자매/우호도시 > 자매도시 https://www.jeonju.g[...] 2022-1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