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은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은준은 시냅스 뇌질환 분야의 권위자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등 뇌 질환 연구에 기여한 과학자이다. 부산대학교에서 학사,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석사, 미시간 주립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KAIST 생명과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기초과학연구원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단장,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 업적으로는 자폐증과 ADHD 관련 유전자 및 분자 메커니즘 규명이 있으며, 아산의학상, 포스코 청암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신경과학자 - 신희섭 (신경과학자)
    신희섭은 서울대학교와 코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포항공과대학교, KIST, KAIST 등에서 뇌과학 연구를 선도하며 간질 및 마비 관련 유전자 발견 등 뇌 기능 조절에 미치는 칼슘 역학 변화 연구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신경과학자이다.
  • 대한민국의 신경과학자 - 강봉균 (신경생물학자)
    강봉균은 에릭 캔들 교수의 제자로서 군소, 쥐 모델을 이용한 학습과 기억, 신경정신질환 연구를 수행하고 Nature, Science, Cell 등 주요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한 신경생물학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이다.
  • 젊은과학자상 수상자 - 방효충
    방효충은 위성 자세제어 분야 전문가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충남대학교, KAIST 등에서 인공위성 개발 및 연구에 기여했으며 젊은과학자상과 과학기술훈장을 수상하고 국가우주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항공우주공학자이다.
  • 젊은과학자상 수상자 - 현택환
    현택환은 나노 입자 합성 분야의 권위자로, 승온법을 개발하고 균일한 나노 입자 합성 및 MRI 조영제 개발 등의 업적을 통해 젊은 화학자상과 호암상 공학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화학자이다.
  • 포스코청암상 과학상 수상자 - 현택환
    현택환은 나노 입자 합성 분야의 권위자로, 승온법을 개발하고 균일한 나노 입자 합성 및 MRI 조영제 개발 등의 업적을 통해 젊은 화학자상과 호암상 공학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화학자이다.
  • 포스코청암상 과학상 수상자 - 임지순
    대한민국의 물리학자 임지순은 전산재료물리학 분야를 개척하고 "Momentum-space formalism" 논문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울대학교 교수 및 이론물리센터 소장 역임, 다수의 수상 경력과 함께 현재 포항공과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김은준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김은준
본명김은준
출생일1964년 1월 20일
출생지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학력 및 경력
분야신경과학, 자폐증, 단백질 수용체
직장한국과학기술원, 기초과학연구원, 하버드 의과대학
출신 대학부산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미시간 주립 대학교
지도 교수제임스 L. 베넷
업적
수상아산의학상
웹사이트IBS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한국어 이름
한글김은준
한자!
로마자 표기Gim Eunjun
매큔-라이샤워 표기Kim Ŭnchun

2. 학력 및 경력

김은준은 부산대학교 약학과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석사 학위를, 미시간 주립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3]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한 후, 1997년부터 교수로 재직 중이다.[3] 현재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석좌교수 및 기초과학연구원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장으로 재직 중이며, 여러 국제 학술지의 편집장 및 부편집장을 맡고 있다.[3]

1988년부터 1991년까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연구원으로, 1995년부터 1997년까지는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하였다.[3] 1997년부터 2000년까지 부산대학교 약학과 조교수를 거쳐, 2000년부터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에서 부교수, 정교수를 역임하였다.[3] 2003년부터 2012년까지 시냅스 형성 국가 창의 연구단을 이끌었으며, 2012년부터 현재까지 기초과학연구원 시냅스 뇌 기능 이상 연구 센터장을 맡고 있다.[3]

2. 1. 학력

2. 2. 경력

김은준은 현재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석좌교수이자 기초과학연구원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장으로 재직 중이다.[3] 또한, eLife, Molecules and Cells, NeuroSignals, Molecular Brain, Frontiers in Molecular Neuroscience 등 여러 국제 학술지의 편집장 및 부편집장을 맡고 있다.[3] 1986년 부산대학교 약학과를 졸업하고, 1988년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3] 1994년에는 미국 미시간 주립대학교(MSU)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했다.[3] 1997년 귀국 후에는 교수로 재직하며 연구와 교육에 힘쓰고 있다.[3]

연도경력
1988. 3 - 1991. 8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연구원[3]
1991. 9 - 1994.12미시간주립대학교(MSU) 연구조원 (RA)[3]
1997. 3 - 2000. 2부산대학교 전임강사, 조교수[3]
2000. 3 - 현재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조교수, 부교수, 교수[3]
2003. 7 - 2012. 5한국과학기술원 시냅스 생성창의연구단 단장[3]
2010. 1 - 현재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3]
2011. 5 - 현재한국과학기술원 석좌교수[3]
2012. 7 - 현재기초과학연구원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장[3]


3. 주요 연구 업적

김은준 교수는 뇌 과학 분야에서 시냅스 생성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해왔다. 특히,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와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ADHD)와 같은 뇌 질환 연구에 기여했다.


  • 네이처 게재 (2012)[1]: Autistic-like social behavior in Shank2-mutant mice improved by restoring NMDA receptor function|한국어 발음표기|Nature. 486:261-265. 2012.영어 논문에서 생크2(Shank2) 유전자 결손으로 인한 NMDA 수용체 기능 저하가 자폐증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 네이처 메디신 게재 (2011)[2]: GIT1 is associated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ADHD-like behaviors in mice|한국어 발음표기|Nature Medicine 17:566-572. 2011.영어 논문에서 인간에게서 GIT1와 ADHD 사이의 유전적인 상관관계를 밝혀냈고, 생쥐에서 GIT1 유전자를 결손시키자 흥분-억제 균형이 무너져 ADHD와 유사한 행동이 나타남을 확인했다.

3. 1. 자폐 스펙트럼 장애 (ASD) 연구

김은준 교수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연구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2012년 네이처 지에 게재된 연구에서는 생크2(Shank2) 유전자 결손으로 인한 NMDA 수용체 기능 저하가 자폐증의 원인임을 밝혀냈다.[1] 이 연구는 동물실험 수준이었지만, 반복 행동뿐만 아니라 자폐증의 주요 증상인 사회성 결핍도 약물로 개선될 수 있음을 보여주어 자폐 치료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학계와 과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2011년 네이처 메디신 지에는 GIT1 유전자와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ADHD)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게재되었다.[2] 이 연구에서는 GIT1 유전자가 결손된 생쥐에서 흥분-억제 균형이 무너져 ADHD와 유사한 행동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GIT1 유전자가 ADHD 진단 및 치료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3.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연구

김은준 교수는 2011년 Nature Medicine지에 "GIT1 is associated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ADHD-like behaviors in mice."라는 제목의 논문을 게재했다.[1] 이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와 GIT1 유전자 사이의 연관성을 밝혀냈다. ADHD는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충동성을 특징으로 하는 뇌 정신 질환이다.

연구진은 사람에게서 GIT1 유전자와 ADHD 사이의 유전적 상관관계를 발견했다. 또한, 생쥐에서 GIT1 유전자를 제거하자 뇌의 흥분-억제 균형이 깨져 ADHD와 비슷한 행동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GIT1 유전자가 결손된 생쥐는 ADHD 연구를 위한 새로운 동물 모델로 활용될 수 있으며, GIT1 유전자는 ADHD 진단 및 치료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1]

4. 수상 경력

연도수상 내역주최
2018년아산의학상[17][18][19]아산사회복지재단
2014년KAIST 대표 우수성과 10선KAIST[20]
2013년포스코 청암상[21]포스코청암재단
2012년생명과학상[22][23]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2012년인촌상[24][25]인촌기념회 및 동아일보
2011년학술대상KAIST[26]
2005년BPS Award 생명약학 우수논문상생명약학회
2005년젊은과학자상한국과학기술한림원
2004년Young Investigator AwardKorean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03년학술상KAIST
1991년대한민국 정부 해외 유학 장학금대한민국 교육부


5. 주요 논문

연도저널논문 제목
2012네이처Autistic-like social behavior in Shank2-mutant mice improved by restoring NMDA receptor function[1]
2011Nature MedicineGIT1 is associated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ADHD-like behaviors in mice[2]
1995네이처막 연관 구아닐산 키나제 패밀리와의 상호 작용에 의한 Shaker형 K+ 채널의 클러스터링[3]
1996신경과학 저널NMDA 수용체 서브유닛의 C-말단과 PSD-95 패밀리의 여러 막 연관 구아닐산 키나제 구성원 간의 상호 작용[4]
1996Cell결정 구조의 복합체 및 펩타이드가 없는 막 단백질 결합 도메인: PDZ에 의한 펩타이드 인지의 분자적 기초[5]
1997뉴런Shank, NMDA 수용체/PSD-95/GKAP 복합체 및 코르탁틴에 결합하는 새로운 시냅스 후 밀도 단백질군[6]
2004네이처 리뷰 뉴로사이언스시냅스의 PDZ 도메인 단백질[7]


참조

[1] 웹사이트 Google Scholar https://scholar.goog[...] Google Scholar
[2] 웹사이트 Michigan State University http://www.msu.edu/
[3] 간행물 Autistic-like social behavior in Shank2-mutant mice improved by restoring NMDA receptor function
[4] 웹사이트 2008 - 2018 Laureates Asan Award in Medicine - Asan Medical Center http://asanawardinme[...] Asan Foundation 2018-09-05
[5] 웹사이트 The 11th Asan Award in Medicine Laureates http://herald.kaist.[...] KAIST 2018-09-05
[6] 웹사이트 Four Scientists to Receive 2018 ASAN Awards https://www.asiansci[...] 2018-09-05
[7] 웹사이트 Synaptic Brain Dysfunctions Lab. http://molneuro.kais[...] KAIST 2018-09-05
[8] 웹사이트 POSCO Announced 2013 POSCO TJ Park Prize Winners https://www.oreanda-[...] 2023-11-23
[9] 웹사이트 Science Prize Awardees(2013): Eun-jun Kim https://www.postf.or[...] POSCO 2018-09-05
[10] 웹사이트 포스코 청암상에 김은준·윤병훈·서영남 씨 선정 http://www.asiae.co.[...] 2018-09-05
[11] 웹사이트 아산의학상에 김은준·방영주 교수 선정 http://www.asiae.co.[...] 2018-09-05
[12] 웹사이트 아산의학상에 김은준·방영주 교수 https://news.joins.c[...] 2018-09-05
[13] 웹사이트 "[제26회 인촌상 수상자]인촌상 영광의 얼굴들… 수상소감과 공적" http://news.donga.co[...] 2018-09-05
[14] 웹사이트 인촌상 김은준 교수 https://news.naver.c[...] Yonhap News Agency 2018-09-05
[15] 웹사이트 '올해의 KAIST인 賞' 김은준 교수 … 시냅스 단백질 연구 http://news.hankyung[...] 2018-09-05
[16] 웹사이트 과학계 신인상 받은 '젊은과학자상 수상자들'…20년 만에 주역으로 우뚝 https://kast.tistory[...] 2020-08-21
[17] 웹인용 2008 - 2018 Laureates Asan Award in Medicine - Asan Medical Center http://asanawardinme[...] Asan Foundation 2018-09-05
[18] 웹인용 The 11th Asan Award in Medicine Laureates http://herald.kaist.[...] KAIST 2018-09-05
[19] 웹인용 Four Scientists to Receive 2018 ASAN Awards https://www.asiansci[...] 2018-09-05
[20] 웹인용 The 11th Asan Award in Medicine Laureates http://herald.kaist.[...] KAIST 2018-09-05
[21] 웹인용 포스코 청암상에 김은준·윤병훈·서영남 씨 선정 http://www.asiae.co.[...] 2018-09-05
[22] 웹인용 아산의학상에 김은준·방영주 교수 선정 http://www.asiae.co.[...] 2018-09-05
[23] 웹인용 아산의학상에 김은준·방영주 교수 https://www.joongang[...] 2018-09-05
[24] 웹인용 "[제26회 인촌상 수상자]인촌상 영광의 얼굴들… 수상소감과 공적" http://news.donga.co[...] 2018-09-05
[25] 웹인용 인촌상 김은준 교수 https://news.naver.c[...] Yonhap News 2018-09-05
[26] 웹인용 http://news.hankyung[...] 한국경제신문 2018-09-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