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진호 (배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진호는 1981년 연극 《시집가는 날》로 데뷔한 배우로, 1981년부터 (사)전문예술극단예인방 이사장, 1999년부터 고구려대학교 교수, 2013년부터 한국예술문화산업진흥원 이사장을 역임하고 있다. 그는 1991년 연희 연극상을 수상했으며, 드라마 《왕의 여자》, 《제5공화국》, 《주몽》, 《동이》, 《옥중화》 등 다수의 작품에 출연했다. 또한, 연극 《햄릿》, 《배비장전》, 《피고지고 피고지고》 등에도 출연했으며, 연극 《김치》, 《엄마의 강》,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 등을 연출 및 기획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연극 배우 - 김종수 (배우)
    김종수는 1984년 극단 고래에 입단하여 연극 배우로 활동을 시작, 영화 《밀양》으로 스크린에 데뷔하여 다수의 영화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였으며, 2023년 영화 《밀수》로 여러 영화제에서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연극 배우 - 정종철
    정종철은 2000년 KBS 공채 개그맨으로 데뷔하여 《개그콘서트》 '옥동자' 캐릭터와 '갈갈이 삼형제', '마빡이' 등의 코너를 통해 큰 인기를 얻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사회 공헌에도 참여한 대한민국의 희극인이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 - 김종수 (배우)
    김종수는 1984년 극단 고래에 입단하여 연극 배우로 활동을 시작, 영화 《밀양》으로 스크린에 데뷔하여 다수의 영화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였으며, 2023년 영화 《밀수》로 여러 영화제에서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 - 정종철
    정종철은 2000년 KBS 공채 개그맨으로 데뷔하여 《개그콘서트》 '옥동자' 캐릭터와 '갈갈이 삼형제', '마빡이' 등의 코너를 통해 큰 인기를 얻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사회 공헌에도 참여한 대한민국의 희극인이다.
  • 대한민국의 영화 배우 - 김종수 (배우)
    김종수는 1984년 극단 고래에 입단하여 연극 배우로 활동을 시작, 영화 《밀양》으로 스크린에 데뷔하여 다수의 영화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였으며, 2023년 영화 《밀수》로 여러 영화제에서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영화 배우 - 정종철
    정종철은 2000년 KBS 공채 개그맨으로 데뷔하여 《개그콘서트》 '옥동자' 캐릭터와 '갈갈이 삼형제', '마빡이' 등의 코너를 통해 큰 인기를 얻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사회 공헌에도 참여한 대한민국의 희극인이다.
김진호 (배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인물 사진 없음
인물 사진 없음
이름김진호
본명김진호
출생일1962년 4월 4일 (62세)
출생지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직업배우
연극 배우
소속사퀀텀이엔엠
관련 단체극단 예인방 이사장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나주예총 회장
웹사이트퀀텀이엔엠 김진호

2. 경력

김진호는 (사)전문예술극단 예인방 이사장, 고구려대학교 교수, 한국예술문화산업진흥원 이사장 등 다양한 단체의 주요 직책을 현재까지 맡고 있다.

2. 1. 주요 단체 경력

기간단체 및 직책
1981년 ~ 현재(사)전문예술극단 예인방 이사장
1987년 ~ 2012년(사)나주연극협회 회장
1999년 ~ 현재고구려대학교 교수
2003년 ~ 2005년(사)전라남도 연극협회 회장
2003년 ~ 2005년(사)한국연극협회 이사
2005년 ~ 2018년남북문화교류협력위원회 회장
2007년 ~ 2015년(사)나주예총 회장
2012년 ~ 2018년나주시문화예술자문 위원
2013년 ~ 2019년(사)전라남도문화예술위원회 위원
2013년 ~ 현재한국예술문화산업진흥원 이사장
2017년 ~ 2018년도농협동연수원 자문위원


3. 수상

연도수상 내역
1991년연희 연극상
1999년21C신문화인물 선정
2009년전라남도 문화상
2011년한국예총예술문화상 대상
2014년대한민국연극대상 자랑스런 연극인상


4. 출연작

김진호는 드라마, 연극,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특히 SBS 드라마 서동요의 위송장군 역, MBC 드라마 주몽의 양탁군장 역 등 주로 시대극에서 비중 있는 조연으로 출연했다. 연극 무대에서는 주연과 조연을 가리지 않고 다양한 배역을 맡아 연기력을 선보였다. 영화 출연은 상대적으로 적다.

4. 1. 드라마

연도방송사제목배역
2003년SBS왕의 여자김류
2004년KBS2애정의 조건
2005년MBC제5공화국이택돈
2005년SBS서동요위송장군
2006년MBC주몽양탁군장
2007년MBC이산이훈영 대감
2008년OCN과거를 묻지 마세요준상
2008년MBC 드라마넷전처가 옆방에 산다철만
2009년SBS시티홀박진감
2010년SBS동이김주신
2010년SBS대물김현갑
2011년MBC계백왕효린
2011년SBS더 뮤지컬서회장
2013년MBC구암 허준김응택
2014년SBS펀치국회의장
2014년MBC기황후인주지사
2014년MBC황금 무지개연구원
2014년tvN꽃할배 수사대오승욱 부장
2014년TV조선최고의 결혼안중락
2015년MBC빛나거나 미치거나박수경
2016년MBC옥중화정상호
2017년tvN크리미널 마인드홍혜인 부
2017년MBC도둑놈, 도둑님이창영
2018년드라맥스 & MBN마성의 기쁨여재만
2019년TV조선바벨강태성
2020년SBS굿캐스팅금동석
2020년tvN철인왕후윤대감
2021년MBC미치지 않고서야배정탁 상무


4. 2. 연극

연도작품명배역
1981년《시집가는 날》미언
1983년《배비장전》배비장
1983년《쥐덫》트로터
1984년《블랙 코메디》브린즈리 밀러
1985년햄릿햄릿
1986년《콜렉터》콜랙
1986년《별을 수놓는 여자》노만
1987년《배비장전》배비장
1988년《동트는 새벽에 서다》성식
1990년《농토》박대감
1995년《피고지고 피고지고》왕오
1997년《아름다운 거리》인광남
1998년《피고지고 피고지고》왕오
1999년《숨쉬는 땅 통토》박대감
2000년《돼지와 오토바이》의사
2002년《달빛 소나타》유달수
2004년《서툰 사람들》유달수
2005년《피고지고 피고지고》왕오
2006년《비풍초똥팔삼》
2007년《봉숭아 물들이고》남편
2008년《친정엄마》이장
2010년《모정의 세월》배기철
2011년《무어별》박영감


4. 3. 영화

연도제목배역
2004년돈 텔 파파나이트 사장
2009년19-Nineteen형사반장


5. 연출 및 기획

김진호는 연극과 행사 분야에서 다양한 작품을 연출 및 기획하였다. 연극 부분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며, 여기서는 행사 부문만 간략히 소개한다.

김진호가 연출 및 기획에 참여한 주요 행사는 다음과 같다.

연도제목
2014년세계 원형민속 춤 페스티벌
2012년목사고을 나주 주말 상설공연 “판”
2011년전라남도 도민체전 문화행사
2009년안성현 음악제
2008년솔 향기 사이로
2008년전국체전 전야제 어울마당
2007년영산강 문화축제
2006년영산강 문화축제


5. 1. 연극

연도작품명
2020년《김치》
2020년《뮤지컬 Dream! Dream! Dream Hi !5》
2020년《못생긴 당신》
2019년《이성계 역사재판》
2019년《못생긴 당신》
2018년《못생긴 당신》
2018년《선달 배비장》
2018년《역사를 지키는 자 그 향기 천년을 가려라》
2018년《아랑사와 아비사》
2018년《아버지와 나와 홍매와》
2017년《아버지와 나와 홍매와》
2017년《엄마의 강》
2016년《엄마의 강》
2016년《향숙이》
2015년《그대 손에 노란편지》
2015년《엄마의 강》
2015년《언덕을 넘어서 가자》
2014년《엄마의 강》
2014년《뮤지컬 Dream! Dream! Dream Hi!3》
2014년《언덕을 넘어서 가자》
2014년《울 엄니》
2013년《김치》
2013년《뮤지컬 Dream! Dream! Dream Hi!2》
2013년《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
2012년《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
2012년《김치》
2012년《언덕을 넘어서 가자》
2012년《뮤지컬 Dream! Dream! Dream Hi!》
2011년《병사와 수녀》
2011년《언덕을 넘어서 가자》
2011년《김치》
2011년《마요네즈》
2011년《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
2010년《김치》
2010년《청학동 비보이》
2010년《뮤지컬 방황하는 별들》
2010년《배비장뎐》
2010년《두 아들》
2009년《마요네즈》
2009년《무어별》
2009년《남평현갑 납시오!》
2008년《나주목사 모의재판》
2008년《갈라콘서트》
2008년《브로드웨이 뮤지컬》
2008년《청학동 비보이를 탄생시키다》
2008년《딸들의 봄날》
2007년《봉화불》
2007년《혁신도령, 이화낭자에게 장가온다네!》
2007년《나주목사 모의재판》
2007년《브로드웨이 뮤지컬 갈라 콘서트》
2007년주몽
2007년《신 놀부뎐》
2006년《마당극 뺑파전》
2005년《소인 죄가 없사옵니다》
2004년《누가 이 사람을 모르시나요》
2003년《불효자는 웁니다》
2003년《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
2001년《홍도야 울지마라》
2001년《여자는 무엇으로 사는가》
1998년《뮤지컬 방황하는 별들》
1996년산불
1996년《여자는 무엇으로 사는가》
1995년《타이피스트와 사형수》
1994년《뮤지컬 방황하는 별들》
1993년《뮤지컬 꿈꾸는 별들》
1993년《루브》
1989년《종의 침묵》
1989년《품바》
1988년《동트는 새벽에 서다》
1987년《배비장전》
1986년《콜렉터》
1986년《별을 수 놓은여자》
1985년햄릿
1985년《은하수로 가는 우유배달부》
1984년《블랙코메디》
1983년《쥐덫》
1982년《시집가는 날》
1981년《시집가는 날》


5. 2. 행사

연도제목
2014년세계 원형민속 춤 페스티벌
2012년목사고을 나주 주말 상설공연 “판”
2011년전라남도 도민체전 문화행사
2009년안성현 음악제
2008년솔 향기 사이로
2008년전국체전 전야제 어울마당
2007년영산강 문화축제
2006년영산강 문화축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