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주몽 (드라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주몽은 2006년 MBC에서 방영된 창사 45주년 특별기획 드라마로, 고조선 멸망 이후 고구려 건국 시기를 배경으로 주몽의 일대기를 다룬다. 평균 시청률 41.0%, 최고 시청률 51.9%를 기록하며 2000년 이후 역대 35주 전국 시청률 1위를 달성했으며, 81부작으로 제작되었다. 고증 미흡, 설정 오류에 대한 비판과 역사 왜곡 논란이 있었지만, 웅장한 스케일과 화려한 영상미로 한국 사극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메상 수상작 - 가을동화
    2000년 KBS에서 방영된 윤석호 감독의 멜로드라마 《가을동화》는 신생아실에서 바뀐 이름표로 운명이 뒤바뀐 준서와 은서가 재회하여 사랑에 빠지지만 비극적인 결말을 맞는 이야기로, 아름다운 영상미와 배우들의 열연으로 큰 인기를 얻으며 한류 확산에 기여한 작품이다.
  • 그리메상 수상작 - 연인 (2023년 드라마)
    2023년 방영된 MBC 드라마 《연인》은 남궁민, 안은진 주연으로, 병자호란의 혼란 속에서 엇갈리는 이장현과 유길채의 사랑과 성장을 그린 17세기 조선 시대 배경의 드라마이며, 역사 왜곡 논란에도 불구하고 배우들의 열연과 영상미로 호평을 받았고 MBC 연기대상에서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 한나라를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 미인심계
    미인심계는 전한 시대를 배경으로 궁중 암투와 여인들의 삶을 그린 중국 드라마로, 주인공 두의방이 궁녀에서 황후가 되기까지의 인생을 중심으로 세 황제를 거치는 사건들을 다룬다.
  • 한나라를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 상애천사천년
    후난위성텔레비전과 CJ E&M이 공동 제작한 드라마 상애천사천년은 한나라 시대 학자 공명이 2천 년 후 현대로 시간 여행을 하여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리며 징보란과 정솽이 주연을 맡았고, 시청자 반응에 따라 대본이 수정되는 실시간 촬영 방식과 실제 역사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이야기가 특징이다.
  • 정형수 시나리오 작품 - 떨리는 가슴
    《떨리는 가슴》은 2005년에 방영된 텔레비전 드라마로, 배종옥, 김창완, 배두나, 고아성 등이 출연하며 6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되었다.
  • 정형수 시나리오 작품 - 상도 (드라마)
    최인호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 상도는 2001년부터 2002년까지 MBC에서 방영된 50부작 드라마로, 조선 후기 거상 임상옥의 파란만장한 삶을 그린 이병훈 연출, 최완규, 정형수 극본의 작품이며 이재룡, 김현주, 정보석, 이순재 등이 출연했다.
주몽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어 제목삼한지: 주몽 편
로마자 표기Samhanji: Jumong Pyeon
영어 제목Prince of Legend, The Book of the Three Hans
시대극 의상을 입은 남자와 여자가 키스하고 있다.
홍보 포스터
장르서사
역사
로맨스
액션
극본최완규
정형수
연출이주환
출연송일국
한혜진
김승수
전광렬
오연수
음악오준성
제작초록뱀미디어
Olive9
방송 채널MBC TV
방송 기간2006년 5월 15일 ~ 2007년 3월 6일
회차 수81 (60부작에서 연장)
러닝 타임65분
제작진
책임 프로듀서김태훈
프로듀서김태훈
관련 정보
관련 작품삼한지
수상한국방송작가협회 작가상 (최완규)

2. 제작 배경

2002년부터 중국 사회과학원이 동북공정이라는 중국 동북부의 소수 민족 역사 연구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2004년, 중국 정부는 "고구려는 우리의 지방 정권이며, 중국의 역사이다"라고 발표했다.[14] 고구려는 고려를 거쳐 영어의 "코리아"의 어원이 되었기 때문에, 고구려가 중국이라면 "코리아"도 중국이라는 주장이 되어, 한국은 맹렬히 반발했다. 고구려가 한국의 역사임을 주장하는 다양한 캠페인을 전개했고, 그 일환으로 《주몽》이 제작되었다.[14]

드라마 《주몽》은 당초 60부작으로 기획되었으나,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21회 연장된 81부작으로 변경되었다.

드라마에서 의상이나 시대 상황에 관한 고증이 미흡하다는 비판이 있었다. 이에 대해 주몽 드라마 관계자는 완벽한 역사 재현에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32] 특히, 철기군과 소탄 등 시대에 맞지 않는 설정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33]

서길수|서길수한국어 (서경대학교)는, 『주몽』의 많은 부분에서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는 것을 지적하며 다음과 같이 비판했다.


  • "북부여의 왕 해모수와 동부여의 왕 금와왕은 한 번도 만난 적이 없고, 절대로 드라마처럼 친구가 될 수 없다."
  • "주몽과 소서노가 만난 것은, 주몽이 부여에서 탈출한 후이기 때문에, 대소와의 삼각 관계는 성립하지 않는다."
  • "유화 부인은 고구려 건국 이전이 아니라, 건국 후에 사망했다."[26]


미야와키 준코는, 역사적 사실과의 차이점으로 드라마에서 고조선의 판도가 난징 주변까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지적했다.[21]

중국 공산당의 기관지 『인민일보』 산하의 『환구시보』는, 한국의 고구려 관련 드라마는 역사의 진실을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주몽』은 잘못된 점이 많다고 비판했고, 중국 통신사 (2008년11월 25일)도 고구려·발해 관련 드라마는 모순이 많고, 객관적인 사실에 근거하지 않는다고 보도했다.[24]

3. 줄거리

기원전 108년, 한나라고조선을 멸망시키고 한사군을 설치하면서 만주와 한반도 북부 지역은 한나라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해모수는 부여의 왕자 금와와 함께 한나라에 맞서 싸웠으나, 결국 한나라 군에 의해 죽음을 맞이한다. 해모수를 사랑했던 하백족의 유화부인은 금와의 후궁이 되어 아들 주몽을 낳는다.

20년 후, 주몽은 나약하고 겁 많은 왕자로 자라 대소영포 왕자에게 무시당한다. 왕위 계승을 둘러싼 갈등 속에서 주몽은 암살 위협을 피해 궁궐을 떠난다. 이후 우연히 해모수를 만나 무예를 배우지만, 서로가 부자 관계임을 알지 못한 채 헤어진다. 한편, 주몽은 졸본소서노와 깊은 인연을 맺는다. 해모수가 암살당한 후, 주몽은 출생의 비밀을 깨닫고 한나라에 대한 복수를 다짐한다. 임둔군진번군을 공격하던 중 부상을 입고 실종되지만, 한백족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지고 예소야의 간호를 받는다.

주몽은 부여로 돌아와 대소에게 거짓 충성을 맹세하며 힘을 기른다. 이후 고조선 유민들을 이끌고 봉예산에 다물군을 재건한다. 3년 후, 다물군은 여러 부족을 통합하며 세력을 확장하고, 주몽은 소서노와 연합하여 졸본의 다섯 부족과 다물군을 통합해 고구려를 건국한다. 예소야와 아들 유리가 부여에서 실종되자, 주몽은 소서노와 혼인하여 고구려의 왕과 왕비가 된다.

15년 후, 주몽은 예소야와 유리를 되찾는다. 금와가 암살당한 후, 대소는 주몽과 동맹을 맺고 요동군을 정복하여 한나라를 몰아낸다. 이후 소서노백제 건국을 위해 떠나고, 주몽은 무휼에게 왕위를 물려준 뒤 40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한다.

3. 1. 주요 줄거리

기원전 108년, 한나라고조선을 멸망시키고 한사군을 설치하면서 만주와 한반도 북부 지역은 한나라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해모수는 부여의 왕자 금와와 함께 한나라에 맞서 싸웠으나, 결국 한나라 군에 의해 죽음을 맞이한다. 해모수를 사랑했던 하백족의 유화부인은 금와의 후궁이 되어 아들 주몽을 낳는다.

20년 후, 주몽은 나약하고 겁 많은 왕자로 자라 대소영포 왕자에게 무시당한다. 왕위 계승을 둘러싼 갈등 속에서 주몽은 암살 위협을 피해 궁궐을 떠난다. 이후 우연히 해모수를 만나 무예를 배우지만, 서로가 부자 관계임을 알지 못한 채 헤어진다. 한편, 주몽은 졸본소서노와 깊은 인연을 맺는다. 해모수가 암살당한 후, 주몽은 출생의 비밀을 깨닫고 한나라에 대한 복수를 다짐한다. 임둔군진번군을 공격하던 중 부상을 입고 실종되지만, 한백족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지고 예소야의 간호를 받는다.

주몽은 부여로 돌아와 대소에게 거짓 충성을 맹세하며 힘을 기른다. 이후 고조선 유민들을 이끌고 봉예산에 다물군을 재건한다. 3년 후, 다물군은 여러 부족을 통합하며 세력을 확장하고, 주몽은 소서노와 연합하여 졸본의 다섯 부족과 다물군을 통합해 고구려를 건국한다. 예소야와 아들 유리가 부여에서 실종되자, 주몽은 소서노와 혼인하여 고구려의 왕과 왕비가 된다.

15년 후, 주몽은 예소야와 유리를 되찾는다. 금와가 암살당한 후, 대소는 주몽과 동맹을 맺고 요동군을 정복하여 한나라를 몰아낸다. 이후 소서노백제 건국을 위해 떠나고, 주몽은 무휼에게 왕위를 물려준 뒤 40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한다.

3. 2. 세부 줄거리 (각 에피소드별 요약)

용인 대장금 파크에 있는 ''주몽'' 세트장

  • 1화: 기원전 108년, 고조선한나라에 멸망하고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만주와 한반도 북부의 부족들은 한나라의 지배를 받게 된다. 해모수는 금와와 함께 고조선 유민들을 구출하고, 유화부인과 사랑에 빠지지만, 한나라 군의 함정에 빠져 사망한 것으로 알려진다. 유화부인은 금와의 후궁이 되어 아들 주몽을 낳는다.
  • 20화: 20년 후, 주몽은 나약한 왕자로 성장하여 형들인 대소와 영포에게 멸시받는다. 형들의 암살 시도 끝에 주몽은 궁을 떠나고, 늙고 눈먼 해모수를 만나 무술을 배우지만, 부자 관계는 알지 못한다. 소서노와 가까운 관계를 맺는다.
  • 40화: 해모수가 암살된 후, 주몽은 진실을 알고 복수를 맹세한다. 금와에게 돌아가 군대를 지휘하지만, 전투 중 부상으로 실종된다. 대소는 권력을 장악하고 소서노에게 결혼을 강요한다. 소서노는 우태와 결혼한다. 주몽은 예소야의 간호로 회복한 후, 대소에게 굴복하는 척하며 고조선 유민들을 이끌고 다물군을 재건한다.
  • 60화: 3년 후, 다물군은 성장하여 여러 부족을 통합한다. 우태가 사망한 후, 주몽과 소서노는 동맹을 맺고 졸본의 5개 부족과 다물군을 통합하여 현도군을 정복하고 고구려를 건국한다. 예소야와 유리가 실종되자 주몽은 소서노와 결혼한다.
  • 81화 (마지막화): 고구려를 15년간 통치한 주몽은 예소야, 유리와 재회한다. 금와가 암살된 후, 대소와 주몽은 동맹을 맺고 요동군을 정복한다. 소서노는 비류, 온조와 함께 남쪽으로 가서 백제를 건국한다. 주몽은 무휼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40세에 사망한다.

4. 등장인물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배역역할설명
송일국주몽해모수와 유화의 아들
한혜진소서노계루 군장 연타발의 딸
김승수대소왕금와왕의 첫째 아들
전광렬금와왕부여의 왕
오연수유화하백 족장의 딸
안정훈마리주몽의 조력자
임대호협보주몽의 조력자
여호민오이주몽의 조력자
이계인모팔모야철대장, 주몽의 조력자
서범식무골
김민찬묵거
차광수재사
견미리원후금와왕의 정실
박탐희양설란현토성 태수 양정의 딸
원기준영포부여의 둘째 왕자
이재용부득불부여국 대사자
박남현나로대소의 호위무사
진희경여미을부여의 신녀
임소영부영신궁 시녀
조명진무덕유화의 시녀
유희정소시예소야의 시녀
오지영종고원후의 시녀
이혜근영심이유화의 몸종
노희지소령신녀
전하은벼리하신녀
권은아마우령신녀
송옥숙비금선시조산 신녀
강문희현무신녀
단소영유성신녀
이승아천랑신녀
김난휘지랑신녀
한희징인랑신녀
이재석비류
김석온조
송지효예소야
안용준유리(아역: 정윤석)
권용운무송
박경환부분노
윤용현부위염해적 출신 장군
김병기연타발계루 군장
배수빈사용
정호빈우태
정한헌계필
김진호양탁
백현숙연채령
강은탁연찬수연채령의 아들
박종관송양비류 군장
미상우거왕
박근형해부루
송귀현벌개궁정사자
최운교흑치대장군
황범식진용외사자
이성해벌찬재부조의
김원석송주금와의 호위무사
김호영마가금와왕의 처삼촌
손호균적치대장군 (극 초반)
한춘일옥저 왕
김하림낙랑군 태수
박승규장안성 태수 (1회 특별출연)
문회원초기 현토성 태수
윤동환양정한나라 현토성 태수
하용진동선현토성 호위
순동운왕소문양정의 부하
장희웅하후천현토성 호위, 양설란 시종
홍순창진중문한나라 장수
윤갑수노근한나라 장수
오욱철황자경고구려 가라지공의 조상
김춘기진장군한나라 장수
나재균고려성 성주
배도환태마진
이창환말갈족장
박영태하백
이원재도치부여 밀매상 (6~42회 특별출연)
윤서현한당도치의 부하 (7~42회 특별출연)
김용희설탁한백족 족장
한인수예천 족장
신준영배망(4, 16~19, 44회 특별출연)
최은석부장장수
김용운철기 대장
이상이가희
박지훈소금장수 아들
최윤준백성
허준호해모수
민지영부여의 기생녀


4. 1. 주요 인물

인물배역설명
주몽송일국본작의 주인공. 해모수와 유화부인의 아들로, 훗날 고구려를 건국하고 초대 대왕이 된다. 금와의 셋째 아들로 자랐으나, 출생의 비밀을 알고 아버지의 뜻을 이어 고조선 부흥을 결의한다. 다물군을 결성하여 고구려 건국을 향해 나아가며, 활의 명수로 묘사된다.
금와전광렬부여의 왕이자 주몽의 의붓아버지.[15] 해모수를 잃은 죄책감과 유화에 대한 마음으로 주몽을 아들로 키웠다. 주몽과 갈등하지만, 부자 관계를 끊고 대결한다. 치세 말기에는 영명함을 잃고 쇠퇴하며, 결국 고구려의 번영과 부여 몰락의 운명을 깨닫는다.
유화오연수하백 족장의 딸로, 해모수와 사랑하여 주몽을 임신했다.[16] 주몽을 키우기 위해 금와의 측실이 된다. 해모수와 주몽에 대한 사랑으로 금와와 갈등하다 결국 금와에게 죽임을 당한다. 해모수의 대업을 주몽이 이루도록 헌신하는 강인한 어머니로 묘사된다.
소서노한혜진계루 군장 연타발의 딸이자 온조왕의 어머니. 주몽에게 끌려 그의 조력자가 되고, 우태 사후 다물군과 협력하여 고구려 건국에 큰 공을 세운다. 주몽과 정략결혼하여 고구려 왕비가 되지만, 훗날 소야에게 왕비 자리를 양보하고 남쪽으로 떠난다.
대소김승수금와의 첫째 아들이자 훗날 동부여의 마지막 왕. 주몽과 유화를 적대하며 권력 쟁취에 집념을 불태운다. 뛰어난 능력을 가졌지만, 분노에 휩싸여 폭주하는 인간적인 결함을 보인다. 금와의 죽음 이후 그의 유지를 잇기로 결심한다.
해모수허준호주몽의 친아버지이자 고조선 유민들의 영웅. 다물군을 이끌고 한나라에 저항하는 상징적인 존재였으나, 부여의 배신으로 두 눈을 잃고 비밀 감옥에 유폐된다. 주몽의 무예 스승이 되지만, 주몽이 자신의 아들임을 밝히지 못한다. 대소와 영포에게 죽임을 당한다.
왕비견미리금와의 정실이자 대소와 영포의 어머니. 유화와 주몽을 미워하며 계략을 꾸미지만, 결국 심신이 쇠약해진다. 금와에게 사의를 전해 받고 남편의 죽음을 지켜본다.
영포원기준부여의 둘째 왕자로, 역사에는 존재하지 않는 가상 인물. 형에게 열등감을 느끼고 태자가 되려 하지만, 주체성이 없고 아첨꾼 기질을 보인다. 금와의 죽음을 겪고 대소를 지지하게 된다.
양설란박탐희현토성 태수 양정의 딸이자 대소의 왕비. 부여를 한나라의 속국으로 만들려는 음모를 꾸민다. 대소를 지지하는 언행을 보이기도 하지만, 대소와의 사이에 아이는 없었다.
부득불이재용부여국 제일의 책사로, 부여의 번영을 위해 한나라와의 우호 정책을 지지한다. "부여를 위해"라는 명분 아래 독단적인 행동을 일삼아 다물군 등 새로운 적을 만든다.
여미을진희경부여의 무녀로, 예리한 통찰력으로 정치적 발언권을 가진다. 해모수를 비밀 동굴에 가둔 장본인이지만, 후에 주몽을 돕는다. 주몽에게 걸린 감언이설에 반대하다 부득불에게 죽임을 당한다.
나로박남현대소 직속의 시종 무관이자 충신. 뛰어난 무예 실력을 지녔으며, 냉혹하게 명령을 수행한다.
흑치최운교대장군으로, 금와에게 가까운 무관. 대소의 섭정 시대에 비판을 할 수 있는 유일한 가신이었다. 부여와 다물군의 대립 후에는 부여의 가신임을 선택한다.
송주김원석금와 직속 시종 무관으로, 주몽과 유화에게 호의적이었다. 금와 퇴위 후에도 곁을 섬기는 충신.
하후총장희웅현토성의 호위이자 양설란의 시종.
무덕조명진유화의 시녀로, 무성의 연인.
해부루박근형금와의 아버지이자 부여의 전대 왕. 소심하고 권력에 집착하며, 해모수를 배신한다.
볼개송귀현부여의 궁정 사자로, 왕비의 오빠. 왕실 외척으로서 사리사욕을 채운다.
청고오지영왕비의 시녀.
지녕황범식부여의 재부 조의이자 카히의 아버지.
해벌찬이성부여의 외사자로, 지녕과 자주 함께 행동한다.


4. 2. 부여

견미리 : 원후 역. 금와의 정실(첫 번째 왕비)이자 대소영포의 어머니. 마가족 족장의 조카로, 질투심이 강하다. 측실임에도 자신보다 왕의 총애를 받는 유화와 주몽을 미워한다. 아들 일이라면 맹목적이 되어 계략을 꾸며 부여에 해악을 끼치고, 결국 심신이 쇠약해져 병상에 눕게 되어 대소의 즉위식에 참석하지 못했다. 금와에게 사랑받기를 원했지만 이루지 못하고, 점차 금와마저 미워하게 되었지만, 마음이 통하지 않는 안타까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퇴위 후 떠나기 전 금와로부터 겨우 사의를 전해 받은 후, 돌아온 남편의 죽음을 지켜보았다.

원기준 : 영포 역. 부여의 둘째 왕자로, 역사에는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인물이다. 형에 비해 열등감을 느끼지만, 자기 과시욕이 왕성하여 태자가 되기를 노린다. 주체성은 없고 주변 사람들의 말에 쉽게 흔들리는 아첨꾼 기질이다. 부여에서 추방된 후, 인질 시절에 쌓은 인맥으로 한나라에서 상인이 되어, 부여를 재력으로 조종하려 했지만 실패하고, 전 재산을 부여에 몰수당한다. 금와와 재회하여 삶의 방식을 깨우친 후, 금와가 습격당하는 자리에 함께 있었다. 아버지의 죽음을 겪고, 원래 원했던 대소를 지지하는 사람 중 한 명이 되었다. 술과 여자에 빠져 있지만, 전쟁 등 전투 시에는 과감하게 적을 베는 등, 용감한 면모도 보인다. 주몽과 대소의 능력 앞에 가려지기 쉽지만, 타인에게 아첨하는 소통 능력은 높다.

박탐희 : 양설란 역. 현토성의 태수 양정의 딸이자 대소의 첫 번째 왕비, 후에는 부여 왕비. 자신이 왕비가 됨으로써, 부여를 한나라의 속국으로 만들려는 음모를 꾸민다. 소야와 사이가 좋지 않아 틈만 나면 괴롭힌다. 임신을 못하는 것을 앙심을 품고 유리를 독살하려 하거나, 권력욕 때문에 금와에게도 천독을 쓰려고 획책한다. 대소가 설란에게 사적인 감정을 품은 것이, 부여 쇠퇴의 원인이 되었다. 한편으로는 변방으로 내쫓긴 대소를 버리지 않고 꾸짖거나, 측실의 존재를 받아들이는 등, 대소를 지지하는 언행도 많이 보인다. 대소와의 사이에 아이는 없었다.

이재용 : (대사자) 부득불 역. 부여국의 대신자(대사자)이자 제일의 책사로, 민정과 군사에 정통하며, 대소마저 존칭을 쓰게 할 정도의 권력을 쌓았다. 선대 해부루 때부터 섬겨왔으며,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할 것은 부여의 번영이며, 한나라와의 우호 정책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서는 수단도 가리지 않으며, 격노하는 금와나 대소에게 간언하는 일도 적지 않다. 부여의 재정을 생각하는 나머지, 자신과 가족은 굶주릴 정도의 곤궁한 생활을 견디는 등, 신하로서 충성을 다하려는 의식은 상당히 높다. 그러나 그 "부여를 위해"라는 대의명분 아래 행해진 독단 전행(해모수의 유폐도 그중 하나)이, 결과적으로 다물군을 비롯한 부여국의 새로운 적을 여러 명 만들어내는 아이러니를 초래했다.

진희경 : 여미을 신녀 역. 부여의 무녀로, 신탁을 들을 수 있으며, 예리한 통찰력은 주변에서 높이 평가받아, 정치적으로도 큰 발언력을 가진다. 금와 몰래 해모수를 비밀 동굴에 가둔 장본인으로, 발각되어 금와의 신뢰를 잃고 정치에서 멀어진다. 후에 부여에서 추방되지만, 해모수와 주몽에 대한 속죄와 세 발 달린 새의 화신인 주몽을 조선 부흥을 위한 천지신명의 뜻으로 인정하고, 무녀로서 주몽을 돕는다. 주몽에게 힘을 빌려준 것이 발각되어 붙잡히지만, 주몽에게 걸린 감언이설에 대한 단호한 반대를 주장했기에, 부득불에게 베여 주몽의 품 안에서 숨을 거둔다(제55화). 젊은 시절, 금와와 서로 마음을 주고받았지만, 각자의 입장에서 마음을 끊을 수밖에 없었던 것을 고백한다. 무녀로서 금와에게 조언하는 예리함이 둔해지는 일은 없었고, 오히려 그의 가장 아픈 부분을 종종 찔렀다. 그러나 행동과는 반대로, 금와에 대한 은밀한 마음에 평생 괴로워하게 된다.

박남현 : (대소의 호위무사) 나로 역. 대소 직속의 시종 무관으로, 대소가 권력을 잡는 시기, 즉위 후에는 호위총감. 뛰어난 무예 실력을 지녔으며, 대소와는 절대적인 신뢰로 맺어진 충신이다. 한나라와의 첫 번째 전쟁에서는 적과의 밀통에 저항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점차 어떠한 명령이라도 냉혹하게 수행하게 된다. 부분노의 직속 상관이었다.

4. 3. 고구려 (다물군)

안정훈마리 역을, 여호민오이 역을, 임대호협보 역을, 이계인은 모팔모 역을 맡아 주몽을 도왔다. 김병기연타발 역을, 배수빈은 사용 역을, 정호빈우태 역을 맡는등 이들은 졸본 세력으로 활약하였다.

4. 4. 한나라

역할배우설명
양정윤동환개마국 족장의 왕자 출신, 한나라 현토성 태수. 대소와 협력 관계를 구축.
황자경오욱철고구려 가라지공의 조상
동선하용진현토성 호위
왕소문순동운양정의 부하
하후천장희웅현토성 호위, 양설란 시종
진중문홍순창한나라 장수
노근윤갑수한나라 장수
진장군김춘기한나라 장수
장안성 태수박승규1회 특별출연
초기 현토성 태수문회원


5. 평가 및 영향

주몽》은 평균 시청률 41.0%를 기록했으며, 최고 시청률은 2007년 3월 6일에 방영된 마지막 회(81회)에서 51.9%를 기록했다. 이는 2000년 이후 역대 35주 전국 시청률 1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31] 《주몽》은 고구려사를 다룬 《연개소문》, 《대조영》과 같은 시기에 방영되어 경쟁을 벌이기도 했다.

드라마는 당초 60부작으로 기획되었으나,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21회 연장된 81부작으로 변경되었다.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었지만, 긍정적인 평가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의상이나 시대 상황에 대한 고증 미흡, 철기군과 소탄 등 시대에 맞지 않는 설정, 실제와 다른 부여 왕자 수 등은 비판을 받았다.[32][33] 전투 장면 묘사가 아쉽다는 평가도 있었다.[34] 드라마 관계자는 완벽한 역사 재현에 어려움이 있다고 해명했다.

2006년 12월에는 제19회 한국방송작가상 드라마 부문 후보에 올랐으나, "단수집필자에 의해 쓰여진 순수 창작물 위주"라는 규정에 미달되어 탈락했다.[35][36]

일본 방영 당시에는 '''《주몽 -추몽- Prince of the Legend》'''라는 제목이 사용되었다.

2002년부터 중국 사회과학원이 동북공정이라는 중국 동북부의 소수 민족 역사 연구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2004년, 중국 정부는 "고구려는 우리의 지방 정권이며, 중국의 역사이다"라고 발표했다.[14] 고구려는 한국인의 국가이며, 고려가 영어의 "코리아"의 어원이기 때문에, 고구려가 중국이라면 "코리아"도 중국이라는 주장이 되어, 한국은 맹렬히 반발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몽》은 한국인의 민족주의를 크게 자극하여, 최고 시청률 53%를 기록하는 대히트를 기록했다.[14]

5. 1. 긍정적 평가

2006년에 방영된 모든 한국 드라마 중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3]

방영 날짜회차전국 시청률서울 시청률
2006-05-15116.3% (3위)17.5% (3위)
2006-05-16218.4% (3위)19.2% (3위)
2006-05-22321.8% (1위)23.6% (1위)
2006-05-23425.3% (2위)26.6% (2위)
2006-05-29528.0% (1위)29.9% (1위)
2006-05-30628.7% (1위)29.6% (1위)
2006-06-05727.9% (1위)29.2% (1위)
2006-06-06832.3% (1위)33.7% (1위)
2006-06-20929.4% (1위)30.7% (1위)
2006-06-261033.2% (1위)35.3% (1위)
2006-06-271132.9% (1위)34.8% (1위)
2006-07-031236.4% (1위)38.1% (1위)
2006-07-041337.6% (1위)38.8% (1위)
2006-07-101435.8% (1위)37.5% (1위)
2006-07-111537.2% (1위)38.8% (1위)
2006-07-171640.1% (1위)42.8% (1위)
2006-07-181738.7% (1위)39.9% (1위)
2006-07-241839.6% (1위)41.1% (1위)
2006-07-251939.9% (1위)40.5% (1위)
2006-07-312035.1% (1위)36.1% (1위)
2006-08-012136.8% (1위)38.2% (1위)
2006-08-072237.3% (1위)37.9% (1위)
2006-08-082337.4% (1위)38.9% (1위)
2006-08-142435.5% (1위)35.8% (1위)
2006-08-152539.3% (1위)40.7% (1위)
2006-08-212638.1% (1위)39.6% (1위)
2006-08-222739.5% (1위)40.0% (1위)
2006-08-282840.3% (1위)41.7% (1위)
2006-08-292940.3% (1위)40.9% (1위)
2006-09-043039.7% (1위)40.6% (1위)
2006-09-053140.3% (1위)41.4% (1위)
2006-09-113239.3% (1위)40.6% (1위)
2006-09-123338.5% (1위)39.2% (1위)
2006-09-183439.5% (1위)40.3% (1위)
2006-09-193543.0% (1위)43.9% (1위)
2006-09-253642.8% (1위)43.9% (1위)
2006-09-263743.6% (1위)44.4% (1위)
2006-10-023842.6% (1위)43.2% (1위)
2006-10-033944.9% (1위)44.8% (1위)
2006-10-094044.2% (1위)45.0% (1위)
2006-10-104143.6% (1위)43.8% (1위)
2006-10-164243.1% (1위)43.6% (1위)
2006-10-174342.4% (1위)42.2% (1위)
2006-10-234444.5% (1위)45.4% (1위)
2006-10-244545.0% (1위)45.2% (1위)
2006-10-304644.6% (1위)45.1% (1위)
2006-10-314743.8% (1위)43.7% (1위)
2006-11-064846.6% (1위)47.9% (1위)
2006-11-074947.2% (1위)48.3% (1위)
2006-11-135043.6% (1위)43.5% (1위)
2006-11-145148.1% (1위)49.2% (1위)
2006-11-205244.8% (1위)45.4% (1위)
2006-11-215344.0% (1위)44.5% (1위)
2006-11-275445.1% (1위)45.2% (1위)
2006-11-285544.4% (1위)44.9% (1위)
2006-12-045644.0% (1위)44.4% (1위)
2006-12-055742.9% (1위)43.2% (1위)
2006-12-115846.4% (1위)46.1% (1위)
2006-12-125941.5% (1위)42.6% (1위)
2006-12-186044.4% (1위)45.3% (1위)
2006-12-196146.6% (1위)47.1% (1위)
2007-01-016244.8% (1위)45.8% (1위)
2007-01-026345.2% (1위)45.3% (1위)
2007-01-086445.5% (1위)45.4% (1위)
2007-01-096546.8% (1위)47.1% (1위)
2007-01-156646.8% (1위)47.5% (1위)
2007-01-166747.1% (1위)47.9% (1위)
2007-01-226849.8% (1위)50.5% (1위)
2007-01-236942.0% (1위)43.6% (1위)
2007-01-297047.9% (1위)48.3% (1위)
2007-01-307150.3% (1위)51.0% (1위)
2007-02-057247.1% (1위)48.5% (1위)
2007-02-067346.0% (1위)47.2% (1위)
2007-02-127447.6% (1위)48.1% (1위)
2007-02-137547.1% (1위)47.8% (1위)
2007-02-197641.9% (1위)42.1% (1위)
2007-02-207749.7% (1위)49.9% (1위)
2007-02-267847.2% (1위)47.1% (1위)
2007-02-277950.6% (1위)50.9% (1위)
2007-03-058049.8% (1위)50.0% (1위)
2007-03-068151.9% (1위)52.7% (1위)
평균40.98%41.83%


5. 2. 비판적 평가

드라마 《주몽》은 의상이나 시대 상황에 대한 고증이 미흡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에 대해 드라마 관계자는 완벽한 역사 재현에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32] 철기군과 소탄 등 시대에 맞지 않는 설정도 비판의 대상이었다.[33] 또한, 드라마에서는 부여의 왕자가 대소, 영포, 주몽 세 명만 등장하지만, 실제로는 일곱 왕자와 주몽이 있었다는 점도 지적되었다. 전투 장면 묘사의 수준이 아쉽다는 평가도 있었다.[34]

미야와키 준코는 드라마에서 고조선의 판도가 난징 주변까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고 지적했다.[21] 또한, 《주몽》에 대해 "한반도의 역사는... 일본인에게는 너무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조금의 거짓이 들어가 있어도 평범한 일본인의 눈길을 끄는 것은 나쁘지 않다고 생각했습니다",[22] "『주몽』을 계기로 『우리도 강했다』라고 말하고 싶었을 것입니다만, 기본적으로 조선의 군대는 지기만 하니까, 필연적으로 거짓이 되어 갑니다...",[23] "『주몽』은 마치 역사적 사실인 것처럼 꾸며져 있어서, 일본에서도 많은 착각한 사람을 낳았습니다... 한류 역사 드라마는 역사 인식 논쟁과 표리일체입니다. 자신들의 역사의 정통성, 우월성을 주장하기 위해, 확신범적으로 과거를 미화한 드라마를 만드는 것입니다."[14]라고 평가했다.

중국 공산당의 기관지 『인민일보』 산하의 『환구시보』는 한국의 고구려 관련 드라마가 역사의 진실을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주몽』은 잘못된 점이 많다고 비판했다. 중국 통신사 (2008년11월 25일)도 고구려·발해 관련 드라마는 모순이 많고, 객관적인 사실에 근거하지 않는다고 보도했다.[24]

쿠라야마 미츠루는 『주몽』을 전기 작품(역사 드라마)으로 인정한다면, 모토미야 히로시의 "오다 노부나가칭기즈 칸의 혼을 이어받아 세계 정복" 만화도 전기 작품(역사 드라마)이며, "애초에, 주몽은 정말로 조선인입니까?"라고 하며 고구려가 Korea 민족인지 의문을 제기하고 비판했다.[25]

서길수한국어 (서경대학교)는 『주몽』이 많은 부분에서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는 것을 지적하며, "북부여의 왕 해모수와 동부여의 왕 금와왕은 한 번도 만난 적이 없고, 절대로 드라마처럼 친구가 될 수 없다", "주몽과 소서노가 만난 것은, 주몽이 부여에서 탈출한 후이기 때문에, 대소와의 삼각 관계는 성립하지 않는다", "유화 부인은 고구려 건국 이전이 아니라, 건국 후에 사망했다"는 점 등을 지적했다.[26]

6. 수상 경력

수상 경력
연도시상식부문수상자(작)결과
2006년MBC 연기대상대상송일국수상 [4]
남자 최우수상전광렬수상 [4]
여자 최우수상한혜진수상 [4]
남자 우수상김승수수상 [4]
남자 신인상원기준수상 [4]
대하사극부문 특별상이계인수상 [4]
오연수수상 [4]
허준호수상 [4]
김진근수상 [4]
2006년그리메상대상주몽수상
2007년백상예술대상TV부문 대상주몽수상 [5]
TV부문 극본상최완규, 정형수수상 [5]


7. 기타

《주몽》은 대한민국 외에도 여러 국가에 방영되었다. 이란에서는 90%가 넘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주연 배우 송일국을 슈퍼스타 반열에 오르게 했다.[11] 홍콩에서는 방송권이 판매되었으나, 번역 과정에서 고구려를 지칭하는 단어를 '국가'에서 '부족'으로 변경하고, 한나라를 '천조(天朝)'로 번역하는 등 중국 중심적인 역사 해석을 반영하여 논란이 되었다. 이는 중국한국 (북한남한) 간의 고구려 논쟁과 관련된 민감한 문제로 여겨진다.[12]

일본에서는 2006년 9월부터 KNTV에서 방영되었고,[18] 포니캐년이 방송권을 구매하여 BS후지에서 2007년 4월부터 일본어 더빙판이 방송되었다.[19] 지상파에서는 후지 TV를 비롯하여, TV 홋카이도, TV 도쿄, BS11 등 여러 채널에서 다양한 시간대에 방송되었다.

그 외에도 《주몽》은 터키, 루마니아, 카자흐스탄, 조지아, 아르메니아, 몽골, 타이완, 베트남,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필리핀, 피지, 이라크 쿠르디스탄, 아프가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캄보디아, 미국, 미얀마, 스리랑카 등 다양한 국가에 판매되어 방영되었다.[7][8][9][10]

《주몽》은 드라마 내용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 의상, 시대 상황, 철기군, 소탄 등 설정에 대한 고증 미흡으로 비판을 받았지만, 제작진은 완벽한 역사 재현의 어려움을 언급했다.[32][33]
  • 실제 부여에는 일곱 왕자가 있었지만, 드라마에서는 대소, 영포, 주몽 세 명만 등장한다.
  • 《주몽》에서 사용된 다물군 병사의 복장은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재활용되었다.
  • 전투 장면 묘사에 대한 아쉬움도 있었다.[34]
  • 2006년 제19회 한국방송작가상 드라마 부문 후보에 올랐으나, "단수집필자에 의해 쓰여진 순수 창작물"이라는 규정에 미달되어 탈락했다.[35][36]
  • 당초 60부작으로 기획되었으나, 81부작으로 연장되었다.


《주몽》은 다음과 같은 사유로 결방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Korea's mark on an expectation-defying Iran http://nwww.koreaher[...] 2011-08-10
[2] 웹사이트 Beyond Seoul: 19 reasons to explore Korea http://www.cnngo.com[...] 2012-03-16
[3] 웹사이트 TNS Media Korea http://www.tnms.tv/ 2010-05-30
[4] 뉴스 Broadcasters Award Top-Rated Dramas http://www.hancinema[...] Hancinema 2007-01-01
[5] 웹사이트 43rd Baeksang Arts Awards http://twitchfilm.co[...] 2007-04-27
[6] 웹사이트 송일국, 日기무라 타쿠야와 SDA 남자배우상 경합 http://entertain.nav[...] 2017-09-10
[7] 웹사이트 Popular historical TV drama has raked in $50 million http://english.hani.[...] 2007-03-03
[8] 웹사이트 "Jumong" to Air in Japan http://english.kbs.c[...] 2007-03-21
[9] 뉴스 Special Meeting At Japanese Fuji TV About Drama "Jumong" http://www.hancinema[...] Hancinema 2007-04-25
[10] 웹사이트 JUMONG: Korea's No. 1 series For 2006 now on GMA-7 http://www.philstar.[...] 2007-01-06
[11] 웹사이트 Song Il Gook is a superstar in Iran because of Jumong http://www.allkpop.c[...] Allkpop
[12] 웹사이트 http://worldjournal.[...] 2007-02-06
[13] 문서
[14] 서적 朝鮮半島をめぐる歴史歪曲の舞台裏 韓流時代劇と朝鮮史の真実 扶桑社 2020-04-30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서적 韓流時代劇と朝鮮史の真実 扶桑社 2013-08-08
[22] 서적 朝鮮半島をめぐる歴史歪曲の舞台裏 韓流時代劇と朝鮮史の真実 扶桑社 2020-04-30
[23] 서적 朝鮮半島をめぐる歴史歪曲の舞台裏 韓流時代劇と朝鮮史の真実 扶桑社 2020-04-30
[24] 간행물 中韓両国の歴史・文化摩擦に対する文明史的考察 http://id.nii.ac.jp/[...] 新潟産業大学東アジア経済文化研究所
[25] 서적 嘘だらけの日韓近現代史 扶桑社 2013-11-30
[26] 뉴스 韓国時代劇の史実無視を学界が指摘 演出? それとも歪曲? http://japanese.chos[...] 2007-03-18
[27] 뉴스 '주몽', 80분 확대… 독주체제 가속 http://star.mt.co.kr[...] 스타뉴스 2006-09-04
[28] 뉴스 인기드라마 ‘주몽’ 재방영된다 http://entertain.nav[...] 헤럴드경제 2017-12-23
[29] 뉴스 한국방송작가협회, 작가상 수상작 발표 https://www.etnews.c[...] 전자신문 2020-08-30
[30] 뉴스 이경희 작가, '고맙습니다'로 한국방송작가상 수상 http://entertain.nav[...] 마이데일리 2020-08-30
[31] 뉴스 '주몽', 35주간 1위 대기록…2000년 이후 최고 http://www.mydaily.c[...] 마이데일리 2007-03-12
[32] 뉴스 MBC '주몽' 역사고증 논란 후끈 https://news.naver.c[...] 스포츠서울
[33] 뉴스 철기군, 화약 혼란스러워... 드라마 <주몽> 역사의 재구성 https://news.naver.c[...] y-star
[34] 뉴스 국민드라마 '주몽'의 10여가지 역사적 오류는? http://www.mydaily.c[...] 마이데일리
[35] 뉴스 수상작 없음의 변(辨) http://bobfull.waple[...] 한국방송작가협회 2016-12-11
[36] 뉴스 2006 국내 제작 드라마 96편 ‘작가상’ 줄 드라마는 없다 https://web.archive.[...] 중앙일보(뉴스엔) 2016-12-11
[37] 뉴스 "[주간 시청률 브리핑] MBC`주몽`마침내 1위 입성" https://web.archive.[...] 헤럴드경제 2018-05-14
[38] 뉴스 차두리, 여유에 농담까지 '절정의 기량' https://web.archive.[...] 조이뉴스24 2018-05-14
[39] 뉴스 주몽, 또 '특집타령' 시청자들 짜증...3번째 방송 진기록 https://web.archive.[...] 스포츠조선 2018-05-1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