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문화방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문화방송(MBC)은 1961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방송사로, 지상파 TV, 라디오, 케이블/위성 방송, DMB 등 다양한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1960년대 라디오 방송을 시작으로, 1969년 텔레비전 방송을 개시하며 전국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이후 컬러 방송, 디지털 방송 시대를 거치며 기술적 발전을 이루었고, 2014년 상암 신사옥으로 이전했다. MBC는 방송문화진흥회가 최대 주주이며, 뉴스, 드라마, 예능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방송한다. 또한, 여러 해외 지사 및 제휴 방송국을 통해 국제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베이징 올림픽 개회식, 도쿄 올림픽 개회식 등에서 부적절한 방송으로 논란이 일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지상파 방송국 - 한국방송공사
    한국방송공사(KBS)는 1927년 경성방송국으로 시작하여 대한민국 공영방송으로 자리 잡았으며, 텔레비전과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고 수신료와 광고 수익으로 재원을 마련하며 정치적 편향성 등 문제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대한민국의 지상파 방송국 - 한국교육방송공사
    한국교육방송공사는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방송하는 대한민국의 공영 교육 방송사로, 지상파 TV, 라디오, 케이블/위성/IPTV 채널을 운영하며 본사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에 위치한다.
  • 1969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오카야마 방송
    오카야마 방송은 1969년 오카야마현과 가가와현을 방송 대상 지역으로 개국한 후지 TV 계열의 민영 방송국으로, 1979년부터 오카야마·가가와 광역권 방송을 시작했으며 약칭은 OHK, 마스코트 캐릭터는 'OH!군'이다.
  • 1969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나가노 방송
    나가노 방송(NBS)은 1969년 개국한 후지TV 계열의 나가노현 민영 방송국으로, 뉴스 및 다양한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컬러 방송 도입과 디지털 방송 개시 등 기술 발전을 이루었고 현재는 자체 제작 프로그램과 계열 프로그램을 통해 나가노 지역 사회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1961년 설립된 기업 - 센다이 방송
    센다이 방송은 미야기현을 대상으로 1962년 개국한 후지 TV 계열의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FNS 도호쿠 지역 기간국으로서 지역 사회를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 1961년 설립된 기업 - 삼양식품
    삼양식품은 1961년 설립되어 1963년 국내 최초로 인스턴트 라면을 생산한 대한민국의 식품 회사로, 삼양라면, 불닭볶음면 등을 통해 성장하며 해외 시장에도 진출했으나, 우지 사건, 가격 담합, 경영진 비리, 제품 안전성 논란 등 여러 문제에 직면하여 기업 이미지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2023년 9월 사명을 삼양라운드스퀘어로 변경했다.
문화방송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스타일화된 라틴 문자 텍스트 M, B, C
2005년 1월 3일부터 사용된 라틴 문자 로고
회사명주식회사 문화방송
로마자 표기Jusikhoesa Munhwabangsong
영문 회사명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약칭MBC
설립일1961년 2월 21일
설립 형태주식회사
업종방송 라디오 및 텔레비전
본사 위치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267
본사 도시서울
본사 국가대한민국
서비스 지역대한민국
미국 (위성, 일부 대도시권 지역에서 지상파 방송)
주요 인물안형준 (CEO 겸 사장, 2023년-현재)
매출액1,500,941,912,398 원 (2015년)
영업이익59,272,035,738 원 (2015년)
순이익82,403,520,805 원 (2015년)
자산2,557,227,645,206 원 (2015년 12월)
자본1,000,000,000 원 (2015년 12월)
소유주대한민국 정부 (방송문화진흥회를 통해): 70%
정수장학회: 30%
직원 수1,712명 (2015년 12월)
주요 자회사MBC 플러스
MBC C&I
iMBC
MBC 아트
MBC 플레이비
MBC 아카데미
MBC 아메리카
MBC 나눔
웹사이트IMBC.com
슬로건만나면 좋은 친구 MBC 문화방송
한국어 표기
한글문화방송
한자文化放送
방송 정보
개국일 (AM)1961년 12월 2일 (AM)
개국일 (TV)1969년 8월 8일 (TV)
개국일 (FM4U)1971년 9월 19일 (FM4U)
개국일 (표준FM)1987년 12월 15일 (표준FM)
시장 정보(2005.1.21~)
본사 주소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암로 267 (상암동, 상암 MBC 사옥)
사장안형준
직원 수1,613명 (2021.12)
웹사이트imbc.com
텔레비전 채널 정보
채널명MBC TV
개국일1969년 8월 8일
위성 채널11번 (HD)
디지털 채널KT
SK
LG
11번

2. 연혁

1961년 2월 21일 서울민간방송(주)이 설립되었고, 10월 2일 한국문화방송(주)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1962년 12월 2일 MBC 라디오가 개국(HLKV 900kHz, 10kW)하였고, 1963년 11월 26일에는 국회의원 선거 개표 실황을 단독 중계하였다. 1965년 1월 23일, MBC는 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전주를 잇는 네트워크를 형성했다.

1966년 6월 22일 텔레비전 개국 허가를 취득하였고, 1967년 5월 3일 제6대 대통령 선거 개표 실황을 단독으로 철야 방송하였다. 1968년 4월부터 9월까지 울산, 진주, 강릉, 춘천, 제주 지역에 네트워크를 확장하였다. 1969년 8월 2일 정동 신사옥을 준공하여 정동 시대를 시작하였고, 8월 8일에는 텔레비전 방송을 개시하였다.

1970년 10월 5일에는 「MBC 뉴스데스크」가 첫 방송을 시작했다. 1971년 10월 1일, 가맹국 체제로 변경되면서 각 지역 방송국 상호가 ○○문화방송으로 통일되었다. 1972년 4월 15일에는 텔레비전 호출 부호가 HLAC에서 HLKV TV로 변경되었다. 1974년 11월 1일, 경향신문을 흡수 합병하여 (주)문화방송·경향신문으로 발족하였다.

1975년 9월 8일 문화체육관이 개관하였고, 1977년 9월 3일 제1회 「MBC 대학가요제」가 개최되었다. 1978년 4월 7일에는 텔레비전 뉴스 전용 스튜디오 「뉴스센터」가 준공되었다. 1979년 7월 28일에는 제1회 「MBC 강변가요제」가 개최되었다.

1980년 12월 22일 컬러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되었고, 1981년 1월 1일에는 전국적으로 컬러 텔레비전 방송이 동시에 개시되었다. 1982년 3월 17일 여의도 스튜디오가 준공되었다. 1984년 12월 21일에는 텔레비전 음성 다중 방송이 시작되었고, 1985년 9월 19일 FM 전국 동시 방송이 개시되었다. 1985년 11월 18일에는 한국 텔레비전 중계차 1호가 제작되어 첫 선을 보였다.

1986년 4월 19일, 정동 방송 시설을 여의도로 통합하여 송출을 시작하였고, 9월 1일에는 울릉도에 텔레비전 무인 중계소가 개설되었다. 1987년 12월 15일 MBC 표준FM 방송이 개국하였다. 1988년 9월 17일 서울올림픽 중계 방송을 실시(685시간)하였고, 12월 31일 방송문화진흥회가 설립되었다.

1990년 7월 2일 MBC 방송 강령을 선언하였고, 10월 15일 ID송 「만나면 좋은 친구, MBC 문화방송」 방송을 시작하였다. 1991년 1월 10일 MBC 프로덕션, MBC 미디어텍, MBC 방송문화원이 설립되었고, 7월 1일에는 미국 지사가 설립되어 업무를 개시하였다. 1992년 7월 1일 MBC 미술센터가 설립되었다.

1993년 9월 6일 텔레비전 옴부즈맨 제도가 도입되었고, 10월 1일 MBC 시청자 상담실 운영이 시작되었다. 12월 2일에는 한국 방송 사상 최초로 소련의 우주 정거장 미르와의 중계 방송에 성공하였다. 1995년 1월 1일 ABU 정회원사가 되었고, 4월 1일 음악 FM 종야 방송이 시작되었다. 10월 7일 공식 홈페이지 운영을 시작하였다.

1996년 1월 19일 전국 텔레비전 디지털 회선망 운용이 시작되었고, 8월 1일 텔레비전 음성 다중이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12월 2일에는 텔레비전 주조정실에서 디지털 자동화 시스템이 가동되었다. 1997년 4월 30일 인터넷 VOD 서비스가 시작되었고, 1998년 5월 14일 기술연구소가 국가 공인 연구소로 등록되었다. 1999년 10월 6일 지상파 디지털 실험 방송이 시작되었다.

2000년 1월 14일 MBC 표준FM 전국 네트워크가 완성되었고, 9월 4일 라디오 페이퍼리스 시스템이 본격 가동되었다. 9월 10일에는 「MBC 뉴스」 미주 지역에서의 실시간 위성 방송이 시작되었다. 2001년 5월 24일 방송 완전 자동화 시스템 「NEONS」와 「DIVA」 개발 데모회가 열렸고, 7월 26일 라디오 디지털 방송 운영 시스템 「MIROS」 개발에 성공하였다. 8월 25일 MBC-FM 애칭 공모 당선작 「FM4U」가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2002년 1월 2일 시청자 주권 위원회가 발족되었고, 2003년 2월 26일 MBC 금남 축구 재단이 설립되었다. 2004년 10월부터 12월까지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DAMS)이 구축되었고, 콘텐츠 수출 1500만달러를 달성하였다. 12월 30일 정보통신부로부터 지상파 DMB 실험국 주파수를 취득하였다.

2005년 12월 1일 DMB 방송(myMBC)이 개국하였고, 2006년 3월 6일 인터넷 라디오 「mini MBC」가 오픈되었다. 6월 8일에는 DTV 데이터 본방송이 시작되었다. 2007년 1월 12일 로컬 방송 연합 채널 「MBC NET」이 개국하였고, 11월 30일 MBC일산드림센터가 준공되었다.

2008년 8월 1일 MBC 미국, 디지털 지상파 「MBCD」 방송이 시작되었고, 11월 17일 IPTV용 실시간 콘텐츠가 배포되기 시작했다. 2009년 4월 9일 라디오 이동 스튜디오 「알라딘」이 도입되었고, 12월 1일 DMB 2.0 본방송이 시작되었다. 2010년 1월 28일 보도국 HD 뉴스 NPS(Network Production System) 가동이 시작되었다.

2011년 5월 3일 「MBC 나눔」이 설립되었고, 5월 9일 세계 공영 방송 프로그램 회의(INPUT)가 개최되었다. 8월 16일 MBC C&I(MBC 프로덕션과 MBC 미디어텍의 통합 법인)가 발족되었고, 9월 1일MBC경남」이 발족(진주, 창원 MBC 합병)되었다. 10월 1일 콘텐츠 배포 서비스 「pooq」이 시작되었다.

2012년 11월 5일 평일 「MBC 뉴스데스크」 방송 시간이 21시에서 20시로 변경되었고, 12월 31일 지상파 아날로그 방송이 종료되었다. 2013년 1월 1일 텔레비전 종야 방송이 시작되었다. 2014년 8월 4일 뉴스 프로그램이 상암 신사옥에서 첫 송출되었고, 9월 1일 상암 시대 개막이 선언되었다(상암 신사옥으로 이전).

2015년 1월 1일MBC강원영동」이 발족(강릉, 삼척 MBC 합병)되었고, 2016년 10월 1일MBC충북」이 발족(청주, 충주 MBC 합병)되었다. 12월 19일 FM4U 송신소가 N서울타워에서 관악산으로 이전되었다.

2018년 6월 2일 「MBC 무브먼트」가 한국의 지상파 방송국으로서는 최초의 공통 디자인으로 도입되었다. 2022년 11월 8일 서울 본국 AM 라디오 방송이 휴지되었다.[11]

2. 1. 설립과 라디오 시대 (1959년 ~ 1969년)

1959년 4월 15일, 개인사업가 김상용과 방송기술자 정환옥이 한국 최초의 상업 라디오 방송인 부산문화방송을 개국하였다.[22] 당시 부산문화방송은 1965년까지 '문화방송'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1961년 1월, 김지태는 서울에서 서울민간방송이라는 이름으로 회사를 설립하고, 3월에 한국방송HBC으로 회사 이름을 변경하였다.[22] 6월 7일에는 1기 성우, 기자, 아나운서를 모집하였고, 7월에는 라디오서울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10월에 다시 한국문화방송으로 변경하였다. 11월에는 라디오방송 시험 전파를 발사했고, 12월 2일에 MBC AM(호출부호 HLKV, 주파수 900 kHz, 출력 10 kW)을 개국하였다.[23] 그러나 김지태는 5·16 군사 정변 이후 부정축재자로 지목되어 1962년 한국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 부산일보 등 모든 재산을 5·16장학회에 헌납했다.[24][25][26]

1963년 4월 12일, 문화방송은 정부로부터 대구, 광주, 대전, 전주 등 주요 도시에 지국 설치 허가를 받아 네트워크를 확장하기 시작했다. 1963년 8월 8일 대구지국, 1965년 전주지국이 개국하면서 서울, 부산을 포함한 전국 6대 도시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1968년부터 1969년 사이에는 울산민간방송, 진주민간방송, 영동방송, 강원방송, 라디오목포, 남양방송, 경남방송 등 7개의 민영방송이 문화방송과 네트워크 가맹을 맺어 총 13개의 직할국 또는 가맹국이 참여하는 전국 네트워크를 완성하였다.[27]

1966년에는 라디오의 질적 발전과 심화를 위해 '뉴라디오이론'을 도입하여 한국 방송 사상 처음으로 생활정보방송을 실시하였고, 자율심의기관인 방송편성심의위원회·농어촌방송자문위원회 등을 설치하였다. 1968년 2월에는 정동 사옥을 착공하고, 같은 해 12월 31일 TV 시험 전파 방송에 성공하였다.[28]

2. 2. 흑백 텔레비전 시대 (1969년 ~ 1980년)

1969년 8월 8일, 한국문화방송은 정동 사옥에서 MBC TV(호출부호 HLAC-TV, 출력 2 kW)를 개국하고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실시하였다.[29] 같은 해 일본 후지 TV와 네트워크 협정을 맺었고, 1971년에는 타이완 TTV,[30] 홍콩 RTV(이후 ATV),[31] 미국 CBS 등 20여개 지역 민방사와 네트워크 협정을 맺었다.

1970년 10월 5일 주요 뉴스 프로그램인 MBC 뉴스데스크 방송을 시작했다.

1971년 9월 19일에는 MBC FM을 개국하였다. 이후 여러 대형쇼를 기획하여 드라마 《새엄마》, 《신부일기》, 《수선화》, 《후회합니다》 등을 히트시키며 시청률 면에서 KBS를 앞섰고, 1974년에는 TBC마저 앞지르기도 했다. TBC와는 서로 번갈아가며 드라마를 히트시키는 등 시청률 경쟁을 벌였다.[32]

1974년 11월 1일,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경향신문과 통합되어 '''주식회사 문화방송·경향신문'''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33] 그러나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신아일보를 흡수했지만, 경향신문과는 분리되면서 현재 경향신문-문화방송은 정수장학회에 관여되어 있다는 것 외에는 무관하다.[33]

1969년, 문화방송은 은행 차입과 외자에 의존해 TV 방송을 시작하면서 경영난에 봉착했다. 박정희 정권은 이를 타개하기 위해 주식의 70%를 쌍용화재와 현대 등 대기업 11개 회사에게 강제 인수시켰는데, 이 지분은 배당, 의결권, 매각이 불가능한 조건이었다.

1977년에는 MBC 대학가요제를, 1979년에는 MBC 강변가요제를 시작하고, 같은 해 여의도 스튜디오 공사에 들어갔다.

2. 3. 컬러 방송 시대 (1980년 ~ 1990년)

1980년 7월 8일 첫 컬러 시험 방송을 시작했고, 1980년 12월 22일에 최초로 컬러 TV 방송을 시작하였다.[2] 1981년에는 컬러 TV 방송을 전국으로 확대하였다. 그러나 1980년 전두환 신군부 세력이 정권을 장악하면서 언론통폐합 과정에서 한국방송공사(KBS)가 문화방송 주식의 65%를 인수하게 되었다.[2] 7개 지역 가맹국의 주식 또한 각각 51% 이상 인수되어 문화방송은 전 가맹국과 직할국을 계열화하게 되었다.

1981년 4월 1일, 언론기본법 제정에 따라 문화방송과 경향신문사가 분리되어 MBC의 독립적인 방송 체제가 확립되었다. 1982년 3월 17일에는 서울 여의도에 스튜디오 사옥을 준공하여 방송 제작 능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1986년 1월 1일에는 홍익대학교 권명광 교수가 작업한 새로운 CI를 도입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현대화했다.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과 1988년 서울 올림픽 생중계를 통해 MBC는 규모와 기술면에서 크게 발전했다.

1988년 12월 26일, '방송문화진흥법'을 제정하고 문화방송 주식의 70%를 공인법인인 방송문화진흥회가 관리하도록 하였다.

같은 해, MBC는 프로야구단 MBC 청룡을 창단하여 KBO 리그 창단 멤버로 참가했으며, 리그 TV 중계권을 최초로 확보했다. 청룡의 소유권은 1989년 LG그룹에 넘어갔다.

2. 4. 멀티미디어 시대 (1991년 ~ 2000년)

1991년 1월 17일, 걸프 전쟁으로 인한 유가 상승과 국내 에너지 절약 정책에 따라 방송 시간을 단축하는 등 시대적 상황에 대응하는 모습을 보였다.[11] 그로부터 3년 뒤 MBC 프로덕션, MBC 미디어텍, MBC 방송문화원을 창립했고, 이듬해 MBC 미술센터를 세웠다.[11] 같은 시기 일산 사옥 부지를 매입하고 신사옥 건설을 추진했다.[11]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MBC는 인터넷 시대에 발맞춰 큰 변화를 겪었다. 2000년 3월 11일 《인터넷 MBC》(iMBC)를 창립하고, 같은 해 7월 7일 공식 사이트(imbc.com)를 개설하여 온라인 플랫폼으로 확장했다.[11]

조직 구조 면에서도 변화가 있었다. 2000년 4월 10일 《MBC 프로덕션》과 《MBC 예술단》을 합병하여 제작 역량을 강화했다.[11] 2000년 9월 1일에는 경영센터를 입주시켜 경영 효율성을 높이는 등 내부 구조 개선에도 힘썼다.[11]

이러한 변화들은 MBC가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 적응하고, 디지털 시대의 방송사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11] 특히 인터넷 기반 서비스 확대는 MBC가 전통적인 방송 매체를 넘어 새로운 미디어 플랫폼으로 영역을 확장해 나가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11] 대형 기업으로 급성장하여 주요 국제 행사들을 다루게 된 MBC는 멀티미디어 시대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더욱 효율적인 기업이 되기 위해 각각의 가치 사슬(MBC 제작, MBC 미디어텍, MBC 방송문화센터, MBC 아트컴퍼니, MBC 아트센터)에 특화된 회사들을 설립하고 자회사로 분사했다.[11]

2. 5. 디지털 시대 (2001년 ~ 2010년)

2001년 12월, 문화방송은 DTV 방송을 개시하며 디지털 방송 시대를 열었다.[3] 2005년 12월에는 지상파DMB 서비스를 시작하여 모바일 방송 영역으로 확장하였고, 2006년 6월에는 데이터방송을 시작했다.

2005년 1월 3일, 새로운 CI를 도입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쇄신했다. 같은 해 1월 21일에는 자회사인 iMBC가 코스닥에 상장되었다. 2007년 11월 30일에는 MBC일산드림센터를 완공하여 제작 역량을 강화했고, 2010년 6월 18일에는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 내 신사옥 부지 착공을 시작했다.[3] 2010년 9월 1일, MBC 경기인천지사(현 MBC경인지사)를 개소하여 지역 방송 네트워크를 확대했다.

2001년 MBC는 위성 및 케이블텔레비전 방송을 개시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자회사인 MBC America를 설립하여 아메리카 대륙 전역에 프로그램을 배포했다. 2008년 8월 1일, MBC America는 KSCI-TV, KTSF-TV 및 WMBC-TV의 디지털 서브채널에서 방송되는 텔레비전 네트워크인 MBC-D를 개국했다.[3]

2. 6. 다채널 시대 (2011년 ~ 현재)

MBC영어는 2010년대에 들어서며 조직 구조와 방송 기술의 현대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했다. 2011년 9월 1일, 경남지역 문화방송 계열사들을 통합해 MBC경남을 출범시켰고, 이후 2015년 1월 1일 MBC강원영동(강릉, 삼척 MBC 합병)[11], 2016년 10월 1일 MBC충북(청주, 충주 MBC 합병)[11]을 출범시키며 지역 방송 네트워크를 재편했다.

기술적 측면에서는 2012년 12월 31일 수도권에서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을 종료[11]하고, 2013년 1월 1일부터 24시간 종일방송을 실시[11]하는 등 디지털 방송 시대로의 전환을 완료했다. 2017년 5월 31일에는 UHD 방송을 개국하여 방송 화질의 혁신을 이뤘다.

인프라 측면에서는 2014년 9월 1일, 여의도 사옥 시대를 마감하고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의 신사옥으로 이전[11]하며 새로운 도약의 기반을 마련했다. 또한 2016년 12월 19일에는 FM4U 송신소를 N서울타워에서 관악산으로 이전 완료[11]하여 수도권 난청 지역 문제를 해결했다.

MBC영어는 2017년 9월 4일부터 11월 13일까지 71일간의 총파업[11]을 겪으며 내부적 변화를 겪었고, 이후 새로운 경영진을 맞이했다. 2023년 5월 8일에는 AM 라디오 방송을 폐국[11]하는 등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대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3. 로고

기간로고
1961년 12월 2일 ~ 1969년 6월 30일--
1969년 7월 1일 ~ 1974년 7월 24일--
1974년 7월 25일 ~ 1980년 12월 14일--
1980년 12월 15일 ~ 1981년 12월 1일--
1981년 12월 2일 ~ 1985년 12월 31일--
1986년 1월 1일 ~ 2005년 1월 2일--
1986년 4월 29일 ~ 2005년 1월 2일--
2005년 1월 3일 ~ 2011년 12월 31일--
2012년 1월 1일 ~ 현재--


4. 방송

문화방송(MBC)은 다양한 방송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1961년 12월 2일, MBC는 라디오 방송을 시작하며 한국 수도 서울에서 최초의 민간 상업 방송사가 되었다.[10] 1963년에는 부산을 포함한 전국 주요 도시에 지역 방송국 설립 허가를 받아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1969년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하고, 1970년에는 메인 뉴스 프로그램인 MBC 뉴스데스크를 시작했다.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한국방송공사(KBS)가 주식 70%를 인수하면서 공영방송으로 전환되었고, 같은 해 컬러 방송을 시작했다. 1981년 언론기본법에 따라 경향신문과 분리되었으며, 1982년 여의도 사옥으로 이전하고 프로야구단 MBC 청룡을 창단했다.

디지털 시대에 발맞춰 MBC는 인터넷 사업을 전개하고 케이블TV, 위성방송, DMB 방송을 실시했다. 2007년에는 일산에 드림센터를 건립하고, 2014년에는 상암동 신사옥으로 이전했다.

MBC는 MBC 뉴스데스크, PD수첩, MBC 100분 토론 등 다양한 뉴스 및 시사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특히 PD수첩황우석 교수 연구팀의 줄기세포 논문 조작 의혹을 처음으로 제기한 프로그램으로 유명하다.

이 외에도, 문화방송은 마징가Z(1975년 방영), 24 -TWENTY FOUR-, CSI 과학수사대, 소녀 장금이의 꿈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방영했다.

4. 1. TV 방송

MBC는 1969년 8월 8일 텔레비전 방송(호출 부호: HLAC-TV, 출력: 2kW)을 시작했으며, 1970년 10월 5일 주요 뉴스 프로그램인 MBC 뉴스데스크 방송을 시작했다.[2] 1968년부터 1969년 사이에 울산, 진주, 강릉, 춘천, 목포, 제주, 마산 등 7개의 상업 방송국과 제휴 계약을 맺었고, 13개의 계열 또는 지역 방송국을 통해 전국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다.

1980년 12월 22일, 최초로 컬러 TV 방송을 시작했다.[2] 1982년 MBC는 프로야구단 MBC 청룡을 창단하여 KBO 리그 창단 멤버로 참가했으며, 리그 TV 중계권을 최초로 확보했다.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과 1988년 서울 올림픽 생중계를 통해 MBC는 규모와 기술면에서 크게 발전했다.

방송과 통신의 융합이 본격화됨에 따라 MBC는 자회사인 iMBC(인터넷 MBC)를 독립 법인으로 분리하고 다양한 인터넷 관련 사업을 추진했다. 또한 케이블TV(MBC플러스미디어), 위성TV, 새로운 DMB 방송 및 지상파 TV의 종일 방송을 시작했다. 2007년에는 첨단 제작 시설을 갖춘 디지털 제작 센터인 일산 드림센터를 설립했다. 2014년 9월에는 새 사옥 건설을 완료하고 여의도에서 상암동으로 사옥을 이전하여 상암 MBC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2001년 MBC는 위성케이블 텔레비전 방송을 개시했다. 2013년 3월, MBC를 포함한 한국 방송사들이 컴퓨터 시스템 마비 피해를 입었다.[4] 한국 정부는 3월 사이버 공격에 북한의 연루를 주장했으나, 북한은 이를 부인했다.[5]

  • 지상파 TV 1개 채널 (MBC — 11번 채널)
  • 리모컨 키 ID: 11-1
  • 호출 부호(콜사인): HLKV-DTV


송신소물리 채널공중선 전력
관악산K-14ch2.5kW
남산K-50ch5kW
파주K-27ch90W
동두천K-50ch20W
포천K-44ch20W
용문산K-27ch1kW
하포K-32ch20W
계양산K-??ch100W
인천K-??ch90W
불광K-27ch90W
응암K-21ch90W
성북K-21ch50W
장위K-43ch90W
광명K-41ch20W
광교산K-41ch200W
성남K-27ch20W


4. 2. 라디오 방송

문화방송은 다음과 같은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채널명주파수출력
MBC 표준FM95.9 MHz FM10kW
MBC FM4U91.9 MHz FM10kW
채널MCH 12A DAB2kW



; MBC 표준FM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 부호
관악산FM 95.9MHz10kWHLKV-SFM



; MBC FM4U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 부호
관악산FM 91.9MHz10kWHLKV-FM



MBC 라디오에서는 "'''M~BC MBC~'''"라는 징글이 공통으로 사용된다.

MBC FM4U 시보는 매 정시에 방송되며, 전국 공통으로 "'''MBC~ FM4U~'''" 음원이 사용된다.

4. 3. 지상파 DMB 방송

송신소물리 채널 (주파수)공중선 전력
관악산K-12Ach ()2kW
남산2kW
파평20W
포천20W
용문산1kW
하회100W
계양산1kW
만월산90W
불광산90W
안산20W
광교산1kW
운중산20W
광주20W
용인90W
이동90W
안성90W


5. 사옥



문화방송은 1961년 라디오 방송국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사옥 이전을 거쳤다. 현재는 상암동에 본사를, 일산 드림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5. 1. 변천 과정

문화방송은 1961년 라디오 방송국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사옥 이전을 거치며 발전해왔다.

연도사건
1961년 12월 2일종로구 인사동(현재의 덕원 갤러리)에서 라디오 방송 시작.[11]
1969년 8월 8일중구 정동으로 사옥 이전, 텔레비전 방송 개국.[11]
1982년 3월 17일영등포구 여의도로 사옥 이전.[11]
1997년경기도 양주시에 양주 스튜디오 준공.
2007년 11월 30일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일산 드림센터 준공.
2013년 7월마포구 상암동의 디지털 미디어 시티에 방송영상제작센터 준공.
2014년 8월 4일마포구 상암동 신사옥으로 이전.[11]



5. 2. 현황


  • '''상암 사옥 (본사)'''
  • * 공사 기간: 2010년 6월 18일 ~ 2014년 8월
  • * 지하 3층, 지상 14층 / 건축면적: 34209m2 / 연면적: 148737m2[34]
  • * 舊 여의도 사옥일산 MBC 드림센터 사옥을 합친 규모보다 더 크며 축구장 21개의 규모에 해당한다. 제작스튜디오 5곳, 뉴스스튜디오 2곳, 음향스튜디오 7곳, 매직스튜디오 1곳 등이 위치해있다.
  • * 경영센터, 방송센터, 미디어센터 (내부)

  • '''일산드림센터'''
  • * 공사 기간: 2004년 9월 ~ 2007년 7월[35]
  • * 지하 4층, 지상 10층 / 건축면적: 11736m2 / 연면적: 78274m2
  • * 한국 최대 규모의 복층 스튜디오로 구성되어 있다.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 제작이 주요 기능이며, 2층에 예능 스튜디오 2곳, 공개홀 1곳, 7층에 드라마 스튜디오 3곳 등이 위치하고 있다.

6. 역대 사장

(대수)성명임기출신 분야 또는 전직제1·2·3대김지태1961년 2월 21일 ~ 1962년 7월 22일제4대고원증1962년 7월 22일 ~ 1964년 8월 26일제5대황용주1964년 8월 26일 ~ 1964년 12월 15일제6·7·8대조증출1964년 12월 15일 ~ 1971년 6월 30일제9·10·11·12대이환의1971년 6월 30일 ~ 1980년 6월 20일직무대행임택근1980년 6월 20일 ~ 1980년 7월 5일제13대이진희1980년 7월 5일 ~ 1982년 6월 7일기자제14·15대이웅희1982년 6월 7일 ~ 1986년 2월 17일기자제16대황선필1986년 2월 17일 ~ 1988년 8월 29일직무대행신정휴1988년 8월 29일 ~ 1988년 11월 2일제17대김영수1988년 11월 2일 ~ 1989년 2월 10일제18·19대최창봉1989년 2월 10일 ~ 1993년 3월 12일프로듀서제20·21대강성구1993년 3월 17일 ~ 1996년 6월 14일기자직무대행편일평1996년 6월 14일 ~ 1996년 7월 22일제22대이득렬1996년 7월 22일 ~ 1999년 3월 8일기자제23대노성대1999년 3월 9일 ~ 2001년 3월 9일기자제24·25대김중배2001년 3월 9일 ~ 2003년 3월 2일기자제26대이긍희2003년 3월 3일 ~ 2005년 2월 25일프로듀서(시사교양)제27대최문순2005년 2월 25일 ~ 2008년 2월 28일기자제28대엄기영2008년 2월 29일 ~ 2010년 2월 8일기자제29·30대김재철2010년 2월 26일 ~ 2013년 3월 26일기자직무대행안광한2013년 3월 26일 ~ 2013년 5월 3일제31대김종국2013년 5월 3일 ~ 2014년 2월 24일기자제32대안광한2014년 2월 25일 ~ 2017년 2월 24일프로듀서(편성)제33대김장겸2017년 2월 25일 ~ 2017년 11월 13일기자직무대행최기화2017년 11월 14일[36] ~ 2017년 12월 7일제34대최승호2017년 12월 7일 ~ 2020년 2월 23일프로듀서(시사교양)제35대박성제2020년 2월 24일 ~ 2023년 2월 23일기자제36대안형준2023년 2월 24일 ~ 2026년 3월 23일기자


7. 회사

文化放送중국어는 1961년 12월 2일에 개국한 대한민국의 지상파 방송국으로, 1969년에 텔레비전 방송 사업에 진출하여 현재 17개의 지역 계열 방송국으로 구성된 전국 방송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방송문화진흥회[6]가 최대 주주인 공익재단법인 형태의 공영방송이지만, 실제 경영은 광고 수입에 의존하는 주식회사 형태이다(방송문화진흥회 70%, 정수장학회[7] 30%).

지상파 TV 채널 1개, 라디오 채널 3개, 케이블 채널 5개, 위성 채널 5개, DMB 채널 4개를 운영하고 있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디지털미디어시티(DMC)에 있으며, 경기도 일산 드림센터, 양주 스튜디오, 용인 드라미아(오픈 세트) 등 한국 최대 규모의 방송 제작 시설을 갖추고 있다.

1982년부터 1989년까지 프로야구단 "MBC 청룡(LG 트윈스)"을 소유했었다.

7. 1. 조직

7. 2. 자본 및 주주

방송문화진흥회가 70%, 정수장학회가 30%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7] 2004년 기준 주주 현황은 다음과 같다.

2004년의 주주
주주소유 주식 수소유 지분액면가
방송문화진흥회14만 주70%7억
정수장학회6만 주30%3억
합계20만 주100%10억



방송법에 따르면, 누구든지 "특수관계자"[37]가 소유하는 주식 또는 지분을 포함하여 지상파방송사업자(문화방송이 해당됨)의 주식 또는 지분 총수의 100분의 30을 초과하여 소유할 수 없다. 그러나 방송문화진흥회법에 의하여 설립된 방송문화진흥회가 방송사업자의 주식 또는 지분을 소유하는 경우는 예외이다.

7. 3. 영업 매출

광고 매출은 2010년 기준 6.94조으로 전년 대비 15% 증가하였으며, 1988년부터 현재까지 광고 매출액 기준으로 방송사 중 1위이다.[38]

7. 4. 지사 · 자회사

MBC는 도쿄, 베이징, 워싱턴 D.C.에 해외 지국을 두고 있다.[6]

MBC 플러스, MBC C&I, iMBC, MBC ARTS, MBC플레이비, MBC 아카데미, MBC 아메리카, MBC 나눔 등 8개 사를 자회사로 두고 있다.[6]

과거 관계사로는 경향신문이 있었다.[6]

8. 계열 네트워크 방송사

문화방송은 강원권, 충청권, 경상권, 호남권, 제주권 등 전국에 17개의 지역 계열 방송사를 두고 있다.[6] 각 지역 방송사는 해당 지역의 소식을 전하며, 문화방송의 전국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권역담당 방송국한국어 표기본사 소재지DMB 지역 블록
강원특별자치도춘천문화방송춘천문화방송춘천시강원 블록
원주문화방송원주문화방송원주시
MBC강원영동MBC강원영동강릉시 (본사, 구 강릉방송국)
삼척시 (지사, 삼척방송국)
대전광역시대전문화방송대전문화방송대전광역시충청·대전 블록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충청북도MBC충북MBC충북청주시 (본사, 구 청주방송국)
충주시 (지사, 충주방송국)
전북특별자치도전주문화방송전주문화방송전주시전라·광주 블록
광주광역시광주문화방송광주문화방송광주광역시
전라남도목포문화방송목포문화방송목포시
여수문화방송여수문화방송여수시
대구광역시대구문화방송대구문화방송대구광역시경북·대구 블록
경상북도안동문화방송안동문화방송안동시
포항문화방송포항문화방송포항시
울산광역시울산문화방송울산문화방송울산광역시경남·부산·울산 블록
부산광역시부산문화방송부산문화방송부산광역시 (MBC의 원류)
경상남도MBC경남MBC경남창원시 (본사, 창원방송)
진주시 (지사, 진주방송)
제주특별자치도제주문화방송제주문화방송제주시제주 블록


9. 국제 관계

MBC는 아시아태평양방송연합(ABU, Asia-Pacific Broadcasting Union), 국제텔레비전예술과학아카데미(IATAS, International Academy of Television Arts & Science), 국제공영방송스크리닝컨퍼런스(INPUT, International Public Television Screening Conference) 등 국제기구의 회원이며, 13개국 21개 방송사와 제휴하고 있다.

해외 법인으로는 로스앤젤레스와 상하이에 법인을 두고 있고, 북미, 중남미, 유럽, 중동, 아시아 지역에 지국을 운영하고 있다.

일본과의 관계에서는 후지TV, 에프엠 후쿠오카와 제휴하여 MBC 본사에 후지TV 서울 지국, 도쿄도미나토구다이바의 후지TV 본사에 MBC 도쿄 지국이 있다. 또한, 계열사인 전주문화방송이 남일본방송 (가고시마현, JNN・TBS 계열)과 제휴하는 등, 많은 계열사가 일본 지방 방송국과 관계를 맺고 있다.

10. 논란 및 사건 사고

2020년 도쿄 올림픽 개회식에서 MBC 아나운서가 선수단 입장 행진을 소개하면서 우크라이나(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진), 아이티(대통령 암살 및 정국 혼란) 등 여러 국가를 부적절한 사진과 자막으로 소개해 논란이 되었다.[14] 각국에서 비판이 쏟아졌고[15], 축구 중계에서도 루마니아 선수의 자책골을 조롱하는 자막을 내보내는 등 문제가 이어졌다.[16][17]

이에 MBC 박성제 사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세계인들의 우정과 연대, 화합이라는 올림픽 정신을 훼손하는 방송을 한 것에 대해 깊이 사과드린다"며 공식 사과했다.[18][19] 이후 MBC 보도본부장이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20]

MBC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개회식에서도 비슷한 문제로 해외 언론의 비판과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주의' 조치를 받은 바 있다.[21] 당시 시청자들은 "스포츠맨십과 올림픽 정신에 어긋난다", "외교적 예의를 저버렸다"며 강하게 비판했다.[21]

참조

[1] 웹사이트 Broadcaster MBC confirms new CEO appointment https://en.yna.co.kr[...] 2023-03-01
[2] 뉴스 문화방송·경향신문주식65% 방송공사서 인수 https://www.mk.co.kr[...] 1980-12-11
[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08-08-02
[4] 뉴스 Computer Networks in South Korea Are Paralyzed in Cyberattacks https://web.archive.[...] 2013-03-20
[5] 뉴스 (2nd LD) Gov't confirms Pyongyang link in March cyber attacks http://english.yonha[...] 2013-04-10
[6] 일반
[7] 일반
[8] 웹사이트 인기バラエティ「覆面歌王」日本版が9月3日よりAmazonプライムにて配信スタート!大泉洋がMCに抜擢 https://news.kstyle.[...] 2021-05-26
[9] 웹사이트 野村周平&さとうほなみが結婚生活で理想の夫婦関係を築く、恋愛番組『私たち結婚しました』ABEMAで放送 https://times.abema.[...] 2021-06-28
[10] 일반
[11] 웹사이트 「AM放送」存廃問題、韓国では一足先に「停波」突入 「音質悪く受信も不便」 https://www.j-cast.c[...] 2022-11-12
[12]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13] 일반
[14] 웹사이트 <東京五輪>社長が頭を下げたMBC…ウクライナ大使館「心地悪い」 https://s.japanese.j[...] 中央日報 2021-07-27
[15] 웹사이트 韓国テレビ、開会式中継巡り謝罪 MBC、不適切な国紹介 https://web.archive.[...] 2021-07-24
[16] 웹사이트 韓国MBC「不適切放送」が止まらない 4度目の失態に地元メディア痛烈「本当に公営放送なのか」 https://www.j-cast.c[...] 2021-08-02
[17] 웹사이트 韓国MBC、五輪マラソンでも「不適切放送」 途中棄権めぐり失言...現地ネットもドン引き「本当に耳を疑った」 https://www.j-cast.c[...] 2021-08-08
[18] 웹사이트 東京五輪中継の失態で海外からも批判 韓国MBC社長が謝罪 https://jp.yna.co.kr[...] 2021-07-26
[19] 웹사이트 韓国MBC謝罪 五輪でチェルノブイリ写真 https://news.ntv.co.[...] 2021-07-26
[20] 웹사이트 「五輪放送事故」で社長が頭を下げた韓国MBC、報道本部長も辞任 https://japanese.joi[...] 2021-08-23
[21] 웹사이트 13年前にも… 韓国テレビ局が「不謹慎報道」を繰り返すワケ https://friday.kodan[...] 2021-07-30
[22] 일반
[23] 일반
[24] 뉴스 重役陣(중역진)을 改編(개편) 한국문화방송국 http://newslibrary.n[...] 1962-08-02
[25] 뉴스 走馬看山(주마간산)—結論(결론) 없이지나가는「革命(혁명)4年(년)」 http://newslibrary.n[...] 1964-11-16
[26] 간행물 시사저널 771호
[27] 서적 문화방송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MBC] 한국언론연구원(현 한국언론진흥재단) 1993-12
[28] 뉴스 첫시험전파시작 MBC—TV https://newslibrary.[...] 1969-01-06
[29] 일반
[30] 뉴스 TV방송 국제제휴활기 https://newslibrary.[...] 1971-05-17
[31] 뉴스 문화·경향-홍콩 RTV 뉴스·프로그램 제휴계약 https://newslibrary.[...] 1976-11-16
[32] 일반
[33] 일반
[34] Youtube MBC 상암 신사옥 및 각 스튜디오 소개 https://www.youtube.[...]
[35] 간행물 MBC드림센터 건축음향 공사 한국건축환경설비학회 2008
[36] 문단
[37] 법률
[38] 웹인용 방송사별 광고비 현황 http://www.kobaco.co[...] 한국방송광고공사 2011-03-0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