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방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화방송(MBC)은 1961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방송사로, 지상파 TV, 라디오, 케이블/위성 방송, DMB 등 다양한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1960년대 라디오 방송을 시작으로, 1969년 텔레비전 방송을 개시하며 전국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이후 컬러 방송, 디지털 방송 시대를 거치며 기술적 발전을 이루었고, 2014년 상암 신사옥으로 이전했다. MBC는 방송문화진흥회가 최대 주주이며, 뉴스, 드라마, 예능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방송한다. 또한, 여러 해외 지사 및 제휴 방송국을 통해 국제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베이징 올림픽 개회식, 도쿄 올림픽 개회식 등에서 부적절한 방송으로 논란이 일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지상파 방송국 - 한국방송공사
한국방송공사(KBS)는 1927년 경성방송국으로 시작하여 대한민국 공영방송으로 자리 잡았으며, 텔레비전과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고 수신료와 광고 수익으로 재원을 마련하며 정치적 편향성 등 문제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대한민국의 지상파 방송국 - 한국교육방송공사
한국교육방송공사는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방송하는 대한민국의 공영 교육 방송사로, 지상파 TV, 라디오, 케이블/위성/IPTV 채널을 운영하며 본사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에 위치한다. - 1969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오카야마 방송
오카야마 방송은 1969년 오카야마현과 가가와현을 방송 대상 지역으로 개국한 후지 TV 계열의 민영 방송국으로, 1979년부터 오카야마·가가와 광역권 방송을 시작했으며 약칭은 OHK, 마스코트 캐릭터는 'OH!군'이다. - 1969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나가노 방송
나가노 방송(NBS)은 1969년 개국한 후지TV 계열의 나가노현 민영 방송국으로, 뉴스 및 다양한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컬러 방송 도입과 디지털 방송 개시 등 기술 발전을 이루었고 현재는 자체 제작 프로그램과 계열 프로그램을 통해 나가노 지역 사회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1961년 설립된 기업 - 센다이 방송
센다이 방송은 미야기현을 대상으로 1962년 개국한 후지 TV 계열의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FNS 도호쿠 지역 기간국으로서 지역 사회를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 1961년 설립된 기업 - 삼양식품
삼양식품은 1961년 설립되어 1963년 국내 최초로 인스턴트 라면을 생산한 대한민국의 식품 회사로, 삼양라면, 불닭볶음면 등을 통해 성장하며 해외 시장에도 진출했으나, 우지 사건, 가격 담합, 경영진 비리, 제품 안전성 논란 등 여러 문제에 직면하여 기업 이미지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2023년 9월 사명을 삼양라운드스퀘어로 변경했다.
문화방송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회사명 | 주식회사 문화방송 |
로마자 표기 | Jusikhoesa Munhwabangsong |
영문 회사명 |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
약칭 | MBC |
설립일 | 1961년 2월 21일 |
설립 형태 | 주식회사 |
업종 | 방송 라디오 및 텔레비전 |
본사 위치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267 |
본사 도시 | 서울 |
본사 국가 | 대한민국 |
서비스 지역 | 대한민국 미국 (위성, 일부 대도시권 지역에서 지상파 방송) |
주요 인물 | 안형준 (CEO 겸 사장, 2023년-현재) |
매출액 | 1,500,941,912,398 원 (2015년) |
영업이익 | 59,272,035,738 원 (2015년) |
순이익 | 82,403,520,805 원 (2015년) |
자산 | 2,557,227,645,206 원 (2015년 12월) |
자본 | 1,000,000,000 원 (2015년 12월) |
소유주 | 대한민국 정부 (방송문화진흥회를 통해): 70% 정수장학회: 30% |
직원 수 | 1,712명 (2015년 12월) |
주요 자회사 | MBC 플러스 MBC C&I iMBC MBC 아트 MBC 플레이비 MBC 아카데미 MBC 아메리카 MBC 나눔 |
웹사이트 | IMBC.com |
슬로건 | 만나면 좋은 친구 MBC 문화방송 |
한국어 표기 | |
한글 | 문화방송 |
한자 | 文化放送 |
방송 정보 | |
개국일 (AM) | 1961년 12월 2일 (AM) |
개국일 (TV) | 1969년 8월 8일 (TV) |
개국일 (FM4U) | 1971년 9월 19일 (FM4U) |
개국일 (표준FM) | 1987년 12월 15일 (표준FM) |
시장 정보 | (2005.1.21~) |
본사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암로 267 (상암동, 상암 MBC 사옥) |
사장 | 안형준 |
직원 수 | 1,613명 (2021.12) |
웹사이트 | imbc.com |
텔레비전 채널 정보 | |
채널명 | MBC TV |
개국일 | 1969년 8월 8일 |
위성 채널 | 11번 (HD) |
디지털 채널 | KT SK LG 11번 |
2. 연혁
1961년 2월 21일 서울민간방송(주)이 설립되었고, 10월 2일 한국문화방송(주)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1962년 12월 2일 MBC 라디오가 개국(HLKV 900kHz, 10kW)하였고, 1963년 11월 26일에는 국회의원 선거 개표 실황을 단독 중계하였다. 1965년 1월 23일, MBC는 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전주를 잇는 네트워크를 형성했다.
1966년 6월 22일 텔레비전 개국 허가를 취득하였고, 1967년 5월 3일 제6대 대통령 선거 개표 실황을 단독으로 철야 방송하였다. 1968년 4월부터 9월까지 울산, 진주, 강릉, 춘천, 제주 지역에 네트워크를 확장하였다. 1969년 8월 2일 정동 신사옥을 준공하여 정동 시대를 시작하였고, 8월 8일에는 텔레비전 방송을 개시하였다.
1970년 10월 5일에는 「MBC 뉴스데스크」가 첫 방송을 시작했다. 1971년 10월 1일, 가맹국 체제로 변경되면서 각 지역 방송국 상호가 ○○문화방송으로 통일되었다. 1972년 4월 15일에는 텔레비전 호출 부호가 HLAC에서 HLKV TV로 변경되었다. 1974년 11월 1일, 경향신문을 흡수 합병하여 (주)문화방송·경향신문으로 발족하였다.
1975년 9월 8일 문화체육관이 개관하였고, 1977년 9월 3일 제1회 「MBC 대학가요제」가 개최되었다. 1978년 4월 7일에는 텔레비전 뉴스 전용 스튜디오 「뉴스센터」가 준공되었다. 1979년 7월 28일에는 제1회 「MBC 강변가요제」가 개최되었다.
1980년 12월 22일 컬러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되었고, 1981년 1월 1일에는 전국적으로 컬러 텔레비전 방송이 동시에 개시되었다. 1982년 3월 17일 여의도 스튜디오가 준공되었다. 1984년 12월 21일에는 텔레비전 음성 다중 방송이 시작되었고, 1985년 9월 19일 FM 전국 동시 방송이 개시되었다. 1985년 11월 18일에는 한국 텔레비전 중계차 1호가 제작되어 첫 선을 보였다.
1986년 4월 19일, 정동 방송 시설을 여의도로 통합하여 송출을 시작하였고, 9월 1일에는 울릉도에 텔레비전 무인 중계소가 개설되었다. 1987년 12월 15일 MBC 표준FM 방송이 개국하였다. 1988년 9월 17일 서울올림픽 중계 방송을 실시(685시간)하였고, 12월 31일 방송문화진흥회가 설립되었다.
1990년 7월 2일 MBC 방송 강령을 선언하였고, 10월 15일 ID송 「만나면 좋은 친구, MBC 문화방송」 방송을 시작하였다. 1991년 1월 10일 MBC 프로덕션, MBC 미디어텍, MBC 방송문화원이 설립되었고, 7월 1일에는 미국 지사가 설립되어 업무를 개시하였다. 1992년 7월 1일 MBC 미술센터가 설립되었다.
1993년 9월 6일 텔레비전 옴부즈맨 제도가 도입되었고, 10월 1일 MBC 시청자 상담실 운영이 시작되었다. 12월 2일에는 한국 방송 사상 최초로 소련의 우주 정거장 미르와의 중계 방송에 성공하였다. 1995년 1월 1일 ABU 정회원사가 되었고, 4월 1일 음악 FM 종야 방송이 시작되었다. 10월 7일 공식 홈페이지 운영을 시작하였다.
1996년 1월 19일 전국 텔레비전 디지털 회선망 운용이 시작되었고, 8월 1일 텔레비전 음성 다중이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12월 2일에는 텔레비전 주조정실에서 디지털 자동화 시스템이 가동되었다. 1997년 4월 30일 인터넷 VOD 서비스가 시작되었고, 1998년 5월 14일 기술연구소가 국가 공인 연구소로 등록되었다. 1999년 10월 6일 지상파 디지털 실험 방송이 시작되었다.
2000년 1월 14일 MBC 표준FM 전국 네트워크가 완성되었고, 9월 4일 라디오 페이퍼리스 시스템이 본격 가동되었다. 9월 10일에는 「MBC 뉴스」 미주 지역에서의 실시간 위성 방송이 시작되었다. 2001년 5월 24일 방송 완전 자동화 시스템 「NEONS」와 「DIVA」 개발 데모회가 열렸고, 7월 26일 라디오 디지털 방송 운영 시스템 「MIROS」 개발에 성공하였다. 8월 25일 MBC-FM 애칭 공모 당선작 「FM4U」가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2002년 1월 2일 시청자 주권 위원회가 발족되었고, 2003년 2월 26일 MBC 금남 축구 재단이 설립되었다. 2004년 10월부터 12월까지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DAMS)이 구축되었고, 콘텐츠 수출 1500만달러를 달성하였다. 12월 30일 정보통신부로부터 지상파 DMB 실험국 주파수를 취득하였다.
2005년 12월 1일 DMB 방송(myMBC)이 개국하였고, 2006년 3월 6일 인터넷 라디오 「mini MBC」가 오픈되었다. 6월 8일에는 DTV 데이터 본방송이 시작되었다. 2007년 1월 12일 로컬 방송 연합 채널 「MBC NET」이 개국하였고, 11월 30일 MBC일산드림센터가 준공되었다.
2008년 8월 1일 MBC 미국, 디지털 지상파 「MBCD」 방송이 시작되었고, 11월 17일 IPTV용 실시간 콘텐츠가 배포되기 시작했다. 2009년 4월 9일 라디오 이동 스튜디오 「알라딘」이 도입되었고, 12월 1일 DMB 2.0 본방송이 시작되었다. 2010년 1월 28일 보도국 HD 뉴스 NPS(Network Production System) 가동이 시작되었다.
2011년 5월 3일 「MBC 나눔」이 설립되었고, 5월 9일 세계 공영 방송 프로그램 회의(INPUT)가 개최되었다. 8월 16일 MBC C&I(MBC 프로덕션과 MBC 미디어텍의 통합 법인)가 발족되었고, 9월 1일 「MBC경남」이 발족(진주, 창원 MBC 합병)되었다. 10월 1일 콘텐츠 배포 서비스 「pooq」이 시작되었다.
2012년 11월 5일 평일 「MBC 뉴스데스크」 방송 시간이 21시에서 20시로 변경되었고, 12월 31일 지상파 아날로그 방송이 종료되었다. 2013년 1월 1일 텔레비전 종야 방송이 시작되었다. 2014년 8월 4일 뉴스 프로그램이 상암 신사옥에서 첫 송출되었고, 9월 1일 상암 시대 개막이 선언되었다(상암 신사옥으로 이전).
2015년 1월 1일 「MBC강원영동」이 발족(강릉, 삼척 MBC 합병)되었고, 2016년 10월 1일 「MBC충북」이 발족(청주, 충주 MBC 합병)되었다. 12월 19일 FM4U 송신소가 N서울타워에서 관악산으로 이전되었다.
2018년 6월 2일 「MBC 무브먼트」가 한국의 지상파 방송국으로서는 최초의 공통 디자인으로 도입되었다. 2022년 11월 8일 서울 본국 AM 라디오 방송이 휴지되었다.[11]
2. 1. 설립과 라디오 시대 (1959년 ~ 1969년)
1959년 4월 15일, 개인사업가 김상용과 방송기술자 정환옥이 한국 최초의 상업 라디오 방송인 부산문화방송을 개국하였다.[22] 당시 부산문화방송은 1965년까지 '문화방송'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1961년 1월, 김지태는 서울에서 서울민간방송이라는 이름으로 회사를 설립하고, 3월에 한국방송HBC으로 회사 이름을 변경하였다.[22] 6월 7일에는 1기 성우, 기자, 아나운서를 모집하였고, 7월에는 라디오서울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10월에 다시 한국문화방송으로 변경하였다. 11월에는 라디오방송 시험 전파를 발사했고, 12월 2일에 MBC AM(호출부호 HLKV, 주파수 900 kHz, 출력 10 kW)을 개국하였다.[23] 그러나 김지태는 5·16 군사 정변 이후 부정축재자로 지목되어 1962년 한국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 부산일보 등 모든 재산을 5·16장학회에 헌납했다.[24][25][26]
1963년 4월 12일, 문화방송은 정부로부터 대구, 광주, 대전, 전주 등 주요 도시에 지국 설치 허가를 받아 네트워크를 확장하기 시작했다. 1963년 8월 8일 대구지국, 1965년 전주지국이 개국하면서 서울, 부산을 포함한 전국 6대 도시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1968년부터 1969년 사이에는 울산민간방송, 진주민간방송, 영동방송, 강원방송, 라디오목포, 남양방송, 경남방송 등 7개의 민영방송이 문화방송과 네트워크 가맹을 맺어 총 13개의 직할국 또는 가맹국이 참여하는 전국 네트워크를 완성하였다.[27]
1966년에는 라디오의 질적 발전과 심화를 위해 '뉴라디오이론'을 도입하여 한국 방송 사상 처음으로 생활정보방송을 실시하였고, 자율심의기관인 방송편성심의위원회·농어촌방송자문위원회 등을 설치하였다. 1968년 2월에는 정동 사옥을 착공하고, 같은 해 12월 31일 TV 시험 전파 방송에 성공하였다.[28]
2. 2. 흑백 텔레비전 시대 (1969년 ~ 1980년)
1969년 8월 8일, 한국문화방송은 정동 사옥에서 MBC TV(호출부호 HLAC-TV, 출력 2 kW)를 개국하고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실시하였다.[29] 같은 해 일본 후지 TV와 네트워크 협정을 맺었고, 1971년에는 타이완 TTV,[30] 홍콩 RTV(이후 ATV),[31] 미국 CBS 등 20여개 지역 민방사와 네트워크 협정을 맺었다.1970년 10월 5일 주요 뉴스 프로그램인 MBC 뉴스데스크 방송을 시작했다.
1971년 9월 19일에는 MBC FM을 개국하였다. 이후 여러 대형쇼를 기획하여 드라마 《새엄마》, 《신부일기》, 《수선화》, 《후회합니다》 등을 히트시키며 시청률 면에서 KBS를 앞섰고, 1974년에는 TBC마저 앞지르기도 했다. TBC와는 서로 번갈아가며 드라마를 히트시키는 등 시청률 경쟁을 벌였다.[32]
1974년 11월 1일,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경향신문과 통합되어 '''주식회사 문화방송·경향신문'''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33] 그러나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신아일보를 흡수했지만, 경향신문과는 분리되면서 현재 경향신문-문화방송은 정수장학회에 관여되어 있다는 것 외에는 무관하다.[33]
1969년, 문화방송은 은행 차입과 외자에 의존해 TV 방송을 시작하면서 경영난에 봉착했다. 박정희 정권은 이를 타개하기 위해 주식의 70%를 쌍용화재와 현대 등 대기업 11개 회사에게 강제 인수시켰는데, 이 지분은 배당, 의결권, 매각이 불가능한 조건이었다.
1977년에는 MBC 대학가요제를, 1979년에는 MBC 강변가요제를 시작하고, 같은 해 여의도 스튜디오 공사에 들어갔다.
2. 3. 컬러 방송 시대 (1980년 ~ 1990년)
1980년 7월 8일 첫 컬러 시험 방송을 시작했고, 1980년 12월 22일에 최초로 컬러 TV 방송을 시작하였다.[2] 1981년에는 컬러 TV 방송을 전국으로 확대하였다. 그러나 1980년 전두환 신군부 세력이 정권을 장악하면서 언론통폐합 과정에서 한국방송공사(KBS)가 문화방송 주식의 65%를 인수하게 되었다.[2] 7개 지역 가맹국의 주식 또한 각각 51% 이상 인수되어 문화방송은 전 가맹국과 직할국을 계열화하게 되었다.1981년 4월 1일, 언론기본법 제정에 따라 문화방송과 경향신문사가 분리되어 MBC의 독립적인 방송 체제가 확립되었다. 1982년 3월 17일에는 서울 여의도에 스튜디오 사옥을 준공하여 방송 제작 능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1986년 1월 1일에는 홍익대학교 권명광 교수가 작업한 새로운 CI를 도입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현대화했다.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과 1988년 서울 올림픽 생중계를 통해 MBC는 규모와 기술면에서 크게 발전했다.
1988년 12월 26일, '방송문화진흥법'을 제정하고 문화방송 주식의 70%를 공인법인인 방송문화진흥회가 관리하도록 하였다.
같은 해, MBC는 프로야구단 MBC 청룡을 창단하여 KBO 리그 창단 멤버로 참가했으며, 리그 TV 중계권을 최초로 확보했다. 청룡의 소유권은 1989년 LG그룹에 넘어갔다.
2. 4. 멀티미디어 시대 (1991년 ~ 2000년)
1991년 1월 17일, 걸프 전쟁으로 인한 유가 상승과 국내 에너지 절약 정책에 따라 방송 시간을 단축하는 등 시대적 상황에 대응하는 모습을 보였다.[11] 그로부터 3년 뒤 MBC 프로덕션, MBC 미디어텍, MBC 방송문화원을 창립했고, 이듬해 MBC 미술센터를 세웠다.[11] 같은 시기 일산 사옥 부지를 매입하고 신사옥 건설을 추진했다.[11]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MBC는 인터넷 시대에 발맞춰 큰 변화를 겪었다. 2000년 3월 11일 《인터넷 MBC》(iMBC)를 창립하고, 같은 해 7월 7일 공식 사이트(imbc.com)를 개설하여 온라인 플랫폼으로 확장했다.[11]
조직 구조 면에서도 변화가 있었다. 2000년 4월 10일 《MBC 프로덕션》과 《MBC 예술단》을 합병하여 제작 역량을 강화했다.[11] 2000년 9월 1일에는 경영센터를 입주시켜 경영 효율성을 높이는 등 내부 구조 개선에도 힘썼다.[11]
이러한 변화들은 MBC가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 적응하고, 디지털 시대의 방송사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11] 특히 인터넷 기반 서비스 확대는 MBC가 전통적인 방송 매체를 넘어 새로운 미디어 플랫폼으로 영역을 확장해 나가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11] 대형 기업으로 급성장하여 주요 국제 행사들을 다루게 된 MBC는 멀티미디어 시대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더욱 효율적인 기업이 되기 위해 각각의 가치 사슬(MBC 제작, MBC 미디어텍, MBC 방송문화센터, MBC 아트컴퍼니, MBC 아트센터)에 특화된 회사들을 설립하고 자회사로 분사했다.[11]
2. 5. 디지털 시대 (2001년 ~ 2010년)
2001년 12월, 문화방송은 DTV 방송을 개시하며 디지털 방송 시대를 열었다.[3] 2005년 12월에는 지상파DMB 서비스를 시작하여 모바일 방송 영역으로 확장하였고, 2006년 6월에는 데이터방송을 시작했다.2005년 1월 3일, 새로운 CI를 도입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쇄신했다. 같은 해 1월 21일에는 자회사인 iMBC가 코스닥에 상장되었다. 2007년 11월 30일에는 MBC일산드림센터를 완공하여 제작 역량을 강화했고, 2010년 6월 18일에는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 내 신사옥 부지 착공을 시작했다.[3] 2010년 9월 1일, MBC 경기인천지사(현 MBC경인지사)를 개소하여 지역 방송 네트워크를 확대했다.
2001년 MBC는 위성 및 케이블텔레비전 방송을 개시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자회사인 MBC America를 설립하여 아메리카 대륙 전역에 프로그램을 배포했다. 2008년 8월 1일, MBC America는 KSCI-TV, KTSF-TV 및 WMBC-TV의 디지털 서브채널에서 방송되는 텔레비전 네트워크인 MBC-D를 개국했다.[3]
2. 6. 다채널 시대 (2011년 ~ 현재)
MBC영어는 2010년대에 들어서며 조직 구조와 방송 기술의 현대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했다. 2011년 9월 1일, 경남지역 문화방송 계열사들을 통합해 MBC경남을 출범시켰고, 이후 2015년 1월 1일 MBC강원영동(강릉, 삼척 MBC 합병)[11], 2016년 10월 1일 MBC충북(청주, 충주 MBC 합병)[11]을 출범시키며 지역 방송 네트워크를 재편했다.기술적 측면에서는 2012년 12월 31일 수도권에서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을 종료[11]하고, 2013년 1월 1일부터 24시간 종일방송을 실시[11]하는 등 디지털 방송 시대로의 전환을 완료했다. 2017년 5월 31일에는 UHD 방송을 개국하여 방송 화질의 혁신을 이뤘다.
인프라 측면에서는 2014년 9월 1일, 여의도 사옥 시대를 마감하고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의 신사옥으로 이전[11]하며 새로운 도약의 기반을 마련했다. 또한 2016년 12월 19일에는 FM4U 송신소를 N서울타워에서 관악산으로 이전 완료[11]하여 수도권 난청 지역 문제를 해결했다.
MBC영어는 2017년 9월 4일부터 11월 13일까지 71일간의 총파업[11]을 겪으며 내부적 변화를 겪었고, 이후 새로운 경영진을 맞이했다. 2023년 5월 8일에는 AM 라디오 방송을 폐국[11]하는 등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대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3. 로고
기간 | 로고 |
---|---|
1961년 12월 2일 ~ 1969년 6월 30일 | -- |
1969년 7월 1일 ~ 1974년 7월 24일 | -- |
1974년 7월 25일 ~ 1980년 12월 14일 | -- |
1980년 12월 15일 ~ 1981년 12월 1일 | -- |
1981년 12월 2일 ~ 1985년 12월 31일 | -- |
1986년 1월 1일 ~ 2005년 1월 2일 | -- |
1986년 4월 29일 ~ 2005년 1월 2일 | -- |
2005년 1월 3일 ~ 2011년 12월 31일 | -- |
2012년 1월 1일 ~ 현재 | -- |
4. 방송
문화방송(MBC)은 다양한 방송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 지상파 TV 채널 (MBC — 11번 채널)
- 라디오 채널 3개: MBC 표준FM, MBC FM4U, 채널M
- 케이블/위성 방송 5개 채널: MBC 드라마, MBC 스포츠플러스, MBC M, MBC 에브리원, MBC ON
- 지상파 DMB 3개 채널: TV, 라디오, 데이터방송
- 위성 DMB 2개 채널: MBC 드라마, MBC 스포츠플러스[10]
1961년 12월 2일, MBC는 라디오 방송을 시작하며 한국 수도 서울에서 최초의 민간 상업 방송사가 되었다.[10] 1963년에는 부산을 포함한 전국 주요 도시에 지역 방송국 설립 허가를 받아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1969년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하고, 1970년에는 메인 뉴스 프로그램인 MBC 뉴스데스크를 시작했다.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한국방송공사(KBS)가 주식 70%를 인수하면서 공영방송으로 전환되었고, 같은 해 컬러 방송을 시작했다. 1981년 언론기본법에 따라 경향신문과 분리되었으며, 1982년 여의도 사옥으로 이전하고 프로야구단 MBC 청룡을 창단했다.
디지털 시대에 발맞춰 MBC는 인터넷 사업을 전개하고 케이블TV, 위성방송, DMB 방송을 실시했다. 2007년에는 일산에 드림센터를 건립하고, 2014년에는 상암동 신사옥으로 이전했다.
MBC는 MBC 뉴스데스크, PD수첩, MBC 100분 토론 등 다양한 뉴스 및 시사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특히 PD수첩은 황우석 교수 연구팀의 줄기세포 논문 조작 의혹을 처음으로 제기한 프로그램으로 유명하다.
이 외에도, 문화방송은 마징가Z(1975년 방영), 24 -TWENTY FOUR-, CSI 과학수사대, 소녀 장금이의 꿈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방영했다.
4. 1. TV 방송
MBC는 1969년 8월 8일 텔레비전 방송(호출 부호: HLAC-TV, 출력: 2kW)을 시작했으며, 1970년 10월 5일 주요 뉴스 프로그램인 MBC 뉴스데스크 방송을 시작했다.[2] 1968년부터 1969년 사이에 울산, 진주, 강릉, 춘천, 목포, 제주, 마산 등 7개의 상업 방송국과 제휴 계약을 맺었고, 13개의 계열 또는 지역 방송국을 통해 전국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다.1980년 12월 22일, 최초로 컬러 TV 방송을 시작했다.[2] 1982년 MBC는 프로야구단 MBC 청룡을 창단하여 KBO 리그 창단 멤버로 참가했으며, 리그 TV 중계권을 최초로 확보했다.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과 1988년 서울 올림픽 생중계를 통해 MBC는 규모와 기술면에서 크게 발전했다.
방송과 통신의 융합이 본격화됨에 따라 MBC는 자회사인 iMBC(인터넷 MBC)를 독립 법인으로 분리하고 다양한 인터넷 관련 사업을 추진했다. 또한 케이블TV(MBC플러스미디어), 위성TV, 새로운 DMB 방송 및 지상파 TV의 종일 방송을 시작했다. 2007년에는 첨단 제작 시설을 갖춘 디지털 제작 센터인 일산 드림센터를 설립했다. 2014년 9월에는 새 사옥 건설을 완료하고 여의도에서 상암동으로 사옥을 이전하여 상암 MBC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2001년 MBC는 위성 및 케이블 텔레비전 방송을 개시했다. 2013년 3월, MBC를 포함한 한국 방송사들이 컴퓨터 시스템 마비 피해를 입었다.[4] 한국 정부는 3월 사이버 공격에 북한의 연루를 주장했으나, 북한은 이를 부인했다.[5]
- 지상파 TV 1개 채널 (MBC — 11번 채널)
- 리모컨 키 ID: 11-1
- 호출 부호(콜사인): HLKV-DTV
송신소 | 물리 채널 | 공중선 전력 |
---|---|---|
관악산 | K-14ch | 2.5kW |
남산 | K-50ch | 5kW |
파주 | K-27ch | 90W |
동두천 | K-50ch | 20W |
포천 | K-44ch | 20W |
용문산 | K-27ch | 1kW |
하포 | K-32ch | 20W |
계양산 | K-??ch | 100W |
인천 | K-??ch | 90W |
불광 | K-27ch | 90W |
응암 | K-21ch | 90W |
성북 | K-21ch | 50W |
장위 | K-43ch | 90W |
광명 | K-41ch | 20W |
광교산 | K-41ch | 200W |
성남 | K-27ch | 20W |
4. 2. 라디오 방송
문화방송은 다음과 같은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 MBC 표준FM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 부호 |
---|---|---|---|
관악산 | FM 95.9MHz | 10kW | HLKV-SFM |
; MBC FM4U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 부호 |
---|---|---|---|
관악산 | FM 91.9MHz | 10kW | HLKV-FM |
MBC 라디오에서는 "'''M~BC MBC~'''"라는 징글이 공통으로 사용된다.
MBC FM4U 시보는 매 정시에 방송되며, 전국 공통으로 "'''MBC~ FM4U~'''" 음원이 사용된다.
4. 3. 지상파 DMB 방송
송신소 | 물리 채널 (주파수) | 공중선 전력 |
---|---|---|
관악산 | K-12Ach () | 2kW |
남산 | 2kW | |
파평 | 20W | |
포천 | 20W | |
용문산 | 1kW | |
하회 | 100W | |
계양산 | 1kW | |
만월산 | 90W | |
불광산 | 90W | |
안산 | 20W | |
광교산 | 1kW | |
운중산 | 20W | |
광주 | 20W | |
용인 | 90W | |
이동 | 90W | |
안성 | 90W |
5. 사옥
문화방송은 1961년 라디오 방송국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사옥 이전을 거쳤다. 현재는 상암동에 본사를, 일산 드림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5. 1. 변천 과정
문화방송은 1961년 라디오 방송국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사옥 이전을 거치며 발전해왔다.연도 | 사건 |
---|---|
1961년 12월 2일 | 종로구 인사동(현재의 덕원 갤러리)에서 라디오 방송 시작.[11] |
1969년 8월 8일 | 중구 정동으로 사옥 이전, 텔레비전 방송 개국.[11] |
1982년 3월 17일 | 영등포구 여의도로 사옥 이전.[11] |
1997년 | 경기도 양주시에 양주 스튜디오 준공. |
2007년 11월 30일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에 일산 드림센터 준공. |
2013년 7월 | 마포구 상암동의 디지털 미디어 시티에 방송영상제작센터 준공. |
2014년 8월 4일 | 마포구 상암동 신사옥으로 이전.[11] |
5. 2. 현황
- '''상암 사옥 (본사)'''
- * 공사 기간: 2010년 6월 18일 ~ 2014년 8월
- * 지하 3층, 지상 14층 / 건축면적: 34209m2 / 연면적: 148737m2[34]
- * 舊 여의도 사옥과 일산 MBC 드림센터 사옥을 합친 규모보다 더 크며 축구장 21개의 규모에 해당한다. 제작스튜디오 5곳, 뉴스스튜디오 2곳, 음향스튜디오 7곳, 매직스튜디오 1곳 등이 위치해있다.
- * 경영센터, 방송센터, 미디어센터 (내부)
- '''일산드림센터'''
- * 공사 기간: 2004년 9월 ~ 2007년 7월[35]
- * 지하 4층, 지상 10층 / 건축면적: 11736m2 / 연면적: 78274m2
- * 한국 최대 규모의 복층 스튜디오로 구성되어 있다.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 제작이 주요 기능이며, 2층에 예능 스튜디오 2곳, 공개홀 1곳, 7층에 드라마 스튜디오 3곳 등이 위치하고 있다.
6. 역대 사장
(대수)